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583B1 -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 Google Patents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583B1
KR101440583B1 KR1020130058828A KR20130058828A KR101440583B1 KR 101440583 B1 KR101440583 B1 KR 101440583B1 KR 1020130058828 A KR1020130058828 A KR 1020130058828A KR 20130058828 A KR20130058828 A KR 20130058828A KR 101440583 B1 KR101440583 B1 KR 10144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rotrusion
leaf spring
handl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8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외진
권오심
최동용
Original Assignee
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5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5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ssist handle including a leaf spring and a vehicle coat hanger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assist handle and the vehicle coat hanger use the leaf spring coupled to the handle body to reduce noise while the handle body maintains a return speed. Accordingly, the vehicle assist handle includes a handle base which is rigidly fixed on a vehicle panel and includes movable external protrusions; the leaf spring with a protruding unit; and the handle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base to rotate around a rotating shaft.

Description

판스프링이 포함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및 차량용 코트 행거{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0001] DESCRIPTION [0002]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0003]

본 발명은 판 스프링이 포함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및 차량용 코트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본체에 결합된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핸들본체의 복귀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음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및 차량용 코트 행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ssist handle and a vehicle coat hanger including a leaf spring.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ssist handle And a vehicle coat hanger.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이드 도어와 인접된 헤드 라이닝 상에 조수석이나 뒷좌석의 승객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어시스트 핸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한 어시스트 핸들로 승객의 안정을 도모한다.Generally, in a car, an assist handle is provided on a head lining adjacent to a side door so that a passenger in a passenger seat or a rear seat can hold it by hand, and the passenger is stabilized by the assist handle.

이와 같은 어시스트 핸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고정나사(11)로 자동차의 천정 바디패널에 고정되도록 된 연결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양단에서 탄성스프링(21)에 의해 접철되어 루프트림(60)에 밀착된 상태가 되게 힌지 결합되며, 오일댐퍼(100)가 축상에 결합되어 연결부재(10)와의 회전시 점성물질(고점도 오일)에 의해 그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하여 접철되도록 된 손잡이(20)로 이루어진다.1, the assist handle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10 to be fixed to the ceiling body panel of the vehicle with a fixing screw 11 on both sides thereof, and an elastic spring (not shown)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10 The oil damper 100 is coupled to the shaft 10 and is rotated by the viscous material (high viscous oil) when rotating with the connecting member 10, And a handle 20 to be folded so as to decelerate.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9-0001724호(자동차용 어시스트핸들의 댐퍼구조)는 양측면에 고정나사(11)로 자동차의 천정 바디패널에 고정되도록 된 연결부재(10)와, 상기 연결부재(10)의 양단에서 탄성스프링(21)에 의해 접철되어 루프트림(60)에 밀착된 상태가 되게 힌지 결합되며, 댐퍼(200)가 축부재(110)에 결합되어 연결부재(10)와의 회전시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하여 부드럽게 접철되도록 된 손잡이(20)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에 있어서, 상기 댐퍼(200)는 중앙에 축부재(110)가 삽입되는 관통홀(221)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축부재(110)가 상단돌기(222)와 맞물려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며, 하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걸림턱(223)이 형성되며, 상단 외주면으로는 단차돌기(224)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돌기(224)의 내측으로는 상측으로 형성된 내측홈(225)이 형성된 인너 회전부재(220)와; 상기 인너 회전부재(220)의 외측에 조립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내주벽(231)과 외주벽(232)으로 감싸여진 수용공간(233)이 형성되며, 상기 내주벽(231)의 외주면 수용공간(233) 측으로 띠형돌기(234)가 형성되며, 상기 띠형돌기(234)의 하면에 링 형상의 링스프링(240)이 밀착되게 상기 링스프링(240)의 하단을 압박하도록 내주벽(231)에 슬릿홀(2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233)의 하단측에 경사면(235a)을 갖는 리브(235)가 형성되어 링스프링(240)의 유동을 방지하며, 상기 외주벽(232)의 상단 내주면으로는 상기 인너 회전부재(220)의 단차돌기(224) 상면에 걸려 조립되도록 걸림턱(236)이 형성된 아우터 회전부재(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의 댐퍼구조를 제안하고 있다.A Korean Utility Model Patent Application No. 2009-0001724 (a damper structure of an assist handle for an automobile) has a connecting member 10 to be fixed to both sides of a ceiling body panel of an automobile with a fixing screw 11, And the damper 200 is coupled to the shaft member 110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amper 200 when it rotates with the connecting member 10 is decelerated Wherein the damper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haft member is inserted at the center of the damper, The shaft member 110 is engaged with the upper protrusion 222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which a locking protrusion 223 is formed outwardly and a step protrusion 224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24 are formed at the upper side Home inner rotating member 220, 225 is formed, and; A receiving space 233 which is assembl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otating member 220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upper portion opened and enclosed by an inner peripheral wall 231 and an outer peripheral wall 232 is formed, Like protrusion 23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ing spring 240 and the ring spring 240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band-shaped protrusion 234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ing spring 240 is pressed A slit hole 231a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wall 231 and a rib 235 having an inclined surface 235a is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233 to prevent the ring spring 240 from flowing, And an outer rotation member (230) having an engaging step (236) for engaging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step protrusion (224) of the inner rotation member (220) A damper structure of an assist handle is proposed.

하지만, 회전축과 고정축 사이에 링스프링을 체결해 마찰을 발생시켜 댐핑 역할을 수행하는 상술한 기술은 기존 오일댐퍼에 비해 원가 경쟁력이 저하되며, 마찰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of performing damping by engaging a ring spring between a rotary shaft and a fixed shaft to perform friction serves to lower the cost competitiveness and reduce durability due to friction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il damper.

한국공개특허 제2000-0043127호(발명의 명칭: 어시스트 핸들)는 핸들 몸체가 차체 측에 고정된 리턴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정확한 복귀동작이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어시스트 핸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핸들 몸체의 양단부에 스프링가이드축이 형성된 가이드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상기 스프링가이드축을 수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에 리턴스프링을 설치하고 이 리턴스프링의 일단부를 상기 스프링가이드축에 탄성적으로 걸림되게 하여 상기 핸들 몸체의 위치가변에 따라 리턴스프링이 스프링가이드축에서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핸들 몸체의 복귀동작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0043127 (the name of the invention: assist handle) is to provide a 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the return body of the handle body to be accurately returned by the return force of the return spring fixed to the vehicle body side, Wherein a guide piece having a spring guide shaft formed at both ends of a handle body is integrally formed and a guide groove for vertically guiding the spring guide shaft is formed in a bracket fixed to the vehicle body,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in the bracket and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is elastically hooked on the spring guide shaft. The return spring elastically acts on the spring guide shaf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handle body, So that it can be accurately performed.

하지만, 판스프링을 이용해 복원 종료 시 핸들 본체를 지지하며, 댐핑 역할을 수행하는 상술한 기술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이 어려우며, 기존 오일 댐퍼 대비 소음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of supporting the handle body at the end of the restoration by using the leaf spring and performing the damping function has the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assemble, and the nois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il damper.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핸들 본체가 핸들 베이스 상에서 리턴 스프링에 의해 복귀할 경우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제안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otive assist handle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when a handle body is returned by a return spring on a handle bas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핸들 본체가 핸들 베이스 상에서 리턴 스프링에 의해 복귀할 경우 복귀 시간의 감소 없이 소음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assist handle which reduces noise without reducing the return time when the handle body is returned by the return spring on the handle bas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제작 단가를 감소시키며, 제작이 간단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제안함에 있다.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vehicle assist handle which reduces manufacturing cost and is simple to manufacture.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상술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차량용 코트 행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applying the above-described vehicle assist handle to a vehicle coat hanger.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은 차량의 패널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돌기가 형성된 핸들 베이스, 상기 외부 돌기가 이동하며, 돌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 본체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vehicle assist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panel of a vehicle, and includes a handle base on which an outer projection is formed, a leaf spring on which the outer projection is moved and a projection is formed, And a handle body coupled to the hand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은 핸들 본체에 돌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을 형성하며, 핸들 베이스에 외부 돌기를 형성하여 핸들 본체가 리턴 스프링에 의해 복귀하는 복귀속도를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은 기존 어시스트 핸들에 비해 제작 단가가 감소하는 동시에 상대적이 제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에 적용된 판스프링을 차량용 코트 행거에도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상술한 효과를 누릴 수 있다.
The vehicle assist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leaf spring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 handle body and an outer protrusion is formed on the handle base so that noise can be reduced without reducing the return speed at which the handle body returns by the return spring . In addition, the vehicle assist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latively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ssist handle, and the manufacture is relatively simple.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ffec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leaf spring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vehicle assist handle to the above-described vehicle coat hanger in the same manner.

도 1은 종래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 본체에 형성되는 판스프링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외부 돌기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 돌기가 형성된 핸들 베이스 상에서 판스프링이 형성된 핸들 본체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1 shows a conventional automotive assist handle.
2 shows a structure of a vehicle assist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leaf spring formed on a hand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the shape of an outer protrusion formed on a handl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handle body having a leaf spring is moved on a handle base having an out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2 shows a structure of a vehicle assist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automotive assist han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의하면, 어시스트 핸들은 핸들 베이스, 핸들 본체, 회전축,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어시스트 핸들에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Fig. 2, the assist handle includes a handle base, a handle body, a rotary shaft, and a leaf spring. Of course, other configurations than those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the assist handl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 베이스(200)는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차량의 조수석 또는 운전석 및 리어 시트의 측면 상부 천장에 설치된다. 핸들 본체(210)는 회전축(220)을 매개로 핸들 베이스(2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base 200 is installed on the side upper ceiling of the driver's seat or the driver's seat and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using a connecting member. The handle body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andle base 200 through a rotation shaft 220.

회전축(220)은 핸들 본체의 양단에 각각 1개씩 구비된다. 핸들 본체(210)가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핸들 베이스(200)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에 핸들 본체(210)는 핸들 베이스(20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핸들 본체(210)의 양단에는 원호 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된다.One rotation shaft 220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handle body. The handle body 210 must not interfere with the handle base 200 when the handle body 2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base 200 about the rotation axis 220. Therefore, A concave portion having an arc shape is formed.

회전축(220)에는 핸들 본체(210)가 복귀 회전 가능하도록 탄성력이 부여된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며, 리턴 스프링은 회전축에 감겨진 상태에서 일단은 핸들 베이스(200)에 고정되고, 타단은 핸들 본체(210)에 고정되어서 핸들 본체(210)가 원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The rotation shaft 220 is provided with a return spring hav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handle body 210 can be returned and rotated. The return spring is fixed to the handle base 200 at one end in a state of being wound around the rotation shaft, 210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handle body 210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본 발명과 관련하여 어시스트 핸들은 핸들 본체(210)에 판스프링(210-1)을 형성하며, 핸들 베이스(200)에는 판스프링(210-1)을 따라서 이동하는 외부 돌기(200-1)를 형성한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 본체에 형성된 판스프링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The assist handle is formed with a leaf spring 210-1 on the handle body 210 and an outer projection 200-1 moving along the leaf spring 210-1 is provided on the handle base 200 .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leaf spring formed on the handle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의하면, 판스프링(210-1)은 돌출부를 형성한다. 판스프링(210-1)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핸들 본체가 원 위치로 복귀 시 복귀 속도를 일부 감소시켜 발생하는 소음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즉, 판스프링(210-1)에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 핸들 본체는 리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복귀 시 리턴 스프링에 의해 핸들 본체의 복귀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복귀 시 발생하는 복귀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판스프링(210-1)에 돌출부를 형성한다. 또한 핸들 본체(210)는 판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형성하며, 고정부에 의해 판스프링은 핸들 본체에 고정된다.According to Fig. 3, the leaf spring 210-1 forms a protrusion. By forming protrusions on the leaf spring 210-1, the handle body absorbs noise or shock generated by partially reducing the return speed when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when the leaf spring 210-1 is not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e return speed of the handle body is increased by the return spring when the handle body is retur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do.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otrusion in the leaf spring 210-1 in order to keep the return speed generated at the time of returning to be constant. Further, the handle body 210 form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one end of the leaf spring, and the leaf spring is fixed to the handle body by the fixing portion.

이하 도 3에서 판스프링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판스프링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좌측과 우측의 경사 각도를 상이하도록 형성한다. 즉, 핸들 본체가 고정된 핸들 베이스 상에서 (a1) 지점에서 (b1) 지점으로 복귀하는 경우, 복귀 방향에 따라 경사 각도를 상이하도록 한다. 즉, 중앙을 기준으로 (a1) 지점의 경사 각도가 (b1) 지점의 경사 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핸들 본체는 상대적으로 급격한 경사를 이루는 (a1) 지점에서 복귀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후 핸들 본체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b1) 지점에서 감속된 속도를 유지하며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중앙을 기준으로 돌출부의 경사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판스프링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경사 각도를 복귀 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한다.Hereinafter, the shape of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eaf spr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 to Fig. 3, the protrusions formed on the leaf spring are formed so as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when the handle body is returned from the point (a1) to the point (b1) on the fixed handle base, the inclination angle is ma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turn direction. That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oint (a1) relative to the center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oint (b1). By doing so, the return speed at the point (a1) where the handle body has a relatively steep slope is drastically reduced. Thereafter, the handle body is returned at a speed that is decelerated at the point (b1) that forms a relatively gentle slop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leaf spring is different from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rojections formed on the center of the plate spring.

도 3은 판스프링에 하나의 돌출부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판스프링에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판스프링에 두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G. 3 shows a case where on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leaf spr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t least two protrusions can be formed on the leaf spring. Hereinafter, a case where two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leaf spring will be described.

판스프링에 형성되는 두 개의 돌출부는 돌출되는 높이를 상이하도록 한다. 즉, 핸들 본체가 고정된 핸들 베이스 상에서 (a1) 지점에서 (b1) 지점으로 복귀하는 경우, 복귀 방향에 따라 돌출부의 돌출 높이를 상이하도록 한다. 돌출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돌출 높이를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돌출 높이보다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핸들 본체는 상대적으로 돌출 높이가 큰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에 의해 복귀 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게 된다. 이후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에 의해 감소된 복귀 속도를 유지하면서 복귀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 역시 동일한 돌출 높이를 갖는다면 핸들 본체는 복귀하지 못하거나, 복귀하더라도 복귀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돌출 높이를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돌출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함으로써 감속된 복귀 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귀하도록 한다.The two protrusions formed on the leaf spring have different protruding heights. That is, when the handle body is returned from the point (a1) to the point (b1) on the fixed handle bas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mad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turn directio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end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direction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By doing so, the handle body is abruptly reduced in its return speed by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end having a relatively large protruding height. Thereafter, the return is made while maintaining the reduced return speed by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That is, if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also has the same protruding height, the handle body may not return, or the return time may be increased even if the protruding portion is return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is relatively lower than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end, so that the return is made while maintaining the reduced return speed.

또한, 판스프링 상에서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경사와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경사는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경사를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의 경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다.The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located at the front end on the leaf spring and the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located at the rear end are formed to be the same or the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located at the rear end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of the protrusion located at the front end.

부가하여 판스프링에 두 개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경우, 후단에 위치하는 돌출부는 일측만 형성할 수 있으며, 핸들 베이스에 형성된 외부 돌기는 일측만 형성된 돌출부에서 복귀를 종료되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wo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leaf spring, the projections positioned at the rear end can be formed only on one side, and the outer projections formed on the handle base end the return from the projections formed only on one sid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 베이스에 형성되는 외부 돌기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핸들 베이스 상에 형성되는 외부 돌기의 형상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핸들 베이스는 하나의 외부 돌기(200-1)를 형성하고 있다.4 illustrates a shape of an outer protrusion formed on a handl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hape of the outer protrusion formed on the handle b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 to Fig. 4, the handle base forms one outer projection 200-1.

하지만, 핸들 베이스는 상이한 높이를 갖는 두 개의 외부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외부 돌기의 높이는 고정된 핸들 베이스 상에서 핸들 본체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즉, 고정된 핸들 베이스 상에서 핸들 본체가 복귀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외부 돌기의 높이를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외부 돌기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외부 돌기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함으로써 핸들 본체가 복귀할 때 발생하는 복귀 속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handle base can form two outer protrusions having different heights. The height of the outer projection depends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body rotates on the fixed handle base. That is, the height of the outer protrusion located at the front end relativ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body returns from the fixed handle base is form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protrusion positioned at the rear end. By forming the outer protrusion located at the front end relatively high in this manner, the return speed generated when the handle body returns can be reduced.

핸들 베이스는 하나의 외부 돌기만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핸들 베이스 상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복귀 시 충격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handle base may form only one outer protrusion, in which case at least two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handle base to reduce impact or noise upon return.

본 발명과 관련하여 판스프링은 핸들 본체에 인서트 사출로 핸들 본체에 일체로 결합된다. 즉, 판스프링을 제작한 후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하는 방식으로 핸들 본체에 판스프링을 결합하거나, 핸들 본체와 판스프링을 제작한 후 초음파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f spring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handle body by insert injection into the handle body. That is, the leaf spring is manufactured, and then the leaf spring is inserted into the mold and the insert is injected, or the handle body and the leaf spring are manufactured and then assembled using ultrasonic waves.

따라서 본 발명은 핸들 본체와 판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중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별도의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핸들 본체와 판스프링을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separate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handle body and the leaf spring,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weight. Of course, the handle body and the leaf spring can be coupled using a separate coupling member.

부가하여 본 발명의 외부 돌기의 표면은 엠보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outer proj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embossing treatm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 돌기가 형성된 핸들 베이스 상에서 판스프링이 형성된 핸들 본체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handle body having a leaf spring is moved on a handle base having an outer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핸들 본체가 핸들 베이스 상에서 이동하면서 복귀하는 초기 시점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5(b)는 핸들 본체가 핸들 베이스 상에서 이동하면서 복귀하는 종료 시점을 도시하고 있다.Fig. 5 (a) shows an initial time point at which the handle body moves back and forth on the handle base, and Fig. 5 (b) shows the end point when the handle body moves back on the handle base.

도 5(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 본체가 핸들 베이스 상에서 이동하면서 복귀하는 초기 시점에서는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핸들 본체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에 의해 복귀 속도가 감소된다.As shown in Fig. 5 (a), at the initial point of time when the handle body moves on the handle base and returns, the return speed is reduced by the protrusion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ody located at the front end.

이후 도 5(b)를 살펴보면, 복귀 속도가 감소된 핸들 본체는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돌출부에 의해 감소된 복귀 속도가 새로 증가하지 않고 유지된 상태로 원 위치로 복귀한다.Referring to FIG. 5 (b), the handle body having the reduced return speed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 the return speed reduced by the protruding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maintained without newly increasing.

부가하여 본 발명은 판스프링이 두 개의 돌출부로 구성된 경우, 돌출부의 양단 사이에서는 핸들 베이스 상에 형성된 외부 돌기가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함으로써 핸들 본체의 복귀 속도를 향상시키면서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af spring is composed of two protrusion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while improving the return speed of the handle body by designing that the outer protrusions formed on the handle base do not touch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protrusions.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내부에 형성되는 차량용 코트 행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패널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돌기가 형성된 코트 행거 베이스와 외부 돌기가 이동하며, 돌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코트 행거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코트 행거 본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코트 행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assist handles,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vehicle coat hanger formed inside a vehicle. That is, a coat hanger base fixedly installed on a panel of a vehicle and having a coat hanger base on which an outer projection is formed and a plate spring on which the outer projection is moved and formed with protrusion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at hanger base about a rotation axis, The present invention is equally applicable to a vehicle coat hanger including a vehicle hang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200: 핸들 베이스 210: 핸들 본체
220: 회전축 210-1: 판스프링
200-1: 외부 돌기
200: handle base 210: handle body
220: rotating shaft 210-1: leaf spring
200-1: outer projection

Claims (6)

차량의 패널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돌기가 형성된 핸들 베이스; 및
상기 외부 돌기가 이동하는 경로에 돌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핸들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들 본체의 복귀 시에, 상기 핸들 베이스에 형성된 외부 돌기가 상기 판스프링에 형성된 돌출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핸들 본체의 복귀 속도를 줄여 소음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A handle base fixed to the panel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outer projection; And
And a handle body including a leaf spring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outer protrusion moves, the handle body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handle base around a rotation axis,
Wherein an outer protrusion formed on the handle bas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rotrusion formed on the leaf spring when the handle body is returned, thereby reducing noise by reducing the return speed of the handle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중앙을 기준으로 경사 각도가 상이한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 본체가 복귀하기 위해 회전시 복귀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한 부분의 경사각도가 후단에 위치한 부분의 경사각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ed angle of the portion located at the front end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ortion located at the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body returns when the handle body is rotated to return, Wherein the handle is formed of a met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돌출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핸들 본체가 복귀하기 위해 회전시 복귀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한 돌출부의 돌출 높이가 후단에 위치한 돌출부의 돌출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located at the front end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protrusion positioned at the rear end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 is returned when the handle body is rotated to return the protrusion, Wherein the handle is an automotive steering whee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돌기는 두 개의 돌출부에서 접촉하며, 두 개의 돌출부 사이에서는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uter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two protrusions and not to contact the leaf spring between the two protrusio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베이스는,
돌출 높이가 상이한 적어도 두 개의 외부 돌기를 가지며, 상기 외부 돌기는 상기 핸들 본체가 복귀하기 위해 복귀 회전시 복귀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위치한 외부 돌기의 돌출 높이가 후단에 위치한 외부 돌기의 돌출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The handle bas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protrusion has a protruding height of the outer protrusion located at the front end relative to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outer protrusion positioned at the rear end based on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body is returned in the return rotation for returning,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are form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projections.
차량의 패널에 고정 설치되며, 외부 돌기가 형성된 코트 행거 베이스; 및
상기 외부 돌기가 이동하는 경로에 돌출부가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코트 행거 베이스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코트 행거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트 행거 본체의 복귀 시에, 상기 코트 행거 베이스에 형성된 외부 돌기가 상기 판스프링에 형성된 돌출부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코트 행거 본체의 복귀 속도를 줄여 소음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트 행거.
A coat hanger base fixed to a panel of the vehicle and having an outer projection; And
And a coat hanger main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coat hanger base about a rotation axis, the coat hanger main body including a leaf spring having a protrusion form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outer protrusion moves,
Wherein when the coat hanger main body is returned, the outer protrusion formed on the coat hanger bas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leaf spring, thereby reducing the return speed of the coat hanger main body to reduce noise.
KR1020130058828A 2013-05-24 2013-05-24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KR1014405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828A KR101440583B1 (en) 2013-05-24 2013-05-24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828A KR101440583B1 (en) 2013-05-24 2013-05-24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583B1 true KR101440583B1 (en) 2014-09-17

Family

ID=51760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828A KR101440583B1 (en) 2013-05-24 2013-05-24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58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73B1 (en) 2008-03-17 2009-03-1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Assist handle for a ca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73B1 (en) 2008-03-17 2009-03-1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Assist handle for a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486B1 (en) Hinge unit of console armrest for vehicle
KR101416421B1 (en) Assist handle for vehicle
US20130152477A1 (en) Invisible sliding door
US8584322B2 (en) Hinge device
WO2012046287A1 (en) Assist grip
US9797172B2 (en) Exterior door handle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 door of a motor vehicle
JP2010159032A (en) Assist grip
US20150041469A1 (en) Storage device
JP6352859B2 (en) Assist grip
US8388040B2 (en) Lock-out device for vehicle compartment with lid
JP2005068812A (en) Opening and closing braking device
US20150020349A1 (en) Door hinge of vehicle
KR101440583B1 (en) Assist handle and court hanger for vehicle included spring
JP5481120B2 (en) Assist grip
JP5204628B2 (en) Assist grip
US9982470B2 (en) Soft close mechanism for a closure
KR101242767B1 (en) Assist handle damper for vehicle
JP4283465B2 (en) Retractable hook device
KR101393977B1 (en) Assist handle for vehicle
KR100748186B1 (en) Assist grip handle for a car
KR101050723B1 (en) Assist handle for vehicle
KR101866305B1 (en) Hinge unit of console armrest for vehicle
KR102271580B1 (en) Inside door handle for vehicle
JP5700399B2 (en) Rotating shaft structure
US20160121811A1 (en) Assist handle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