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599A -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 Google Patents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599A
KR20120072599A KR1020100134435A KR20100134435A KR20120072599A KR 20120072599 A KR20120072599 A KR 20120072599A KR 1020100134435 A KR1020100134435 A KR 1020100134435A KR 20100134435 A KR20100134435 A KR 20100134435A KR 20120072599 A KR20120072599 A KR 2012007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uncture
frequency
information
traditional scal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4862B1 (ko
Inventor
류연희
이상훈
최선미
박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8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를 공개한다. 이 장치는 오음계의 주파수 및 상기 오음계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오음 주파수 생성기; 상기 변조된 주파수의 진동을 인가받아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습되어 경혈점을 자극하는 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침술 시행에 한의학적 오행 개념을 접목시킬 수 있어 피시술자의 체질, 치료 목적 및 환부의 상태에 적합하게 침술을 시행할 수 있고, 음파 자극이 전달되면서 침이 경혈점에서 이탈되거나 삽입방향이 특정방향을 유지하지 못하고 비특이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A acupuncture device using traditional scale}
본 발명은 침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파를 발생하고 전통음계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의 상태에 적합하게 변조된 주파수로 침을 진동시켜 피시술자의 경혈점을 자극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술은 인체에 있는 경혈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근육 속의 어혈과 같은 노폐물을 분해시키는 작용으로 증세에 따른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의 의술이다. 특히, 인체에는 약 700 여개에 이르는 경혈점이 있어 인체 내부에 질병이 발생하면 피부상의 특정 부위와 관련된 경락상의 경혈점에 과잉압 통점이 반드시 발생한다. 따라서, 한방의 치료법에서는 이와 같은 경혈점을 찾아내 침으로 피부에 자극을 가하여 오장육부, 혈관, 자율 신경 등의 이상 항진에 대하여 제지, 진정 작용과 신체 내부의 조절 작용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의 자연 치유능력을 증강시켜 인체의 질병을 퇴치 및 예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침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혈도에 침을 꽂아 주는 방법이 통상적 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침술은 시술자의 경력 및 기술의 정도에 따라 침술 효과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재래식 침은 유침(留鍼)인 관계로 시술을 완료하는 데 보통 30 ~ 40분의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유침을 처음으로 맞는 사람에게 날카롭고 긴 침의 형상으로 인하여 정신적인 불안감과 공포감을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시술자의 숙련도 상의 차이와 침의 형상으로 인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경혈점을 자극하여 침의 시술 효능을 증가시키는 전기침 장치가 제안되었다. 전기침 장치는 일종의 저주파를 시술 부위인 피부의 표피 상에 흘러 주어 안마, 혈류 개선, 두통 저감 등을 위한 의료 보조용구로 신체의 각 조직 및 경락혈 위를 자극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전기침 장치는 주파수 조절에 있어서 저주파수, 예를 들어 2, 4, 6, 15 Hz 또는 중주파수, 예를 들어 120, 240, 480 Hz 만을 선택해서 높고 낮은 주파수 자극 대역만 가능하고, 전기 자극의 경우 단순한 전류나 전압의 강도 조절을 통한 일정한 자극을 주는 것에 국한되어 있어 한의학적 개념을 접목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1MHz/3MHz의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켜 침을 통해 피시술자의 경혈점을 자극하는 종래의 초음파침 장치는 초음파 전달에 있어서도 침에 다른 구조물을 부착하여서 전달하는 방법이 있는데 경혈점이라고 하는 부위는 결국 체표 피부위의 특이점으로 몇 군데를 제외하고는 피부 밑으로 삽입되는 침의 깊이가 1cm 미만으로 최대 0.03mm의 지름을 갖고 피부위로 3cm 정도 길이의 침 위에 다른 구조물을 부착했을 때, 침이 피부위에 삽입된 상태로 자극이 제대로 전달될 수 없는 구조가 많다.
따라서, 초음파 자극이 전달되면서 침이 경혈점에서 이탈되거나 삽입방향이 특정방향을 유지할 수 없으면서 비특이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최근에 초음파를 피부 상의 특정점인 경혈점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초음파 전달체를 1cm 이하의 소형으로 만드는 연구가 현재 진행중이나 아직 상용화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통음계를 오행에 매칭시켜 각 음계와 오행 배속에 따라 음계의 주파수 파장을 조절하여 침을 진동시켜 경혈점을 자극할 수 있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는 오음계의 주파수 및 상기 오음계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오음 주파수 생성기; 상기 변조된 주파수의 진동을 인가받아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습되어 경혈점을 자극하는 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오음 주파수 생성기는 오행 정보, 환자 정보 및 시술 정보에 따라 적합한 침술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침술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 전원을 공급받아 주파수를 발진하는 주파수 발진부; 상기 주파수를 인가받아 상기 침술 프로그램에 응답하여 상기 오음계의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오음 주파수 생성기는 상기 침술 프로그램에 코딩되어 있는 시술 과정별로 기설정된 시술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외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작동키를 통해 상기 침술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시술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시술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침술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술 시간동안 상기 오음 주파수 생성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오행 정보는 인체의 각 장기 및 경혈점과 오행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오행 배속을 분류하고 오행의 상생과 상극 개념을 한의학적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한의학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환자 정보는 피시술자의 병의 종류, 부위, 증상, 정도, 성별, 나이, 신체의 특징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시술 정보는 상기 오행 정보에 따라 상기 피시술자에게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치료 시간, 치료 횟수, 시술할 음파의 진폭 및 주파수, 인가 주기, 인가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주파수 변조부는 상기 오음계 각각의 본래 주파수와 상기 본래 주파수의 반정수배 및 정수배를 조합하여 주파수를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전원부는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상기 침부는 시술시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습되는 침; 내경이 상기 침의 외경보다 큰 중공형으로서 상기 침을 삽입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로 안내하는 침관; 상기 침의 후단부인 침병이 삽입될 수 있는 안내공을 형성하는 고정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는 침술 시행에 한의학적 오행 개념을 접목시킬 수 있어 피시술자의 체질, 치료 목적 및 환부의 상태에 적합하게 침술을 시행할 수 있고, 음파 자극이 전달되면서 침이 경혈점에서 이탈되거나 삽입방향이 특정방향을 유지하지 못하고 비특이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내 오음 주파수 생성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 내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되는 오음계의 주파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내 침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블록도로서,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 및 침부(300)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각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는 주파수를 발진하고 저장되어 있는 침술 프로그램에 응답하여 전통음계의 오음계(궁, 상, 각, 치, 우)의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설정된 시술 시간동안 출력한다.
이때, 케이스(Case) 외부에 시술자가 시술을 위한 침술 프로그램을 로딩(Loading)하거나 전류의 세기나 전원의 공급 주기를 조정하는 등의 작업을 위한 다수의 작동키와 같은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병의 종류, 증상, 이전의 치료 내역 등을 작동키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등의 데이터 입력 작업을 통해 피시술자 별로 적절한 시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침부(300)는 침관에 삽입된 침이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로부터 변조된 주파수를 인가받아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습되어 진동의 형태로 경혈점을 자극한다.
이때, 주파수 생성기(100) 및 침부(300) 사이에 압전체(Piezoelectrics)가 내장되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전선 또는 데이터 통신선 등을 통해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변조된 주파수를 수신하여 음파 형태 또는 전파 형태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내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의 블록도로서, 타이머(110), 프로그램 저장부(120), 데이터 입력부(130), 전원부(140), 주파수 발진부(150), 주파수 변조부(160) 및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내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의 각 블록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이머(110)는 로딩된 소정의 침술 프로그램에 코딩(Coding)되어 있는 각각의 시술 과정별로 설정된 시술 시간을 카운트하여 현재 치료가 진행 중인 시술 작업에 설정되어 있는 시술 시간이 경과되면 종료 신호를 출력한다.
프로그램 저장부(12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술 장치에서 제공하는 각종 시술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침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침술 프로그램에는 인체의 각 장기 및 경혈점과 오행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오행 배속을 분류하고 오행의 상생과 상극 개념을 한의학적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오행 정보들이 저장된다.
또한, 피시술자의 병의 종류, 부위, 증상, 정도, 성별, 나이, 신체의 특징 등과 같은 환자 정보, 상기 오행 정보들에 따라 피시술자에게 가장 적합하도록 미리 짜여진 치료 시간, 치료 횟수, 시술할 음파의 진폭 및 주파수, 인가 주기, 인가 시간 등의 시술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시술자가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작동키를 조작하여 피시술자의 환자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통해 특정 침술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130)는 시술자가 소정의 작동키 등을 통해 특정 침술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시술과 관련된 데이터를 직접 입력한다.
전원부(140)는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소정의 배터리(Battery)가 수납되어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주파수 발진부(150)는 소정의 주파수 발진 회로를 포함하여 제어부(1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발진한다.
주파수 변조부(160)는 주파수 발진부(150)에서 발진된 주파수를 인가받아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침술 프로그램에 응답하여 전통음계의 오음(궁, 상, 각, 치, 우)의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이때 각 음계의 본래 주파수와 본래 주파수의 반정수배 및 정수배를 조합하여 주파수를 변조하게 된다.
제어부(170)는 데이터 입력부(13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는 개별 침술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로딩 된 개별 침술 프로그램에 따라 시술 작업을 진행하며, 타이머(110)로부터 종료 신호를 인가받아 진행 중인 시술 작업을 종료시키는 등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의 오음 주파수 생성기(100) 내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오음계의 주파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프로그램 저장부(12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적 개념에서 인체의 각 장기, 즉 오장육부는 오행에 배속되어 있고 경혈점 또한 오행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특정 경혈들을 분류하고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침술 프로그램에는 단순히 오행 배속의 분류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인체의 각 장기 및 경혈점과 오행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진단과 치료에 활용하여 오행의 상생과 상극 개념을 포함한 한의약적 정보들이 저장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 전통음계의 오음인 궁, 상, 각, 치, 우를 오행에 매칭시켜 각 음계와 오행 배속에 따라 상이한 주파수로 경혈점을 자극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내 침부(300)의 단면도로서, 침(310), 침관(320), 음압 발생기(325) 및 고정캡(330)을 구비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내 침부(300)의 주요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310)은 가늘고 긴 강재의 재질로 구성되어 선단에 첨예부(312), 후단에 침병(314)을 구비하고, 시술시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습된다.
침관(320)은 속이 빈 중공형으로서 내경이 침(310)의 외경보다 크고 수지계열 또는 금속 중의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되며, 침(310)을 삽입하여 침시술시에 첨예부(312)가 피부에 침습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때, 침관(320)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잘 부착되도록 침관(320)에 음압 발생기(325)를 부착할 수 있다.
고정캡(330)은 침병(1b)이 삽입될 수 있는 안내공(33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는 우리나라 전통음계를 오행에 매칭시켜 각 음계와 오행 배속에 따라 음계의 주파수 파장을 조절하여 침을 진동시켜 경혈점을 자극함으로써 침술 시행에 한의학적 오행 개념을 접목시킬 수 있어 피시술자의 체질, 치료 목적 및 환부의 상태에 적합하게 침술을 시행할 수 있고, 음파 자극이 전달되면서 침이 경혈점에서 이탈되거나 삽입방향이 특정방향을 유지하지 못하고 비특이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오음 주파수 생성기
300: 침부

Claims (9)

  1. 오음계의 주파수 및 상기 오음계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는 오음 주파수 생성기;
    상기 변조된 주파수의 진동을 인가받아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습되어 경혈점을 자극하는 침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음 주파수 생성기는
    오행 정보, 환자 정보 및 시술 정보에 따라 적합한 침술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침술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
    전원을 공급받아 주파수를 발진하는 주파수 발진부;
    상기 주파수를 인가받아 상기 침술 프로그램에 응답하여 상기 오음계의 주파수에 따라 주파수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주파수 변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음 주파수 생성기는
    상기 침술 프로그램에 코딩되어 있는 시술 과정별로 기설정된 시술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외부로부터 상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작동키를 통해 상기 침술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시술 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환자 정보 및 상기 시술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침술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술 시간동안 상기 오음 주파수 생성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행 정보는
    인체의 각 장기 및 경혈점과 오행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오행 배속을 분류하고 오행의 상생과 상극 개념을 한의학적 진단과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한의학적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정보는
    피시술자의 병의 종류, 부위, 증상, 정도, 성별, 나이, 신체의 특징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술 정보는
    상기 오행 정보에 따라 상기 피시술자에게 적합하도록 기설정된 치료 시간, 치료 횟수, 시술할 음파의 진폭 및 주파수, 인가 주기, 인가 시간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조부는
    상기 오음계 각각의 본래 주파수와 상기 본래 주파수의 반정수배 및 정수배를 조합하여 주파수를 변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부는
    시술시에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습되는 침;
    내경이 상기 침의 외경보다 큰 중공형으로서 상기 침을 삽입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로 안내하는 침관;
    상기 침의 후단부인 침병이 삽입될 수 있는 안내공을 형성하는 고정캡;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KR1020100134435A 2010-12-24 2010-12-24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KR10145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35A KR101454862B1 (ko) 2010-12-24 2010-12-24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435A KR101454862B1 (ko) 2010-12-24 2010-12-24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599A true KR20120072599A (ko) 2012-07-04
KR101454862B1 KR101454862B1 (ko) 2014-11-03

Family

ID=46707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435A KR101454862B1 (ko) 2010-12-24 2010-12-24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8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22B1 (ko) * 2012-12-24 2014-09-1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침 시술 장치
KR20150072629A (ko)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CN114452197A (zh) * 2021-12-02 2022-05-10 云南白药集团医疗科技合肥有限公司 一种新型智慧无创电子针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0729A (ja) * 2001-06-25 2003-01-07 Family Kk 電気治療器及びプログラム作成方法
KR100573205B1 (ko) * 2002-12-18 2006-04-24 (주)피에조랩 초음파침 장치
US20110034782A1 (en) * 2005-11-30 2011-02-10 Fujikin Corporation Apparatus for body surface stimulation treatment, program for body surface stimulation treatm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 same
KR100978037B1 (ko) * 2008-02-21 2010-08-26 이승영 음악을 이용한 자기장치료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22B1 (ko) * 2012-12-24 2014-09-15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진동 침 시술 장치
KR20150072629A (ko) 2013-12-20 2015-06-30 주식회사 우양이엔지 다색분체도장 집진기
CN114452197A (zh) * 2021-12-02 2022-05-10 云南白药集团医疗科技合肥有限公司 一种新型智慧无创电子针仪
CN114452197B (zh) * 2021-12-02 2024-02-20 云南白药集团医疗科技合肥有限公司 一种新型智慧无创电子针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862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1877B2 (ja) 超音波照射装置とシステム及び超音波照射方法
US11491080B2 (en) System for generating stimulations in relation to medicines, and meridians, organs and tissues of a human body
TW200946101A (en) Therapeutic micro-vibration device
US20190175895A1 (en) Vibration system localized proximate a target artery
KR20120072599A (ko) 전통음계를 이용한 침술 장치
JP6745558B1 (ja) 電気信号生成装置
US20080214973A1 (en) Therapeutic Treatment Device
CN102639093A (zh) 超声波便秘改善器
KR102404071B1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진동과 광음향을 이용한 골전도 음향을 제공하는 인체자극시스템
KR20050102615A (ko) 저주파, 초음파, 칼라테라피 일체형 프로브
WO20161449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moting cellular activities for tissue maintenance, repair, and regeneration
KR20190123190A (ko) 초음파, 저주파 및 온열 치료 기능이 결합된 일체형 패드를 가지는 휴대가 용이한 하지근력 강화 및 관절염 통증치료기
CN104706517A (zh) 一种一体化面瘫治疗箱
CN114588548A (zh) 一种利用磁脉冲及声表面波的减脂装置、减脂系统
Munjewar et al. A Rapid Review on matrix rhythm therapy
US20210236861A1 (en) Portable ultrasonic stimulator
JP6883886B1 (ja) 電気信号生成装置
KR100573205B1 (ko) 초음파침 장치
KR200399217Y1 (ko) 원적외선 및 저주파를 이용한 물리치료기
CN204723375U (zh) 一种一体化面瘫治疗箱
JP7114104B2 (ja) 電気信号生成装置
KR101458083B1 (ko) 파동을 이용한 치료장치
KR101673075B1 (ko) 진동, 초음파 및 레이저를 이용한 다중 자극 치료 장치
KR200287549Y1 (ko) 저주파 치료기
KR20190110220A (ko) 복합 자극 방식의 무릎용 물리치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