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837B1 -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837B1
KR101435837B1 KR1020080049606A KR20080049606A KR101435837B1 KR 101435837 B1 KR101435837 B1 KR 101435837B1 KR 1020080049606 A KR1020080049606 A KR 1020080049606A KR 20080049606 A KR20080049606 A KR 20080049606A KR 101435837 B1 KR101435837 B1 KR 101435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team
wing po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493A (ko
Inventor
유승규
문정욱
이광희
박혜용
최창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83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내부패널;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 패널의 앞쪽에 배치되는 외부패널;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의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도어의 내부공간이 인접한 의류처리공간과 연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개스킷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049606
의류처리장치, 도어, 개스킷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용 도어{DOOR FOR CLOTH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세탁된 의류의 후처리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refresher)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 리프레셔는 의류의 구김제거 및 살균을 위해 스팀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스팀이 상기 리프레셔의 도어 내부에 침투하게 되는 경우, 도어내에서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하게 된다. 이러한 응축된 물은 상기 도어내 부에 장착되는 전자부품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된 물은 상기 도어 푸품을 부식시키거나 도어외부로 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처리장치 내부의 스팀이 그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내부패널;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 패널의 앞쪽에 배치되는 외부패널;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내면의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도어의 내부공간이 인접한 의류처리공간과 연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개스킷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를 제공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내부 및 외부 패널들과 상기 프레임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상기 의류처리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내부패널에 닿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날개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개스킷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한 다.
끝으로, 상기 외부패널은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해 스팀이 도어내부로 들어갈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도어내부에 장착된 전자부품의 고장이 방지된다. 같은 이유로, 도어내에서 응축된 물에 의해 도어가 부식되지 않으며, 또한, 응축된 물이 도어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의류(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캐비넷(10), 수용공간(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도 2 참조, 22),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도 2 참조, 30),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부 (미도시)를 포함한다.
캐비넷(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12)은 도어(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1)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등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의류(1)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2)으로 열풍 및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술한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에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번호 18은 열풍공급장치(22)에서 가열된 공기가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공급구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도 2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열풍 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22)는 히트펌프(22)로 이루어지며, 이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즉, 팬(32)에 의해 기계실(20)에서 배출된 가열공기는 수용공간(도 3 참조, 12)의 배면 내측에 형성된 덕트(도 3 참조, 16)를 따라 공급구(18)를 통해 수용공간(12)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스팀을 분사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히트펌프(2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스팀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원은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공급원을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노즐(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노즐(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34)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34)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스팀발생장치(30)을 이용하여 수용공간(12)내부에 스팀을 공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팀이 상기 도어(100) 내부에 들어가면, 도어내에서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하게 된다. 이러한 응축 된 물은 상기 도어내부에 장착되는 전자부품의 작동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된 물은 상기 도어 푸품을 부식시키거나 도어외부로 누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는 이러한 스팀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도어(100)의 보다 상세한 구조가 도 4 및 5에 도시된다.
도 4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의류처리장치 도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개스킷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0)은 기본적인 구조로서 프레임(110)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손잡이(1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과 인접하게 내부패널(1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에는 외부패널(130)이 끼워지며 이러한 외부패널(130)은 상기 내부패널(120)의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패널(120)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 1 홀더(112)에 끼워져 상기 도어(100)의 내면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110)과 함께 상기 도어(100)에 적절한 강도 및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내부 패널(120)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패널(120)에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패널(130)은 상기 내부패널(120)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 2 홀더(113)에 끼워진다. 상기 외부패널(130)은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110)의 외부표면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인 외부 패널(13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도어에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져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외부 패널들(120,130)에 의 해 도어(100)은 전체적으로 이중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벼워진다.
또한, 상기 도어(100)는 상기 프레임(100)에 부착되는 개스킷(140)을 갖는다.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캐비닛(10)과 마주하는 프레임(100)의 내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프레임(100)의 내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개스킷(140)은 상기 도어(100)와 이에 인접하는 캐비닛(10)의 일부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도어(100)가 닫힐 때, 상기 수용공간(12)을 밀폐한다. 따라서, 상기 개스킷(140)은 기본적으로 수용공간(12)내에서 의류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공기가 상기 수용공간(12)내에 유입되는 것을 기본적으로 방지한다. 비록 도 4에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개스킷(140)만이 보여지나, 상술된 밀폐를 위해서 상기 개스킷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도 배치된다.
상기 개스킷(140)은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몸체(141)와 날개부(142,143)를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140)은 적절한 밀폐를 위해 상기 캐비닛(10)과 밀착되어야 하며, 도어(100)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몸체(141)는 기본적으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141)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기 위해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 몸체(141)내에는 도어(140)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완충부재(14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142,143)는 상기 몸체(141)로부터 연장되며, 도어(100)의 내부공간이 인접한 의류처리공간, 즉 수용공간(12)와 연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몸체(141)로부터 상기 도어(100)의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날개부(142)를 가질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 1 날개부(1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패널(120)에 닿도록 연장된다. 상기 내부패널(120)과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날개부(142)는 상기 몸체(141)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날개부(142)는 도어의 내부공간, 즉 내외부패널들(120,130)과 프레임(110)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00a)을 상기 수용공간(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또한,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몸체(141)로부터 상기 도어(100)의 바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날개부(143)을 가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 2 날개부(143)는 상기 몸체(141)로부터 상기 프레임(110)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며,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날개부(143)은 상기 내부공간(100a)를 상기 수용공간(12)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된 구조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12)내의 스팀은 상기 제 1 날개부(142)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부공간(100a)으로 진입할 수 없다. 또한, 만일 일부의 스팀이 상기 몸체(141)와 캐비닛(10)사이의 미세한 간극을 통해 누출된다 하더라도, 누출된 스팀은 상기 제 2 날개부(143)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00a)로 재진입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내부공간(100a)내에서는 스팀의 응축에 의해 물이 생성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내부에 장착되는 전자부품의 고장이 방지된다. 또한, 같은 이유로, 상기 도어 푸품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기 위해 삽입부(145) 및 후크(14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부(145)는 상기 몸체(1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홀(114)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후크(146)는 상기 삽입부(145)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45)와 함께 상기 홀(114)을 통해 프레임(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일단 삽입되면, 상기 후크(146)는 상기 프레임(110)에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의류처리장치 도어의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개스킷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내부패널;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며, 상기 내부 패널의 앞쪽에 배치되는 외부패널; 그리고
    - 상기 프레임의 내면의 엣지를 따라 연장되는 몸체
    -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도어의 내부공간이 인접한 의류처리공간과 연통하는 것을 방지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개스킷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의류처리공간으로부터 상기 도어 내부공간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내부 및 외부 패널들과 상기 프레임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상기 의류처리공간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날개부는 상기 내부패널에 닿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안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날개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개스킷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패널은 강화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KR1020080049606A 2008-05-28 2008-05-28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KR101435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606A KR101435837B1 (ko) 2008-05-28 2008-05-28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606A KR101435837B1 (ko) 2008-05-28 2008-05-28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93A KR20090123493A (ko) 2009-12-02
KR101435837B1 true KR101435837B1 (ko) 2014-08-29

Family

ID=4168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606A KR101435837B1 (ko) 2008-05-28 2008-05-28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2778B (zh) * 2018-10-26 2021-09-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密封装置和具有其的衣物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3160A (en) * 1982-08-02 1985-01-15 Almiro Brembilla Automatic steam box for textile articles
JP2001162086A (ja) * 1999-11-05 2001-06-19 Electrolux:Ab 洗濯機扉用のガスケ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3160A (en) * 1982-08-02 1985-01-15 Almiro Brembilla Automatic steam box for textile articles
JP2001162086A (ja) * 1999-11-05 2001-06-19 Electrolux:Ab 洗濯機扉用のガス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493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97B1 (ko) 의류처리장치
US8505340B2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1394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710390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46777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43614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55003B1 (ko) 의류처리장치
US20210348320A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435837B1 (ko)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KR20090050218A (ko) 의류처리장치
KR1012953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4651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10106834A (ko) 의류처리장치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97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2881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1388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0239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77460B1 (ko) 의류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KR101840195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