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937B1 -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 Google Patents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937B1
KR101434937B1 KR1020130034487A KR20130034487A KR101434937B1 KR 101434937 B1 KR101434937 B1 KR 101434937B1 KR 1020130034487 A KR1020130034487 A KR 1020130034487A KR 20130034487 A KR20130034487 A KR 20130034487A KR 101434937 B1 KR101434937 B1 KR 101434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opping cart
pair
auxiliary roller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
Priority to KR102013003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28Construction of wheels; methods of assembling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 B60B2200/432Shopping c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중앙에 제 1 체결홈을 구비한 휠; 상기 휠의 양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쇼핑카트 본체의 받침축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홈이 각각 구비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지지판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동부재; 및 상기 휠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고정체결되는 보조롤러부를 포함하는 쇼핑 카트용 바퀴 및 이를 장착한 쇼핑카트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쇼핑 카트용 바퀴 및 이를 장착한 쇼핑카트를 통해, 본 발명은 무빙워크에서 숭강부 진입시 사용자가 안전하게 쇼핑 카트를 진입시킬 수 있으며, 바퀴의 제작시 생산성이 향상되고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WHEEL HAVING SUB-ROLLER PART FOR SHOPPING CART}
본 발명은 쇼핑 카트용 바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부에 보조롤러부가 결합되어 무빙워크에서 숭강부 진입시 사용자가 안전하게 쇼핑 카트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쇼핑 카트용 바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할인점, 쇼핑 몰, 공항 등에서는 상품 구매용, 어린이용 또는 수하물 운반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카트(이하 통칭하여 '쇼핑 카트'라 한다)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종래 쇼핑 카트는 주로 고객이 쇼핑 시에 구입하고자 하거나 구입한 상품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또는 쇼핑을 하면서 어린이들을 태우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한 쇼핑 카트는 그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한 구조를 갖지만, 대체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손잡이 또는 손잡이 튜브(11)가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는 이동용 바퀴(caster)(11)가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중앙부에 화물이나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바스켓(basket)(13)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유아용 의자가 제 1 보조 프레임 및 제 2 보조 프레임 사이에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쇼핑 카트에 사용되는 바퀴(11)는 다양한 형태를 구비한다.
특히, 평지에서는 구름수단으로써 작용하고 무빙사이드워크(Moving sidewalk, 일종의 에스컬레이터이며, 이하에서는 무빙워크로 약칭함)상에서는 탑재면에 형성된 골들에 삽입되는 요철형의 바퀴날을 가진 쇼핑카트용 바퀴를 사용해 왔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쇼핑 카트에 사용되는 바퀴(20)가 휠(21), 휠(21)의 상부에 장착되는 포크 부재(22), 휠(21)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회동 안내판(25), 포크 부재(22)의 외측 일부에 고정 장착되는 제동기(23), 및 제동기(23)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동부재(24)를 구비한다. 제동기(23), 포크 부재(22), 및 회동 안내판(25)은 그 순서대로 볼트(26)와 너트(미도시)에 의해 휠(21)에 고정 장착된다.
한편, 회동 안내판(25)과 제동기(26) 사이 및 회동 안내판(25)과 포크 부재(22)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미도시)이 존재하여, 바퀴(20)의 사용시 다양한 이물질(예를 들어, 흙, 먼지, 돌조각 등은 물론 특히 실이나 끈 등)이 빈 공간(미도시) 내에 끼어서, 휠(21)의 회전 및 전후진 운동을 방해한다. 그 결과, 휠(21)이 용이하게 마모되어 바퀴(20)의 수명이 단축된다. 또한, 제동기(26) 및/또는 볼트(26)에 바람직하지 않은 힘이 인가되어 제동기(26) 및/또는 볼트(26)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일어나거나, 또는 유격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바퀴(20)의 양측 휠(21)은 평지에서는 지면과 접촉하여 상기 바퀴가 원활히 회동할 수 있게 하는 이동기능을 수행하고, 무빙워크 상에서는 골에 접촉하여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카트 사용자가 무빙워크에서 승강부로 진입시 집입턱에 전방 바퀴가 걸려 카트가 정지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빠른 속도의 무빙워크에서는 카트가 전방 바퀴가 진입턱에 걸림으로 인해 카트가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퀴부에 보조롤러부가 결합되어 무빙워크에서 숭강부 진입시 사용자가 안전하게 쇼핑 카트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쇼핑 카트용 바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별개로 제작된 포크부재 및 지지부재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한 쇼핑 카트용 바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퀴부에 보조롤러부가 결합되어 무빙워크에서 숭강부 진입시 사용자가 안전하게 쇼핑 카트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쇼핑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앙에 제 1 체결홈을 구비한 휠; 상기 휠의 양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쇼핑카트 본체의 받침축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홈이 각각 구비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지지판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동부재; 및 상기 휠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고정체결되는 보조롤러부를 포함하는 쇼핑 카트용 바퀴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롤러부는 한 쌍의 원판형 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 롤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원판형 부재는 상기 휠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 롤러부재는 상기 원판형 부재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부재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제 2 부재는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한 쌍의 제 2 부재 외주면을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보조롤러부는 무빙워크에서 승강부 진입시 상기 승강부에 먼저 닿도록 전진 방향에서 바닥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면 기준으로 상기 제동부재의 하부면과 같거나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쇼핑 카트용 바퀴를 구성하는 상기 휠은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돌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지지판 하부에는 외부로 볼록한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의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동부재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측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을 형성한 스크레이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제공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제공되는 바스켓;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장착되는 4개의 이동용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용 바퀴는 각각 중앙에 제 1 체결홈을 구비한 휠; 상기 휠의 양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쇼핑카트 본체의 받침축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홈이 각각 구비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지지판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동부재; 및 상기 휠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고정체결되는 보조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롤러부는 한 쌍의 원판형 부재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 롤러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원판형 부재는 상기 휠의 양측면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보조 롤러부재는 상기 원판형 부재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부재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제 2 부재는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한 쌍의 제 2 부재 외주면을 둘러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된 보조롤러부는 무빙워크에서 승강부 진입시 상기 승강부에 먼저 닿도록 전진 방향에서 바닥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쇼핑 카트를 구성하는 상기 휠은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돌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지지판 하부에는 외부로 볼록한 수직 돌출부가 형성되고, 양 측면의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동부재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측면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을 형성한 스크레이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퀴부에 보조롤러부가 결합되고, 기존 포크부재 및 지지부재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및 이를 장착한 쇼핑카트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무빙워크에서 숭강부 진입시 사용자가 안전하게 쇼핑 카트를 진입시킬 수 있으며, 바퀴의 제작시 생산성이 향상되고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쇼핑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 쇼핑 카트용 바쿠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용 바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용 바퀴가 결합되는 태양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퀴의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카트용 바퀴가 무빙워트 상에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카트용 바퀴에서 각 부품의 높이차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카트용 바퀴 및 이를 장착한 쇼핑 카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쇼핑 카트용 바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쇼핑 카트용 바퀴에 장착되는 원판형 부재에 결합된 보조 롤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 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핑 카트용 바퀴는 휠(100), 커버부재(200), 제동부재(300) 및 보조롤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휠(100)은 중앙에 내면부의 양면을 관통하는 소정의 제 1 체결홈(101)이 형성되어 있고, 원주면에는 다수개의 삽입돌부(10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부(102)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면을 따라 일주하는 요철형의 바퀴날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바퀴날은 쇼핑용 카트가 무빙워크를 통해 이동하는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무빙워크의 상부면(A)에 형성된 일정한 홈에 상기 각 바퀴날이 수용되어 추후에 설명할 제동부재(300)에 의해 쇼핑카트가 고정되게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일반 바닥면에서는 바퀴 역할을 하고, 무빙워크 상에서는 바퀴날이 홈에 수용되는 깊이만큼 단차가 형성되어 바닥면에서보다 쇼핑카트가 단차만큼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휠은 원주면에 다수개의 삽입돌부가 일정간격 형성되는 요철형의 바퀴날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휠은 최외각 양쪽의 바퀴날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원통형의 제동부재가 결합된 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예로 휠의 최외각 양쪽 휠에 각각 라이닝이나 디스크가 결합되어 이를 통한 제동기능을 할 수 있는 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상기 휠(100)의 양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쇼핑카트 본체의 받침축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플랜지(20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지지판(20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체결홈(10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홈(20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재(200)는 도 2와 같이 기존에 쇼핑 카트용 바퀴에 있어서 구성되던 포크부재, 지지부재인 제동기를 하나로 합체시켜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즉, 기존에 분리된 구성물품을 일체로 생산하여 생산성 및 유지보수에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일체형 커버부재는 사출성형 등 일반적인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합성수지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의 상부에는 소정의 플랜지(201)가 형성되는데, 상기 플랜지(201)는 쇼핑 카트와 체결되는 체결홈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고, 결합은 일반적인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00)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판(202)의 중간부에는 상기 휠(100)과 체결되기 위한 제 2 체결홈(20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추후 설명할 원판형 부재(401)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체결홈(203)을 통해 상기 원판형 부재(401) 및 상기 휠(100)이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을 통해 커버부재(200)와 원판형 부재(401)를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휠(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판(202)의 하부에는 외부로 볼록한 수직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양 측면의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오목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 돌출부(210) 및 한 쌍의 오목부(211)를 구비한 지지판(202) 하부는 추후 설명할 제동부재(300) 내부에 형성된 요홈(301)에 수용되어 견고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판(202)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오목부(211)는 제동부재(300) 내부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302)에 결합되어 지지판(202)에 제동부재(300)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수직 돌출부 및 오목부의 형상은 제동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동부재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동부재(300)는 휠(100)의 최하단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상부(C)에 위치하는데, 이는 도 6에 따른 무빙워크(A)에 형성된 홈에 휠(100)에 형성된 삽입돌부(102)가 삽입될 때 비로소 제동부재(300)가 무빙워크 바닥면(A)에 접촉되게 하기 위함이다. 즉, 도 7과 같이, 평소에 일반 바닥부(F)에서 이동시에는 상기 제동부재(300)는 지면보다 상부에 위치(C)하고, 무빙워크 상에서는 무빙워크 바닥면(A)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제동부재(3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제조될 수 있으나, 특별히 상기 재질을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고, 제동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상관없다.
상기 커버부재(200) 내측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을 형성한 스크레이퍼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레이퍼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 상부면과 결합되도록 체결홈을 구비하고,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휠의 외주면에 형성된 삽입돌부의 이격된 간격에 각각 대응하도록 스크레이퍼 날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레이퍼 날은 상기 휠에 형성된 삽입돌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는 흙 및 유입물들을 제거함으로서 휠이 깨끗한 상태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휠(100)과 커버부재(200) 사이에는 고정롤러부(400)가 체결되는데, 이하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롤러부(400)는 한 쌍의 원판형 부재(401)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 롤러부재(402)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원판형 부재(401)는 상기 휠(100)의 양측면(103)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에 고정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각각의 보조 롤러부재(402)는 상기 원판형 부재(401)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부재(402-1) 및 상기 제 1 부재(402-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부재(402-2)로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부재(402-1)는 원판형 부재(401)의 외면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되고, 도 7과 같이 끝단부가 제동부재(300)의 하단부보다 소정거리 이격되는 거리(D)만큼 연장된다. 상기 제 2 부재(402-2)는 상기 제 1 부재(402-1)의 끝단부에서 휠이 위치하는 방향쪽으로 제 1 부재(402-1)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나머지 다른 원판형 부재(401)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된 제 2 부재(402-2)와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결합된 한 쌍의 제 2 부재(402-2) 외주면을 둘러싸는 탄성부재(500)를 더 형성시켜 보조롤러부(400)를 구성하게 되는데, 도 6에 나와 있는 것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500)가 결합된 보조롤러부(400)는 무빙워크에서 승강부(B) 진입시 상기 승강부(B)에 먼저 닿도록 전진 방향에서 바닥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면 기준으로 상기 제동부재의 하부면과 같거나 높게 위치한다. 즉, 도 7과 같이 바닥부(F)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하여 평소 일반 바닥에서 이동시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조이다. 상기 탄성부재(5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제조될 수 있으나, 특별히 상기 재질을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판형 부재(401)는 상기 휠(100)의 외측에 형성된 수용부(103)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에 결합된다. 특히, 원판형 부재(401)가 결합시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보조 롤러부(400)가 바닥부로 경사진 형태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 휠(100)의 외측에 형성된 수용부(103)에 수용되고, 상기 커버부재(200)에 결합되는 구조를 하고 있지만, 상기 커버부재(200)에 일체로 보조롤러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200)에 일체로 보조 롤러부재(402)가 형성되고, 이들의 결합을 통해서 보조롤러부(4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판형 부재(401)에는 이미 설명한 휠(100)의 제 1 체결홈(101) 및 커버부재(200)의 제 2 체결홈(203)에 대응되는 제 3 체결홈(403)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원판형 부재(401)를 고정시키기 위해 캡(600)을 사용하는데, 상기 캡(600)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601)와 한 쌍의 체결돌기(6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돌기(601)는 상기 원판형 부재(401)에 형성된 고정홈(404)에 수용되어 커버부재(200)와 원판형 부재(401)를 고정시키고,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602)는 상기 원판형 부재(401)에 형성된 체결홈(405)에 수용되어 상기 캡(600)을 체결시킨다.
도 6은 무빙워크가 끝부분의 숭강부(B)를 나타낸 것으로, 기존에는 쇼핑카트의 바퀴가 무빙워크(A)에 형성된 골에 삽입된 채 승강부(B)로 진입시 단턱에 걸려 사용자가 다치는 등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조롤러부(400)가 장착된 바퀴로 승강부 진입시에는 상기 보조롤러부(400)가 승강부(B)에 먼저 착지하여 쇼핑 카트 전체를 견인하는 기능을 하여 기존에 카트가 단턱에 걸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퀴를 구성하는 제동부재(300)는 기존에 무빙워크에서 승강부(B) 진입시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은 면적으로 제작할 수 밖에 없었지만, 상기 보조롤러부(400)를 통해 승강부(B)를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동부재(300)는 하부 단면적을 최대한 넓게 할 수 있어 경사진 무빙워크 상부면(A)에서 최대한 안정되게 카트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쇼핑카트용 바퀴를 장착하여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제공되는 손잡이; 상기 프레임 중앙부에 제공되는 바스켓; 및 상기 프레임 하부에 장착되는 4개의 이동용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용 바퀴는 각각 중앙에 제 1 체결홈을 구비한 휠; 상기 휠의 양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쇼핑카트 본체의 받침축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지지판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체결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홈이 각각 구비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지지판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동부재; 및 상기 휠과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고정체결되는 보조롤러부를 포함하는 쇼핑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쇼핑카트에 있어 특징되는 부분은 카트에 장착되는 바퀴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무빙워크 또는 이동수단에 사용되는 카트용 구동수단에 적용된다.
100: 휠 101: 제 1 체결홈
102: 삽입돌부 200: 커버부재
201: 플랜지 202: 지지판
203: 제 2 체결홈 210: 수직돌출부
211: 오목부 300: 제동부재
301: 요홈 302: 측면돌출부
400: 보조롤러부 401: 원판형 부재
402: 보조롤러부재

Claims (5)

  1. 삭제
  2. 중앙에 제 1 체결홈(101)을 구비하고,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돌부(10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휠(100);
    상기 휠(100)의 양측면에 장착되고, 상부에는 쇼핑카트 본체의 받침축이 연결될 수 있는 소정의 플랜지(20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양측으로 지지판(20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체결홈(10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체결홈(203)이 각각 구비된 일체형 커버부재(200);
    상기 커버부재(200)의 지지판(202) 하부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동부재(300); 및
    상기 휠(100)과 상기 커버부재(200) 사이에 고정체결되는 보조롤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롤러부(400)는 한 쌍의 원판형 부재(401)에 결합된 한 쌍의 보조 롤러부재(402)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원판형 부재(401)는 상기 휠의 양측면(103)에 각각 수용되면서 상기 커버부재(200)에 고정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용 바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조 롤러부재(402)는 상기 원판형 부재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부재(402-1) 및 상기 제 1 부재(402-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제 2 부재(40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용 바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부재(402-2)는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한 쌍의 제 2 부재(402-2) 외주면을 둘러싸는 탄성부재(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500)가 결합된 보조롤러부(400)는 무빙워크에서 승강부 진입시 상기 승강부에 먼저 닿도록 전진 방향에서 바닥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바닥면 기준으로 상기 제동부재의 하부면과 같거나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용 바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200)의 지지판(202) 하부에는 외부로 볼록한 수직 돌출부(210)가 형성되고, 양 측면의 하부에 각각 한 쌍의 오목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제동부재(300)에는 요홈(3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측면 돌출부(30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핑 카트용 바퀴.
KR1020130034487A 2013-03-29 2013-03-29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KR101434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87A KR101434937B1 (ko) 2013-03-29 2013-03-29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4487A KR101434937B1 (ko) 2013-03-29 2013-03-29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937B1 true KR101434937B1 (ko) 2014-08-29

Family

ID=5175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4487A KR101434937B1 (ko) 2013-03-29 2013-03-29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9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960A (ko) * 2014-10-17 2016-04-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적 약자를 위한 쇼핑카트
KR20190006939A (ko) 2018-12-25 2019-01-21 박준서 충돌을 사전에 알려주는 쇼핑카트
KR102244369B1 (ko) * 2020-11-24 2021-04-26 엄지환 바퀴용 안전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819U (ko) * 1990-03-15 1991-12-09
JPH0556502U (ja) * 1991-12-26 1993-07-27 俊 大塚 キャスタ
JP2006306246A (ja) 2005-04-28 2006-11-09 Zojirushi Baby Kk キャスター
JP2009248800A (ja) * 2008-04-08 2009-10-29 Hammer Caster Co Ltd キャス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819U (ko) * 1990-03-15 1991-12-09
JPH0556502U (ja) * 1991-12-26 1993-07-27 俊 大塚 キャスタ
JP2006306246A (ja) 2005-04-28 2006-11-09 Zojirushi Baby Kk キャスター
JP2009248800A (ja) * 2008-04-08 2009-10-29 Hammer Caster Co Ltd キャスタ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960A (ko) * 2014-10-17 2016-04-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적 약자를 위한 쇼핑카트
KR101626213B1 (ko) 2014-10-17 2016-06-1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체적 약자를 위한 쇼핑카트
KR20190006939A (ko) 2018-12-25 2019-01-21 박준서 충돌을 사전에 알려주는 쇼핑카트
KR102244369B1 (ko) * 2020-11-24 2021-04-26 엄지환 바퀴용 안전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937B1 (ko) 보조롤러부가 결합된 쇼핑 카트용 바퀴
JP6168329B2 (ja) 運搬台車用固定及び回転兼用キャスター
JP6274695B2 (ja) トラックロール式搬送台車
KR20210079631A (ko) 이동식 바구니
KR200490642Y1 (ko) 쇼핑카트의 이동바퀴용 마찰패드
JP5099439B2 (ja) キャスター
US7198279B2 (en) Guide wheel assembly for carts
US10035074B1 (en) Motorized toy vehicle with improved traction wheels and surface guidance system
CN203331706U (zh) 能够爬楼梯的车子及其车轮
CN203651345U (zh) 电梯轮
KR101357874B1 (ko) 캐스터용 휠
US9869055B2 (en) Rolling hamper
CN204937193U (zh) 爬楼梯轮子、轮椅、拉杆箱、手推车和童车
RU2653649C2 (ru) Колес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880023B1 (ko) 핸드 캐리어
KR101872581B1 (ko) 착탈 가능한 전동식 주행장치
KR20090004691U (ko) 개선된 쇼핑 카트용 바퀴 및 이를 구비한 쇼핑 카트
CN215752578U (zh) 一种具有加强机构的手推车轮圈
JP2014218108A (ja) 雪面兼用キャスターおよび雪面兼用運搬車
JP2013116720A (ja) 移動用キャスター
AU712834B2 (en) A wheel and brake assembly
EP2106929B1 (en) Self-braking castor for transport trolleys
JP2018118726A (ja) 手押し台車用そり装置およびそり付き手押し台車
CN212220261U (zh) 一种五轮双扶手推车的脚轮安装结构
JP5349934B2 (ja) 台車のクロス積み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される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