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255B1 - 동전 처리기 - Google Patents

동전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255B1
KR101436255B1 KR1020130054352A KR20130054352A KR101436255B1 KR 101436255 B1 KR101436255 B1 KR 101436255B1 KR 1020130054352 A KR1020130054352 A KR 1020130054352A KR 20130054352 A KR20130054352 A KR 20130054352A KR 101436255 B1 KR101436255 B1 KR 10143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receiving
coins
metal plate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5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4Testing the weigh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저장 호퍼; 상기 동전 저장 호퍼에 저장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를 따라 이송된 동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 상기 동전 받이부를 지지하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선반이 구비되는 동전 방출부; 및 상기 동전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접지시키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는, 동전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과 상기 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저장 호퍼; 상기 동전 저장 호퍼에 저장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따라 이송된 동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와, 상기 동전 받이부를 지지하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선반이 구비되는 동전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는, 동전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전 처리기{A coin handling device}
본 발명은 동전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란 고객이 금융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지폐 또는 수표의 입출금거래가 이루어지도록 무인으로 운영되는 기기를 말한다. 즉,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 또는 수표의 입출금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최근에는 은행 영업점 효율화 및 고객 서비스 향상을 위하여 동전으로 입출금이 가능한 새로운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동전 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자동화기기를 동전 처리기라 이름할 수 있다.
2010년 05월 07일에 공개된 공개번호 10-2010-0046297호(발명의 명칭 :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에는, 종래의 동전 처리기의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동전 처리기는, 고객이 동전 출금을 원하는 경우, 동전 저장 호퍼에 수용된 동전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따라 이동된 동전이 고객에게 방출되는 동전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방출부는, 동전을 수용할 수 있는 다수의 동전 받이부와, 상기 다수의 동전 받이부가 놓이는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다수의 동전 받이부 내부에 수용된 동전을 인출하기 위해 상기 동전 받이부가 놓인 선반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동전 받이부는 일반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반이 외부로 인출될 때, 상기 동전 받이부가 선반 밖으로 떨어지거나 상기 동전 받이부가 선반에서 쓰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동전 받이부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동전을 출금할 때 불편을 겪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받이부를 외부로 인출할 때, 상기 동전 받이부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을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는 동전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저장 호퍼; 상기 동전 저장 호퍼에 저장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를 따라 이송된 동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 상기 동전 받이부를 지지하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선반이 구비되는 동전 방출부; 및 상기 동전에서 발생되는 전기를 접지시키는 접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는, 동전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과 상기 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저장 호퍼; 상기 동전 저장 호퍼에 저장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따라 이송된 동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와, 상기 동전 받이부를 지지하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선반이 구비되는 동전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는, 동전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동전이 수용되는 동전 받이부 하단에 전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동전 받이부를 선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동전 받이부가 외부로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받이부 내부에 편조선과 연결되는 금속판이 구비됨에 따라 동전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가 손쉽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받이부에는, 상기 전자석 또는 상기 금속판과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 또는 편조선이 연결되므로, 상기 동전 받이부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방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받이부에 연결부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받이부의 작동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전 처리기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제품을 이루거나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상기 동전 처리기는, 동전 입금기, 동전 출금기 및 동전 입출금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전 출금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처리기(1)는,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저장부(11)와 상기 동전 저장부(11)에 저장된 동전이 배출되는 동전 배출부(12)로 이루어지는 제 1 동전 저장 호퍼(10), 상기 제 1 동전 저장 호퍼(10)와 다른 종류의 동전이 저장되는 제 2 동전 저장 호퍼(20), 상기 제 1 동전 저장 호퍼(10)와 상기 제 2 동전 저장 호퍼(20)를 통해 배출된 동전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이송장치(30) 및 상기 이송장치(30)를 통해 이송된 동전이 고객에게 방출되는 동전 방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30)는, 상기 다수의 동전 저장 호퍼(10, 20)와 상기 동전 방출부(100)를 소정 각도경사진 면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동전 저장 호퍼(10)는, 상기 이송장치(3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동전 저장 호퍼(20)는, 상기 제 1 동전 저장 호퍼(10)와 상기 동전 방출부(100)를 연결하는 상기 이송장치(30)의 일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동전 저장 호퍼(10) 및 상기 제 2 동전 저장 호퍼(20)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송장치(30)를 따라 이동이 가이드 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방출부(100)를 통해 고객에게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동전 방출부(100)에는, 상기 이송장치(30)를 따라 이동된 동전을 종류별로 고객에게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도 2의 200 참조) 및 상기 동전 받이부(도 2의 200 참조)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선반(도 2의 120 참조)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동전 방출부(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방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동전 방출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200),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200)를 지지하는 선반(115), 상기 선반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는 레일(120) 및 상기 레일(120)의 일측과 연결되고 손잡이(131)가 형성되는 패널(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는 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1)의 크기는, 상기 패널(130)의 크기와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130)은, 상기 홀(111)이 형성되는 상기 본체(110)의 일면과 소정의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되면서, 상기 홀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선반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120)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패널(130)이 상기 홀(111)을 커버하면, 상기 레일(120)은 상기 본체(11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패널(130)이 상기 홀(111)을 개방시키면, 상기 레일(120)은, 상기 본체(1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선반(115)의 상측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200)가 놓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200) 각각에는, 종류가 다른 동전이 서로 분류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200) 각각에는, 10원, 50원, 100원 및 500원짜리 동전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동전 받이부(200)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전 받이부(200)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동전 받이부(200)의 형상에는 그 제한이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받이부에 연결부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받이부의 작동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동전 받이부(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수용부(210), 상기 수용부(210)의 하면과 연통되는 함몰부(215), 상기 수용부(210) 내부에 배치되고, 전도성 있는 매체로 구성되는 금속판(220) 및 상기 함몰부(215) 내부에 배치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자석(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0) 하면의 폭은, 상기 함몰부(215) 상면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15)의 폭은, 상기 전자석(230)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금속판(220)은, 상기 수용부(21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도전부(221) 및 상기 제 1 도전부(221)와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2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 2 도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판(220)은 상기 제 1 도전부(221) 및 상기 제 2 도전부(222) 중 어느 하나 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자석(230)과 상기 금속판(220)은 연결부(2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5)는, 상기 전자석(230)과 연결되는 케이블(233) 및 상기 금속판(220)과 연결되는 편조선(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233)의 일단에는 전류를 제공하는 포트(2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233)은, 양극을 가지는 양극선(231)과 음극을 가지는 음극선(2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트(250)에는, 상기 양극선(231)을 따라 상기 전자석(230)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양극 포트 및 상기 음극선(232)을 통해 상기 전자석(230)에 잔류하는 전류를 공급받는 음극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편조선(223)은, 상기 제 2 도전부(222)와 접촉하는 헤드(223a) 및 상기 헤드(223a)와 연결되는 연결부(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조선(223)의 일측에는 접지부(2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260)는 금속 재질의 상기 본체(110) 또는 동전 처리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의 캐비닛의 일부 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접지부(260)가 금속이면 상기 접지부(260)의 대상은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편조선(223)은 전도성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23a)는 상기 제 2 도전부(222)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헤드(223a)와 상기 제 2 도전부(222)의 결합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결부(235)의 외주면에는, 피복부(240)가 둘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복부(240)는, 상기 편조선(223)의 외주면과 상기 케이블(233)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피복부(240)는, 상기 연결부(235)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240)는 피브이씨 튜브(PVC tube)일 수 있다. 다만, 상기 피복부(24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235)를 따라 이동되는 전류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동전 받이부(200) 내부에 동전이 저장되면, 상기 제 1 도전부(221)는, 상기 동전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부(221)가 수용한 정전기는 상기 제 2 도전부(222)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부(222)로 이동된 정전기는, 상기 편조선(223)을 따라 접지부(26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접지부(260)는 상기 편조선(223)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전 받이부(200) 내부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250)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양극선(231)을 따라 상기 전자석(2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전 받이부(200)는 상기 인력에 의해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항상 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동전 받이부(200)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의 양이 많다면, 상기 전자석(230)에 가해지는 전류의 양이 적더라도 상기 동전의 무게에 의해 상기 동전 받이부(2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전 받이부(200) 내부에 저장되는 동전의 양 또는 개수가 증가될수록 상기 전자석(230)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는 줄어들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1)는, 동전 받이부(200)가 선반(도 2의 115 참조)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동전 받이부(200)가 상기 레일(도 2의 120 참조)에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동전 받이부(200)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동전 무게 감지부(3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제공부(330)를 작동시켜서 전자석(23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전류 제공부(330)는 포트(250)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동전 무게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전류 제공부(330)에서 제공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전 받이부(200) 내부에 수용되는 동전의 양이 많은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자석(230)에 제공되는 전류의 양이 줄어들도록 상기 전류 제공부(3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1)는, 상기 동전 무게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대응한 상기 전류 제공부(330)에서 공급하는 전류의 양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메모리부(3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동전 무게 감지부(320)에서 감지되는 동전의 무게에 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전류 제공부(330)에서 공급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동전 방출부 200: 동전 받이부
220: 금속판 230: 전자석
240: 피복부 300: 제어부
340: 메모리부

Claims (10)

  1.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저장 호퍼;
    상기 동전 저장 호퍼에 저장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를 따라 이송된 동전이 수용되고, 전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전자석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 및
    상기 동전 받이부를 지지하는 금속재질의 선반이 구비된 동전 방출부를 포함하는 동전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받이부는,
    동전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을 외부와 접지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 위치되어 동전과 접촉할 수 있는 동전 처리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 또는 저면에 배치되는 동전 처리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금속판과 연결되는 편조선; 및
    상기 전자석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편조선과 상기 케이블은, 피복부에 의해 감싸이는 동전 처리기.
  6. 동전이 저장되는 동전 저장 호퍼;
    상기 동전 저장 호퍼에 저장된 동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를 따라 이송된 동전이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와, 상기 동전 받이부를 지지하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선반이 구비되는 동전 방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동전 받이부는,
    동전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전자석; 및
    상기 전자석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받이부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동전 받이부의 장착이 감지된 후에 상기 전자석으로 전류가 공급되는 동전 처리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받이부에 저장된 동전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동전 무게 감지부; 및
    상기 동전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동전의 양에 따라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석으로 공급될 전류의 양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과 금속 재질의 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KR1020130054352A 2013-05-14 2013-05-14 동전 처리기 KR10143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52A KR101436255B1 (ko) 2013-05-14 2013-05-14 동전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352A KR101436255B1 (ko) 2013-05-14 2013-05-14 동전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255B1 true KR101436255B1 (ko) 2014-08-29

Family

ID=5175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352A KR101436255B1 (ko) 2013-05-14 2013-05-14 동전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43B1 (ko) * 2015-09-30 2017-05-2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발전장치, 동전보안장치 및 동전처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895A (ja) * 2004-04-30 2005-11-10 Aruze Corp コイン払出装置
KR20100046297A (ko) * 2008-10-27 2010-05-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895A (ja) * 2004-04-30 2005-11-10 Aruze Corp コイン払出装置
KR20100046297A (ko) * 2008-10-27 2010-05-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동전입출금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현금입출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143B1 (ko) * 2015-09-30 2017-05-25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발전장치, 동전보안장치 및 동전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197B2 (en) Banknote handling apparatus
KR101250657B1 (ko) 매체카세트 및 금융기기
JP2014052896A (ja) カセット、紙幣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JP6087547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紙幣処理方法
KR101436255B1 (ko) 동전 처리기
EP3506220B1 (en) A modular banknote apparatus
JP6479363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RU267928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средств обращ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денег
KR102002947B1 (ko) 금융기기
KR20060130400A (ko) 금융자동화기기
US20090101468A1 (en) Bill/coin processing system
WO2017030114A1 (ja) 硬貨識別用磁気センサ、硬貨処理装置及び硬貨識別方法
JP2016081343A (ja) 媒体収納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933355B2 (ja) 精算機
KR101740143B1 (ko) 발전장치, 동전보안장치 및 동전처리기
KR20060112827A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JP2014052715A (ja) 貨幣出金装置
JP2020034959A (ja) 硬貨処理装置および硬貨処理システム
KR101581271B1 (ko) 환류식 지폐 입출금 장치
KR20140115752A (ko) 접지장치 및 이를 사용한 금융기기
JP5172408B2 (ja) 釣銭機システム
KR200389648Y1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JP6504988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装置
KR101488084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JP6715144B2 (ja) 硬貨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