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094B1 -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094B1
KR101437094B1 KR1020110069338A KR20110069338A KR101437094B1 KR 101437094 B1 KR101437094 B1 KR 101437094B1 KR 1020110069338 A KR1020110069338 A KR 1020110069338A KR 20110069338 A KR20110069338 A KR 20110069338A KR 101437094 B1 KR101437094 B1 KR 10143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hot air
thin film
particle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8773A (ko
Inventor
버어 양
Original Assignee
버어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버어 양 filed Critical 버어 양
Priority to KR102011006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0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 F26B17/107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fluid currents, e.g. issuing from a nozzle, e.g. pneumatic, flash, vortex or entrainment dryers pneumatically inducing within the drying enclosure a curved flow path, e.g. circular, spiral, helical; Cyclone or Vortex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22Controlling the drying process in dependence on liquid cont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건조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 함유량이 5%이하인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은 플라스틱 건조라인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건조기에 의해 탈수된 플라스틱을 플라스틱 용점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를 진행하고, 마지막에 사이클론 호퍼에 의해 배출이 되어, 건조된 플라스틱이 완성되며, 이러한 플라스틱은 직접 펠렛팅에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연건조의 절차를 줄이고, 2차 오염을 방지하며, 또한 생산주기를 대폭 단축시키고, 생산효율도 향상되어, 펠렛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A PLASTIC DRY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플라스틱 건조라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 함유량이 5%이하인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더불어, 우리나라(중국) 국민들의 생활수준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 폐플라스틱을 회수하여 펠렛팅하는 공정은, 펠렛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먼저 회수된 폐플라스틱을 세척한 후 박막 건조기를 통하여 탈수를 진행한다. 상기 절차를 거친 박막의 수분 함유량은 보통 15~25%인데, 이는 펠렛팅의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그러므로 박막에 대해 자연건조를 실시하고, 박막의 수분 함유량을 3%이하에 달하도록 하여, 펠렛팅의 기준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자연 건조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생산 주기가 연장되며, 따라서 생산 효율성도 떨어진다.
또한, 자연건조 과정에서, 공기 중의 먼지 등 오염물질은 세척한 박막을 재차 오염시킨다.
종래의 플라스틱 건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은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를 안출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건조방법은, 먼저 세척한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또는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기에 넣어 탈수하고, 그 후에 탈수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라인으로 이송하며, 상기 플라스틱 조각의 직경은 0.1mm~10mm이며, 또한 서모스탯 히터를 사용하여 건조라인의 건조관의 열풍 온도를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높게 제어하여, 열풍 온도는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50℃ 이상 높은 온도가 되게 하고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80℃ 이상 높지 않게 한다. 또한,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에 대해 건조를 진행하고, 건조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 표면의 수분 함유량을 3%~5%가 되도록 한다.
상기 열풍 온도는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60℃ 높다.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또는 상기 플라스틱 조각은 LLDPE, LDPE, MDPE, HDPE, PP, PET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LLDPE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70℃이고;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LDPE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75℃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MDPE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90℃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HDPE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95℃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PP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75℃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PVC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220℃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PET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330℃이다.
이어서, 상기 플라스틱 건조장치는, 하나의 건조관, 상기 건조관이 연결되어 수증기가 배출되는 사이클론 호퍼, 상기 건조관을 가열하는 서모스탯 히터와 송풍기가 포함되고, 상기 서모스탯 히터는 건조관의 온도를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50℃ 이상 높은 온도가 되게 제어하고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80℃ 이상 높지 않게 제어하며, 송풍기는 상기 사이클론 호퍼에 부압을 형성하여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관에 경유되도록 하며, 수분이 제거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이 배출되는 사이클론 호퍼의 저부 배출구는 송풍기와 건조관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건조관은 나선식 건조관이고, 상기 나선식 건조관의 나선 코너는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송풍기에 인해 앞으로 이동될 때 방향을 바꾸게 하며, 이는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의 각 면이 모두 건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나선식 건조관의 직경은 159mm~300mm이다.
또한, 상기 서모스탯 히터는 자동 서모스탯, 자동 히터 및 자동 온도센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상기 건조관을 통과하는 열풍의 유량은 l000m3/h~10000m3/h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플라스틱 건조라인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건조기에 의해 탈수된 플라스틱을 플라스틱 용점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열풍으로 건조를 진행하고, 마지막에 사이클론 호퍼에 의해 배출이 되어, 건조된 플라스틱이 완성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직접 펠렛팅에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연건조의 절차를 줄이고, 2차 오염을 방지하며, 또한 생산주기를 대폭 단축시키고, 생산효율도 향상되어, 펠렛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이하, 실시 예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방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건조장치는, 하나의 건조관(10), 상기 건조과(10)이 연결되어 수증기가 배출되는 사이클론 호퍼(20), 상기 건조관(10)을 가열하는 서모스탯 히터(30)와 송풍기(40)가 포함되고, 상기 서모스탯 히터(30)는 건조관(10)을 가열하여 상기 건조관(10) 내의 열풍의 온도가 아래에 열거된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50℃ 이상 높은 온도가 되게 하고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80℃ 이상 높지 않게 제어하며, 송풍기(40)는 사이클론 호퍼(20)에 부압을 형성하여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관(10)에 경유되도록 하며, 수분이 제거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이 배출되는 사이클론 호퍼(20)의 저부 배출구(22)는 송풍기(40)와 건조관(10)의 입구 사이에 설치된다. 수증기는 사이클론 호퍼(20)의 증기배출구(21)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건조관은 나선식 건조관이고, 상기 나선식 건조관의 나선 코너는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송풍기에 인해 앞으로 이동될 때 방향을 바꾸게 하며, 이는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의 각 면이 모두 건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굴곡관의 직경은 159mm~300mm이다. 또한, 상기 서모스탯 히터는 자동 서모스탯, 자동 히터 및 자동 온도센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건조방법은, 먼저 세척한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기에 넣어 탈수하고, 그 후에 탈수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라인에 이송하며, 상기 플라스틱 조각의 직경은 0.1mm~10mm이며, 또한 서모스탯 히터를 사용하여 라인의 건조관을 가열하여 열풍 온도를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높게 제어하여, 열풍 온도를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50℃ 이상 높은 온도가 되게 제어하고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80℃ 이상 높지 않게 제어한다. 이와 같이 열풍 온도는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높은 조건하에서,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에 대해 건조를 진행하고, 건조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 표면의 수분 함유량을 3%~5%가 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세척한 조각형상의 LLDPE박막을 박막건조기1에 넣어, 일부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LLDPE박막의 수분 함유량을 20%내외가 되도록 한다. 그 후에, 플라스틱건조기1의 배출구에서 나온 LLDPE박막은 건조라인에 의해 굴곡관에 흡입되고, LLDPE박막 표면의 일부 수분은 자동 서모스탯 히터와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열풍에 의해 가열 증발된다. 또한 수증기는 사이클론 호퍼를 경유할 때, 사이클론 호퍼의 증기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LLDPE박막 표면의 대부분 수분을 제거한다. 보통 LLDPE박막의 용점은 약 110℃이고, 열풍 도관의 열풍 온도는 170℃내외로 제어되며, 전체 도관의 풍량은 7000m3/h로 제어된다. 동시에 LLDPE박막이 전체 라인 중에 머무는 시간은 10분 내외이고, 마지막으로 건조된 LLDPE박막은 사이클론 호퍼의 하부 배출구(22)로 배출되며, LLDPE 박막의 수분 함유량은 보통 3%이하이기 때문에, 직접 펠렛팅에 사용되고, 자연건조의 절차를 줄이며, 2차 오염을 방지하며, 또한 생산주기를 대폭 단축시키고, 생산효율도 향상되어, 펠렛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
먼저 세척한 조각형상의 LDPE박막을 플라스틱건조기1에 넣어, 일부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LDPE박막의 수분 함유량을 25%내외가 되도록 한다. 그 후에, 플라스틱건조기의 배출구에서 나온 LDPE박막은 건조라인에 의해 건조관에 흡입되고, LDPE박막 표면의 일부 수분은 자동 서모스탯 히터와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열풍에 의해 가열 증발된다. 또한 수증기는 사이클론 호퍼를 경유할 때, 사이클론 호퍼의 증기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LDPE박막 표면의 대부분 수분을 제거한다. 보통 LDPE박막의 용점은 약 115℃이고, 열풍 도관의 열풍 온도는 175℃내외로 제어되며, 전체 도관의 풍량은 7000m3/h로 제어된다. 동시에 LDPE박막이 전체 라인 중에 머무는 시간은 10분 내외이고, 마지막으로 건조된 LDPE박막의 수분 함유량은 3%이하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범위에서 이탈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관련된 여러 변형 및 개량형태는 모두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건조관,20:사이클론 호퍼, 30:서모스탯 히터, 40:송풍기, 21:증기배출구, 22:저부 배출구

Claims (9)

  1. 플라스틱 건조방법에 있어서,
    먼저 세척한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또는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기에 넣어 탈수하고, 그 후에 탈수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을 건조라인에 이송하며, 상기 플라스틱 조각의 직경은 0.1mm~10mm이며, 또한 서모스탯 히터를 사용하여 건조라인의 건조관 열풍 온도를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높게 제어하여, 열풍 온도를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50℃ 이상 높은 온도가 되게 하고,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80℃ 이상 높지 않게 하고, 플라스틱 입자, 플라스틱 박막, 플라스틱 조각에 대해 건조를 진행하며, 건조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 표면의 수분 함유량을 3%~5%에 되도록 한 플라스틱 건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온도는 상기 플라스틱의 용점온도보다 60℃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건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또는 상기 플라스틱 조각은 LLDPE, LDPE, MDPE, HDPE, PP, PET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건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LLDPE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70℃이고;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LDPE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75℃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MDPE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90℃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HDPE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95℃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PP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175℃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PVC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220℃이며;
    상기 플라스틱 입자, 상기 플라스틱 박막, 상기 플라스틱 조각이 PET재료인 경우에는 열풍 온도는 3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건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0069338A 2011-07-13 2011-07-13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43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338A KR101437094B1 (ko) 2011-07-13 2011-07-13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338A KR101437094B1 (ko) 2011-07-13 2011-07-13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73A KR20130008773A (ko) 2013-01-23
KR101437094B1 true KR101437094B1 (ko) 2014-09-02

Family

ID=4783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338A KR101437094B1 (ko) 2011-07-13 2011-07-13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6274A1 (zh) * 2014-05-22 2015-11-26 王邦枝 节能快速干燥设备
CN105546956B (zh) * 2016-01-22 2017-09-29 昆山美弧橡塑机械有限公司 一种破碎薄膜二次干燥装置
CN111189307A (zh) * 2019-12-27 2020-05-22 湖州奥捷节能保温建材有限公司 一种真石仿生复合保温材料生产用干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248A (ja) 1999-05-14 2001-02-06 Canon Inc 再生プラスチック材料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方法及び再生プラスチック材料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材料の再利用方法
JP2003509249A (ja) 1999-09-17 2003-03-11 ビジー プラスティックス プロプライアタリー リミティド 廃pet容器から食品接触グレード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を製造する方法
JP2010510084A (ja) 2006-11-17 2010-04-02 シーブイピー クリーン バリュー プラスティ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あらゆるプラスチック廃棄物、とくには混合プラスチックをリサイクルするための方法
JP2011006521A (ja) 2009-06-23 2011-01-13 S-Company:Kk リサイクルpetペレットの製造方法、ペレ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248A (ja) 1999-05-14 2001-02-06 Canon Inc 再生プラスチック材料及びこれ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プラスチック部品の製造方法及び再生プラスチック材料の製造方法及びプラスチック材料の再利用方法
JP2003509249A (ja) 1999-09-17 2003-03-11 ビジー プラスティックス プロプライアタリー リミティド 廃pet容器から食品接触グレード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を製造する方法
JP2010510084A (ja) 2006-11-17 2010-04-02 シーブイピー クリーン バリュー プラスティクス ゲーエムベーハー あらゆるプラスチック廃棄物、とくには混合プラスチックをリサイクルするための方法
JP2011006521A (ja) 2009-06-23 2011-01-13 S-Company:Kk リサイクルpetペレットの製造方法、ペレ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73A (ko)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22454B (zh) 基于机械式蒸汽再压缩的湿粕干燥系统及干燥工艺
CN204177171U (zh) 热风循环利用烘干装置
KR101437094B1 (ko) 플라스틱 건조방법 및 그 장치
CN106239832A (zh) 一种除湿干燥送料装置
CN208282584U (zh) 一种pvc颗粒烘干箱
CN102213540B (zh) 一种塑料干燥方法及其装置
CN202813987U (zh) 物料干燥设备
CN205905239U (zh) 一种塑料烘干机
CN205695445U (zh) 一种醇法浓缩蛋白脱溶装置
CN102706113B (zh) 一种自热型羽毛脱水机
CN208327788U (zh) 一种中低温带式污泥热干化系统
CN204196041U (zh) 一种注塑烘干给料系统
CN207140143U (zh) 一种塑料颗粒除湿干燥机
CN204307381U (zh) 一种离心式喷雾干燥和回收系统
CN101285641B (zh) 薄膜干燥流水线及用该流水线去除薄膜表面水份的方法
CN203863874U (zh) 一种热塑性聚氨酯原料干燥机
CN204313621U (zh) 一种颗粒饲料干燥设备
CN204263399U (zh) 一种注塑机物料烘干装置
CN104697296A (zh) 一种聚碳酸酯含水薄片的干燥系统与干燥工艺
CN208254103U (zh) 木屑干燥塔
CN203418670U (zh) 料斗烘干装置
CN204319956U (zh) 一种结构改良的过滤器
CN104002393A (zh) 一种热塑性聚氨酯原料干燥机
CN105716405A (zh) 一种颗粒塑料干燥系统
CN204930206U (zh) 一种用于奶粉生产的浓缩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