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431B1 -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431B1
KR101436431B1 KR1020140055508A KR20140055508A KR101436431B1 KR 101436431 B1 KR101436431 B1 KR 101436431B1 KR 1020140055508 A KR1020140055508 A KR 1020140055508A KR 20140055508 A KR20140055508 A KR 20140055508A KR 101436431 B1 KR101436431 B1 KR 101436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wire
fixing
vibration
dam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진
김상동
Original Assignee
(주)한국나이스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나이스이앤씨 filed Critical (주)한국나이스이앤씨
Priority to KR1020140055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03D9/25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 F03D9/257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connected t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Arrangements therefor the wind motor being part of a wind f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에 의해 가공전선이 받게 되는 출렁임 및 진동을 애자본체에 설치되는 진동감쇄장치를 통해 흡수되도록 하여 진동으로 인한 애자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된 애자의 위치변경 및 추가설치가 용이한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감쇄장치를 통해 가공전선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애자본체가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애자를 추가로 설치하고자 하거나 또는 설치된 애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플레이트본체부의 체결상태만 즉시 해제하여 완철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이동만 시켜주면 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PLATE OF FIXING FOR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LINE}
본 발명은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람에 의해 가공전선이 받게 되는 출렁임 및 진동을 애자본체에 설치되는 진동감쇄장치를 통해 흡수 완충되도록 하여 진동으로 인한 애자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된 애자의 위치변경 및 추가설치가 용이한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자라 함은, 전주에 밴드를 매개로 고정된 완철 상에 고정되어 가공전선의 나선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연체이다.
이러한, 애자는 단순히 가공전선을 고정하는 기능만 있으며, 통상 가공전선을 애자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당겨 연결하기 때문에 중간부가 하측으로 처지도록 느슨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가공전선이 유동을 하게 되고, 가공전선이 유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이나 진동이 애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애자가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거나 심하게는 완철 상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필요에 의해 애자를 완철에 추가로 설치하고자 하거나 또는 설치된 애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에 완철에 애자설치를 위한 구멍이 있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지만, 완철 상에 애자설치를 위한 구멍이 없는 경우에는 작업자 드릴과 같은 공구를 이용해 구멍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멍에 애자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40166호(2011.06.02.)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등록특허의 경우 가공전선이 과도한 장력을 받을 때 전선억류부재의 모서리에 의해 피복이 벗겨지면서 파단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자 자체가 완전히 리지드(Rigid)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실린더에 의해 상하 유동 완충된다고 하더라도 부러지기 쉬워 이에 대한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40166호(2011.06.02.)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바람에 의해 가공전선이 받게 되는 출렁임 및 진동을 애자본체에 설치되는 진동감쇄장치를 통해 수용(흡수)되도록 하여 진동으로 인한 애자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된 애자의 위치변경 및 추가설치가 용이한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완철(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본체부(10): 설치홈(21)을 갖추고서, 플레이트본체부(10) 상에 설치되는 애자(20):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부(31a)와,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부(31b)와, 체결부(31b)를 기준으로 양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31c)를 갖추고서, 체결부(31b)를 매개로 애자(20)의 설치홈(21)에 체결되는, 절연재질의 진동감쇄장치본체(31)와; 일단부가 애자(20)의 설치홈(21)에 수용되고, 타단부가 진동감쇄장치본체(31)를 관통하며, 타단부 상단에 형성된 전선고정부(32b-1)를 매개로 가공전선(L)을 가압고정하여 상하로의 진동을 수용하는 제1완충부재(32)와; 외향으로 돌출되는 날개편(33a)을 갖추고서, 안내부(3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전선(L)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한 쌍의 전선억류부재(33)와;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한 쌍의 전선억류부재(33)의 날개편(33a)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가공전선(L)의 진동을 수용하는 제2완충부재(34)로 구성된 진동감쇄장치(30): 회전축(41)과, 회전축(41)에 설치되는 반구(42)를 갖추고서, 반구(42)로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을 매개로 기전력을 생산하여 제어기(50)로 전달하는 풍향발전기(40): 풍향발전기(40)로부터 기전력을 전달받아 기준값 이상을 초과하면 스위치부(60)의 동작을 ON시키는 제어기(50): 제어기(50)에 의해 동작되어 배터리(7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80)로 공급될 수 있도록 ON/OFF되는 스위치부(60):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0): 승하강되는 승강부(81)을 갖추고서, 고정부(31c)와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며, 배터리(7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승강부(81)가 승강되어 고정부(31c)에 삽입고정되는 솔레노이드(80)를 포함하는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32b-1)와 전선억류부재(33) 사이에 다수의 장력조절롤(R1,R2)이 더 설치되되, 상기 장력조절롤(R1,R2)은 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공전선(L)이 오목한 부위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어 유동 지지되게 구성되며, 상기 장력조절롤(R1,R2)의 각 회전축은 상기 진동감쇄장치본체(31)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한 쌍의 지지대(SP)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공전선(L)은 상기 장력조절롤(R1,R2)들을 교차하여 엇갈려 지나가게 배선되며; 상기 애자(20)의 하단은 하부로 연장되어 애자연장부(EX)가 형성되고, 상기 애자연장부(EX)의 하단에는 걸림턱(T)이 형성되며, 상기 애자연장부(EX)의 외주면에는 상기 애자연장부(EX)의 길이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애자고정구(FP)가 결합되되, 상기 애자고정구(FP)는 하단에 고정플랜지(F)를 구비한 원통형상으로서 분할된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조립 고정되는 구조이고, 상기 고정플랜지(F)는 고정볼트(BT)를 통해 플레이트본체부(10)의 상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애자고정구(FP)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S)이 내장되는데 상기 탄성스프링(S)의 상단은 상기 애자(20)의 애자연장부(EX) 저면에 탄지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본체부(10)의 상면에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전선의 출렁임으로 인한 진동을 진동감쇄장치를 통해 수용(흡수)하므로서, 애자본체가 진동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풍향발전기, 제어기, 스위치부, 배터리, 솔레노이드 등의 구성을 통해 강풍이 불더라도 진동감쇄장치를 보조적으로 고정 및 지지해 줌으로서, 애자본체가 강풍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자를 추가로 설치하고자 하거나 또는 설치된 애자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플레이트본체부의 체결상태만 즉시 해제하여 완철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이동만 시켜주면 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의 부분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의 부분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040166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040166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04016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추가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04016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는 플레이트본체부(10), 애자(20), 진동감쇄장치(30), 풍향발전기(40), 제어기(50), 스위치부(60), 배터리(70), 솔레노이드(80)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설치대(3)를 매개로 전주(1)에 연결된 완철(2)에 설치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레이트본체부(10)는 완철(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플레이트본체부(10)의 양 측면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완철(2)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하도록 제작하였다. 따라서, 상기 구멍을 통해 체결부재(볼트)가 삽입관통되어 완철(2)의 구멍에 체결되므로써 완철(2)에 플레이트본체부(10)가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본체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화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애자(20)를 더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매우 유용하다.
상기 애자(20)는 가공전선(L)의 나선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연체로서, 플레이트본체부(10)의 상면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애자(20)의 상면 중앙에는 설치홈(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홈(21)으로는 이후에 설명된 제1완충부재(32)의 에어실린더(32a)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21)의 내주면에는 진동감쇄장치(30)의 체결부(31b)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탭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동감쇄장치(30)는 진동감쇄장치본체(31)와 제1완충부재(32), 전선억류부재(33) 및 제2완충부재(34)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감쇄장치(30)는 가공전선(L)이 풍압(풍력)을 받게 되면 좌우 및 상하로 심하게 출렁이게 되는데, 이 출렁거림으로 인한 진동을 감쇄시켜 애자(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동감쇄장치본체(31)는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는 바로서, 절연재질을 사용한다.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부(31a)가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애자(20)의 설치홈(21)에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탭이 형성된 체결부(31b)가 형성되며, 체결부(31b)를 기준으로 좌우 양단부에는 솔레노이드(80)의 승강부(81)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이 마련된 고정부(31c)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31b)의 중앙은 제1완충부재(32)의 실린더로드(32b)가 승강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완충부재(32)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에어실린더(32a)와 에어실린더(32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로드(32b)로 구성된 공지의 에어스프링으로서, 풍압(풍력)에 의한 가공전선(L)의 상하로의 진동을 수용(흡수)하여 애자(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특히, 상기 실린더로드(32b)의 상면에는 가공전선(L)을 고정하는 전선고정부(32b-1)가 설치되며, 설치방법은 절개된 홈 사이로 가공전선(L)을 강제로 밀어 넣어 고정하면 된다.
상기 전선억류부재(33)는 안내부(3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기구이다.
이 경우, 상기 전선억류부재(33)의 양측에는 외향으로 돌출되는 날개편(33a)이 형성되어 있어 이를 매개로 안내부(3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선억류부재(33) 역시 중앙에 형성된 절개부를 통해 가공전선(L)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완충부재(34)는 제1완충부재(32)와 동일한 에어스프링으로서, 제1완충부재(32)가 상하로의 진동을 수용(흡수)하는 장치라면, 제2완충부재(34)는 수평방향(길이방향)으로의 좌우로의 진동을 수용(흡수)하는 장치이다.
구성 역시 제1완충부재(32)와 동일하게 에어실린더(34a) 및 실린더로드(34b)로 구성된다. 상기 제2완충부재(34)는 에어실린더(34a)와 실린더로드(34b)의 선단부가 핀을 매개로 한 쌍의 전선억류부재(33)의 날개편(33a)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진동감쇄장치(30)는 전기가 흐르는 가공전선(L)을 지지하는 장치이므로 절연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향발전기(40), 제어기(50), 스위치부(60), 배터리(70), 솔레노이드(80)의 상호연관관계를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풍향발전기(40)는 회전축(41)과, 회전축(41)에 설치되는 반구(42)를 갖추고서, 반구(42)로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을 매개로 기전력을 생산하여 제어기(50)로 전달한다.
상기 풍향발전기(40)의 기술적인 사항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기(50)는 풍향발전기(40)로부터 기전력을 전달받아 기준값 이상을 초과할 경우 스위치부(60)의 동작을 ON 시키게 된다.
상기 배터리(70)는 차량용 배터리이며, 솔레노이드(80)를 작동시킬 정도의 전력을 갖추고 있으면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80)는 배터리(7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매개로 동작되어 진동감쇄장치(30)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솔레노이드(80)에는 전원을 매개로 승강되는 승강부(81)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81)가 탄발되면서 진동감쇄장치(30)의 저면에 배치된 고정부(31c)의 홈으로 삽입되어 견실하게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강풍이 불어 가공전선(L)이 심하게 출렁일 경우 애자(20) 만으로는 진동감쇄장치(30)를 지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부러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앞서 언급한 풍향발전기(40), 제어기(50), 스위치부(60), 배터리(70), 솔레노이드(80)를 매개로 진동감쇄장치(30)를 보조적으로 고정 및 지지해 줌으로서, 애자(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애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약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가공전선(L)의 움직임이 좌우(길이방향) 및 상하로 약하게 출렁이게 된다.
이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전달되는 진동은 진동감쇄장치(30)의 제1완충부재(32)가 수용(흡수)하고,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진동은 제2완충부재(34)가 수용(흡수)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완충부재(32)의 경우에는 상하로 진동이 일어나게 되면, 가공전선(L)의 상하로의 출렁임과 함께 실린더로드(32b)가 에어실린더(32a)로 하강 및 승강을 반복하면서 내부에 에어를 압축 및 이완시켜 진동을 수용(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완충부재(34)의 경우에는 좌우(길이방향)로의 출렁임으로 인하여 가공전선(L)을 고정하고 있는 한 쌍의 전선억류부재(33)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때 제2완충부재(34)의 에어실린더(34a) 및 실린더로드(34b)는 압축 및 이완을 반복하면서 길이방향으로의 진동을 수용(흡수)하게 된다.
한편, 태풍이 불어 가공전선(L)이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에는 진동감쇄장치(30)만으로는 애자(20)가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이때에는 풍향발전기(40), 제어기(50), 스위치부(60), 배터리(70), 솔레노이드(80)를 매개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풍향발전기(40)의 반구(42)가 바람을 맞게 되면 반구(42)와 연결된 회전축(41)이 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기전력은 제어기(5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50)는 전달받은 기전력을 기준값과 상호 비교를 통해 초과하는 기전력이 출력되면 즉시 스위치(50)를 동작시켜 배터리(7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80)로 전달되도록 ON시키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80)는 전원을 공급받아 승강부(81)를 탄발시키게 되며, 탄발된 승강부(81)의 선단부는 진동감쇄장치(30)의 저면에 배치된 고정부(31c)의 홈으로 삽입되어져 견실하게 고정 및 지지하게 되므로서, 강풍에 의해 진동감쇄장치(30) 및 진동감쇄장치(30)가 연결된 애자(20)가 부러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람이 어느 정도 잠잠해져 풍향발전기(40)로부터 출력되는 기전력이 기준값 보다 미만인 경우에는 다시 스위치(50)를 동작시켜 연결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며, 이로 인하여 탄발되어 있던 솔레노이드(80)의 승강부(81)는 기능을 상실하고 아래로 하강되어져 고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진동감쇄장치(30)는 여름철과 겨울철에 가공전선(L)의 이완되거나 수축이 될 경우 이에 상응하게 작동되므로, 날씨의 변화로 인해 가공전선(L)이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2)의 상면에 애자(20)를 더 설치할 필요가 있거나 가공전선(L)의 간격이 좁아 바람에 의해 상호 혼촉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완철(2) 및 플레이트본체부(10)를 상호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볼트)를 해제한 상태에서 플레이트본체부(10)를 완철(2)의 길이방향을 적당히 조절하여 재설치해 주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가공전선(L)이 장력변화로 인해 상하 유동될 때 원활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도한 장력변화로 인한 파단을 막고, 나아가 애자(20)의 파단도 함께 막아 안전하면서도 각 기구들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도록 더욱 개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7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선고정부(32b-1)와 전선억류부재(33)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장력조절롤(R1,R2)이 더 설치되고, 이들 사이를 가공전선(L)이 교차하여 엇갈려 지나가게 함으로써 장력 변화로 인해 가공전선(L)이 상하로 출렁거릴 때 원활히 가이드하여 가공전선(L)의 파단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롤(R1,R2)은 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공전선(L)이 오목한 부위에 약간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어 유동 지지되게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롤(R1,R2)의 각 회전축에는 지지대(SP)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대(SP)는 상기 진동감쇄장치본체(31)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롤(R1,R2)은 상기 전선고정부(32b-1)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좌우 양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는 것이므로 전선고정부(32b-1)의 승하강에 따른 가공전선(L)의 상하 유동시 전선억류부재(33)와 사이에서 가공전선(L)이 전선억류부재(33)의 단부인 비교적 날카로운 모서리에 찍히면서 파단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덧붙여, 애자(20)도 고정형이 아닌 탄성유동형으로 개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애자(20)의 하단을 좀 더 연장하여 애자연장부(EX)를 더 구성하고, 상기 애자연장부(EX)의 하단에는 걸림턱(T)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애자연장부(EX)의 외주면에는 상기 애자연장부(EX)의 길이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애자고정구(FP)가 결합된다.
상기 애자고정구(FP)는 하단에 고정플랜지(F)를 구비한 원통형상으로서, 분할된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조립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애자고정구(FP)의 고정은 고정볼트(BT)를 통해 고정플랜지(F)가 플레이트본체부(10)의 상단면에 체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애자고정구(FP)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S)이 내장되는데, 상기 탄성스프링(S)의 상단은 상기 애자(20)의 애자연장부(EX) 저면에 탄지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본체부(10)의 상면에 탄지된다.
따라서, 가공전선(L)이 장력을 받게 되면 그 힘의 일부는 상기 애자(20)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때 애자(20)도 상기 애자연장부(EX)의 길이 범위 내에서 내장된 탄성스프링(S)의 탄성변형에 따라 유동되기 때문에 애자(20)로 전해진 과도한 외력이 탄성 흡수되므로 애자(20)의 파단도 막고, 사용수명을 그 만큼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가공전선(L)의 장력 변화에 따른 외력을 최대한 흡수 분산시키면서 가공전선(L)을 포함하여 그에 부대되는 부속품들, 이를 테면 애자(20) 등도 함께 탄성 유동되게 하여 이들 부속품의 파손도 막고, 가공전선(L)의 파단도 막을 수 있는 유용한 기능성을 제공한다.
10: 플레이트본체부 20: 애자본체 21: 설치홈
30: 진동감쇄장치 31: 진동감쇄장치본체 31a: 안내부
31b: 체결부 31c: 고정부 32: 제1완충부재
32a: 에어실린더 32b: 실린더로드 33: 전선억류부재
33a: 날개편 34: 제2완충부재 34a: 에어실린더
34b: 실린더로드 40: 풍향발전기 41: 회전축
42: 반구 50: 제어기 60: 스위치부
70: 배터리 80: 솔레노이드

Claims (1)

  1.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완철(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레이트본체부(10): 설치홈(21)을 갖추고서, 플레이트본체부(10) 상에 설치되는 애자(20):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부(31a)와,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체결부(31b)와, 체결부(31b)를 기준으로 양단부에 형성되는 고정부(31c)를 갖추고서, 체결부(31b)를 매개로 애자(20)의 설치홈(21)에 체결되는, 절연재질의 진동감쇄장치본체(31)와; 일단부가 애자(20)의 설치홈(21)에 수용되고, 타단부가 진동감쇄장치본체(31)를 관통하며, 타단부 상단에 형성된 전선고정부(32b-1)를 매개로 가공전선(L)을 가압고정하여 상하로의 진동을 수용하는 제1완충부재(32)와; 외향으로 돌출되는 날개편(33a)을 갖추고서, 안내부(31a)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전선(L)의 외면을 가압 고정하는 한 쌍의 전선억류부재(33)와; 일단과 타단이 각각 한 쌍의 전선억류부재(33)의 날개편(33a)에 고정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가공전선(L)의 진동을 수용하는 제2완충부재(34)로 구성된 진동감쇄장치(30): 회전축(41)과, 회전축(41)에 설치되는 반구(42)를 갖추고서, 반구(42)로 가해지는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을 매개로 기전력을 생산하여 제어기(50)로 전달하는 풍향발전기(40): 풍향발전기(40)로부터 기전력을 전달받아 기준값 이상을 초과하면 스위치부(60)의 동작을 ON시키는 제어기(50): 제어기(50)에 의해 동작되어 배터리(7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80)로 공급될 수 있도록 ON/OFF되는 스위치부(60):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0): 승하강되는 승강부(81)을 갖추고서, 고정부(31c)와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되며, 배터리(7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승강부(81)가 승강되어 고정부(31c)에 삽입고정되는 솔레노이드(80)를 포함하는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부(32b-1)와 전선억류부재(33) 사이에 다수의 장력조절롤(R1,R2)이 더 설치되되, 상기 장력조절롤(R1,R2)은 새들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공전선(L)이 오목한 부위에 삽입된 상태로 안착되어 유동 지지되게 구성되며,
    상기 장력조절롤(R1,R2)의 각 회전축은 상기 진동감쇄장치본체(31)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고정된 한 쌍의 지지대(SP)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가공전선(L)은 상기 장력조절롤(R1,R2)들을 교차하여 엇갈려 지나가게 배선되며;
    상기 애자(20)의 하단은 하부로 연장되어 애자연장부(EX)가 형성되고,
    상기 애자연장부(EX)의 하단에는 걸림턱(T)이 형성되며,
    상기 애자연장부(EX)의 외주면에는 상기 애자연장부(EX)의 길이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애자고정구(FP)가 결합되되, 상기 애자고정구(FP)는 하단에 고정플랜지(F)를 구비한 원통형상으로서 분할된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조립 고정되는 구조이고,
    상기 고정플랜지(F)는 고정볼트(BT)를 통해 플레이트본체부(10)의 상단면에 체결되며,
    상기 애자고정구(FP)의 내부에는 탄성스프링(S)이 내장되는데 상기 탄성스프링(S)의 상단은 상기 애자(20)의 애자연장부(EX) 저면에 탄지되고, 타단은 상기 플레이트본체부(10)의 상면에 탄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KR1020140055508A 2014-05-09 2014-05-09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436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508A KR101436431B1 (ko) 2014-05-09 2014-05-09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508A KR101436431B1 (ko) 2014-05-09 2014-05-09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431B1 true KR101436431B1 (ko) 2014-09-01

Family

ID=5175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508A KR101436431B1 (ko) 2014-05-09 2014-05-09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71B1 (ko) * 2016-12-01 2017-06-14 변석훈 배전선로 지지를 위한 지지기구
KR101746373B1 (ko) * 2016-11-24 2017-06-14 윤은수 송전탑 설치용 다기능 가공송전선로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66B1 (ko) 2010-12-20 2011-06-16 김종선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KR101124616B1 (ko) 2011-12-16 2012-03-20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전신주에 설치되는 가공전선 지지용 완금
KR101355103B1 (ko) 2013-10-10 2014-01-22 공은옥 가공배전선 고정용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166B1 (ko) 2010-12-20 2011-06-16 김종선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KR101124616B1 (ko) 2011-12-16 2012-03-20 주식회사 경도기술단 전신주에 설치되는 가공전선 지지용 완금
KR101355103B1 (ko) 2013-10-10 2014-01-22 공은옥 가공배전선 고정용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73B1 (ko) * 2016-11-24 2017-06-14 윤은수 송전탑 설치용 다기능 가공송전선로 연결장치
KR101746371B1 (ko) * 2016-12-01 2017-06-14 변석훈 배전선로 지지를 위한 지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166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KR101869712B1 (ko)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고정프레임
KR101365654B1 (ko) 특고압 배전 가공전선의 연결애자
KR100753957B1 (ko) 변전소 피뢰기 브라켓 방향조정장치
KR101345718B1 (ko) 특고압 전기 배전선 절연애자
KR101782937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KR101436431B1 (ko) 특고압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0989444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1440275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0840351B1 (ko)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CN102623895A (zh) 防雷装置及风电机组
KR101856696B1 (ko) 송배전 전용 전선케이블의 철탑 연결용 어댑터
CN204740285U (zh) 一种改进型高压验电器
KR101893777B1 (ko) 접시 스프링이 구비된 클램프 및 클램프의 변위 조절 방법
CN111502457B (zh) 一种铰链门抛放装置
KR102358796B1 (ko)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KR101040173B1 (ko) 특고압 배전가공전선의 연결애자
KR101040169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KR101773854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29866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CN202435183U (zh) 可调式风力发电机弹性支撑件
CN113629638A (zh) 一种用于电力线路的高压电力金具
KR20050049592A (ko) 송전선 진동/처짐 방지장치
CN212639624U (zh) 一种钢丝绳拉紧装置
CN206048058U (zh) 千斤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