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683B1 -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 Google Patents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683B1
KR101436683B1 KR1020120012647A KR20120012647A KR101436683B1 KR 101436683 B1 KR101436683 B1 KR 101436683B1 KR 1020120012647 A KR1020120012647 A KR 1020120012647A KR 20120012647 A KR20120012647 A KR 20120012647A KR 101436683 B1 KR101436683 B1 KR 10143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s
knitting machine
needle
weaving
c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1608A (ko
Inventor
신은주
박철환
Original Assignee
신은주
박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은주, 박철환 filed Critical 신은주
Priority to KR102012001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68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68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니들 실린더에 설치된 바늘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과 레이싱 캠유닛을 부분적으로 개조한 덧버선 제직장치와, 덧버선의 밴드부와 발뒤꿈치, 그리고 발 앞부분을 봉재를 하지 않고 일체로 연결시켜 제직하는 제직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늘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가 캠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고, 니들 실린더를 중심으로 각종 캠 유닛들이 설치되어 바늘들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덧버선 제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캠 유닛들 중에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과 레이싱 캠유닛의 일측에 니들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바늘들을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편이 형성된 작동간을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여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전 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덧버선 제직장치를 사용하면서, 니들 실린더에 설치된 200개의 바늘 중에 먼저 100개의 바늘을 사용해서 덧버선의 밴드부와 발뒤꿈치, 발바닥을 제직하고 다시 100개의 바늘을 더 사용해서 총 200개의 바늘로 발 앞부분을 연속적으로 제직하는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Description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Outer socks, the weaving device and weaving way that use socks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니들 실린더에 설치된 바늘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과 레이싱 캠유닛을 부분적으로 개조하여 덧버선의 밴드부와 발뒤꿈치와 발바닥, 그리고 발 앞부분을 연속적으로 제직 할 수 있는 제직장치와, 덧버선의 밴드부와 발뒤꿈치, 그리고 발 앞부분을 봉재를 하지 않고 일체로 연결시켜 제직하는 제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양말편직기는 양말을 제직하는 것으로 바늘이 니들 실린더에 설치되고, 상기 바늘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가 회전하면서 바늘들이 레이스홈을 따라 차례로 승하강하면서 원통형으로 양말이 제직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양말편직기는 일반적인 양말, 즉 양말의 밴드부와 목부분, 발뒤꿈치, 발등 및 바닥과, 양말의 앞쪽부분을 원통형 단일체로 제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양말편직기는 양말과 같이 목부분이 없고, 발등 부분이 오픈되어 있는 덧버선을 제직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직물을 봉재하는 수단으로 덧버선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직물을 사용해서 덧버선을 봉재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원가가 비싸게 형성되고, 봉재에 따른 연결부분에 의해서 착용감과 외관적인 미감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말편직기를 개조한 덧버선 제직장치가 개시되고 있으나, 구조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개조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과 캠유닛의 작동에서 정밀성이 떨어지는 등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과 레이싱 캠유닛을 간단하게 개조하여 양말편직기에서 덧버선을 제직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과 레이싱 캠유닛의 작동으로 바늘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덧버선의 밴드부와 발뒤꿈치와 발바닥, 그리고 발 앞부분을 일체로 제직하는 덧버선 제직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늘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가 캠 플레이트의 중심부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고, 니들 실린더를 중심으로 각종 캠 유닛들이 설치되어 바늘들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덧버선 제직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캠 유닛들 중에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과 레이싱 캠유닛의 일측에 니들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바늘들을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터치편이 형성된 작동간을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여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전 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덧버선 제직장치를 사용하면서, 니들 실린더에 설치된 200개의 바늘 중에 먼저 100개의 바늘을 사용해서 덧버선의 밴드부와 발뒤꿈치, 발바닥을 제직하고 다시 100개의 바늘을 더 사용해서 총 200개의 바늘로 발 앞부분을 연속적으로 제직하는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장치는,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과 레이싱 캠유닛을 간편하게 개조하는 것으로 덧버선을 제직 할 수 있는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장치가 저렴하게 제공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방법에 의하면, 봉재를 하지 않고 덧버선의 밴드부와 발뒤꿈치와 발바닥, 그리고 발 앞부분을 연결시켜 제직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감과 외관이 미려한 덧버선을 저렴한 생산원가로 제공하여 대외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레이싱 캠유닛의 사시도
도 5는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레이싱 캠유닛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6의 가,나,다는 양말편직기를 구성하는 바늘을 보인 정면도
도 7, 8은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장치에서 제직된 덧버선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장치는, 대,중,소 바늘귀(20')(21')(22')가 형성된 바늘(20)(21)(22)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25)가 캠 플레이트(26)의 중심부에 공지의 니들 실린더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토록 구성되며,
상기 니들 실린더(25)를 중심으로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과 레이싱 캠유닛(10)외에 각종 캠 유닛(27)들을 설치하여 바늘 레이스 홈(28)이 형성되고, 니들 실린더 구동수단에 의해서 니들 실린더(25)에 설치된 바늘(20)(21)(22)들이 니들 실린더(25)와 함께 회전하면서 바늘 레이스 홈(28)을 따라 유도되면서 양발이 제직되도록 구성된 공지의 양말편직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캠 유닛들 중에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과 레이싱 캠유닛(10)의 일측에 니들 실린더의 회전 작용으로 니들 실린더에 설치되어 있는 바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바늘제어 수단(1')(10')이 각각 구성된다.
상기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에 구성된 바늘제어 수단(1')은, 블록(2)의 일측에 바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편(3)이 형성되고, 작동간을 안내하기 위한 장방형 볼트공(5)이 형성된 작동간(4)을 가이드 볼트(6)로 설치하고, 작동간의 복귀작용을 위한 코일스프링(7)의 일측은 작동간(4)에, 코일스프링(7)의 타측은 블록(2)에 설치하며, 상기 작동간의 후미에는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하는 로드(8)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레이싱 캠유닛(10)에 구성된 바늘제어 수단(10')은, 블록(11)의 일측에 바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편(12)이 형성되고, 작동간을 안내하기 위한 장방형 볼트공(13)이 형성된 작동간(14)을 가이드 볼트(15)로 설치하고, 작동간의 복귀작용을 위한 코일스프링(16)의 일측은 작동간(14)에, 코일스프링(16)의 타측은 블록(11)에 설치하며, 상기 작동간의 후미에는 공압실린더의 로드(18)에 의해서 작동하는 'ㄴ'자형 로드(17)를 밀착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덧버선, 51, 510은 덧버선의 밴드부, 52는 발뒤꿈치와 발바닥, 53, 520은 발 앞부분, 530은 발뒤꿈치, 540은 발 등 밴드부, 550은 발 목부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장치의 작용과 상기 작용에 의해서 덧버선을 제직하는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장치의 경우에도 일반적 양말편직기 같이 대,중,소 바늘귀(20')(21')(21')가 형성된 바늘(20)(21)(22)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25)가 캠 플레이트(26)의 중심부에 공지의 니들 실린더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하면서 니들 실린더(25)를 중심으로 설치된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과 레이싱 캠유닛(10)외에 각종 캠 유닛(27)들에 의해서 형성된 바늘 레이스 홈(28)을 따라 대,중,소 바늘귀(20')(21')(21')들이 유도되면서 양발을 제직하는 것으로 이러한 작용은 일반적인 작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덧버선 제직장치에 의한 작용을 설명함과 동시에 발목부가 없는 덧버선과 발목부가 있는 덧버선 제직방법을 각각 살펴본다.
먼저,발목부가 없는 덧버선의 경우에는 대,중,소 바늘귀(20')(21')(21')가 형성된 바늘(20)(21)(22)들을 니들 실린더(25)에 설치할 때, 니들 실린더(25)의 1/2에는 중,소 바늘귀(21')(21')가 형성된 바늘(21)(22)을 교호되게 설치하고, 나머지 1/2에는 대,중,소 바늘귀(20')(21')(21')가 형성된 바늘(20)(21)(22)들을 설치한 후, 니들 실린더(25)를 공지의 니들 실린더 구동수단에 의해서 니들 실린더(25)를 최초에 180도 왕복되게 회전시켜 중,소 바늘귀(21')(21')가 형성된 바늘(21)(22)을 사용해서 덧버선의 밴드부(51) 하단을 제직한다.
그리고, 캠 유닛들 중에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과 레이싱 캠유닛(10)에 구성된 바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바늘제어 수단(1')(1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을 구성하는 작동간(4)의 후미에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하는 로드(8)가 작동하여 바늘들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편(3)이 형성된 작동간(4)을 밀어준다.
상기 작용으로 작동간(4)은 가이드 볼트(6)를 따라 전진하게 되므로 작동간(4)에 형성된 터치편(3)이 바늘 레이스 홈(28)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중 바늘귀(21')만 걸릴 수 있게 한다.
또 레이싱 캠유닛(10)을 구성하는 작동간(14)의 후미에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하는 로드(18)가 'ㄴ'자형 로드(17)를 밀어주면, 바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편(12)이 형성된 작동간(14)을 밀어주게 된다.
상기 작용으로 작동간에 형성된 터치편(12)이 바늘 레이스 홈(28)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중 바늘귀(21')만 걸릴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한 상태에서 덧버선의 밴드부(51)를 제직하게 되면,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 중에 50개의 소 바늘귀(22')가 형성된 바늘(22)만 제직에 가담하여 제직하게 되며, 이렇게 일정폭의 밴드부(51)를 제직되면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과 레이싱 캠유닛(10)에 구성된 바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바늘제어 수단(1')(10')을 작동하여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을 구성하는 터치편(3)이 형성된 작동간(4)과 레이싱 캠유닛(10)을 구성하는 터치편(12)이 형성된 작동간(14)을 후진시켜 다시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를 사용해서 덧버선의 밴드부(51) 하단을 제직하고 이어서 발뒤꿈치 및 발바닥(52)을 제직한다.
그 후, 대,중,소 바늘귀(20')(21')(21')가 형성된 바늘(20)(21)(22)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25)를 공지의 니들 실린더 구동수단에 의해서 360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대,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200개 전체를 사용해서 발 앞부분(53)을 제직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목부가 있는 덧버선 제직방법의 경우에도 상기한 덧버선 제직장치에 의한 작용과 동일하고, 제직방법에서는 발 앞부분을 먼저 제직하고, 발목부를 마지막으로 제직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우선, 덧버선 제직장치룰 구성하는 니들 실린더(25)를 공지의 니들 실린더 구동수단에 의해서 바늘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25)를 최초에 180도 왕복되게 회전시켜 중,소 바늘귀(21')(21')가 형성된 바늘(21)(22)을 사용해서 덧버선의 밴드부(510) 하단을 제직한다.
그리고, 캠 유닛들 중에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과 레이싱 캠유닛(10)에 구성된 바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바늘제어 수단(1')(10')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을 구성하는 작동간(4)의 후미에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하는 로드(8)가 작동하여 바늘들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편(3)이 형성된 작동간(4)을 밀어준다.
상기 작용으로 작동간(4)은 가이드 볼트(6)를 따라 전진하게 되므로 작동간(4)에 형성된 터치편(3)이 바늘 레이스 홈(28)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중 바늘귀(21')만 걸릴 수 있게 한다.
또 레이싱 캠유닛(10)을 구성하는 작동간(14)의 후미에 공압실린더에 의해서 작동하는 로드(18)가 'ㄴ'자형 로드(17)를 밀어주면, 바늘의 이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편(12)이 형성된 작동간(14)을 밀어주게 된다.
상기 작용으로 작동간에 형성된 터치편(12)이 바늘 레이스 홈(28)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중 바늘귀(21')만 걸릴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한 상태에서 덧버선의 밴드부(510)를 제직하게 되면,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 중에 50개의 소 바늘귀(22')가 형성된 바늘(22)만 제직에 가담하여 제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일정폭의 밴드부(510)가 제직되면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과 레이싱 캠유닛(10)에 구성된 바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바늘제어 수단(1')(10')을 작동하여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1)을 구성하는 터치편(3)이 형성된 작동간(4)과 레이싱 캠유닛(10)을 구성하는 터치편(12)이 형성된 작동간(14)을 후진시켜 다시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를 사용해서 덧버선의 밴드부(51) 하단을 제직하고 이어서 발 앞부분(520)을 제직한다.
그 후, 대,중,소 바늘귀(20')(21')(21')가 형성된 바늘(20)(21)(22)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25)를 공지의 니들 실린더 구동수단에 의해서 360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대,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200개 전체를 사용해서 발 앞부분(520)과 발뒤꿈치(530) 사이 및 발등 밴드부(540)를 제직하고, 이어서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를 180도 회전시켜 발뒤꿈치(530)를 제직하며, 그 다음, 다시 대,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200개 전체를 사용하면서 니들 실린더(25)를 360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발목부(550)를 제직하면 되는 것이다.
1: 라이트 스티치 캠유닛 2: 블록
3, 12: 터치편 4, 14: 작동간
7,16: 코일스프링 10: 레이싱 캠유닛

Claims (5)

  1. 대,중,소 바늘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3가지의 바늘 200개를 사용해서 덧버선을 제직하되, 최초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를 사용하고, 니들 실린더를 180도 왕복 회전시켜 덧버선의 밴드부 하단을 제직하고, 상기 바늘 100개 중에 소 바늘귀(22')가 형성된 바늘(22)만 제직에 가담시켜 일정폭의 밴드부(510)를 제직하는 단계; 및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를 사용해서 덧버선의 밴드부(510) 하단과 발 앞부분(520)을 제직하는 단계; 및 대,중,소 바늘귀(20')(21')(21')가 형성된 바늘(20)(21)(22)들이 설치된 니들 실린더(25)를 360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발 앞부분(520)과 발뒤꿈치(530) 사이, 및 발등 밴드부(540)를 제직하는 단계; 및 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100개를 180도 회전시켜 발뒤꿈치를 제직하는 단계; 및 대,중,소 바늘귀가 형성된 바늘 200개 전체를 사용하고, 니들 실린더(25)를 360도 연속적으로 회전시켜 발목부(550)를 제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제직방법.
  2. 제 1항에 의한 덧버선 제직방법에 의해서 덧버선의 밴드부(510)와 발 앞부분(520)이 연결되어 제직되고, 상기 발 앞부분(520)과 발뒤꿈치(530) 사이, 및 발등 밴드부(540)가 연결되어 제직되고, 발등 밴드부 및 발뒤꿈치가 발목부(550)와 연결되어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12647A 2012-02-08 2012-02-08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KR101436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647A KR101436683B1 (ko) 2012-02-08 2012-02-08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647A KR101436683B1 (ko) 2012-02-08 2012-02-08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608A KR20130101608A (ko) 2013-09-16
KR101436683B1 true KR101436683B1 (ko) 2014-09-01

Family

ID=4945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647A KR101436683B1 (ko) 2012-02-08 2012-02-08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6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1747A (zh) * 2018-06-08 2018-10-02 绍兴汉翔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袜机的台板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081A (ja) 2002-07-26 2004-02-26 Nakamura Kutsushita Kk フットカバーとその製造方法
KR200452389Y1 (ko) 2010-03-04 2011-02-25 김신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
KR101178028B1 (ko) * 2012-01-10 2012-08-29 박철환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0081A (ja) 2002-07-26 2004-02-26 Nakamura Kutsushita Kk フットカバーとその製造方法
KR200452389Y1 (ko) 2010-03-04 2011-02-25 김신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
KR101178028B1 (ko) * 2012-01-10 2012-08-29 박철환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608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028B1 (ko)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CN101096792B (zh) 横机
KR102512372B1 (ko) 엮음 편직용 방적사 핑거를 가지는, 특히 이중 실린더 타입의 원형 양말류 편물기
US20120234051A1 (en) Combination Feeder For A Knitting Machine
CN112962204B (zh) 用于提高全成型服装夹位强度的编织方法及其加固结构
KR200463522Y1 (ko) 덧버선
CN103882613B (zh) 针织纱的防脱散方法
KR200463500Y1 (ko) 발목 밴드가 구비된 덧버선
CN202809174U (zh) 一种专用于编织汽车坐垫面料的钩编机
KR101436683B1 (ko) 양말편직기를 이용한 덧버선, 그 제직장치 및 제직방법
KR101516154B1 (ko)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JP2015071837A (ja) 補強編み袋、補強編み手袋及び袋編機
KR101106728B1 (ko) 환편기의 파일편성장치
KR101347668B1 (ko) 양말 편성기
KR101463054B1 (ko) 덧버선 편직을 위한 양말편직기의 캠 유닛 작동장치
KR101504531B1 (ko) 덧버선 편직기의 바늘 조절용 캠 장치 및 덧버선
CN105926148A (zh) 一种经编双针床不脱毛面料的编织方法
JP2013221225A (ja) 靴下編み機を用いたフットカバー、その製織装置及び製織方法
CN100556324C (zh) 一种基于五趾袜编织机改进的编织装置及编织方法
KR101003082B1 (ko) 더블실린더형 환편기의 싱커용 가이드캠
JP2014047456A (ja) 靴下編み機を用いたフットカバーの製織装置、靴下編み機を用いたフットカバーの製織方法及びフットカバー
KR20180095278A (ko) 덧버선 제조 방법
CN103850052B (zh) 一种能选择经纱板走针方式的针织机
CN100355969C (zh) 有袜跟及袜趾的提花袜的编织方法
KR200469357Y1 (ko) 발가락 양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