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522B1 - 진동 침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진동 침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522B1
KR101438522B1 KR1020120152230A KR20120152230A KR101438522B1 KR 101438522 B1 KR101438522 B1 KR 101438522B1 KR 1020120152230 A KR1020120152230 A KR 1020120152230A KR 20120152230 A KR20120152230 A KR 20120152230A KR 101438522 B1 KR101438522 B1 KR 101438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needle
clip
vibrating
acupun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2354A (ko
Inventor
김희영
양재하
이봉효
배종한
김설아
류연희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5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5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5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rotary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침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에 침습하는 침, 상기 침에 진동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침을 파지하여 진동하는 진동 클립 및 상기 진동 클립에 연결되어 상기 침에 전달되는 진동 강도 및 진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침 시술법 중 수기에 의한 자극법의 시술 조건을 객관화하여 환자에 적합한 일관된 치료 과정이 수행되게 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 침 시술 장치{APPARATUS FOR OPERATING VIBRATION NEEDLE}
본 발명은 진동 침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수기 자극법에 의한 침 시술을 개량하여 치료 과정을 객관화함으로써 치료 효과 극대화시키기 위한 진동 침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몸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인자가 인체 내에서 작용하게 된다면 기질적 병변과 기능적인 장애 등을 반드시 수반하고 병리 현상이 발생하여 질환으로 표출된다. 그중에서도 많은 질병의 병세는 기(氣)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이 경우에 침 치료는 기의 불균형을 조화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병리 해부학적으로 인정되는 기질적인 변화를 침으로 치료하기란 그리 간단하지 않으나, 생체는 일단 어떠한 질병에 걸리게 되면 자연히 생체 내에서는 병에 대해 저항 작용이 나오게 된다.
이때에 침 치료는 수 천년 전부터 내려오는 치료 방법의 일종으로 통증이 있는 부위를 시술하는 것을 아시혈 요법이라 하여 아픈 곳 위주의 치료를 하며, 또한 시술자의 주관에 따라 질병에 대한 근본 치료를 위해 경혈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생체에 이로운 쪽으로 무엇인가 생리적 작용을 가해줌으로써 기질적인 요소를 정상적으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생체의 방어 작용이 강화되면서 자연 치유 능력이 향상되며, 일반적인 진통제는 통증만을 멈추게 하나, 침 치료는 통증의 진통 작용뿐만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생리적 방어 장치를 강화시킴으로써 기질적인 질환도 치유가 가능하다.
이러한 침 치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그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기 자극, 전침, 화침 등의 방법이 사용되며, 이중 수기를 이용한 자극법은 가장 오랫동안 안정적이며 효과적으로 사용된 방법이다.
즉, 수기를 이용한 자극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피하 내지 근육 내에 자입된 침을 상하로 움직이는 방법(작탁법), 침을 일정한 깊이까지 자입한 후 90° 내지 160°정도로 손가락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방법(염침법) 및 상기 작탁법 및 상기 염침법이 종료되면 자침된 침을 일정시간 동안 유침하여 방치하는 방법(유침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기에 의한 자극법은 시술자에 따라 자극 속도, 자극 강도 및 자극 시간 등이 서로 상이하여 침 시술 조건을 객관화함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왔으며, 이로 인하여 그 시술 효과 역시 인정받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2000-0034327 A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에 일정한 진동 강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진동 클립을 연결함으로써 객관적인 치료 과정에 의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진동 침 시술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 침 시술 장치는, 피부에 침습하는 침; 상기 침에 진동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침을 파지하여 진동하는 진동 클립; 및 상기 진동 클립에 연결되어 상기 침에 전달되는 진동 강도 및 진동 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 클립은, 상기 침의 자루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진동 자극을 발생하는 진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 클립의 진동 강도를 제어하는 강도 조절 버튼과, 상기 진동 클립의 진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술자에 따라 침의 진동 강도, 진동 시간 및 진동 속도 등을 일정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수기에 의한 자극법을 객관화하고, 환자의 특성에 따라 진동 강도, 진동 시간 등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침 시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침 시술 장치의 진동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침 시술 장치에 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침 시술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침 시술 장치의 진동 클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진동 침 시술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 침 시술 장치는 침(100), 진동 클립(200) 및 제어부(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침(100)은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의 피부에 침습하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기구이다. 이러한 침(100)은 통상 피부에 침습하기 위하여 시술자가 파지하는 부분인 몸체(110)와 환자의 피부에 침습하는 자루(120) 부분으로 구분되며 상기 자루(120)는 후술할 진동 클립(200)이 연결되어 진동 자극을 전달받는다.
상기 진동 클립(200)은 상기 침(100)을 파지하여 상기 침(100) 진동 자극을 전달함으로써 환자의 피부에 침습된 침(100)에 일정한 진동 강도를 발생시키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동 클립(200)에 의하여 시술자가 다르더라도 침(100)의 진동 강도 및 진동 속도 등을 일정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수기에 의한 자극법을 객관화하고, 환자의 특성에 따라 진동 강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클립(200)은 상기 침(100)의 자루(120)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210) 및 상기 파지부(210)의 후단에 마련되어 진동 자극을 발생하는 진동 유닛(220)을 포함하여 된다.
상기 진동 유닛(220)은 모터(미도시) 및 진동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유닛(220)을 구성하는 모터는 구동력을 제공하며, 도2를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에는 일자형 진동자가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에는 원판형 진동자가 마련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 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 원리는 일상 생활에 흔히 쓰이는 휴대 단말기의 진동 기능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진동 클립(200)에 연결되어 상기 침(100)에 전달되는 진동 강도 및 진동 시간 등을 제어하며, 이러한 제어부(300)는 상기 진동 클립(200)의 진동 강도를 제어하는 강도 조절 버튼(310) 및 상기 진동 클립(200)의 진동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버튼(320) 등으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진동 침 시술 장치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시술자는 진동 클립(200)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300)의 전원 스위치(330)를 켠 후, 상기 강도 조절 버튼(310) 및 상기 타이머 버튼(320) 등을 조절하여 상기 진동 클립(200)에 발생되는 진동 강도 및 진동 시간을 제어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기 자극법의 침 시술시 시술자의 시술 감각이 아닌 상기 진동 클립(200) 및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일정하게 발생하는 침(100)의 진동 강도 및 진동 속도 등에 의하여 수기에 의한 자극법을 객관화하고, 환자의 특성에 따라 진동 강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에는 상기 진동 클립(200)과 연결되어 진동 강도 및 진동 시간 등을 제어하는 채널(340)이 다수개 마련되므로, 환자의 침 시술 부위가 넓은 경우 다수개의 침에 상기 진동 클립(200)을 각각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채널(340)에 네 개 형성되나, 이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채널(340)은 그보다 더 다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채널(340)의 개수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침 시술 장치에 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 4 및 도 5는 코카인 투여 후 실험용 쥐의 운동량 측정에 관한 시험 결과로서, 실험용 쥐(Sprague-Dawley, 280-300g)에 코카인을 일정량(15mg/kg) 투여하면 운동량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는데, 코카인 투여 후 객관적인 운동성 증가를 측정하기 위해 비디오 이용 보행량 측정 장치를 사용한다. 즉, 비디오 이용 보행량 측정 장치는 검은색의 무광택 아크릴 상자 (40ⅹ40ⅹ45cm) 안에 실험 동물을 넣은 후 움직임을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비디오트래킹(videotracking) 방법에 의하여 촬영한 후 Ethovision program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BV, Wageningen, Netherlands)으로 전체 움직임을 수치화하여 측정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침(100)의 진동 시간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신문혈(팔목에 위치한 중독치료 침 자리)에 진동침 자극 시간을 0초군, 10초군, 20초군, 40초군 총 5군으로 나누었고, 이와 같이 5군으로 나눈 동물들을 각각 보행량 측정 장치에서 코카인 투여 전 1시간 동안 베이스라인(baseline)을 측정 후 코카인(15mg/kg)을 복강 주사하였으며, 신문혈을 자극하는 진동침의 진동 시간을 0초, 10초, 20초, 40초 동안 자침하였다. 그 결과, 20초군에서 코카인의 의한 보행성 활동량을 줄이는데 가장 효과가 있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침(100)의 진동 강도에 따른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상기 진동 클립(200)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의 강도를 0-1.5 V 범위로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테스트 하였으며, 침의 강도가 가장 센 9세기와 중간 강도의 4세기 그리고 침의 진동 강도를 전혀 주지 않는 0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0강도 보다는 9세기와 4세기가 보행성 활동량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 중에서도 9세기가 4세기보다 코카인에 의한 보행성 활동량을 더 많이 줄였기 때문에, 침의 진동 강도는 9세기가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직접 침을 진동시켰을 때의 진동 가속도는 약 0.6 내지 1.0m/sec2으로 측정되며, 상기 진동자에 3v의 전력을 공급했을 때의 진동 가속도는 일자형 진동자인 경우 1.0m/sec2, 원판형 진동자인 경우 1.2m/sec2으로 측정되었는바, 시술자가 직접 진동시키는 진동 가속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침 시술 장치의 진동 가속도가 매우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진동 가속도로 코카인 시험을 진행한 경우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술자가 직접 침을 튕기었을 때 침에 가해지는 진동수는 약 60 내지 100Hz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자를 통해 침에 전달되는 진동수는 약 70 내지 80Hz이므로, 이 정도 진동수에서 침의 효과가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 및 질병에 따른 침의 진동 강도 및 진동 시간을 자유롭게 설정하고, 이를 객관화하여 시술할 수 있으므로 수기에 의한 자극법을 객관화함과 동시에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침 110: 몸체
120: 자루 200: 진동 클립
210: 파지부 220: 진동 유닛
300: 제어부 310: 강도 조절 버튼
320: 타이머 버튼 330: 전원 스위치
340: 채널

Claims (3)

  1. 피부에 침습하는 침;
    상기 침에 진동 자극을 전달하도록 상기 침을 파지하여 진동하는 진동 클립;
    상기 진동 클립의 진동 강도가 입력되는 강도 조절 버튼;
    상기 진동 클립의 진동 시간이 입력되는 타이머 버튼; 및
    상기 강도 조절 버튼 및 타이머 버튼과 연결되며, 상기 진동 클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강도 조절 버튼에 의해 입력된 진동 강도로 일정하게 상기 타이머 버튼에 의해 입력된 진동 시간 동안 상기 진동 클립에 의해 파지된 침을 진동시키는 진동 침 시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클립은, 상기 침의 자루를 파지하는 한 쌍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진동 자극을 발생하는 진동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동 침 시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유닛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일자형 진동자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운동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원판형 진동자인 진동 침 시술 장치.
KR1020120152230A 2012-12-24 2012-12-24 진동 침 시술 장치 KR101438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230A KR101438522B1 (ko) 2012-12-24 2012-12-24 진동 침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230A KR101438522B1 (ko) 2012-12-24 2012-12-24 진동 침 시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354A KR20140082354A (ko) 2014-07-02
KR101438522B1 true KR101438522B1 (ko) 2014-09-15

Family

ID=5173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230A KR101438522B1 (ko) 2012-12-24 2012-12-24 진동 침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132A (ko) 2022-03-08 2023-09-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방향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진동침 시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2805B2 (ja) * 2014-11-12 2019-07-31 伊藤超短波株式会社 鍼治療用振動装置と鍼治療用振動装置の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327A (ko) * 1998-11-28 2000-06-15 박노국 침술용 저주파 치료기
KR200356688Y1 (ko) 2004-04-14 2004-07-19 신치호 침의 가열장치
KR20120024914A (ko) * 2012-02-14 2012-03-14 최요석 금연보조 장치
KR20120072599A (ko) * 2010-12-24 2012-07-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4327A (ko) * 1998-11-28 2000-06-15 박노국 침술용 저주파 치료기
KR200356688Y1 (ko) 2004-04-14 2004-07-19 신치호 침의 가열장치
KR20120072599A (ko) * 2010-12-24 2012-07-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KR20120024914A (ko) * 2012-02-14 2012-03-14 최요석 금연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2132A (ko) 2022-03-08 2023-09-1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방향 조절이 가능한 초소형 진동침 시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354A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333B1 (ko) 근육내 자극구
US81475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pain associated with needle sticks
US20090112134A1 (en) Devices and method for applying vibrations to joints
JP2018518247A (ja) 筋肉回復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200743A1 (en) A novel wearable vibration device
JP2009538173A (ja) 血流量を高め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WO2006124559A2 (en) Frequency stimulation trainer
US201200707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ain and patient discomfort at an injection site
CN107648023A (zh) 失眠治疗床
CN204543263U (zh) 药物渗透综合治疗仪
KR101438522B1 (ko) 진동 침 시술 장치
CN205163901U (zh) 一种中医内科康复护理带
JP6552805B2 (ja) 鍼治療用振動装置と鍼治療用振動装置の使用方法
CN105476739B (zh) 一种肘关节外部骨科固定器
CN104207934B (zh) 一种皮肤针
Tandya et al. Effect of acupuncture on decreasing blood lactate levels after exercise in elite basketball athletes
RU2317059C1 (ru) Механический массажер
KR200354756Y1 (ko) 휴대형 안마기
CN110339022A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手部锻炼装置
CN213346817U (zh) 一种针灸推拿护理装置
CN204245291U (zh) 用于偏瘫复健的砭石按摩鞋
JP5636127B1 (ja) 発毛育毛装置、及び発毛育毛装置の使用方法
WO2018036139A1 (zh) 肢体功能障碍康复装置
CN202761643U (zh) 一种颈椎理疗器
JPH02322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