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868B1 -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 Google Patents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868B1
KR101439868B1 KR1020130007742A KR20130007742A KR101439868B1 KR 101439868 B1 KR101439868 B1 KR 101439868B1 KR 1020130007742 A KR1020130007742 A KR 1020130007742A KR 20130007742 A KR20130007742 A KR 20130007742A KR 101439868 B1 KR101439868 B1 KR 101439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ing
bar
block
rins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611A (ko
Inventor
양희준
오동헌
Original Assignee
(주)클레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레슨 filed Critical (주)클레슨
Priority to KR102013000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8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3/00Accessorie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bility for machines or apparatu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에 관한 것으로써, 그 목적으로는 세척기(4)에 설치된 헹어(22)가 이송체인(16)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헹어(22)의 걸이봉(52) 선단부가 블록(56)의 걸이홈(60)에 안정적으로 걸려져 있게 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스냅링(2)이 헹어(22)의 걸이봉(5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송체인(16)을 걸어 놓은 아이들스프로킷(14) 다수개를 설치한 하우스프레임(12); 상기 이송체인(16)에 설치되는 헹어(22); 상기 이송체인(16)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20);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초음파진동자(28)로 세척하는 세척조(26);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중간부에 설치되는 건조부(30);로 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에 있어서, 상기 헹어(22)에는, 이송체인(16)에 결합되는 연결봉(42)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42)의 양측에 지지바아(44)가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바아(44) 하단부에는 힌지축(48)을 결합한 블록(50)과 러그(46)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48)에는 걸이봉(52)이 후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선단부를 러그(46)에 삽,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Description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Hanger for snap ring washing device}
본 발명은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기에 설치된 헹어가 이송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헹어의 걸이봉 선단부가 블록의 걸이홈에 안정적으로 걸려져 있게 함으로써, 스냅링이 헹어의 걸이봉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헹어의 걸이봉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러그에 고정되게 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걸이봉을 당기거나 밀면서 다량의 스냅링을 신속히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냅링의 교환작업에 대한 작업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냅링이나 와셔, 스프링 등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나 오일이 표면에 뭍어 오염되는데, 이러한 오일과 이물질이 뭍은 스냅링이나 와셔, 스프링 등은 헹어에 걸어 이동시키면서 세척기를 통하여 세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다량의 스냅링이나 와셔, 스프링 등은 헹어에 걸려져 이동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해 종종 이탈하게 되는데, 따라서 세척과정에서 스냅링이나 와셔, 스프링 등의 이탈로 인한 세척작업 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헹어에 대한 구조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기술을 도 1a,1b 에서 살펴 보면, 먼저 세척기에 설치되는 이송체인(102)에 다수개의 헹어(104)가 동일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헹어(104)에는 이송체인(102)을 양단부에 각각 결합한 연결봉(106)이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106)의 양측에는 지지바아(108)가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바아(108) 하단부에는 걸이홈(1110)이 형성된다.
상기 헹어(104)에는 다량의 스냅링(112)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된 걸이봉(114)이 분리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헹어(104)의 걸이봉(114)에 다량의 스냅링(112)을 걸어 놓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걸이봉(114)을 걸이홈(110)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다량의 스냅링(112)을 걸어 놓고, 이후로 상기 걸이봉(114)을 지지바아(108)의 걸이홈(110)에 걸어 놓는다.
상기 이후로 이송체인(102)이 헹어(104)를 세척기에 설치된 세척조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헹어(104)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걸이봉(114)은 스냅링(112)과 함께 지지바아(108)의 걸이홈(110)으로부터 종종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세척기의 가동을 중단시킨 다음 스냅링(112)과 걸이봉(114)을 함께 지지바아(108)의 걸이홈(110)에 걸어 놓아야 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걸이봉(114)을 헹어(104)로부터 분리하여 스냅링(112)을 걸어 놓은 다음, 상기 걸이봉(114)을 들어서 다시 헹어(104)에 걸어 놓아야 하는 관계로 교환작업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척기에 설치된 헹어가 이송체인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헹어의 걸이봉 선단부가 블록의 걸이홈에 안정적으로 걸려져 있게 되는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스냅링이 헹어의 걸이봉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둘째, 헹어의 걸이봉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러그에 고정되게 하는 구조를 실현하여, 상기 걸이봉을 당기거나 밀면서 다량의 스냅링을 신속히 교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스냅링의 교환작업에 대한 작업 편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상부층(6), 중간층(8), 하부층(10)으로 나누어져 구성되면서 이송체인(16)을 걸어 놓은 아이들스프로킷(14) 다수개를 설치한 하우스프레임(12);
상기 이송체인(16)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면서 스냅링(2)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헹어(22);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이송체인(16)의 일부에 원동스프로킷(18)을 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20);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세정액에 침수된 스냅링(2)에 대해 초음파진동자(28)로 세척하는 세척조(26);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중간부에 설치되면서 세척조(26)를 통과한 스냅링(2)에 대해 건조작업을 실시하는 건조부(30);로 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에 있어서,
상기 헹어(22)에는, 이송체인(16)을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연결봉(42)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42)의 양측에는 지지바아(44)가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바아(44) 하단부에는 힌지축(48)을 결합한 블록(50)과 러그(46)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48)에는 스냅링(2)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한 걸이봉(52)이 후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선단부를 러그(46)에 삽,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봉(52)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후미가 힌지축(48)에 헐겁게 결합되고, 상기 러그(46)의 블록(56)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58)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58)의 내측에는 걸이봉(52)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이홈(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러그(146)의 블록(148)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150)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50)의 상,하부에는 홀(15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출구측 지름을 작게 형성하며, 상기 홀(152)에는 볼(154)과 스프링(156)과 나사(158)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걸이봉(52)의 선단부 상,하부측에는 볼(154)의 일부가 유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한 홈(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척기(4)에 설치된 헹어(22)는 이송체인(16)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인해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진동이 주기적으로 헹어(22)에 전달되더라도 걸이봉(52)의 선단부가 블록(56)의 걸이홈(60)에 안정적으로 걸려져 있게 되는 구조로 인해, 상기 헹어(22)의 걸이봉(52)으로부터 스냅링(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헹어(22)의 걸이봉(52)이 힌지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러그(46)에 고정되는 구조로 된 관계로, 상기 걸이봉(52)을 당기거나 밀면서 다량의 스냅링(2)을 신속히 교환할 수 있게 됨으로 인해, 상기 스냅링(2)의 교환작업에 대한 작업 편리성은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a, 1b 는종래의 기술인 헹어의 작용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가 설치된 세척기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가 설치된 세척기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의 작용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의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의 사시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4 에서 살펴 보면, 먼저 차량용 부품이나 기타 기계장치에 사용되는 스냅링(snap ring)(2)(도2참조)을 프레스에서 가공하게 되면 이물질과 오일이 표면에 뭍어 오염 되는데, 이러한 오일과 이물질은 보통 세척기(4)를 통하여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세척기(4)에는 상부층(6), 중간층(8), 하부층(10)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하우스프레임(12)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상부층(6), 중간층(8), 하부층(10)에 걸쳐서는 아이들스프로킷(14) 다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아이들스프로킷(14)에는 이송체인(16)이 무한궤도 형태로 걸려져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층(6)에 위치한 이송체인(16)의 일부에는 원동스프로킷(18)이 결합되면서 하우스프레임(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원동스프로킷(18)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20)가 보조체인으로 연결되면서 하우스프레임(12)의 상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이송체인(16)에는 스냅링(2)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헹어(hanger)(22) 다수개가 동일한 간격을 두면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일측 중간층(8)은 스냅링(2)을 공급하거나 인출하는 출입구(24)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층(10)에는 스냅링(2)이 침수되어 세척된 후 통과하는 세척조(26)가 설치되는데, 상기 세척조(26)의 측벽과 바닥면에는 스냅링(2)에 뭍어 있는 오일과 이물질을 탈락시키기 위한 용도의 초음파진동자(28)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세척조(26)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정액이 채워져 있게 된다.
상기 중간층(8)의 타측에는 세척조(26)에서 빠져나온 스냅링(2)을 건조시키는 건조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건조부(30)에는 스냅링(2)이 통과하는 통로상에 에어나이프(32)가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에어나이프(32)(도3참조)에는 에어펌프(34)가 연결관(36)으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36)에는 저온공기를 가열하는 히터(38)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층(6)(도2참조)의 상단부에는 토출된 온풍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배기닥트(40)가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헹어(22)(도4a참조)에는 이송체인(16)을 양단부에 각각 결합한 연결봉(42)이 수평으로 설치되면서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42)의 양측에는 지지바아(44)가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연결봉(42)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한 각각의 지지바아(44) 하단부에는 러그(46)와 힌지축(48)을 결합한 블록(50)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힌지축(48)에는 걸이봉(52)이 후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수평으로 설치되고, 동시에 상기 걸이봉(52)의 선단부는 러그(46)에 삽,탈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걸이봉(52)에는 다수개의 스냅링(2)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이홈(54) 다수개가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이봉(52)의 후미는 힌지축(48)에 헐겁게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러그(46)를 구성하는 블록(56)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58)이 수평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58)의 내측 바닥면에는 진입한 걸이봉(5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이홈(6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출입구(24)의 양측에는 헹어(22)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역할을 하는 고정실린더(45)가 로드 선단부에 매스(47)를 결합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헹어(22)의 지지바아(44) 외측면에는 매스(47)가 접하는 돌출부(49)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이송모터(20), 초음파진동자(28), 에어펌프(34), 히터(38), 고정실린더(45) 등은 미 도시된 제어부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척기(4)(도2참조)를 가동시키면 히터(38)와 에어펌프(34)가 작동하면서 온풍을 에어나이프(32)로 공급하게 되고, 동시에 세척조(26)에 설치된 초음파진동자(28)가 세정액에 침수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며, 또한 상기 이송모터(20)가 작동하면서 원동스프로킷(18)을 회전시킴으로써 이송체인(16)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송체인(16)에 설치된 다수개의 헹어(22)는 이송체인(16)의 진행 방향을 따라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상기 헹어(22)에 걸려져 있는 스냅링(2)은 세척조(26)에서 초음파진동자(28)로 1분∼2분 동안 세척하면 깨끗한 상태가 됨으로, 상기 이송모터(20)는 1분∼2분 동안 정지한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가, 다시 작동하면서 세척된 스냅링(2)을 세척조(26)로부터 진출시키고, 동시에 대기하고 있는 스냅링(2)을 세척조(26) 내부로 진입시키면서 정지하는 작동을 반복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스냅링(2)은 세척조(26)에서 세척된 후 건조부(30)로 진입하면 에어나이프(32)로부터 토출되는 온풍에 의해 탈액 및 건조되고, 이후로 스냅링(2)은 건조부(30)에서 출입구(24)로 이동하여 정지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출입구(24)에 설치된 고정실린더(45)가 작동하면서 로드를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매스(47)는 지지바아(44)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49)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헹어(22)는 출입구(24)에 도달하면서 고정실린더(45)에 의해 고정됨으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상기 이후로, 작업자는 스냅링(2)을 분리하기 위해서 출입구(24)에 도달한 헹어(22)의 걸이봉(52) 일단부를 소폭으로 들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이봉(52)의 타측단부는 힌지축(48)에 헐겁게 결합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걸이봉(52)은 힌지축(48)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동시에 상기 걸이봉(52)의 일단부는 블록(56)의 걸이홈(6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이후로 상기 걸이봉(52)을 당기면 안내홈(58)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세척 및 건조된 스냅링(2)을 걸이홈(60)으로 부터 이탈시키면서 걸이봉(52)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스냅링(2)을 걸이봉(52)으로부터 모두 분리하면, 상기 걸이봉(52)에는 오염된 다수개의 스냅링(2)을 하나씩 끼우면서 걸이홈(54)에 걸려지게 하고, 이후로 상기 걸이봉(52)을 밀어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걸이봉(52)은 힌지축(4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선단부가 블록(56)의 안내홈(58)으로 진입하게 되고, 이후로 걸이봉(52)의 선단부는 스냅링(2)의 무게에 의해 하향하면서 걸이홈(60)에 안착하여 걸려지게 되며, 동시에 상기 걸이봉(52)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헹어(22)가 이동할 때 발생되는 흔들림이 있더라도 걸이봉(52)의 선단부는 걸이홈(60)에 안전하게 걸려져 있게 됨으로, 상기 걸이봉(52)의 이탈에 의한 스냅링(2)의 탈거는 방지된다.
상기 이후로, 고정실린더(45)가 재차 작동하면서 로드를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매스(47)는 돌출부(49)로부터 이격하면서 헹어(22)에 대한 고정력을 해지하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이송모터(20)가 작동하면서 이송체인(16)에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헹어(22)는 이송체인(16)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조(26)로 이동하여 세척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헹어(22)의 걸이봉(52)에 걸려지는 재료는 스냅링(2)(원형, 사각형, 삼각형) 이외에 와셔, 스프링 등 다양한 재료를 걸어서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22)를 도 5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헹어(22)를 구성하는 러그(146)에는 상기 지지바아(44)의 하단부에 설치된 블록(148)이 구성되고, 상기 블록(148)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150)이 수평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150)의 상,하부측에는 홀(15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152)의 안내홈(150)쪽 출구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지름을 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홀(152)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볼(154)과 스프링(156)과 나사(158)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홀(152)의 출구측 지름이 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게 되면, 상기 볼(154)은 일부가 홀(152)의 외부로 돌출하지만 이탈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봉(52)의 선단부 상,하부측에는 볼(154)의 일부가 유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한 홈(160)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블록(148)의 안내홈(150)에 전술한 바와 같이 걸이봉(52)을 밀어서 선단부가 진입하게 하면, 상기 볼(154)은 진입하는 걸이봉(52)에 의해 밀려지면서 스프링(156)을 압축하게 되고, 이후로 볼(154)은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전진하면서 걸이봉(52)의 홈(160)에 일부가 삽입되어 걸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봉(52)은 블록(148)의 안내홈(15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걸이봉(52)을 당기면, 상기 볼(154)은 스프링(156)의 탄성력에 반발하면서 탄력적으로 유동하여 홈(160)으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걸이봉(52)은 블록(148)의 안내홈(150)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22)를 도 6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헹어(22)를 구성하는 러그(166)에는 상기 지지바아(44)의 하단부에 설치된 블록(168)이 구성되고, 상기 블록(168)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170)이 수평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블록(168)의 타측에는 홀(172)을 관통 형성한 걸이편(174)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편(174)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키이(176)가 와이어(178)로 연결되면서 상단부에 헤드(180)를 형성하고, 상기 걸이봉(52)의 선단부에는 키이(176)가 삽탈되는 홀(182)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러그(166)에는 걸이봉(52)의 선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키이(176)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블록(168)의 안내홈(170)에 전술한 바와 같이 걸이봉(52)을 밀어서 선단부가 진입하게 한 다음, 상기 키이(176)를 걸이편(174)의 홀(172)과 걸이봉(52)의 홀(182)에 순차적으로 삽입하면, 상기 키이(176)는 헤드(180)가 걸이편(174)에 걸려지면서 고정되어 있게 되고, 상기 걸이봉(52)은 블록(168)의 안내홈(17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걸이봉(52)을 블록(168)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키이(176)를 당겨서 걸이봉(52)의 홀(182)과 걸이편(174)의 홀(172)로부터 분리 한 다음, 상기 걸이봉(52)을 당겨서 블록(168)의 안내홈(170)으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를 구성하는 헹어(22)를 도 7에서 살펴 보면, 먼저 상기 헹어(22)를 구성하는 러그(186)에는 상기 지지바아(44)의 하단부에 설치된 블록(188)이 구성되고, 상기 블록(188)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190)이 수평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블록(188)의 타측에는 홀(192)을 관통 형성한 걸이편(194)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편(194)의 홀(192)에는 고정역할을 하는 키이(196)가 수직으로 헐겁게 결합되고, 상기 키이(196)의 상,하단부에는 이탈을 방지하는 헤드(198)와 링(20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걸이봉(52)의 선단부에는 키이(196)가 삽,탈되는 홀(202)이 관통된다.
이때, 상기 러그(186)에는 걸이봉(52)의 선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키이(196)가 아니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고정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키이(196)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블록(188)의 안내홈(190)에 전술한 바와 같이 걸이봉(52)을 밀어서 선단부가 진입하게 한 다음, 상기 키이(196)를 하강시켜서 걸이봉(52)의 홀(202)에 삽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키이(196)는 걸이편(194)에 걸려진 상태에서 걸이봉(52)의 홀(202)에 삽입되어 있게 됨으로, 상기 걸이봉(52)은 블록(188)의 안내홈(19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걸이봉(52)을 블록(188)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키이(196)를 당겨서 걸이봉(52)의 홀(202)로부터 인출한 다음, 상기 걸이봉(52)을 당겨서 블록(188)의 안내홈(190)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2:스냅링 4:세척기
6:상부층 8:중간층
10:하부층 12:하우스프레임
14:아이들스프로킷 16:이송체인
18:원동스프로킷 20:이송모터
22:헹어 24:출입구
26:세척조 28:초음파진동자
30:건조부 32:에어나이프
34:에어펌프 36:연결관
38:히터 40:배기닥트
42:연결봉 44:지지바아
46,146,166,186:러그 48:힌지축
50,56,148,168,188:블록 52:걸이봉
54,60:걸이홈 58,150,170,190:안내홈
152,172,182,192,202:홀 154:볼
156:스프링 158:나사
160:홈 174,194:걸이편
176,196:키이 178:와이어
180,198:헤드 200:링

Claims (7)

  1. 상부층(6), 중간층(8), 하부층(10)으로 나누어져 구성되면서 이송체인(16)을 걸어 놓은 아이들스프로킷(14) 다수개를 설치하고, 앞측에는 출입구(24)를 형성하는 하우스프레임(12);
    상기 이송체인(16)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면서 스냅링(2)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헹어(22);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이송체인(16)의 일부에 원동스프로킷(18)을 결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20);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하부에 설치되면서 세정액에 침수된 스냅링(2)에 대해 초음파진동자(28)로 세척하는 세척조(26);
    상기 하우스프레임(12)의 중간부에 설치되면서 세척조(26)를 통과한 스냅링(2)에 대해 건조작업을 실시하는 건조부(30);로 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에 있어서,
    상기 헹어(22)에는, 이송체인(16)을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연결봉(42)이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42)의 양측에는 지지바아(44)가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며, 상기 각각의 지지바아(44) 하단부에는 힌지축(48)을 결합한 블록(50)과 러그(46)가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48)에는 스냅링(2)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한 걸이봉(52)이 후미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선단부를 러그(46)에 삽,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52)은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후미가 힌지축(48)에 헐겁게 결합되고,
    상기 러그(46)의 블록(56)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58)이 수평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58)의 내측에는 걸이봉(52)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이홈(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146)의 블록(148)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150)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150)의 상,하부에는 홀(15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출구측 지름을 작게 형성하며,
    상기 홀(152)에는 볼(154)과 스프링(156)과 나사(158)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걸이봉(52)의 선단부 상,하부측에는 볼(154)의 일부가 유입되어 걸려질 수 있도록 한 홈(1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166)의 블록(168)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170)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168)의 타측에는 홀(172)을 관통 형성한 걸이편(174)이 돌출되며,
    상기 걸이봉(52)의 선단부에는 홀(18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걸이편(174)에는 홀(172)에 삽,탈되면서 고정역할을 하는 키이(176)가 와이어(178)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186)의 블록(188)에는 걸이봉(5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된 안내홈(190)이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블록(188)의 타측에는 홀(192)을 관통 형성한 걸이편(194)이 돌출되며,
    상기 걸이편(194)의 홀(192)에는 키이(196)가 수직으로 헐겁게 결합되면서 상,하단부에 각각 이탈방지용 헤드(198)와 링(200)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봉(52) 선단부에는 홀(202)을 관통 형성하여 키이(196)의 일부가 삽,탈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봉(52)에는 스냅링(2)이 걸려질 수 있도록 한 걸이홈(54) 다수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44)의 외측면에 돌출부(49)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24)의 양측에는 매스(47)를 로드 선단부에 결합한 고정실린더(45)를 각각 고정 설치하며,
    상기 고정실린더(45)는 헹어(22)가 출입구(24)에 도달하면 매스(47)를 전진시켜 돌출부(49)를 가압하게 함으로써 헹어(22)가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KR1020130007742A 2013-01-24 2013-01-24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KR101439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42A KR101439868B1 (ko) 2013-01-24 2013-01-24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42A KR101439868B1 (ko) 2013-01-24 2013-01-24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611A KR20140095611A (ko) 2014-08-04
KR101439868B1 true KR101439868B1 (ko) 2014-09-17

Family

ID=51743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742A KR101439868B1 (ko) 2013-01-24 2013-01-24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40658A (zh) * 2016-05-27 2016-10-26 安庆创跃电器有限公司 一种刀片清洗装置
CN108906775B (zh) * 2018-09-18 2021-04-23 西安市农业技术推广中心 一种农业用农作物自动清洗装置
CN112007906B (zh) * 2020-07-31 2024-05-07 济南巴克超声波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悬挂链清洗机的旋转式超声波清洗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196A (ko) * 2007-04-27 2008-10-30 (주)지영사 초음파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6196A (ko) * 2007-04-27 2008-10-30 (주)지영사 초음파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611A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333B1 (ko) 이물질 자동배출이 가능한 야채 자동세척기
KR101439868B1 (ko) 스냅링 세척기용 헹어
KR20130114970A (ko) 세탁기의 세탁조 청소장치
CN205308844U (zh) 一种轴承组合机
KR101395827B1 (ko) 드럼 회전형 기계부품 세척장치
CN111227976B (zh) 一种口腔器械放置取用台架
CN206731632U (zh) 一种电机端盖的超声波清洗系统
CN105919528A (zh) 洗碗机
JP2011078929A (ja) バケツ等の洗浄装置
TWI595934B (zh) 清洗裝置
KR100739581B1 (ko) 굴세척장치
JP2014054404A (ja) 洗濯機
US2710819A (en) Article washing method
KR20130123557A (ko) 드럼세탁기의 청소장치
JP2016019948A (ja) ワゴン洗浄機
JP2010104901A (ja) 自動超音波洗浄機及び自動超音波洗浄方法
KR101134484B1 (ko) 팔레트 자동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1562734B1 (ko) 코팅장갑 제조장치
CN106087148A (zh) 一种带清洁装置的导条辊
JP3175858B2 (ja) 産業用クリーニング装置
CN108642752B (zh) 一种用于纺织的单层毛线针织布料的废线清除设备
KR101281763B1 (ko) 시편 세척 건조 장치
US2563544A (en) Rug -sizing device
CN205974827U (zh) 一种带清洁装置的导条辊
KR102269401B1 (ko) 내부 세탁조 외부면의 청소부가 있는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