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230B1 - 저탕식 급탕장치 - Google Patents

저탕식 급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230B1
KR101436230B1 KR1020130001684A KR20130001684A KR101436230B1 KR 101436230 B1 KR101436230 B1 KR 101436230B1 KR 1020130001684 A KR1020130001684 A KR 1020130001684A KR 20130001684 A KR20130001684 A KR 20130001684A KR 101436230 B1 KR101436230 B1 KR 10143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rface fixing
heat source
fixing member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256A (ko
Inventor
준이치 오가와
히데아키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1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ousings, Intake/Discharge, And Installation Of Fluid Heater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과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바닥과 본체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저탕식 급탕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탱크유닛에 열원유닛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를 구비하는 저탕식 급탕장치로서, 상기 탱크유닛은, 외부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저탕탱크와, 상기 저탕탱크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수용하는 탱크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열원유닛은, 열원기와, 상기 열원기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수용하여 상기 열원기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용 케이스의 저부와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저부의 외주면에, 상기 본체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바닥면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의 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바닥면을 따르는 형상의 바닥면 고정판과, 상기 바닥면 고정판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본체 연결판과, 상기 본체 연결판의 일측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설편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 고정부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탕식 급탕장치{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DEVICE}
본 발명은 탱크유닛에 열원유닛을 연결함으로써 구성된 저탕식 급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히트펌프 등의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생성된 온수를 저탕탱크에 저장해 두고, 저탕탱크의 온수가 끊긴 경우에 가스급탕기 등의 보조 열원을 이용하여 가열 출탕하도록 한 저탕식 급탕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저탕식 급탕장치는 그 본체가 탱크유닛과 열원유닛으로 구성된다. 탱크유닛은, 저탕탱크와, 저탕탱크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구비하고, 저탕탱크 및 배관류는 탱크용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다. 열원유닛은, 소위 가스급탕기인 열원기와, 열원기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구비하고, 열원기를 지지대 상에 재치하여 연결함과 아울러 지지대의 내부에 열원기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열원유닛은 탱크유닛에 인접하여 조립되어 일체적인 복합 유닛으로서 본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맨션의 발코니 등의 콘크리트 바닥면에 저탕식 급탕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콘크리트 바닥에 박은 앵커볼트에 본체를 연결한다. 이때 종래에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다리의 하단을 앵커볼트로 고정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11-15812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허공개 2010-112587호 공보
그러나, 본체의 지지다리를 앵커볼트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지지다리의 위치와 앵커볼트의 위치를 일치시킬 필요가 있고, 지지다리의 위치와 앵커볼트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저탕식 급탕장치의 설치가 어려워진다. 또한, 바닥 상태 등에 영향을 받아 부분적으로 앵커볼트를 박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에 저탕식 급탕장치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바닥과 본체를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저탕식 급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탱크유닛에 열원유닛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를 구비하는 저탕식 급탕장치로서, 상기 탱크유닛은, 외부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저탕탱크와, 상기 저탕탱크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수용하는 탱크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열원유닛은, 열원기와, 상기 열원기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수용하여 상기 열원기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용 케이스의 저부와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저부의 외주면에, 상기 본체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바닥면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의 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바닥면 고정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바닥에 설치된 앵커볼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바닥면 고정부재를 연결하고, 앵커볼트의 위치와 바닥면 고정부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합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탕식 급탕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본체를 바닥 상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바닥면을 따르는 형상의 바닥면 고정판과, 상기 바닥면 고정판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본체 연결판과, 상기 본체 연결판의 일측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설편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 고정부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구멍을 소정 위치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연설편을 본체의 위치결정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본체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대한 바닥면 고정부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본체에 바닥면 고정부재를 연결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구멍에 삽입된 연설편을 통하여 본체와 바닥면 고정부재의 일체적인 연결 상태를 형성할 수 있고, 본체를 바닥면에 고정하였을 때에 본체의 자세를 강고하게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저탕식 급탕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저탕식 급탕장치의 본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저탕식 급탕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저탕식 급탕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저탕식 급탕장치의 배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저탕식 급탕장치의 하단부의 설명적 사시도
도 7은 바닥면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바닥면 고정부재의 바닥면에 대한 고정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저탕식 급탕장치는 도 1에 평면으로부터 보아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유닛(1)과 열원유닛(2)이 전후방향에 연결되고, 그 좌우 양측이 장식커버(3)에 의해 덮여 저탕식 급탕장치의 본체(4)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저탕식 급탕장치는 외부에 도시하지 않은 히트펌프 등의 가열수단이 접속된다. 탱크유닛(1)은 이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 생성된 온수를 저장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고, 열원유닛(2)은 급탕시에 탱크유닛(1)의 온수가 끊긴 경우에 급탕 설정 온도까지 가열하여 출탕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도 2는 장식커버(3)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장식커버(3)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장식커버(3)는 본체(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유닛(1)은 각기둥 형상의 탱크용 케이스(5)에 저탕탱크(6) 및 도시하지 않은 배관류나 전장품 등을 수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용 케이스(5)는 상부 덮개판(7)과 하부 덮개판(8)에 의해 측면이 폐색되어 있다. 상부 덮개판(7)과 하부 덮개판(8)은 탱크유닛(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부 덮개판(7)에 의해 폐색되는 상부 공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장품 등이 수용된다. 하부 덮개판(8)에 의해 폐색되는 하부 공간에는 도시하지 않은 배관류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의 안쪽에는 원기둥형상의 저탕탱크(6)가 수용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탱크용 케이스(5)의 저부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의 제 1 접지틀(9)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접지틀(9)은 탱크용 케이스(5)의 지주의 하단에 연결되어 탱크유닛(1)의 하중을 지탱하고 있다. 제 1 접지틀(9)의 외주에는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열원유닛(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원기(11)와, 열원기(11)의 저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로 구성되고, 지지대(1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배관류가 수용되어 있다. 지지대(12)의 저부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상의 제 2 접지틀(13)이 설치되어 있다. 제 2 접지틀(13)은 지지대(12)의 지주의 하단에 연결되어 열원기(11) 및 지지대(12)의 하중을 지탱하고 있다. 제 2 접지틀(13)의 외주에는 제 1 접지틀(9)에 이용되고 있는 것과 동종의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10)가 설치되어 있다.
열원기(11)는 단체(單體)로 사용할 수 있는 소위 가스급탕기이고, 케이스(14)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가스버너나 열교환기 등이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14)는 일측면을 개방면으로 하는 상자형상의 기체(器體)(15)와, 기체(15)의 개방면을 폐색하는 덮개체(16)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체(16)로부터는 배기통(18)이 돌출하고 있다.
장식커버(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부(19)와 하부 커버부(20)의 상하 2개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커버부(19)는, 본체(4)의 측면 중 상부측을 가리는 제 1 패널(21)과, 제 1 패널(21)의 전측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제 1 전측 몰(22)과, 제 1 패널(21)의 후측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제 1 후측 몰(23)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커버부(20)는, 본체(4)의 측면 중 하부측을 가리는 제 2 패널(24)과, 제 2 패널(24)의 전측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제 2 전측 몰(25)과, 제 2 패널(24)의 후측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제 2 후측 몰(26)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커버부(19)의 하단과 하부 커버부(20)의 상단은 그 경계선(27)에서 도시하지 않는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가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용 케이스(5)의 저부의 제 1 접지틀(9)과 지지대(12)의 저부의 제 2 접지틀(13)은 본체(4)가 접지하는 저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접지틀(9)과 제 2 접지틀(13)의 외주면은, 제 1 접지틀(9)과 제 2 접지틀(13)이 인접하는 면을 제외하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커버(3)의 하방에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되는 제 1 접지틀(9) 및 제 2 접지틀(13)의 세로면에는 바닥면 고정부재(10)를 나사 고정 연결하기 위한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28)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바닥면 고정부재(10)는 각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28)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나사부재(29)(도 8 참조)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 고정부재(10)로서 그 형상은 부착 위치에 따라 3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즉, 제 1 바닥면 고정부재(10A)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을 따르는 형상의 바닥면 고정판(41)과, 바닥면 고정판(41)의 일단 가장자리로부터 수직으로 기립하는 본체 연결판(42)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연결판(42)에는 나사부재를 관통시키는 복수의 나사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관통공(4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으로, 각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28)의 나사구멍에 대하여 횡방향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더라도 나사 고정이 가능해진다.
바닥면 고정판(41)에는 맨션의 발코니 등의 설치 바닥면에 설치된 앵커볼트(50)(도 8 참조)를 관통시키는 오목형상의 볼트수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 고정판(41)의 양측에는 1쌍의 보강굴곡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바닥면 고정판(41)의 굴곡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본체 연결판(42)의 일측단 가장자리에는 제 1 연설편(46)이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바닥면 고정부재(10A)의 제 1 연설편(46)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의 제 2 접지틀(13)(및 제 1 접지틀(9))의 한쪽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위치결정구멍(47)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 1 접지틀(9)과 제 2 접지틀(13)의 각각의 대각선 상에 제 1 위치결정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바닥면 고정부재(10B)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바닥면 고정부재(10A)의 제 1 연설편(46)과 상이한 방향의 제 2 연설편(48)을 구비하고, 그 이외는 제 1 바닥면 고정부재(10A)와 마찬가지이다. 제 2 바닥면 고정부재(10B)의 제 2 연설편(48)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4)의 제 1 접지틀(9)(및 제 2 접지틀(13))의 다른 쪽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위치결정구멍(49)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된다. 제 2 위치결정구멍(49)은 제 1 접지틀(9)과 제 2 접지틀(13)의 각각의 제 1 위치결정구멍(47)과 상이한 대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바닥면 고정부재(10C)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연설편(46)도 제 2 연설편(48)도 구비하지 않고, 그 이외는 제 1 바닥면 고정부재(10A) 및 제 2 바닥면 고정부재(10B)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 1 바닥면 고정부재(10A) 및 제 2 바닥면 고정부재(10B)는 제 1 접지틀(9) 및 제 2 접지틀(13)의 모서리부에 대응하는 것에 대하여, 제 3 바닥면 고정부재(10C)는 제 1 접지틀(9) 및 제 2 접지틀(13)의 어느 위치에나 부착할 수 있다.
제 1 바닥면 고정부재(10A)는 제 1 연설편(46)을 제 1 위치결정구멍(47)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함으로써,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28)에 대한 부착 작업이 용이해 지고, 부착 상태도 강고해 진다. 마찬가지로 제 2 바닥면 고정부재(10B)도 제 2 연설편(48)을 제 2 위치결정구멍(49)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함으로써,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28)에 대한 부착 작업이 용이해 지고, 부착 상태도 강고해 진다.
제 3 바닥면 고정부재(10C)는 연설편을 구비하지 않는데, 이에 의해 어느 위치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28)이어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들 바닥면 고정부재(10)(10A, 10B, 10C)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맨션의 발코니 등의 설치 바닥면에 앵커볼트(50)에 의해 고정된다. 앵커볼트(50)는, 콘크리트 바닥(51)에 형성한 구멍 내에 삽입한 앵커부재(52)와, 앵커부재(52)에 나사식 부착시키는 고정볼트(53)로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면 고정부재(10)를 고정할 때에는 볼트수용부(44)에 고정볼트(53)를 삽입한 후, 고정볼트(53)에 와셔(54)를 통하여 너트(55)를 나사식 부착시킨다. 이에 의해, 설치 바닥면에 바닥면 고정부재(10)가 강고하게 연결되어 본체(4)를 설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 고정부재(10)를 바닥면에 연결하는 앵커볼트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바닥면 고정부재(10)를 착탈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28)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앵커볼트의 위치에 맞춰 바닥면 고정부재(10)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저탕식 급탕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강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1 - 탱크유닛 2 - 열원유닛
4 - 본체 5 - 탱크용 케이스
6 - 저탕탱크 10 - 바닥면 고정부재
11 - 열원기 12 - 지지대
28 -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 41 - 바닥면 고정판
42 - 본체 연결판 46 - 제 1 연설편(연설편)
47 - 제 1 위치결정구멍(위치결정구멍)
48 - 제 2 연설편(연설편)
49 - 제 2 위치결정구멍(위치결정구멍)

Claims (2)

  1. 탱크유닛에 열원유닛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본체를 구비하는 저탕식 급탕장치로서,
    상기 탱크유닛은, 외부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장하는 저탕탱크와, 상기 저탕탱크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수용하는 탱크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열원유닛은, 열원기와, 상기 열원기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배관류를 수용하여 상기 열원기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용 케이스의 저부와 상기 지지대의 저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본체의 저부의 외주면에, 상기 본체를 바닥면에 고정하는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바닥면 고정부재는, 상기 본체의 저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닥면 고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바닥면을 따르는 형상의 바닥면 고정판과, 상기 바닥면 고정판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본체 연결판과, 상기 본체 연결판의 일측단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설편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연설편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바닥면 고정부재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바닥면 고정부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탕식 급탕장치.
  2. 삭제
KR1020130001684A 2012-01-06 2013-01-07 저탕식 급탕장치 KR101436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1673 2012-01-06
JP2012001673A JP5959203B2 (ja) 2012-01-06 2012-01-06 貯湯式給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256A KR20130081256A (ko) 2013-07-16
KR101436230B1 true KR101436230B1 (ko) 2014-09-01

Family

ID=4899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684A KR101436230B1 (ko) 2012-01-06 2013-01-07 저탕식 급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59203B2 (ko)
KR (1) KR1014362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9764B2 (ja) * 2015-01-06 2018-09-12 リンナイ株式会社 貯湯式給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5005B2 (ja) * 1996-11-13 1998-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1186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油炊き温水ボイラの据付装置
JP2011158128A (ja) * 2010-01-29 2011-08-18 Gastar Corp 貯湯給湯装置
JP2011242053A (ja) 2010-05-18 2011-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貯湯タンク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081U (ko) * 1978-12-22 1980-06-30
JP3318488B2 (ja) * 1996-07-04 2002-08-26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電子装置の脚構造
JP3815404B2 (ja) * 2002-08-19 2006-08-30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5167065A (ja) * 2003-12-04 200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ユニット
JP3134017U (ja) * 2007-05-16 2007-08-02 三協ベース株式会社 電気給湯器設置用台座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5005B2 (ja) * 1996-11-13 1998-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送風機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201186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油炊き温水ボイラの据付装置
JP2011158128A (ja) * 2010-01-29 2011-08-18 Gastar Corp 貯湯給湯装置
JP2011242053A (ja) 2010-05-18 2011-12-01 Mitsubishi Electric Corp 貯湯タンク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256A (ko) 2013-07-16
JP2013142484A (ja) 2013-07-22
JP5959203B2 (ja)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5385U (ja)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プラットフォーム
JP2006348516A (ja) 量水器用ユニットベース
JP6128331B2 (ja) 温水暖房装置
KR102009808B1 (ko) 적층 조립식 온수 저장탱크
RU2664081C1 (ru) Навесной элемент для опалубки и опалубка с навесным элементом
KR101436230B1 (ko) 저탕식 급탕장치
JP6447191B2 (ja) 貯湯式給湯機
KR101436229B1 (ko) 저탕식 급탕장치
JP5846951B2 (ja) 機器据付装置
CN105828667A (zh) 抽屉正面连接单元
CN108700501B (zh) 气候测试设备
KR200452039Y1 (ko)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US20130015749A1 (en) Method for Installing a Side-By-Side Domestic Appliance Combination
KR101300522B1 (ko) 매립 배관 연결 유니트
JP5424609B2 (ja) 天板取付け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固定具
KR101885347B1 (ko) 조립이 용이한 보일러 케이싱
KR20100138946A (ko) 실내 난방 방열기용의 전기히터 유닛박스
JP2010156509A (ja) 貯湯式給湯機
JP2011007461A (ja) 貯湯式給湯機
KR200405738Y1 (ko) 분배기 박스
KR20110011874A (ko) 수평연결장치를 갖는 파티션
CN207717337U (zh) 风机和阀门的测试架
KR200407069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지지구조
JP4020718B2 (ja) 連結給湯装置
KR20150136952A (ko) 교환시에 설치가 용이한 보일러에 연결되는 난방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