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237B1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38237B1 KR101438237B1 KR1020080087292A KR20080087292A KR101438237B1 KR 101438237 B1 KR101438237 B1 KR 101438237B1 KR 1020080087292 A KR1020080087292 A KR 1020080087292A KR 20080087292 A KR20080087292 A KR 20080087292A KR 101438237 B1 KR101438237 B1 KR 101438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t frame
- edge value
- subject
- photographing
- mo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2—Edging; Contou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04N5/145—Movement esti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움직임 변화량이 기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크면 현재프레임을 저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블러링, 움직임, 프레임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자세히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을 제어할 수 있는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사용자들에게 점점 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였다. 특히나 근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자메시지나 사진 또는 동영상 서비스 및 모바일 뱅킹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도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중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사기능을 구비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피사체를 연속하여 촬영할 수도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폰 모듈(12), 제1메모리(14), RF(Radio Ferquency)부(16), 음성 처리부(18), 마이크(20), 스피커(22), 멀티미디어 모듈(24), 제2메모리(26), 키 입력부(28), 표시부(30)를 포함한다.
폰 모듈(12)은 전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1메모리(14)는 롬(ROM) 및 램(RAM)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가지 동작들을 위한 프로그램들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RF부(16)는 송신한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를 포함한다. 음성 처리부(18)는 마이크(20)가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으로 변환하면 이를 펄스 코드 변조(Pulse Code Modulation : PCM)하거나 또는 펄스 코드 변조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2)로 출력한다.
멀티미디어 모듈(24)은 카메라 모듈(32)에서 출력된 프레임 단위의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혹은 YUV(YCbCr) 신호에 대한 감마보정, 색보정 등의 처리를 행한다. 멀티미디어 모듈(50)은 정지 영상 혹은 동영상 데이터들을 표시부(30)에 제공한다. 제2메모리(26)는 촬영 영상(사진)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32)은 렌즈부(34), 촬상소자(36), 신호처리부(38), JPEG 코덱(40), 제3메모리(42)를 포함한다. 촬상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혹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로 구현된다.
렌즈부(34)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입력받는다. 촬상소자(36)는 렌즈 부(34)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신호처리부(38)는 촬상소자(3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JPEG 코덱(40)은 영상 압축을 위한 것이며, 제3메모리(42)는 영상 처리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거나 또는 촬영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 입력부(28)는 사용자가 숫자 혹은 문자 입력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키를 구비하고, 표시부(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하여 각종 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사모드로 촬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연사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셔터 키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2), 셔터 키 입력이 수신되었으면(S42:예) 카메라 모듈(32)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S44). 또한 셔터 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52:아니오)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촬영횟수가 미리 설정된 연사 촬영 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6), 도달할 때까지 촬영을 계속한다(S44).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사모드에서는 촬영횟수 또는 연속 캡처 간격만 설정할 수 있어 피사체의 동작과 무관하게 사진이 촬영된다. 연속 캡처 간격이 짧은 경우, 그 간격에 따른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촬영된 사진들이 대부분 동일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반대로 연속 캡처 간격이 긴 경우에는 그 캡처 간격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렌즈부(34)를 통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이 촬영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뚜렷하지 않고 피사체가 움직인 궤적을 따라 뭉그러져 나타난다. 이와 같이 피사체의 움직인 궤적을 따라 이미지 파일이 뭉그러지는 현상을 '블러링'이라 한다.
따라서 피사체의 움직인 변화를 감지하여 이전에 촬영된 사진에 비하여 피사체의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심한 이미지를 식별하여 저장함으로써 피사체의 다양한 모습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를 포착하여 피사체의 각기 다른 움직임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을 미리 저장된 이전프레임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량이 미리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기준변화량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과, 미리 저장된 이전프레임 및 상기 현재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이전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에 비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큰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저장할 것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사진파일로서 결정된 현재프레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를 포착하여 피사체의 각기 다른 움직임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블러링 현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피사체의 움직임이 완료되기 전에 촬영되는 사진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블러링이 발생하여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사진파일을 지우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을 비교함으로써 촬영 간격과 관계없이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를 명확히 감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사진파일들이 피사체의 각기 다른 움직임을 나타내어 다양해질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연사모드에서 촬영된 사진파일 중 피사체의 움직임 등이 유사한 사진파일을 삭제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제한적인 용량의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카메라 모듈(60), 메모리(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동통신 단말기(50)는 RF부(52), 키 입력부(54) 및 표시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F부(52)는 이동통신 단말기(50)의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52)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54)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및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54)는, 연사모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60)에 의하여 연사모드가 구동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촬영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키 입력부(54)는 연사모드에서의 촬영횟수 또는 촬영간격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으로서, 예를 들어 촬영횟수가 '5번', 촬영간격이 '1초'가 입력되었다면 후술하는 카메라 모듈(60)은 1초의 간격으로 총 5번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와 같은 촬영간격 또는 촬영횟수는 후술하는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으나,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는 것들이다.
표시부(5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5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데이터를 출력한다.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56)는 입력수단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56)는 카메라 모듈(60)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56)는 카메라 모듈(60)에 구비된 렌즈(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0)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파일로서 저장한다. 카메라 모듈(60)은 미리 구비된 렌즈(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사진파일로서 후술하는 메모리(70)에 저장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후술하는 제어부(80)의 제어하에 연사모드를 구동하여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시간 동안 미리 저장된 촬영횟수만큼 연속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미리 저장된 시간 동안 미리 저장된 촬영횟수만큼 연속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연사모드'라 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60)은 이미지 처리부(62), 에지산출부(64), 움직임 측정부(66)를 포함한다.
이미지 처리부(62)는 후술하는 제어부(80)의 제어하에 카메라 모듈(60)에 기 구비된 렌즈(미도시)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 처리함으로써 현재프레임을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부(62)는 카메라 모듈(60)이 연사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현재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현재프레임'은, 카메라 모듈(60)이 현재 시점에서 렌즈(미도시)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처리하여 프레임으로 변환한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이전프레임'은 현재프레임이 처리되기 이전 시점에 생성된 프레임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 이전프레임은 메모리(70)에 이미지 파일형식, 예를 들어 JPEG 형태로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상태의 사진파일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사모드에서의 이전프레임은 현재프레임이 생성되기 직전 시점에 메모리(70)에 저장된 사진파일로서 저장된 프레임을 가리킨다.
이미지 처리부(62)는 제어부(80)의 제어하에 프레임을 JPEG 등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메모리(70)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60)은 이미지 처리부(62) 이외에 JPEG 코덱을 별도로 구비하여 프레임들을 JPEG 형식의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62)는 현재프레임을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사이즈(Size)로 축소하고, 축소한 현재프레임을 미리 구비한 하이패스 필터(미도시)에 통과시킴으로써 샘플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샘플이미지는 카메라 모듈(60)을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에지산출부(64)는 이미지 처리부(62)에서 생성된 샘플이미지를 이용하여 에지값을 산출한다. '에지(Edge)'는 피사체와 피사체가 위치한 배경 간의 경계 등 이미지 중에서도 색상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지값'은 현재프레임 또는 이전프레임에서 나타나는 모든 에지를 수치화하여 더한 값이다. 이와 같은 에지값은 예를 들어, 해당 샘플이미지에서 에지가 나타나는 부분의 픽셀수가 될 수 있다.
에지산출부(64)는 현재프레임 또는 이전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 각각에서 나타는 에지를 수치화하여 에지값을 구한다. 예를 들어 현재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 중 에지가 나타난 픽셀의 수가 125개이면, 현재프레임의 에지값은 '125'가 된다. 다른 예를 들자면, 샘플이미지를 다수 개의 구역으로 나누었을 때, 에지값은 에지가 포함된 구역의 수일 수도 있다. 샘플이미지를 모두 100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그 중 에지가 나타난 구역이 15개라고 하면 그 프레임의 에지값은 '15'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지산출부(64)는 현재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의 에지값인 제1에지값과 이전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의 에지값인 제2에지값의 차를 계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지산출부(64)는 제2에지값이 제1에지값보다 큰 경우를 고려하여 제1에지값 및 제2에지값의 차를 절대값 처리하여 양수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술하지 않았으나, 카메라 모듈(60)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입력받는 렌즈(미도시), CCD 또는 CMOS로 구현되는 촬상소자(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7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5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70)는 현재프레임, 이전프레임 및 각 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70)는 현재프레임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량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인 기준변화량, 현재프레임에서의 블러링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값인 기준에지값을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 른 메모리(70)는 연사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모든 프로그램 및 연사모드에서 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메모리(70)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50)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50)는 복수 개의 메모리(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50)는 예를 들어, 통화 등의 통신 기능을 위한 제1메모리(미도시)와 연사모드 등의 촬영 기능을 위한 제2메모리(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부(80)는 이동통신 단말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80)는 에지산출부(64)에 의하여 제1에지값과 제2에지값의 차가 구해지면, 그 결과값 즉 제1에지값과 제2에지값의 차가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기준에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80)는 제1에지값과 제2에지값의 차가 기준에지값보다 작으면,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반면에 제1에지값과 제2에지값의 차가 기준에지값보다 작지 않으면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80)는 움직임 측정부(66)에서 측정된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현재프레임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이 이전프레임과 구별되게 달라졌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기준변화량보다 큰 경우,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메모리(70)에 저장하도록 카메라 모듈(60)의 이미지 처리부(62)를 제어한다. 반면에 기준변화량보다 크지 않으면, 제어부(80)는 피사체를 재촬영하도록 카메라 모듈(60)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연사모드가 구동되면, 제어부(80)는 키 입력부(54)를 통하여 촬영키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2). 이때, 연사모드는 키 입력부(54)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키 입력부(54)를 통하여 촬영키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S92:아니오), 제어부(80)는 이동통신 단말기(50)가 연사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키 입력부(54)를 통하여 촬영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S92:예), 카메라 모듈(60)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을 생성한다(S94). 이때 제어부(80)는 카메라 모듈(60)에 의해 생성된 현재프레임을 메모리(70)에 임시저장할 수 있다.
현재프레임이 생성되면, 제어부(80)는 단계 S94에서 생성된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6). 블러링(Blurring)은 피사체가 촬영될 때, 렌즈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뭉그러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제어부(80)는 카메라 모듈(60)의 에지산출부(64)가 계산하는 에지값을 이용하여 블러링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가 뭉그러지는 현상 없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이미지만을 사진파일로서 저장하기로 한다. 따라서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한 경우(S96:예), 제어부(80)는 피사체를 재촬영하고 그에 따른 현재프레임을 생성하도록(S94) 이동통신 단말기(50)를 제어할 수 있다.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S96:아니오), 카메라 모듈(60)의 움직임 측정부(66)는 현재프레임과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이전프레임을 비교하여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을 계산한다(S98). 제어부(80)는 움직임 측정부(66)에서 계산된 움직임 변화량이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기준변화량은 연사모드에서 촬영되고 있는 피사체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당업자 등에 의하여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움직임 변화량이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크지 않은 경우(S100:아니오), 제어부(80)는 피사체를 다시 촬영하고 그에 따른 현재프레임을 재생성하도록 카메라 모듈(6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80)는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크지 않은 현재프레임을 메모리(70)에서 삭제할 수 있다.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크지 않다는 것은 현재프레임에 나타나는 피사체의 동작, 상태 또는 위치가 이전프레임의 것과 차이가 매우 적거나 없다는 의미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연사모드에서 피사체의 형체가 뭉그러지지 않으면서 촬영된 사진의 피사체가 각 프레임마다 각기 다른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전프레임에 비하여 움직임의 변화가 적은 프레임은 메모리(70)에 사진파일로서 저장하지 않기로 한다.
단계 S100의 판단결과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큰 경우(S100:예),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메모리(70)에 저장한다. 사진파일로서 저장한다는 것은 렌즈(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영상신호를 디지털 변환처리한 상태에서 임시저장한 데이터를 메모리(70)에 JPEG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그 후 제어부(80)는 연사모드에서 저장한 현재프레임의 수, 즉 사진파일의 개수가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한 경우(S104:예) 제어부(80)는 연사모드를 종료하고,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피사체를 촬영한다(S94).
연사모드는 메모리(70)에 기 저장된 연속촬영횟수만큼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60)은 미리 저장된 연속 캡처 간격, 예를 들어 0.5초마다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S96 내지 S10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단계 S94에서 생성된 현재프레임이 모두 사진파일로서 메모리(70)에 저장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어부(80)는 이동통신 단말기(50)를 제어하여 메모리(70)에 현재프레임이 사진파일로서 저장된 경우에만 그 촬영을 연사촬영횟수 중 한 번의 촬영으로 인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프레임의 블러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연사모드가 구동되면 카메라 모듈(60)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을 생성한다(S94). 이미지 처리부(62)는 현재프레임의 샘플이미지를 생성한다(S110).
이미지 처리부(62)는 제어부(80)의 제어하에 S94에서 생성된 현재프레임을 미리 저장된 사이즈, 예를 들어 640×480 픽셀(Pixel) 또는 320×240 픽셀로 줄여 메모리(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처리부(62)는 상기와 같이 사이즈를 줄인 현재프레임을 하이패스 필터에 통과시켜 샘플이미지를 생성한다. 하이패스 필터를 통과한 현재프레임은 후술하는 도 7의 (e)와 같이 피사체의 윤곽선만 백색으로 나타나고 그 외의 부분은 흑색으로 나타난다.
제어부(80)는 단계 S100에서 생성된 샘플이미지, 즉 현재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의 에지값 'EVN' 및 이전프레임에 대한 에지값 'EVN -1'을 계산한다(S112).
에지는 현재프레임에서는 피사체와 피사체가 위치한 배경 간의 경계 등 이미지 중에서도 색상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지값은 현재프레임 또는 이전프레임에서 나타나는 모든 에지를 수치화하여 더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에지값은 샘플이미지를 해상도를 고려하여 에지가 나타나는 부분의 픽셀수가 될 수 있다.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의 에지값 EVN과 이전프레임의 에지값 EVN-1의 차를 구하고, 그 값의 절대값(|EVN-EVN-1|)이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기준에지값 EVTH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114). 기준에지값 EVTH는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값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단계 S114의 판단결과 현재프레임 및 이전프레임의 에지값의 차가 기준에지값 EVTH보다 작으면(S114:예),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S116).
이때 이전프레임은 현재프레임이 생성되기 이전에 사진파일로서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상태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전프레임은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연사모드에서 카메라 모듈(60)이 동일한 피사체를 미리 저장된 시간 간격으로 촬영하고 있으므로 현재프레임의 에지값은 이전프레임의 에지값과 실질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프레임의 에지값을 현재프레임의 에지값과 함께 산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전프레임이 현재프레임이 생성되기 이전에 메모리(70)에 사진파일로서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전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 또는 그에 대한 에지값도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단계 S114의 판단결과, 현재프레임의 에지값 EVN과 이전프레임의 에지값 EVN -1의 차의 절대값이 기준에지값 EVTH보다 작지 않으면(S114:아니오),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고, 이동통신 단말기(50)를 제어하여 다시 피사체를 촬영하고 현재프레임을 생성한다(S9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연사모드가 구동되면 카메라 모듈(60)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 및 현재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를 생성한다(S122).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4), 블러링이 발생한 경우에는(S124:예) 피사체를 재촬영하도록 카메라 모듈(60)을 제어한다(S122).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S124:아니오), 카메라 모듈(60)의 움직임 측정부(66)는 현재프레임 및 이전프레임의 샘플이미지를 비교하여 현재프레임에서의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량을 측정한다(S126).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이 메모리(70)에 미리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S128).
움직임 변화량은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을 비교하였을 때 피사체가 이전프레임에 비하여 얼마나 움직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변화량은 예를 들어,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에 포함된 각 픽셀의 RGB값이 될 수 있다.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은 동일한 피사체를 동일한 사이즈로 미리 저장된 연속캡처간격으로 촬영한 것이다. 따라서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에 동일한 좌표계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프레임의 좌표 (5, 15)에 위치하는 픽셀의 RGB값이 '244'인데, 현재프레임에서의 RGB값이 '135'라면 피사체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RGB값이 변경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움직임 측정부(66)는 RGB값이 달라진 픽셀의 개수를 세고, 그 개수가 미리 저장된 값(기준변화량)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어부(80)가 피사체의 움직임이 이전프레임과 비교하여 확연하게 달라진 것으로 결정한다.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크지 않은 경우(S128:아니오), 제어부(80)는 피사체를 다시 촬영하도록 카메라 모듈(60)을 제어한다. 단계 S128의 판단 결과, 현재프레임이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큰 경우(S128:예),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메모리(70)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80)는 현재프 레임을 JPEG 등의 형식으로 변환하도록 이미지 처리부(62)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이전프레임을 도시한 것이고 (b)는 현재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c) 및 (d)는 하이패스 필터에 통과시키기 전의 이전프레임 및 현재프레임의 샘플이미지를 도시한 것이고, (e)는 이전프레임과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a) 및 (b)와 같은 이전프레임 및 현재프레임을 각각 (c) 및 (d)와 같이 사이즈를 축소한다. 또한 (c) 및 (d)와 같이 축소한 프레임들을 하이패스 필터에 통과시켜 (e)와 같은 샘플이미지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e)는 이전프레임 및 현재프레임의 샘플이미지를 합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프레임의 샘플이미지를 생성할 때, 제어부(80)는 현재프레임을 하이패스 필터에 통과시키고 있다. 현재프레임이 하이패스 필터를 통과하여 생성된 샘플이미지 중 에지는 'FFFFFF'의 RGB값을 가지는 백색으로, 나머지 부분은 '000000'의 RGB값을 갖는 흑색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샘플이미지의 각 픽셀당 RGB값을 구하여 RGB값이 '000000'이면 그 픽셀의 에지값을 '0'이라 하고, 'FFFFFF'이면 그 픽셀의 에지값이 '1'인 것으로 가정한다.
(e)에서 각 프레임의 에지는 하얀색으로 그외의 부분은 검은색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전프레임 및 현재프레임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변화하지 않은 부분은 샘플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에지의 위치가 동일하므로 (e)와 같이 합성하여도 에지가 겹쳐져 나타난다. 반면에 피사체의 움직임이 변화한 부분은 에지의 위치가 각기 달라지므로 (e)와 같이 에지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피사체의 움직임이 확연하게 달라진 경우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메모리(70)에 저장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50)는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를 감지하여 피사체가 움직임을 완료한 경우, 또는 피사체가 움직임 도중에 일시정지한 경우에만 해당 사진파일을 저장함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라 달라지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정확히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사모드로 촬영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프레임의 블러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촬영된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4)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에 있어서,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과,상기 현재프레임에 대한 제1에지값을 계산하는 과정과,상기 제1에지값과, 미리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 대한 제2에지값의 차를 계산하고, 상기 제1에지값과 상기 제2에지값의 차가 미리 저장된 기준에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제1에지값과 상기 제2에지값의 차가 상기 기준에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과,상기 현재프레임을 상기 이전프레임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미리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기준변화량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프레임에 대한 제1에지값을 계산하는 과정은,상기 현재프레임에 대한 샘플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과,상기 샘플이미지에 대한 제1에지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에지값과 상기 제2에지값의 차가 상기 기준에지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상기 현재프레임의 샘플이미지 및 상기 이전프레임에 대하여 기 저장된 샘플이미지를 각각 비교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량을 계산하는 과정과,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기준변화량보다 크면, 상기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저장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기준변화량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을 상기 사진파일로서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항에 있어서,연사모드 실행시 사용자로부터 촬영키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촬영키 입력을 수신하였으면, 미리 저장된 연사촬영횟수만큼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저장한 사진파일의 개수가 미리 저장된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진파일의 개수가 상기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촬영을 반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장치에 있어서,피사체를 촬영하여 현재프레임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과,상기 현재프레임에 대한 제1에지값을 계산하고, 상기 제1에지값과 미리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 대한 제2에지값의 차를 계산하고, 상기 제1에지값과 상기 제2에지값의 차가 미리 저장된 기준에지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에지값과 상기 제2에지값의 차가 상기 기준에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현재프레임을 상기 이전프레임과 비교하여 상기 현재프레임의 움직임 변화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량이 미리 저장된 기준변화량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량이 기준변화량보다 큰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저장할 것을 결정하는 제어부와,상기 사진파일로서 결정된 현재프레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 모듈은,상기 현재프레임에 대한 제1샘플이미지 및 상기 이전프레임에 대한 제2샘플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부와,상기 제1에지값으로서 상기 제1샘플이미지에 포함된 에지에 대한 제1에지값을 구하고, 상기 제2에지값으로서 상기 제2샘플이미지에 포함된 에지에 대한 제2에지값을 구하며, 상기 제1에지값과 상기 제2에지값의 차를 계산하는 에지산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제1에지값과 제2에지값의 차가 상기 기준에지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프레임에 블러링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9항에 있어서,상기 카메라 모듈은,상기 제1샘플이미지 및 상기 제2샘플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피사체의 움직임 변화량을 계산하는 움직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기준변화량보다 크면, 상기 현재프레임을 사진파일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움직임 변화량이 상기 기준변화량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현재프레임을 상기 사진파일로서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8항에 있어서,사용자로부터 촬영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어부는, 연사모드 수행시 상기 촬영키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촬영키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연사촬영횟수만큼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상기 피사체를 촬영하여 저장한 사진파일의 개수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진파일의 개수가 상기 연사촬영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촬영을 반복하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7292A KR101438237B1 (ko) | 2008-09-04 | 2008-09-04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
US12/553,550 US7929853B2 (en) | 2008-09-04 | 2009-09-03 |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pictures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mera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87292A KR101438237B1 (ko) | 2008-09-04 | 2008-09-04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8315A KR20100028315A (ko) | 2010-03-12 |
KR101438237B1 true KR101438237B1 (ko) | 2014-09-04 |
Family
ID=41726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87292A KR101438237B1 (ko) | 2008-09-04 | 2008-09-04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7929853B2 (ko) |
KR (1) | KR10143823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50916B2 (en) | 2013-05-28 | 2016-05-24 | Apple Inc. | Interleaving image processing and image capture operations |
US9491360B2 (en) | 2013-06-06 | 2016-11-08 | Apple Inc. | Reference frame selection for still image stabilization |
US9384552B2 (en) | 2013-06-06 | 2016-07-05 | Apple Inc. | Image registration methods for still image stabilization |
US9262684B2 (en) | 2013-06-06 | 2016-02-16 | Apple Inc. | Methods of image fusion for image stabilization |
US20150071547A1 (en) | 2013-09-09 | 2015-03-12 | Apple Inc. | Automated Selection Of Keeper Images From A Burst Photo Captured Set |
US10225511B1 (en) | 2015-12-30 | 2019-03-05 | Google Llc | Low power framework for controlling image sensor mode in a mobile image capture device |
US10732809B2 (en) | 2015-12-30 | 2020-08-04 | Google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retention and editing of images captured by mobile image capture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32874A1 (en) * | 2005-12-09 | 2007-06-14 | Forman George H | Selecting quality images from multiple captured images |
US20070237514A1 (en) * | 2006-04-06 | 2007-10-11 | Eastman Kodak Company | Varying camera self-determination based on subject motion |
-
2008
- 2008-09-04 KR KR1020080087292A patent/KR10143823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
- 2009-09-03 US US12/553,550 patent/US792985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32874A1 (en) * | 2005-12-09 | 2007-06-14 | Forman George H | Selecting quality images from multiple captured images |
US20070237514A1 (en) * | 2006-04-06 | 2007-10-11 | Eastman Kodak Company | Varying camera self-determination based on subject mo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056211A1 (en) | 2010-03-04 |
US7929853B2 (en) | 2011-04-19 |
KR20100028315A (ko) | 2010-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6597B1 (ko) | 광학 촬영 방법 및 장치 | |
JP4872797B2 (ja) |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 |
US7706674B2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 |
KR101438237B1 (ko) |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촬영방법 및 촬영장치 | |
US8963949B2 (en) | Image selection and combination method and device | |
US10027909B2 (en) |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 |
US20040012682A1 (en) | Image capturing apparatus | |
KR100469727B1 (ko) | 통화자의 얼굴을 화면 가운데에 위치시킬 수 있는화상통신용 통신단말기 및 방법 | |
KR20050033949A (ko) | 휴대용 단말기의 오토줌임 제어방법 | |
JP2004023158A (ja) | 画像撮像装置 | |
JP2009094946A (ja) |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肖像権保護方法 | |
US8254775B2 (en) | Autofocus control method | |
KR101336951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파노라마 이미지 촬영 모드 수행 방법 | |
KR100734107B1 (ko) | 상태 표시자를 이용한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 |
US8189055B2 (en) |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WO2007039947A1 (ja) | 画像補正装置及び画像補正方法 | |
KR101630307B1 (ko) |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
JP2001255451A (ja) | 自動合焦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携帯情報入力装置 | |
JP4632417B2 (ja)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KR100609670B1 (ko) | 개선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JP2013190791A (ja) | 携帯端末機のイメージ撮影装置及び方法 | |
JP5182395B2 (ja) |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 |
JP3845407B2 (ja) | 携帯端末および撮像記録方法 | |
EP4304188A1 (en) |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medium and chip | |
KR101445610B1 (ko) |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