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013A -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013A
KR20230165013A KR1020220064870A KR20220064870A KR20230165013A KR 20230165013 A KR20230165013 A KR 20230165013A KR 1020220064870 A KR1020220064870 A KR 1020220064870A KR 20220064870 A KR20220064870 A KR 20220064870A KR 20230165013 A KR20230165013 A KR 20230165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unterfeiting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겸
Original Assignee
김봉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겸 filed Critical 김봉겸
Priority to KR1020220064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013A/ko
Publication of KR20230165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0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스템은, 위변조 방지를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부착하여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신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신고되는 사용 제품에 할당된 토큰을 사용자 단말장치로 이전하며, 제품의 사용에 따른 보상으로 (기)이전한 토큰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위조방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Anti Counterfeit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QR 코드, NFT(Non-fungible token) 및 블록체인 기술, 또는 QR 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제품 등의 위조를 방지하거나 위조제품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시스템에서 제품을 추적하여 공급망 참여자, 슈퍼마켓 직원, 소비자 등에게 보상(reward, incentive)을 지급하는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8년 글로벌 브랜드 위조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총 위조 금액은 2017년 1조 2000억 달러에 이르렀고 2020년에는 1조 8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었다. 여기에는 방위 장비에서 시계 위조에 이르기까지 모든 장비/제품의 위조가 포함된다고 밝힌 바 있다. 2018년 글로벌 브랜드 위조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위조로 인한 손실은 2017년에 3,230억 달러에 달했다. 문제는 주류 산업에서 특히 만연하다. 책임 있는 음주를 위한 국제 연합(International Alliance for Responsible Drinking)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브라질의 전체 주류 중 28%, 멕시코의 34%, 모잠비크의 66%가 위조품이었다.
이와 같이 고급 양주나 골프채, 보석, 가방, 시계 등과 같은 명품 상품 시장에는 가짜 또는 위조 상품이 끊이지 않고 유통되고 있다. 이는 명품 브랜드를 선망하는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를 이용하려는 악덕 상술이 맞물렸기 때문이다. 가짜 또는 위조 상품은 소비자와 생산자(제조자) 양자 모두에게 피해가 가는 만큼, 최근 각급 지자체는 고가의 명품 브랜드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위조 상품의 불법유통을 강력히 단속하고 있으나, 당국의 단속만으로 위조상품의 유통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위조 기술의 발달로 소비자가 육안으로는 가짜 상품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제조업체가 각종 과학적 기술을 접목하여 상품의 진품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위조방지장치 또는 진품식별장치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조방지 시스템이 있더라도 이를 이해하는 소비자, 특히 주점, 또는 주류를 판매하는 음식점에서 주류를 직접 마시는 소비자가 정작 위조된 주류를 판별하는 방법에 대해 쉽게 이해하지 못하거나, 별도의 식별을 위한 별도의 장치나 고가의 시스템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1057호(2014.09.0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85561호(2020.03.0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40312호(2020.07.2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19744호(2021.10.2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40840호(2021.04.09)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QR 코드, NFT 및 블록체인 기술, 또는 QR 코드, NFC 및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제품 등의 위조를 방지하거나 위조제품을 정확하게 탐지하는 시스템에서 또는 공급망 전체에서 제품을 추적하여 공급망 참여자, 슈퍼마켓 직원, 소비자 등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스템은, 위변조 방지를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부착하는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신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신고되는 사용 제품에 할당된 토큰(token)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이전하며, 상기 제품의 사용에 따른 보상으로 상기 이전한 토큰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위조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품에 구비되는 고유식별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로 인식하여 상기 위조방지장치로 신고할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상기 사용 제품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추첨의 추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전한 토큰에 대한 현급을 지급할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블록체인(block chain)상에서 관리되는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제품에 블록체인 토큰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인공지능(AI)의 학습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로서 상기 제품에 표시되는 QR 코드 및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는 NFC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상기 제품의 제조, 유통 및 소매와 관련한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상에서 더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상기 제품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품의 소비, 구매 데이터 및 쿼리 데이터(query data)(LBS)와 관련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처리 위치를 상기 인공지능을 적용해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변조 방지를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부착하는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신고하는 단계, 및 위조방지장치가,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신고되는 사용 제품에 할당된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이전하며, 상기 제품의 사용에 따른 보상으로 상기 이전한 토큰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망 전체에서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에 대한 위변조 감시가 이루어지므로 거래 질서를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변조 방지를 위해 공급망 참여자, 슈퍼마켓 직원, 소비자 등 많은 사용자들이 참여하도록 하고, 또 그에 따른 현금 등의 보상을 지급함으로써 제품의 위변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위조 전자 구성품의 분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위조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위조 검출 및 보고의 전형적인 사용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위조 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NFC를 이용한 QR 코드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위조방지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8은 도 1의 위조방지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위조 전자 구성품의 분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위조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위조 검출 및 보고의 전형적인 사용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위조 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NFC를 이용한 QR 코드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스템(혹은 제품처리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위조방지장치(120) 및 서드파티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서드파티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위조방지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위조방지장치(12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사용자 단말장치(100) 또는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들이 소지하는 스마트폰, 손목 등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한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별도로 제작되는 전용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 또는 앱)을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앱은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공장에서 출고될 때 내부에 탑재되어 제공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위변조의 전자적인 구성요소는 복제(cloned), 과잉생산(overproduced), 재활용(recycled), 정찰고침(remarked), 사양/결함 변경(out of spec/defective), 변조(tampered)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위변조 기술은 Overt technologies, Cover technologies, 그리고 Track and trace technologies들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rack and trace technologies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그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에는 고유한 제품 ID 및 인장이 부여될 수 있다. 각 제품에는 고유한 ID가 부여되며 이는 QR 코드가 될 수도 있다. 해당 QR 코드는 수정 또는 교체가 어려운 방식으로 제품에 내장될 수 있다. 제품의 가치와 중요성에 따라 제품에 부착된 물리적 봉인을 깬 후에만 접근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봉인된 QR 코드를 제품에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류 제품의 경우 병마개의 내부에 QR 코드를 인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시중에는 여러 유형의 봉인(seal)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도매업체에서 소매업체로의 이동에는 공급망의 중요한 지점을 표시하는 봉인이 사용된다. POS 봉인은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할 때 소매점에서 깰 수 있다. 포장 봉인은 포장(package) 내부에 안전하게 숨겨져 있으며 포장(예: 돌이킬 수 없이)을 개봉해야만 접근할 수 있다. 소모용품의 소비 봉인과 관련한 한가지 예는 병마개 아래에 숨겨진 QR 코드이다. 병을 개봉해야만 볼 수 있으며 병을 여는 것은 제품을 되돌릴 수 없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이와 같이 제품에 부여된 QR 코드 등의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위조방지장치(120)로 신고(혹은 보고)하게 되며, 다시 말해 제품이 사용되었음을 단순히 보고하거나 해당 제품이 위조인지 판별을 위해 보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기설치된 앱을 실행하여 제품의 사용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한 후 가령 코드 정보를 위조방지장치(12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예를 들어 QR 코드와 NFC 방식을 통해 해당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앱을 실행시켜 QR 코드를 근접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면 해당 QR 코드가 자동 스캔되어 QR 코드의 코드 정보가 위조방지장치(120)로 자동 전송되는 것이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초점을 자동 조절하여 정상 범위에 있을 때 해당 QR 코드를 자동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제품의 사용 또는 고유식별정보의 보고에 따라 보상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위조방지장치(120)는 제품이 생산되고 유통되며 소비되는 공급망 전체에서 제품을 추적하여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제품마다 할당된 토큰(token)을 제공받아 이를 통해 현금화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품의 소비에 따라 해당 제품에 할당된 토큰을 위조방지장치(120)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위조방지시스템(90)의 서비스 운영자 등에게 현금으로 교환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비자들의 사용 제품에 대하여 제품 제조사나 서비스 운영자측에서 주기적으로 추첨을 통해 당첨된 소비자의 토큰은 현금으로 지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블록체인(block chain)을 구성하기 위해 동작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위조방지시스템(9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한 데이터의 수정과 관련한 트랜잭션이 있을 때 다른 장치 즉 노드(node)들(예: 위조방지장치 및 서드파티장치 등)과 합의 결과에 따라 기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과 관련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위조방지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위조방지장치(120)는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들에 대하여 가령 토큰을 할당하고, 위변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제품들의 소비가 있을 때 그에 할당되는 토큰을 해당 소비자, 더 정확하게는 소비자(혹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토큰이 이전되었음을 알린다. 여기서 토큰은 온라인상에서의 포인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소비되는 제품과 관련한 상세 데이터는 블록체인 형태로 분산 저장하고, 즉 그대로 두고 토큰을 유통시킴으로써 거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장치(120)는 각 제품에 대해 NFT를 블록체인상에 발행한다. 토큰의 이전은 예를 들어 제조업체에서 지역 도매업체로, 지역 도매업체에서 지역 유통업체로, 지역 유통업체에서 소매업체로, 마지막으로 소매업체에서 소비자로의 제품 소유권 변경을 반영한다. 이러한 모든 전송은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익명화된 형태로 블록체인에서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이전은 제조업체가 정의한 정확한 사업(business)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최종(소비자)가 QR 코드를 스캔하면 NFT가 자동으로 소비자에게 전송된다. 전송 외에도 위치 확인 결과도 블록체인에 추가된다. 이것은 제품이 특정 위치에서 주어진 시간에 본 것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QR 코드의 스캔시에 현재 제품이 사용되는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취득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GPS 모듈 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위해 측위정보 즉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도 4는 탐지 및 보고의 전형적인 사용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외에도 위조방지장치(120)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위조방지장치(120)는 공급망 전체에서 제품을 추적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공급망 참여자에 대한 인센티브, 제품을 무작위로 스캔하여 검증 절차에 참여할 수 있는 슈퍼마켓 직원과 같은 관련 없는 제3자에 대한 인센티브, 일부 혜택을 제공하고 정기 복권에 참여할 토큰을 받을 소비자를 위한 인센티브, 제조업체에서 모든 물류 단계에 이르기까지 각 거래에 대해 세관 및/또는 세무당국과 같은 정부기관의 필수 QR 코드 '스캔 및 보고'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업체는 NFT 전송에 대한 사업 규칙을 설정할 책임을 진다. 제조업체는 NFT 토큰 거래도 추적할 수 있다. 그들은 주어진 NFT가 제조업체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나타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U 시장을 겨냥한 제품이 일본에 있는 경우이다. 제조업체는 특정 제품이 도난당했다고 선언할 수 있다. 도 5는 위조제품이 발견될 때 제조업체로 특정 제품이 도난당했음을 선언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제품의 이미지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제품의 이미지를 딥러닝을 적용한 객체검출기를 활용하여 위조 여부를 정확히 검출해 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조방지장치(120)는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 등에서 운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별도의 서비스 업체에서 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장치(120)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 대부분의 스마트폰에 내장된 기능인 QR 코드 및/또는 근거리 무선통신(NFC)을 활용하여 휴대폰으로 위조 제품을 감지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위조방지장치(120)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적용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간편하고 안전한 위조상품 탐지 솔루션 즉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주로 위조가 고급 양주(97)와 같은 주류 산업에서 많이 발생하는 만큼 그 양주(97)의 병마개 내부에 QR 코드(99)를 인쇄하여 봉인이 해제될 때 또는 제품이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될 때 QR 코드(99)가 인식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위조방지장치(120)는 제품마다 고유식별정보(ID)를 부여한다. 고유식별정보가 부여된 제품은 유통되어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위조방지장치(120)는 블록체인 토큰을 발행(또는 생성)하여 블록체인 토큰을 제품에 할당한다. 이는 다시 말해, 제품에 할당된 토큰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조방지장치(120)는 인공지능 기반의 QR/NFC 검증 동작을 수행한다. 제품의 생산, 유통(shipping), 소비(retail) 정보(또는 데이터)도 블록체인으로 관리한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기존과 같이 위조방지장치(120)에서 중앙 집중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분산 장치 즉 노드로 해당 데이터를 분산하여 공동 관리하고 트랜잭션을 통해 거래장부 즉 DB(120a)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장치(120)는 제품의 소비, 구매 데이터뿐 아니라 쿼리 데이터(query data(LBS))에 대한 데이터나 위치를 점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쿼리 데이터는 사용자들이 제품과 관련해 문의(또는 질의)하는 것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위조방지장치(120)는 추첨과 같은 경쟁을 위한 소비, 구매 데이터의 입력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예: 토큰 등).
종래에는 위조방지와 관련하여 소비세 물품의 밀수 또는 불법 수입, 소비세의 불법 제조, 소비세를 지불하지 않고 상품을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환(diversion)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간, LBS를 확인하고, 법적인 분배 채널(distribution channel)을 확인하며, 추첨 보상으로 소비자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장치(120)는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제품에 할당된 토큰을 불록체인을 적용하여 저장 및 관리하고, 또 제품의 사용 시간이나 쿼리 데이터 등을 확인하여 위변조 등을 확인할 때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추첨 등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보상을 하는 경우 관련 데이터를 근거로 제품의 위변조를 판단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공지능의 딥러닝 프로그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세금 및 관세를 담당하는 관세청이나 국세청은 블록체인 기반의 QR 코드 및/또는 NFC 태그에 라벨을 부착하고 유통 경로에서 확인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품 개봉시 QR 코드/NFC 확인을 하도록 유도하는 추첨 이벤트를 통해 특허료 라인센싱이나 가짜 상품 탐지를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서버 즉 위조방지장치(120)를 운영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서드파티장치(130)는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 관세청이나 국세청 등의 관공서에서 운영하는 서버, 관리자의 컴퓨터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드파티장치(130)는 위조방지장치(120)에서 유통 제품에 대한 위조가 감지될 때 이를 제조업체나 관세청의 서드파티장치(130)로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외에도 서드파티장치(130)는 위조방지장치(120)에서 운영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사의 서버나 컴퓨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위조방지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00), 제어부(710), 위조방지부(720) 및 저장부(7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7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위조방지장치(120)가 구성되거나, 위조방지부(7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7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과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스케일링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를 위한 앱을 실행할 때 이의 채널을 통해 제품의 위변조와 관련한 식별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71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가령 주류 제품의 병마개의 안쪽에 있는 QR 코드를 인식한 경우 이에 대한 코드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제품이 정상적으로 유통된 유통 공간에서 개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는 다양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품의 사용에 대한 인센티브 또는 보상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제품 사용에 따른 토큰을 할당받는 경우 해당 토큰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 가령 추첨을 통해 기제공된 토큰에 대한 현금 전환이 가능한 경우에는 현금 지급이 이루어지거나 현금 지급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통지할 수 있다.
제어부(710)는 도 7의 통신 인터페이스부(700), 위조방지부(720) 및 저장부(730)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710)는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마다 토큰을 할당하고, 또 할당된 토큰을 블록체인으로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제어부(710)는 위조방지부(720)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710)는 위조방지부(720)의 요청에 따라 제품을 사용한 소비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품에 할당되는 토큰을 이전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7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 추첨을 통해 당첨이 있는 경우에는 이전한 토큰을 현금으로 지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토큰의 이전은 유통되는 제품의 소유권자의 변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조방지부(720)는 블록체인에서 시장에 유통되는 각 제품, 또는 위변조가 요구되는 각 제품에 NFT를 발생하고 이를 공급망 전체에서 추적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에서 위조방지부(720)는 제품에 부여된 가령 QR 코드가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인식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해당 제품에 할당된 토큰을 이전한다. NFT가 제품 소비자에게 자동으로 전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NFT의 전송 이외에도 위치 확인 결과도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관리한다. 이는 제품이 특정 위치에서 주어진 시간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위조방지부(720)는 주어진 NFT가 제조업체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나타나는지 확인하여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위치로 확인되면 특정 제품에 대한 도난신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조방지부(720)는 블록체인 기술 이외에도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상품 즉 시장에 유통되는 제품의 개봉시 QR 코드, NFC 확인을 하도록 유도하는 추첨 이벤트를 통해 특허료 라이센싱, 가짜 상품 탐지를 위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품이 개봉된 시간, 위치, 또 LBS 확인, 법적 유통경로 확인 등을 위해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정확히 탐지해 낼 수 있다.
저장부(730)는 제어부(7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위조방지부(720)로 제공할 수 있다. 저장부(730)는 시장에 유통되는 특히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양주나 명품 등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가 스캔될 때 해당 코드의 코드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분석을 위해 위조방지부(7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7의 통신 인터페이스부(700), 제어부(710), 위조방지부(720) 및 저장부(7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통신 인터페이스부(700), 제어부(710), 위조방지부(720) 및 저장부(7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7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7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위조방지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위조방지부(7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조방지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위변조 방지를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부착하는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신고한다(S800). 물론 제품은 시중에 유통되는 모든 상품을 의미한다. 가령 고급 양주나 명품 등이 대표적이라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가령 앱을 실행한 후 NFC 방식으로 제품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가령 QR 코드 등의 고유식별정보는 제품의 봉인을 해제한 경우에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이를 통해 제품의 사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위조방지장치(120)는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신고되는 사용 제품에 할당되는 토큰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이전하며, 제품의 사용에 따른 보상으로 이전한 토큰을 현금으로 지급한다(S810). 여기서 현금지급은 사용 제품에 대한 추첨을 통해 추첨 결과를 근거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여기서 현금은 금(gold) 등으로 지급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며, 이의 과정에서 위조방지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관련 내용을 통지할 수도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위조방지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위조방지장치 130: 서드파티장치
700: 통신 인터페이스부 710: 제어부
720: 위조방지부 730: 저장부

Claims (8)

  1. 위변조 방지를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부착하는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신고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신고되는 사용 제품에 할당된 토큰(token)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이전하며, 상기 제품의 사용에 따른 보상으로 상기 이전한 토큰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위조방지장치;를
    포함하는 위조방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는, 상기 제품에 구비되는 고유식별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로 인식하여 상기 위조방지장치로 신고하는 위조방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상기 사용 제품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추첨의 추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이전한 토큰에 대한 현급을 지급하는 위조방지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블록체인(block chain)상에서 관리되는 토큰을 발행하여 상기 제품에 블록체인 토큰을 할당하는 위조방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인공지능(AI)의 학습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고유식별정보로서 상기 제품에 표시되는 QR 코드 및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는 NFC 검증을 수행하는 위조방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상기 제품의 제조, 유통 및 소매와 관련한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상에서 더 관리하는 위조방지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조방지장치는, 상기 제품의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품의 소비, 구매 데이터 및 쿼리 데이터(query data)(LBS)와 관련한 데이터 및 상기 데이터의 처리 위치를 상기 인공지능을 적용해 검증하는 위조방지시스템.
  8. 사용자 단말장치가, 위변조 방지를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부착하는 제품의 사용 여부를 신고하는 단계; 및
    위조방지장치가, 상기 고유식별정보의 사용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신고되는 사용 제품에 할당된 토큰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이전하며, 상기 제품의 사용에 따른 보상으로 상기 이전한 토큰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조방지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220064870A 2022-05-26 2022-05-26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230165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70A KR20230165013A (ko) 2022-05-26 2022-05-26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70A KR20230165013A (ko) 2022-05-26 2022-05-26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013A true KR20230165013A (ko) 2023-12-05

Family

ID=8915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870A KR20230165013A (ko) 2022-05-26 2022-05-26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01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57B1 (ko) 2012-09-26 2014-09-17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KR102085561B1 (ko) 2018-12-14 2020-03-06 (주)에이텍티앤 Qr코드 위변조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140312B1 (ko) 2018-12-19 2020-07-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변조 방지를 위한 nfc qr 코드 라벨 및 nfc qr 코드 라벨의 제조 방법
KR102240840B1 (ko) 2020-03-18 2021-04-16 주식회사 광인사 위조방지용지 또는 보안 인쇄 구조를 이용한 진위 여부 확인 시스템
KR102319744B1 (ko) 2018-12-06 2021-11-01 애니팬 주식회사 Qr 코드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조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57B1 (ko) 2012-09-26 2014-09-17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KR102319744B1 (ko) 2018-12-06 2021-11-01 애니팬 주식회사 Qr 코드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조방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85561B1 (ko) 2018-12-14 2020-03-06 (주)에이텍티앤 Qr코드 위변조 방지장치 및 방법
KR102140312B1 (ko) 2018-12-19 2020-07-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위변조 방지를 위한 nfc qr 코드 라벨 및 nfc qr 코드 라벨의 제조 방법
KR102240840B1 (ko) 2020-03-18 2021-04-16 주식회사 광인사 위조방지용지 또는 보안 인쇄 구조를 이용한 진위 여부 확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81875B2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0288354A (zh) 一种基于区块链和rfid的商品防伪防窜亿追溯实现方法及系统服务器、程序存储设备
US10152720B2 (en) Authentication tags and systems for golf clubs
Hancke et al. Security challenges for user-oriented RFID applications within the" Internet of things"
US20140014714A1 (en) Product authentication and registration
US20170046722A1 (en) Authenticity control system
CN107133532A (zh) 一种基于nfc的区块链物流溯源跟踪防伪方法
CN105378774A (zh) 安全交易系统和方法
KR101441057B1 (ko) 주류 위조방지 서비스 시스템
CN101583968A (zh) 非常规支付的系统和方法
US20150262194A1 (en) Mobile field articl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14119039A (zh) 带有双层防伪码的产品及产品溯源防伪验证方法及装置
KR20220050870A (ko) 블록체인 기반의 진품 여부 확인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501082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
CN106549964A (zh) 用户权限的设置方法及装置
CN106897891A (zh) 一种查验商品真伪的方法和系统
US12026694B1 (en) RFID-enabled payment authentication
CN106339883A (zh) 基于nfc芯片防伪认证的商品追溯方法
KR20140079555A (ko) 위조품 방지를 위한 신제품의 정품확인시스템 및 정품확인방법
US20120179615A1 (en) Recycling of product authentication devices
CN102737325A (zh) 一种基于电子标签的条烟防伪系统
KR20230165013A (ko) 위조방지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방법
US9940925B2 (en) Sight-to-speech product authentication
CN104798093A (zh) 原产地鉴定
WO2019072082A1 (zh) 一种防伪标签及其检测鉴定注册商标的商品真品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