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920B1 -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920B1
KR101439920B1 KR1020130004410A KR20130004410A KR101439920B1 KR 101439920 B1 KR101439920 B1 KR 101439920B1 KR 1020130004410 A KR1020130004410 A KR 1020130004410A KR 20130004410 A KR20130004410 A KR 20130004410A KR 101439920 B1 KR101439920 B1 KR 10143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gistics
vehicle
expansion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100A (ko
Inventor
이보건
Original Assignee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대한통운 (주) filed Critical 씨제이대한통운 (주)
Priority to KR102013000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92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류 차량내의 물류를 하차하거나 상차하도록 물류차량의 적재함쪽으로 신축되는 신축 장비, 상기 신축장비의 신축 상태에 따라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행률을 가시화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cargo loading and unloading}
본 발명은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류 창고에 구비된 신축장비의 신축 상태에 따라 물류 상·하차 진행률을 가시화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들은 제조된 후 물류 창고에 보관되고, 필요에 따라 출고되는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물류 차량이 물류 창고로 진입한 후, 물류 창고 내에서 지게차와 파렛트를 이용하여 물류 차량으로 적재해 출고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물류 차량이 파렛트 상·하차를 위해 물류 창고내에 진입하면, 물류 차량의 문인 좌측 윙 바디 도어(wing body door)를 열고, 열어진 물류 창고의 문인 쉘터(shelter)를 통해 파렛트에 적재된 물류를 지게차로 물류 차량에 상차하거나 또는 그 역순으로 물류 차량에서 물류 창고로 하차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물류 상·하차시에는 차량 내부에서 작업 상황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후발 물류 차량의 물류 상·하차를 위한 접안 준비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후발 물류 차량 준비시간 및 접안 시간 단축을 위해, 상·하차 배차원의 업무 역할을 통제실에서 CCTV를 통해 모니터링한 후 무전기로 건건이 전달하고 있어, 무전 사용량 증가에 따른 현장 커뮤니케이션 단절 및 배차원의 이중 작업이 비효율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또한, 물류 차량의 물류 창고에 접안시 상·하차대 번호 식별이 어려워 물류 차량의 기사들의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20-0374416호, 발명의 명칭 '이동식 투입적재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 창고내에 구비된 신축장비의 신축상태에 따라 물류 상·하차 진행률을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축장비의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인지하여 남은 시간을 안내해줄 수 있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류 차량내의 물류를 하차하거나 상차하도록 물류차량의 적재함쪽으로 신축되는 신축 장비, 상기 신축장비의 신축 상태에 따라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행률을 가시화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신축 장비로부터 신축 길이 및 신축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신축장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로 상기 신축 길이에 따른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물류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 관리 서버는, 신축장비별로 대응되는 표시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신축 장비로부터 신축 길이 및 신축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신축장비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표시 장치를 확인하는 표시장치 확인부, 상기 신축 길이 정보에 포함된 신축 길이에 해당하는 표시 정보를 표시 장치 확인부에서 확인된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가시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 장비는, 상기 표시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물류 차량 안으로 신장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길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축 길이 정보를 제어부 또는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신축 감지 센서, 상기 신축 길이 정보에 따라 신축 상태를 판단하고, 그 신축 상태에 따라 정해진 표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정보는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행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물류 창고 입구의 일정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요청 신호 또는 차량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 정보를 근거로 신축 장비의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척 속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척 속도를 이용하여 물류 창고별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완료 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산출하여 차량 단말 또는 해당 표시 장치로 해당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물류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고, 사용자로부터 차량 정보가 입력된 경우, 차량 정보 및 물류 창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요청 신호를 상기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물류 관리 서버로부터 물류 창고들의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은 물류 창고에 진입한 물류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거나, 물류 차량에 부착된 태그를 태깅하여 차량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정보를 상기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인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산출된 남은 시간, 상기 남은 시간에 따른 색, 상기 남은 시간에 따른 진행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류 창고내에 구비된 신축장비의 신축상태에 따라 물류 상·하차 진행률을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물류 상·하차 진행 상황을 배차원이 식별 가능하고, 이로 인해 물류 차량 접안시간 단축 및 상·하차 가동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장비의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인지하여 남은 시간을 차량에 안내함으로써, 통제실과 배차원의 이중업무를 배차원 단독 업무로 전환 가능케 하여 중복 업무를 제거하고, 통제실과 배차원의 업무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무전 사용량을 감소시켜 업무 소통의 혼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물류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 장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 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물류 창고(100), 물류 창고(100)로 진입하는 물류 차량(110)의 정지 위치를 정하도록 물류 창고 앞쪽에 각각 설치된 차량 정지 턱(120), 물류 차량(110)의 적재함으로부터 물류를 하차하거나 상차하도록 물류차량(110)의 적재함쪽으로 신축되는 신축 장비(200), 신축장비(200)의 신축 상태에 따라 물류 상하차 진행률을 가시화하는 표시 장치(25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물류 창고(100)만을 도시하였으나, 물류 창고(10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물류 창고(100)는 물류창고1, 물류창고2 등과 같은 형태로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물류 창고(100)의 내부에는 물류 차량(110)의 높이에 맞춰 도크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신축장비(2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정지 턱(120), 신축 장비(200), 표시 장치(250)는 모든 물류 창고에 각각 설치되므로, 차량 정지 턱(120), 신축 장비(200), 표시 장치(250)의 수는 물류 창고의 개수와 같은 개수 일 수 있다.
물류 창고(100)에 진입한 물류 차량(110)이 최소 신축되어 있는 신축 장비(200)에 접안하면, 신축 장비(200)는 신축 상태 값을 초기화하고, 표시 장치(250)를 온(on)시킨다. 이 상태에서 물류 하차가 시작되어, 신축장비(200)의 이동프레임이 물류 차량(110) 안으로 신장되면, 신축 장비(200)는 신축 상태에 따라 정해진 표시 정보(250)가 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신축 장비(2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 신축 장비(200)는 물류 차량(110) 안으로 신장되는 이동 프레임(210), 리미트 스위치(220), 신축 감지 센서(230), 제어부(240), 통신부(245)를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210)은 물류 차량(110)의 적재함으로부터 물류의 상하차를 용이하게 하도록, 물류의 하부에서 물류를 얹어 이송한다. 이동 프레임(210)은 물류의 상하차가 진행되는 만큼 물류 차량(110) 안으로 신장된다.
리미트 스위치(220)는 이동 프레임(210)에 적재될 물류의 양을 감지한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220)는 이동 프레임(210)의 최소 신축 스톱퍼 역할을 하는 제1 리미트 스위치(220a), 이동 프레임(210)의 최대 신장 스톱퍼 역할을 하는 제2 리미트 스위치(220b)를 포함한다. 물류가 제1 리미트 스위치(220a)에 의해 최소 신축된 이동프레임(210)에 접촉되면,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240)는 이동 프레임(210)의 길이 수축을 중지하고, 신축 상태 값을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물류의 하차가 완료되면, 제2 리미트 스위치(220b)에 의해 이동 프레임(210)의 신장이 멈추게 된다. 즉, 물류가 제2 리미트 스위치(220b)에 의해 최대 신장된 이동프레임(210)에 접촉되면, 이 신호를 받은 제어부(240)는 이동 프레임(210)의 길이 신장을 중지한다.
신축 감지 센서(230)는 이동 프레임(210)의 길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축 길이 정보를 제어부(240)로 전송한다. 이때, 신축 감지 센서(230)는 주파수 신호를 발사하고, 발사된 주파수 신호가 수신된 경우, 그 시간에 따른 거리값을 계산하여 물류 차량 안에 남아 있는 물류와의 길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신축 감지 센서(230)로부터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축 길이 정보에 따라 정해진 표시정보를 통신부(245)를 통해 표시 장치(250)로 전송한다. 즉, 제어부(240)는 신축 길이 정보에 따라 신축 장비의 신축 상태를 판단하고, 그 신축 상태에 따라 정해진 표시 정보를 표시장치(250)로 전송한다. 여기서, 표시 정보는 색상, 신축 상태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신축 상태 값이 '0'인 경우, 하차 대기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적색 표시), 신축 상태 값이 1~80%인 경우, 하차 진행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녹색 표시), 신축 상태 값이 80~100%인 경우, 하차 막바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주황색 표시), 신축 상태 값이 다시 '0'으로 되기까지 경우, 하차 완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적색 점멸)와 같이 신축 상태에 따라 표시 정보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신축 상태 값이 '0'인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표시 장치(250)가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적색 표시'를 표시 정보로 표시 장치(250)로 전송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250)는 적색으로 표시된다. 이 표시를 보고 물류 차량 운전자는 물류 상하차 진행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물류 하차 진행 상태를 신축 상태 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하차 대기 상태인 경우 신축 상태 값을 '0'으로 표시장치(250)에 표시하여 하차 대기 상태임을 표시하고, 하차가 진행중인 경우 신축 상태 값을 1~100%으로 표시장치(250)에 표시하여 하차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구비된 액추에이터(미도시)를 동작시켜, 이동 프레임(240)의 길이 신장을 제어한다.
통신부(245)는 신축 장비(200)와 표시 장치(250)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250)는 신축 장비(200)와 유선 통신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되고, 신축 장비의 신축 상태에 따라 정해진 표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25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250)는 녹색 LED와 적색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리미트 스위치(220a)가 close 상태이고, 제2 리미트 스위치(220b)가 open 상태인 경우, 적색 LED가 발광하여 적색이 표시되고, 제1 리미트 스위치(220a)와 제2 리미트 스위치(220b)가 open 상태인 경우, 녹색 LED가 발광하여 녹색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미트 스위치(220a)가 open 상태이고, 제2 리미트 스위치(220b)가 close 상태인 경우, 적색 LED와 녹색 LED가 동시에 발광하여 두 색의 혼합색인 주황색이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250)는 신축 장비(200)와 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각 표시 장치(250)는 대응되는 신축 장비(200)로부터만 신축 길이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표시 장치(250)는 물류 차량(110) 작업자가 어느 자리에 있어도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류 창고 입구의 일정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250)는 물류 창고별로 출입구의 최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이 물류를 하차하는 경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류 하차 시작 전에는 (a)와 같이 이동 프레임(210)이 제1 리미트 스위치(220a)에 의해 최소 신축되고, 표시 장치(250)는 '적색'으로 발광하여 하차 대기 상태임을 표시한다. 이때, 제1 리미트 스위치(220a)는 close 상태이고, 제2 리미트 스위치(220b)는 open 상태가 되어, 적색이 점등될 수 있다.
물류 하차가 진행되면, (b)와 같이 이동 프레임(210)은 신장을 진행하게 되고, 표시 장치(250)는 '녹색'으로 발광하여 하차 진행중임을 표시한다. 이때, 제1 리미트 스위치(220a)와 제2 리미트 스위치(220b)는 open 상태가 되어, 녹색이 점등 될 수 있다.
물류 하차가 100% 진행되면, (c)와 같이 이동 프레임(210)이 제2 리미트 스위치(220b)에 의해 최대 신장되고, 표시장치(250)는 '주황색'으로 발광하여 하차 완료 상태임을 표시한다. 이때, 제1 리미트 스위치(220a)는 open 상태이고, 제2 리미트 스위치(220b)는 close 상태가 되어, 적색과 녹색이 동시에 점등되어 두 색의 혼합색인 주황색이 표시될 수 있다.
물류 하차 완료 후 신축 완료 시까지는 (d)와 같이 이동 프레임(210)이 최소 신축되어야 하므로, 제1 리미트 스위치(220a)와 제2 리미트 스위치(220b)는 open 상태이고, 이로 인해 이동 프레임(210)이 최소 신축된다. 이때, 표시 장치(250)는 '적색 점멸' 표시되어, 하차 완료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물류 창고(미도시), 물류 창고로 진입하는 물류 차량의 정지 위치를 정하도록 물류 창고 앞쪽에 각각 설치된 차량 정지 턱(미도시), 물류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물류를 하차하거나 상차하도록 물류차량의 적재함쪽으로 신축되는 신축 장비(300), 신축 장비(300)로부터 신축 길이 정보를 수신하는 물류 관리 서버(400), 신축장비(300)의 신축 상태에 따라 물류 상하차 진행률을 가시화하는 표시 장치(35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류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류 창고내에 신축 장비(300)가 구비되어 있고, 표시 장치(350)는 물류 창고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류 창고, 물류 차량은 도시하지 않았다.
신축 장비(300)는 이동 프레임의 신축 길이 정보를 물류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신축 장비(300)는 도 2에 도시된 신축 장비의 구성과 동일하나, 제어부와 통신부의 기능이 상이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신축 감지 센서로부터 신축 길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축 길이, 신축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축 길이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물류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통신부는 신축 장비와 물류 관리 서버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류 관리 서버(400)는 신축 장비(300)로부터 신축 길이 및 신축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되면, 신축장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로 상기 신축 길이에 따른 표시 정보(350)를 전송한다.
즉, 신축 장비(300)와 표시 장치(350)는 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물류 관리 서버(400)는 신축 장비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350)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신축장비1와 표시장치1이 쌍을 이루고 있고, 신축장비2와 표시장치2가 쌍을 이루고 있으므로, 물류 관리 서버(400)는 신축장비1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신축장비1과 쌍을 이루고 있는 표시장치1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 후, 물류 관리 서버(400)는 신축 길이에 해당하는 표시 정보를 해당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정보는 색상, 신축 상태 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물류 관리 서버(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350)는 물류 관리 서버(400)와 유선 통신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연결되고, 물류 관리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표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35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장치(350)는 물류 상하차 진행률에 대한 표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배차원은 표시 장치(350)를 보고 물류 상하차 진행률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표시 장치(350)는 물류 차량 작업자가 어느 자리에 있어도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물류 창고 입구의 일정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장치(350)는 물류 창고별로 출입구의 최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물류 관리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물류 관리 서버(400)는 통신부(410),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420), 표시 장치 확인부(430), 가시화 처리부(440)를 포함한다.
통신부(410)는 물류 관리 서버(400)와 신축 장비 또는 표시 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신축 장비 식별정보, 각 신축 장비와 쌍을 이루는 표시 장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420)에는 신축장비1와 표시장치1, 신축장비2와 표시장치2 등의 형태로 각 신축 장비와 대응되는 표시 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표시 장치 확인부(430)는 통신부(410)를 통해 신축 장비로부터 신축 길이 및 신축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되면,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420)를 검색하여 신축장비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표시 장치를 확인한다.
가시화 처리부(440)는 신축 길이 정보에 포함된 신축 길이에 해당하는 표시 정보를 표시 장치 확인부(430)에서 확인된 표시 장치로 전송한다.
예컨대, 신축 길이가 '0'인 경우, 하차 대기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적색 표시), 신축 길이가 1~80%인 경우, 하차 진행 중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녹색 표시), 신축 길이가 80~100%인 경우, 하차 막바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주황색 표시), 신축 길이가 다시 '0'으로 된 경우, 하차 완료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정보(예를 들면, 적색 점멸)와 같이 신축 길이에 따라 표시 정보가 정해져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신축 장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참조하면,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물류 창고(500), 각 물류 차량(510)에 탑재된 차량 단말(515), 신축 장비(520), 물류 관리 서버(55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물류 창고(500)만을 도시하였으나, 물류 창고(50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물류 창고(500)는 물류창고1, 물류창고2 등과 같은 형태로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 장비(520)는 모든 물류 창고에 각각 설치되므로, 물류 창고의 개수와 같은 개수 일 수 있다.
신축 장비(520)는 물류 차량(510)의 적재함으로부터 물류를 하차하거나 상차하도록 물류차량(510)의 적재함쪽으로 신축된다.
신축 장비(520)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 신축 장비(520)는 물류 차량 안으로 신장되는 이동 프레임(522), 리미트 스위치(524a, 524b), 제어부(526)를 포함한다.
이동프레임(522), 리미트 스위치(524a, 524b)는 도 2의 기능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526)는 구비된 액추에이터(미도시)를 동작시켜 이동프레임(522)의 길이 신장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신축 장비(520)는 종래의 다양한 신축 장비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컨대, 신축 장비(520)는 신축 컨베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515)은 사용자로부터 차량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요청 신호를 물류 관리 서버(550)로 전송하고, 물류 관리 서버(550)로부터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차량 정보는 차량 종류, 크기 등을 포함하고,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요청 신호는 차량 정보, 물류 창고 식별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단말 사용자는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정보를 보고, 물류 상하차 대기 시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 대기 시간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 단말(515)은 차량에 탑재되고, 입력 기능 및 통신 기능을 포함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물류 관리 서버(550)는 차량 단말(515)로부터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 정보를 근거로 신축 장비(520)의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판단한다. 이때, 물류 관리 서버(550)에는 차량 종류 또는 크기별로 평균 진척 속도 또는 시간 등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물류 관리 서버(550)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후, 물류 관리 서버(550)는 판단된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근거로 물류 상하차 완료 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남은 시간 정보, 물류 창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정보를 차량 단말들로 전송한다. 이때, 물류 관리 서버(550)는 on 상태인 차량 단말들을 감지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차량 단말들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차량 단말들로 물류 창고별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차량 단말(515)에는 물류 창고 식별정보와 남은 시간 정보가 함께 표시되므로, 후발 물류 차량의 작업자는 배차 시간이 짧은 물류 창고에서 물류 상하차 작업을 준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물류 관리 서버(550)는 산출된 남은 시간 정보를 해당 물류 창고에 설치된 표시 장치(미도시)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물류 관리 서버(550)는 물류 창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표시 장치로 남은 시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 장치는 물류 출하 완료시까지의 남은 시간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물류 관리 서버(550)는 남은 시간에 따라 미리 설정된 표시정보를 물류 창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 장치는 수신된 표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남은 시간에 따라 설정된 표시 정보는 색, 남은 시간, 진행 정도 등을 포함하고, 진행 정도는 대기중, 진행중, 마무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표시 정보에 따라 표시장치의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대기중, 진행중, 마무리 등과 같은 진행 정도를 표시 또는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물류 창고(700), 각 물류 창고별로 설치된 차량 정보 인식기(730), 신축 장비(720), 표시장치(740), 물류 관리 서버(75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물류 창고(700)만을 도시하였으나, 물류 창고(70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물류 창고(500)는 물류창고1, 물류창고2 등과 같은 형태로 식별정보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신축 장비(720), 차량 정보 인식기(730), 표시장치(740)는 모든 물류 창고에 각각 설치되므로, 신축 장비(720), 차량 정보 인식기(730), 표시장치(740)의 수는 물류 창고의 개수와 같은 개수 일 수 있다.
신축 장비(720)는 도 7에 도시된 신축 장비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 정보 인식기(730)는 물류 창고(700)에 진입한 물류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 차량 정보 인식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정보를 물류 관리 서버(750)로 전송한다. 이 경우, 차량 정보 인식기(730)는 물류 차량의번호를 촬영하고,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장치일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정보 인식기(730)는 차량의 번호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물류 차량에 고유의 태그가 부착된 경우, 차량 정보 인식기(730)는 물류 차량에 부착된 태그를 태깅하여 태그 식별정보, 차량 정보 인식기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차량 인식 정보를 물류 관리 서버(7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정보 인식기(730)는 바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NFC 리더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류 관리 서버(750)는 차량 정보 인식기(730)로부터 차량 인식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 번호 또는 태그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종류, 크기 등의 차량 정보를 판단한다. 그런 후, 물류 관리 서버(750)는 판단된 차량 정보를 근거로 신축 장비(720)의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판단한다. 이때, 물류 관리 서버(750)에는 차량 종류 또는 크기별로 평균 진척 속도 또는 시간 등이 미리 설정되어 있으므로, 물류 관리 서버(750)는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런 후, 물류 관리 서버(750)는 판단된 물류 상하차 진척 속도를 근거로 물류 상하차 완료 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남은 시간 정보를 해당 표시 장치(740)로 전송한다. 즉, 물류 관리 서버(750)에는 차량 정보 인식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표시장치들이 각각 정해져 있으므로, 물류 관리 서버(750)는 차량 정보 인식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740)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표시 장치(740)로 남은 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740)는 물류 상하차 완료 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물류 관리 서버(750)는 남은 시간에 따른 물류 상차하 진행상태를 기 설정된 표시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표시 정보는 색, 남은 시간, 진행 정도 등을 포함하고, 진행 정도는 대기중, 진행중, 마무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740)는 표시 정보에 따라 표시장치의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대기중, 진행중, 마무리 등과 같은 진행 정도를 표시 또는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물류 창고 110 : 물류 차량
200 : 신축 장비 210 : 이동 프레임
220 : 리미트 스위치 230 : 신축 감지 센서
240 : 제어부 245 : 통신부
250 : 표시장치

Claims (9)

  1. 물류 차량내의 물류를 하차하거나 상차하도록 물류차량의 적재함쪽으로 이동 프레임이 신축되고, 신축된 이동 프레임의 길이 정보에 따라 신축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신축 상태에 따라 정해진 표시 정보를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신축 장비; 및
    상기 정해진 표시 정보를 신축장비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정해진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
    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비로부터 신축 길이 및 신축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신축장비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표시 장치로 상기 신축 길이에 따른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물류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관리 서버는,
    신축장비별로 대응되는 표시장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신축 장비로부터 신축 길이 및 신축장비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신축 길이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신축 장비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신축장비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표시 장치를 확인하는 표시장치 확인부; 및
    상기 신축 길이 정보에 포함된 신축 길이에 해당하는 표시 정보를 표시 장치 확인부에서 확인된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가시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장비는,
    상기 표시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물류 차량 안으로 신장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길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축 길이 정보를 제어부 또는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신축 감지 센서; 및
    상기 신축 길이 정보에 따라 신축 상태를 판단하고, 그 신축 상태에 따라 정해진 표시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 정보는 색상 또는 신축 길이 정보에 따른 신축 상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물류 창고 입구의 일정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6.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진행 상태 요청 신호 또는 차량 인식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차량 정보를 근거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차량 종류 또는 크기별로 신축 장비의 평균 진척 속도 또는 시간을 이용하여 신축 장비의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척 속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척 속도를 이용하여 물류 창고별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완료 시까지의 남은 시간을 산출하여 차량 단말 또는 해당 표시 장치로 해당 표시 정보를 전송하는 물류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 장비는 물류차량의 적재함 쪽으로 신축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고, 사용자로부터 차량 정보가 입력된 경우, 차량 정보 및 물류 창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행 상태 요청 신호를 상기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물류 관리 서버로부터 물류 창고들의 물류 상차 또는 하차 진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단말을 더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물류 창고에 진입한 물류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거나, 물류 차량에 부착된 태그를 태깅하여 차량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 또는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인식 정보를 상기 물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차량 정보 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산출된 남은 시간, 상기 남은 시간에 따른 진행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남은 시간에 따른 진행 정도는 대기중, 진행중, 마무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KR1020130004410A 2013-01-15 2013-01-15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KR10143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410A KR101439920B1 (ko) 2013-01-15 2013-01-15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410A KR101439920B1 (ko) 2013-01-15 2013-01-15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00A KR20140092100A (ko) 2014-07-23
KR101439920B1 true KR101439920B1 (ko) 2014-09-12

Family

ID=5173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410A KR101439920B1 (ko) 2013-01-15 2013-01-15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9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90A (ko) 2016-10-07 2016-10-20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기사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814B1 (ko) 2020-01-03 2020-04-17 정만호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KR102279587B1 (ko) 2020-11-30 2021-07-20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공장의 하차 및 분류장치의 배치구조
KR102582897B1 (ko) 2023-02-14 2023-09-26 오준환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0966B (zh) * 2020-06-16 2023-09-26 北京京东振世信息技术有限公司 用于生成装卸作业剩余时间信息的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23A (ko) * 1994-11-14 1996-06-17 김광호 정수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523A (ko) * 1994-11-14 1996-06-17 김광호 정수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790A (ko) 2016-10-07 2016-10-20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기사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814B1 (ko) 2020-01-03 2020-04-17 정만호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KR102279587B1 (ko) 2020-11-30 2021-07-20 우양정공주식회사 물류공장의 하차 및 분류장치의 배치구조
KR102582897B1 (ko) 2023-02-14 2023-09-26 오준환 배차정보의 수정이 가능한 화물중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00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920B1 (ko) 물류 상·하차 관리 시스템
US10214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ving pallets via unmanned motorized unit-guided forklifts
US11685602B2 (en) Warehouse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52936B2 (en) Industrial vehicle feedback system
US10293938B2 (en) Unmanned aircraft systems with a custom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s of delivery utilizing unmanned aircraft systems
US11315073B1 (en) Event aspect determination
JP2009075941A (ja) 工程管理方法、工程管理システムおよび工程管理装置
KR20210124977A (ko) 물류창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92444A1 (en) Inventory checking apparatus, backend apparatus, inventory checking management system, and inventory checking method
WO2021109890A1 (zh) 具有追踪功能的自动驾驶系统
US11900304B2 (en) Warehousing and shipping management system, warehousing and shipping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6556532B2 (ja) 通信装置、搬送補助具、および搬送システム
KR101255776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창고관리시스템
CN111620014A (zh) 一种仓储搬运agv多层货盘识别及避障装置和方法
US2023024503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erging retail products between containers to optimize storing capacity of retail storage facilities
US10940997B2 (en) Movement path management system, movement path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20170297828A1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KR101310685B1 (ko) 야드 이동차의 위치 인식 및 작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446981B (zh) 一种电能计量用rfid电子标签批量识别定位系统及方法
CN209291357U (zh) 仓储物流机器人
CN111764314A (zh) 传输控制平台和无人机停机坪机构
CN111080095A (zh) 部品出入库运搬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273998B2 (ja) 物品搬送設備
KR20130033787A (ko) 강재의 위치 자동 추적 시스템
CN110980099B (zh) 部品出入库运搬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