KR101441057B1 -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057B1
KR101441057B1 KR1020120106882A KR20120106882A KR101441057B1 KR 101441057 B1 KR101441057 B1 KR 101441057B1 KR 1020120106882 A KR1020120106882 A KR 1020120106882A KR 20120106882 A KR20120106882 A KR 20120106882A KR 101441057 B1 KR101441057 B1 KR 101441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stream
product
tag
container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0370A (ko
Inventor
이상수
안기찬
Original Assignee
정보통신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통신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정보통신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20106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057B1/ko
Priority to CN201210391475.9A priority patent/CN103679469A/zh
Publication of KR2014004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은, 유통중인 주류제품들의 식별코드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유통사 단말기와, 정품확인을 위한 소정 서비스 앱을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품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기 등록된 식별코드들 중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상기 관리서버와, 주류제품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신호가 감지되면, 태그신호로부터 제품 정보를 검출하고 배포된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정품확인을 위한 소정 서비스 앱(Application)을 스마트 기기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사용자들이 배포된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류제품들의 등록여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주류제품 용기에 복수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를 부착하고,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들 간의 통신으로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여, 해당 주류제품이 정품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지를 여부를 판별한다.

Description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SYSTEM OF PREVENTION SERVICE FOR LIQUOR FORGERY}
본 발명은 주류 위조방지 및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주류 위조방지 및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시스템에 사용되는 태그는 기존의 바코드와는 달리 반도체 칩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칩 내부에 저장된 정보를 읽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을 기록할 수 있다.
특히, 비접촉식 기술이고 장거리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여 한 번에 많은 태그의 정보를 동시에 읽을 수 있으며, 인식속도도 매우 뛰어나서 작업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RFID 기술의 가장 큰 장점은 태그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양이 다른 매체에 비해 획기적으로 늘어났다는 점이다. 정보 저장량이 늘어나면서 상품정보나 생산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최근, RFID기술의 일종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가 주목받고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 기능을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RFID 사용을 위해 필요했던 리더기가 필요하지 않고,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RFID기술의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NFC태그나 NFC는 위스키, 보드카 등과 같은 고급 양주나 골프채, 보석, 가방, 시계 등과 같은 명품 상품의 가짜 또는 위조 상품을 판별하기 위한 유통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다.
고급 양주나 골프채, 보석, 가방, 시계 등과 같은 명품 상품 시장에는, 가짜 또는 위조 상품이 끊이지 않고 유통하고 있다. 이는 명품 브랜드를 선망하는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를 이용하려는 악덕 상술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가짜 또는 위조 상품은 소비자와 생산자(제조자) 양자 모두에게 피해가 가는 만큼, 최근, 각급 지자체는 고가의 명품 브랜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위조 상품의 불법유통을 강력히 단속하고 있으나, 당국의 단속만으로 위조상품의 유통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위조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가 육안으로는 가짜 상품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제조업체가 각종 과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위조방지 장치 또는 진품 식별장치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조방지 시스템이 있더라도, 이를 이해하는 소비자, 특히 주점, 또는 주류를 판매하는 음식점에서 주류를 직접 마시는 소비자가 정작 위조된 주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쉽게 이해하지 못하거나, 별도의 식별을 위한 별도의 장치나 고가의 시스템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8470호(발명의 명칭: 상품의 유통정보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고급 양주는 국산 주류제품에 비하여 고가일 뿐만 아니라 제조회사나 숙성도에 따라 가격 산정이 다르게 이루어지므로, 위조품 유통업자들은 이를 악용하여 내용물을 싼 것으로 교체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저품질의 원료를 사용한 가짜 양주를 양산 및 유통시키고 있다. 이러한 가짜 양주나 저급 양주의 유통은 소비자들에게 금전적인 손실은 물론 건강상에 위해(危害)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가지고 있다. 또한, 가짜 양주의 불법 제조 및 유통은 불법 거래 및 세금 포탈 등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스마트 기기를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류제품들의 등록여부를 조회하고, 위조제품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회한 주류제품들이 관리서버에 등록되지 않았거나, 위조제품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속기관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신고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정품확인을 위한 소정 서비스 앱(Application)을 스마트 기기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사용자들이 배포된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류제품들의 등록여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주류제품 용기에 복수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를 부착하고,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들 간의 통신으로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여, 해당 주류제품이 정품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지를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주류 위조방지가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주류제품에 부착된 제1태그부와 제2태그부의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NFC태그의 블록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정품확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앱을 나타낸 예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은,
유통중인 주류제품들의 식별코드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유통사 단말기와, 정품확인을 위한 소정 서비스 앱을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품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기 등록된 식별코드들 중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상기 관리서버와, 주류제품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신호가 감지되면, 태그신호로부터 제품 정보를 검출하고 배포된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의 조회과정에서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발견되는 경우,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재사용된 것으로 판정되면, 단속기관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신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우선 타이머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저장된 타이머 값이 존재하면, 타이머의 종료된 일시를 계산하여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류 용기의 개봉시점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주류 용기를 재사용된 위조품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방법은,
유통중인 주류제품들의 식별코드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과정, 정품확인 서비스 앱을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주류제품에 사용자 단말기를 근접시키면, 상기 주류제품의 근거리 무선 태그로부터 제품 정보를 검출하고 정품확인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로부터 식별 코드를 검출하여 기 등록된 식별코드들 중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는지 조회하는 과정과,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제품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주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 경우, 단속기관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신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조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은,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우선 타이머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저장된 타이머 값이 존재하면, 타이머의 종료된 일시를 계산하여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주류 용기의 개봉시점을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주류 용기를 재사용된 위조품인 것으로 판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안점은, 정품확인을 위한 소정 서비스 앱(Application)을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사용자들이 배포된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류제품들의 등록여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또한, 주류제품 용기에 복수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를 부착하고,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들 간의 통신으로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여, 해당 주류제품이 정품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지를 여부를 판별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은 유통사 단말기(100), 관리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공공기관 서버(400),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500)로 구성된다.
상기 유통사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접속가능한 유통사(예: 유통업자, 생산자, 판매자 등) 측의 단말기로서, 유통사(예: 유통업자, 생산자, 판매자 등)는 유통사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접속(예: 로그인)하여 시장에 공급(유통)된 주류 제품들(예: 고급 양주, 와인 등)의 식별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제품 식별정보는 고유 식별코드, 제조 일련번호, 시리얼 번호 등 해당 주류제품마다 고유하게 할당된 식별코드를 의미한다. 유통사 단말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혹은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휴대폰, PDA, 스마트폰, 혹은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상기 관리서버(200)는, 유통사들이 시장에 공급(유통) 중인 주류제품들(예: 고급 양주나 와인 등)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관리서버(200)의 메모리에는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사들이 시장에 유통 중인 제품들의 고유 식별코드 리스트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관리서버(200)는 정품확인을 위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 배포하여 소비자(이하, '사용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정품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공기관 서버(400, 이하, '단속기관 서버(400)'라 한다)는 해외에서 수입되는 명품(예: 고급 위스키, 와인 등)의 유통정보와 판매정보를 입수하여 세금을 산정하거나, 밀수 제품이나 위조품 유통업자의 명단을 관리한다. 상기 단속기관 서버(400)는 국세청이나 검찰, 경찰, 세관 등과 같은 공공기관의 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태그(5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는 물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채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상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500)라 한다.
상기 NFC태그(5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태그부(510)와 제2태그부(520)로 이루어진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주류제품에 부착된 제1태그부와 제2태그부의 예시도이다.
상기 제1태그부(510)는 주류용기의 병마개(530)와 병목(540) 사이에 부착되는 스티커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스티커는 병마개(530)를 봉인하고 상품명을 표시하는 것으로, 상기 병마개(530)가 오픈될 때 찢어지며 절취된다. 상기 스티커는 병마개(530)가 오픈될 때 원활히 절취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절취선(516)을 구비한다.
상기 제1태그부(510)는 제1NFC태그(512)와 13.56MHz의 RF(고주파)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514)로 이루어지며, 상기 병마개(530)가 오픈될 때 상기 스티커의 절취와 함께 훼손된다. 병마개(530)가 오픈되면, 상기 제1태그부(510)의 구성 소자(예: 제1NFC태그(512), 안테나(514))가 훼손되어 제1태그부(510)의 회로연결은 차단되고, 외부 장치(예: RFID리더기, 제2태그부(520) 등)와의 통신은 중단된다.
상기 제2태그부(52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작사, 제조국, 제조일자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제2NFC태그(522)와, 해당 주류제품이 생산될 때 카운트를 시작하는 타이머(524)와, 제2태그부(5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NFC태그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제2NFC태그(522)에 저장된 유통경로 정보는 새로운 판매점을 거칠 때마다 최근 정보가 추가 업데이트되므로, 유통정보 경로를 통해 해당 물품의 거래 경로 및 판매처 이동 경로의 추적이 가능하다.
제2태그부(520)는 주기적으로 상기 제1태그부(510)와 통신을 수행하며, 병마개(530)가 오픈(개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제2태그부(520)는 상기 제1태그부 (510)와의 통신이 두절되면, 상기 타이머(524)의 동작을 중단시키고 타이머(524)의 카운트 값(x)을 저장한다.
본 발명은 초(秒)단위의 카운트를 수행하는 간단한 구성의 타이머를 채용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량을 최소화하고, 상기 카운트 값(x)을 계산하여 상기 타이머(524)의 동작이 중단된 시간(예: 날짜, 시간, 초)을 검출한다.
NFC태그(500)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근접터치되면, 상기 제2태그부 (520)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동단말(200)로 송신한다.
상기 제2태그부(520)는 상기 제1태그부(510)와의 주기적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524)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어부(미도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휴대폰, PDA, 스마트폰, 혹은 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로서, RFID리더기, 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들이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NFC태그를 읽어들일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고, 읽어들인 NFC태그 정보를 통해 정품확인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서비스 앱(app)'이라 한다)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서비스 앱(app)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관리서버(200)나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이하, '앱스토어(App store)'라 한다)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소정 거리 내에서 NFC태그(500)가 감지되면 상기 서비스 앱(app)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접속하고, 관리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는 매장(or 판매업소)에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판매중인 주류제품(NFC태그 부착)을 스캔하는 것으로, 판매중인 주류제품의 정품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매장(or 업소(취급소))을 방문한 사용자는 우선, 서비스 앱(app)을 실행시킨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를 NFC태그가 부착된 주류제품에 소정 거리 접근시켜, NFC태그(예: 제2태그부(520))에 저장된 정보들(예: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자 등)을 스캔한다. 그리고 스캔을 통해 주류제품의 정보들(예: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자 등)이 검출되면, 단말(300)은 상기 관리서버(200)의 정보조회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주류제품의 고유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관리서버(200)의 기등록된 식별코드들을 검색한다.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검출되면, 상기 주류제품을 정품으로 판정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정품확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app)은 해당 주류제품이 관리서버(200)에 등록된 정품으로 판정되면, NFC태그(예: 제2태그부(520))에 저장된 타이머 값(x)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NFC태그(예: 제2태그부(520))에 타이머 값(x)이 존재하는 것은 상기 제1태그부(510)와 제2태그부(520)간의 통신이 두절된 것을 의미하며, 해당 주류제품의 병마개(530)가 오픈된 적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서비스 앱(app)은 제2태그부(520)에 저장된 타이머 값(x)을 검출하여, 타이머(524)가 종료된 일시를 계산하고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주류 용기의 개봉시점에 따라 상기 주류 용기가 재사용된 위조품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수식으로서,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계산한다.
[수식 1]
타이머가 종료된 날 = 주류 제조일자 + trunk (trunk (trunk (x/60)/60)/24)
위 [수식1]에서, 상기 x는 종료된 시점의 타이머 값이고, 상기 trunk(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몫을 취하는 함수이다.
하기 [수식 2]와 [수식 3]은 타이머 종료된 날의 종료시간(시각과 분(分))을 구하는 수식이다.
[수식 2]
종료시간(時角) = mod (A, 24)
A = 주류 제조시간 + mod (trunk (trunk (X/60)/60), 24)
[수식 2]에서, 상기 A가 24이상인 경우, 상기 타이머가 종료된 날에 하루가 추가된다. 상기 mod(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나머지 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수식 3]
종료시각(분(分)) = mod (B, 60)
B = 주류 제조시간의 분(分) + mod (trunk (x/60)
[수식 3]에서, 상기 B가 60이상인 경우, 상기 타이머가 종료된 시간에 1시간이 추가된다.
상기 서비스 앱은 종료된 시점의 타이머 값(x)을 상기 수식들에 적용하여, 해당 주류제품을 제조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날짜와 시간 및 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수식들을 통해 계산된 날짜와 시각(시간 및 분)을 해당 주류제품의 제조 일시에 더하는 것으로, 해당 주류제품의 개봉된 시점(예: 2010년12월25일, 21시 30분경)을 검출하게 된다.
일단, 상기 관리서버(200)의 조회과정에서 일치하는 식별코드(예: 정품 식별코드)가 발견되고,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주류 용기의 개봉시점 참조)으로 판정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app)은 상기 단속기관(400) 서버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예: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단속기관(400) 서버에 신고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품이나 시장에 고가로 공급(유통)되는 주류제품(예: 고급 양주, 와인 등)의 유통사(예: 유통업자, 생산자, 판매자 등)는 유통사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에 접속(예: 로그인)하여 시장에 공급(유통)된 주류제품들의 고유 식별코드를 등록한다. (S10)
그리고, 관리서버(200)는 정품확인 및 주류 위조방지를 위한 서비스 앱(app)을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앱스토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구입처에 무료(혹은 유료) 배포하여 사용자가 주류 위조방지 및 정품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S20)
그리고,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에게 사용자의 간략 신상정보(예: 이름, 성별, 주소, 직업, 생년월일, 전화번호, e-mail 등)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동의를 구하고 정품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매장(or 판매업소)에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기(300)로 판매중인 주류제품(NFC태그 부착)을 스캔하는 것으로, 정품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즉, 매장(or 업소(취급소))을 방문한 사용자는 우선, 서비스 앱(app)을 실행시킨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를 NFC태그가 부착된 주류제품에 소정 거리 접근시켜, NFC태그에 저장된 정보들(예: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자 등)을 스캔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캔을 통해 주류제품의 정보들(예: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자 등)을 검출하고, 상기 관리서버(200)의 정품확인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검출된 고유식별 코드와 동일한 코드가 상기 관리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S30)
상기 검색과정(S30)에서, 해당 주류제품의 고유식별 코드가 관리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앱은 NFC태그(예: 제2태그부(520))에 타이머 값(x)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S40 ~ S50) 그리고, NFC태그(예: 제2태그부(520))에 저장된 타이머 값(x)이 없는 경우, 서비스 앱은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류제품을 정품으로 판정하고, 주류제품에 관한 상세 정보(예: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자 등)를 서비스 앱을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반면, 상기 체크 과정(S50)에서, NFC태그(예: 제2태그부(520))에 타이머 값(x)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서비스 앱(app)은 상기 타이머 값(x)을 하기 수식들(예: [수식 1], [수식 2], [수식 3])들에 적용하여, 해당 주류제품의 개봉된 시점(예: 2010년12월25일, 21시 30분경)을 계산한다.
[수식 1]
타이머가 종료된 날 = 주류 제조일자 + trunk (trunk (trunk (x/60)/60)/24)
위 [수식1]에서, 상기 x는 종료된 시점의 타이머 값이고, 상기 trunk(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몫을 취하는 함수이다.
하기 [수식 2]와 [수식 3]은 타이머 종료된 날의 종료시간(시각과 분(分))을 구하는 수식이다.
[수식 2]
종료시간(時角) = mod (A, 24)
A = 주류 제조시간 + mod (trunk (trunk (X/60)/60), 24)
[수식 2]에서, 상기 A가 24이상인 경우, 상기 타이머가 종료된 날에 하루가 추가된다. 상기 mod(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나머지 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수식 3]
종료시각(분(分)) = mod (B, 60)
B = 주류 제조시간의 분(分) + mod (trunk (x/60)
[수식 3]에서, 상기 B가 60이상인 경우, 상기 타이머가 종료된 시간에 1시간이 추가된다.
서비스 앱(app)은 NFC태그(520)에 타이머 값(x)이 저장되어 있으면,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주류 용기의 개봉시점 참조)으로 판정한다. (S60) 비록, 해당 주류제품이 관리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 제품으로 확인되어도,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주류 용기의 개봉시점 참조)으로 판정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app)은 해당 주류제품을 과거에 적어도 한번 이상 개봉된 적이 있는 재사용품(예: 위조 주류제품)으로 판정한다.
NFC태그(520)에 타이머 값(x)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앱은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주류제품을 인증불가(예: 비정품)로 판정하고, 주류제품에 관한 상세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기타' 항목만을 '재사용품'으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앱 화면에서 '기타' 항목을 클릭(터치)하는 것으로, 해당 주류제품의 개봉된 시점(예: 2010년12월25일, 21시 30분경)을 볼 수 있다.
상기 '기타'항목에 해당 주류제품의 개봉된 시점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중에 유통되는 재사용품이나 위조 주류제품으로부터 정식 주류제품을 개인의 판단에 따라 구별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서비스 앱(app)은 상기 검색과정(S30)에서, 해당 주류제품의 고유식별 코드가 관리서버(2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속기관(400) 서버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예: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단속기관(400) 서버에 신고한다. (S70)
또한, 본 발명의 서비스 앱(app)은 상기 과정(S60)에서 해당 주류제품이 재사용품(예: 위조 주류제품)으로 판정되면, 상기 단속기관(400) 서버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예: 사용자 단말기(300)의 현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단속기관(400) 서버에 신고한다. (S70)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앱(App)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서비스 앱(App)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정품확인을 위한 소정 서비스 앱(Application)을 스마트 기기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사용자들이 배포된 앱을 통해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주류제품들의 등록여부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주류제품 용기에 복수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를 부착하고,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들 간의 통신으로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여, 해당 주류제품이 정품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지를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주류 위조방지가 가능한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100 : 유통사 단말기 200 : 관리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공공기관 서버
500 : NFC태그 510 : 제1태그부
512 : 제1NFC태그 514 : 안테나
516 : 절취선 520 : 제2태그부
522 : 제2NFC태그 524 : 타이머
526 : 배터리 530 : 병마개
540 : 병목

Claims (16)

  1. 유통중인 주류제품들의 식별코드를 관리서버(200)에 등록하는 유통사 단말기(100)와;
    정품확인을 위한 소정 서비스 앱을 사용자들에게 배포하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품식별 코드가 수신되면 기 등록된 식별코드들 중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회하는 상기 관리서버(200)와;
    주류제품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500) 신호가 감지되면, 태그신호로부터 제품 정보를 검출하고 배포된 서비스 앱을 통해, 상기 관리서버(200)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조회과정에서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발견되는 경우,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재사용된 것으로 판정되면, 단속기관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신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우선 타이머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저장된 타이머 값이 존재하면, 타이머의 종료된 일시를 계산하여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주류 용기의 개봉시점을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주류 용기를 재사용된 위조품인 것으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관리서버(200)의 조회과정에서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단속기관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신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기 위해, 하기 수식으로서 타이머가 종료된 날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타이머가 종료된 날 = 주류 제조일자 + trunk (trunk (trunk (x/60)/60)/24)
    (상기 x는 종료된 시점의 타이머 값이고, 상기 trunk(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몫을 취하는 함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기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기 위해, 하기 수식으로서 타이머가 종료된 날의 종료시각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타이머가 종료된 날의 종료시각 = mod (A, 24)
    A = 주류 제조시간 + mod (trunk (trunk (X/60)/60), 24)
    (상기 x는 종료된 시점의 타이머 값이고, 상기 trunk(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몫을 취하는 함수이고, 상기 mod(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나머지 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는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무선통신 태그(500)는
    주류용기의 병마개(530)와 병목(540) 사이에 부착되며, 상기 병마개(530)가 오픈될 때 찢어지며 훼손되는 제1태그부(510)와;
    주기적으로 상기 제1태그부(510)와 통신을 수행하며, 병마개(530)의 오픈으로 인해 제1태그부(510)와의 통신이 두절되면, 타이머(524)의 카운트 값(x)을 저장하는 제2태그부(5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태그부(520)는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작사, 제조국, 제조일자, 타이머 값(x)을 저장하는 제2NFC태그(522)와;
    해당 주류제품이 생산될 때 카운트를 시작하는 타이머(524)와;
    제2태그부(5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5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5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10. 유통사 단말기(100)가 유통중인 주류제품들의 식별코드를 관리서버(200)에 등록하는 과정과;
    관리서버(200)가 정품확인 서비스 앱(240)을 사용자들에게 배포하는 과정과;
    사용자 단말(300)이 사용자가 주류제품에 사용자 단말기(300)를 근접시키면, 상기 주류제품의 근거리무선통신 태그로부터 제품 정보를 검출하고 정품확인 서비스 앱(240)을 통해, 상기 서버(200)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200)가 상기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제품 정보로부터 식별 코드를 검출하여 기 등록된 식별코드들 중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는지 조회하는 과정과;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0)이 제품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주류 용기를 재사용한 위조품인 경우, 사용자 단말(300)이 단속기관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신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위조품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은,
    해당 주류제품의 용기가 재사용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우선 타이머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저장된 타이머 값이 존재하면, 타이머의 종료된 일시를 계산하여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주류 용기의 개봉시점을 단말기(300)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주류 용기를 재사용된 위조품인 것으로 판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를 조회하는 과정은,
    일치하는 식별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속기관에 해당 판매점의 위치정보를 제공하여 판매점을 신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는 과정은
    하기 수식으로서 타이머가 종료된 날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방법.
    타이머가 종료된 날 = 주류 제조일자 + trunk (trunk (trunk (x/60)/60)/24)
    (상기 x는 종료된 시점의 타이머 값이고, 상기 trunk(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몫을 취하는 함수이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류 용기의 개봉된 시점을 검출하는 과정은
    하기 수식으로서 타이머가 종료된 날의 종료시각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방법.
    타이머가 종료된 날의 종료시각 = mod (A, 24)
    A = 주류 제조시간 + mod (trunk (trunk (X/60)/60), 24)
    (상기 x는 종료된 시점의 타이머 값이고, 상기 trunk(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몫을 취하는 함수이고, 상기 mod(x,y)는 x를 y로 나눈 수식에서 나머지 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정보는
    고유식별 코드, 유통경로, 제조사, 제조국, 제조일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방법.
KR1020120106882A 2012-09-26 2012-09-26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KR101441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82A KR101441057B1 (ko) 2012-09-26 2012-09-26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CN201210391475.9A CN103679469A (zh) 2012-09-26 2012-10-16 用于酒类伪造防止服务的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882A KR101441057B1 (ko) 2012-09-26 2012-09-26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370A KR20140040370A (ko) 2014-04-03
KR101441057B1 true KR101441057B1 (ko) 2014-09-17

Family

ID=5031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882A KR101441057B1 (ko) 2012-09-26 2012-09-26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41057B1 (ko)
CN (1) CN1036794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201A (ko) 2019-11-18 2021-05-26 나영혜 블록체인 기반의 진품 여부 확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30165013A (ko) 2022-05-26 2023-12-05 김봉겸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5861A (ko) * 2016-01-15 2017-07-25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사용자의 이벤트에 따라 제품 코드를 전달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관리 서버
CN105947340A (zh) * 2016-06-24 2016-09-21 深圳市百泰实业股份有限公司 智能防伪酒瓶
CN110599200B (zh) * 2019-09-10 2022-11-01 携程计算机技术(上海)有限公司 Ota酒店的虚假地址的检测方法、系统、介质及设备
KR102260493B1 (ko) * 2019-11-15 2021-06-03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정품 인증 콘텐츠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통합 인증 시스템
CN113129029A (zh) * 2021-03-31 2021-07-16 杭州甘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及rfid的酒类防伪溯源系统
CN117934020A (zh) * 2024-03-25 2024-04-26 海普智联科技(烟台)有限公司 防伪系统、瓶盖及容器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346A (ko) * 2005-09-27 2005-10-18 김용필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주류진품식별 시스템
KR20110009494A (ko) * 2009-07-22 2011-01-28 전영준 Rfid 병마개 및 rfid 병마개를 이용한 제품확인 방법
KR20120058637A (ko) * 2010-08-16 2012-06-08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실시간 경품관리시스템과 연동한 주류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2355A (ja) * 2001-01-26 2002-08-09 Nec Soft Ltd 抽選機能付きの販売システム、販売管理装置、販売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002216A (zh) * 2004-08-11 2007-07-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监控容易腐烂产品的到期日期
CN201716765U (zh) * 2010-07-24 2011-01-19 包宋德 基于二维条码的酒类防伪追溯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346A (ko) * 2005-09-27 2005-10-18 김용필 휴대전화기를 이용한 주류진품식별 시스템
KR20110009494A (ko) * 2009-07-22 2011-01-28 전영준 Rfid 병마개 및 rfid 병마개를 이용한 제품확인 방법
KR20120058637A (ko) * 2010-08-16 2012-06-08 주식회사 어가람닷컴 실시간 경품관리시스템과 연동한 주류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201A (ko) 2019-11-18 2021-05-26 나영혜 블록체인 기반의 진품 여부 확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20050870A (ko) 2019-11-18 2022-04-25 나영혜 블록체인 기반의 진품 여부 확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20230165013A (ko) 2022-05-26 2023-12-05 김봉겸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79469A (zh) 2014-03-26
KR20140040370A (ko)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057B1 (ko)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US10032173B2 (en) Electronic anti-counterfeiting system and electronic anti-counterfeiting method thereof
US10311503B2 (en)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electronic shopping service and methods thereof
KR101680542B1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일회용 상품의 정품확인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323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Authentication
US20140014714A1 (en) Product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JP2012194959A (ja) 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及びショッピング用プログラム
KR101249828B1 (ko) 진품확인 서비스 시스템
US20150032569A1 (en) Service access using identifiers
US10192223B2 (en) Method of identifying authentic versus counterfeit products using warranty tracking
CN104537287B (zh) 一种消费品单品的销售位置验证方法、装置及系统
JP2017174047A (ja) 決済支援システム
CN102054249A (zh) 识别窜货的方法及其装置
US201802475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ociating Identification and/or Security Tags With a User, and Assigning Such Tags to One or More Products
US9946903B2 (en) Authenticity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110038470A (ko) 상품의 유통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품확인방법
JP2011118563A (ja) 位置情報を利用した決済システム
TWI536295B (zh) 行動電子裝置防偽辨真系統及其防偽方法
KR20160009822A (ko) 농·수산물 및 임산물에 대한 정품인증 및 표준생산, 판매자 실명 확인 시스템 및 그 확인방법
KR101285972B1 (ko) 전자태그의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809555B1 (ko) 가맹점의 고유 신호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75125B1 (ko) 원산지 인증 및 구매 방법
CN113095844A (zh) 防伪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US20150095169A1 (en)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retail ordering and fulfillment, employing wireless communications
KR20160150398A (ko) 판매자용 소비자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