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885B1 -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885B1
KR101434885B1 KR1020130022040A KR20130022040A KR101434885B1 KR 101434885 B1 KR101434885 B1 KR 101434885B1 KR 1020130022040 A KR1020130022040 A KR 1020130022040A KR 20130022040 A KR20130022040 A KR 20130022040A KR 101434885 B1 KR101434885 B1 KR 10143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housing
bracket
brush
rear bracket
fro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환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개방되는 요크 하우징, 이 요크 하우징의 일측을 막는 리어 브라켓, 이 요크 하우징의 타측을 막는 프런트 브라켓, 이 리어 브라켓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체결편, 및 요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체결편과 프런트 브라켓을 결속하여 요크 하우징을 고정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요크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 프런트 브라켓과 리어 브라켓을 체결하는 관통볼트를 요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의 브러시와 마그넷의 전기각 조절시 관통볼트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리어 브라켓에 프런트 브라켓의 체결시 요크 하우징의 둘레면을 내부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오링과 요크 하우징을 밀착시킬 수 있어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SEALING APPARATUS FOR START-MOTOR}
본 발명은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요크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 프런트 브라켓과 리어 브라켓을 체결하는 관통볼트를 요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의 브러시와 마그넷의 전기각 조절시 관통볼트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고, 리어 브라켓에 프런트 브라켓의 체결시 요크 하우징의 둘레면을 내부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오링과 요크 하우징을 밀착시킬 수 있어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은 자력으로 시동할 수 없으므로, 실린더 안에서 최초로 폭발 연소를 일으켜 엔진을 회전시키려면 외부의 힘으로 크랭크축을 돌려주어야 한다.
그리고 엔진의 크랭크축을 돌려주기 위한 것이 시동장치이다.
이러한, 시동장치는 엔진의 크랭킹(cranking)을 위한 토크를 발생시키는 스타트 모터와, 이 스타트 모터의 구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타트 모터는 마그네틱 스위치부와, 아마추어 어셈블리와, 이 아마추어 어셈블리의 구동력을 엔진의 크랭크축에 전달하기 위한 오버러닝클러치(ORC: OVER RUNNING CLUTCH) 및 아마추어 어셈블리와 아마추어의 회전 RPM을 감속하여 토크로 변환하는 기어 어셈블리와,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되어 스타트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오버러닝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스타트모터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111546호에 제안되어 있다.
기존 스타트모터는 요크 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되는 리어 브라켓과 프런트 브라켓을 결속하는 관통볼트를 요크 하우징 내부로 삽입함에 따라 요크 하우징 내부의 브러시와 요크 하우징 내측면에 구비된 마그넷의 전기각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 스타트모터는 요크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리어 브라켓과 프런트 브라켓을 결속시 요크 하우징의 배불림 현상으로 내부 구성물과 요크 하우징의 밀착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요크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 프런트 브라켓과 리어 브라켓을 체결하는 관통볼트를 요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의 브러시와 마그넷의 전기각 조절시 관통볼트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아 전기각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어 브라켓에 프런트 브라켓의 체결시 요크 하우징의 둘레면을 내부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오링과 요크 하우징을 밀착시킬 수 있어 밀봉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요크 하우징, 상기 요크 하우징의 일측을 막는 리어 브라켓, 상기 요크 하우징의 타측을 막는 프런트 브라켓, 상기 리어 브라켓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체결편, 및 상기 요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체결편과 상기 프런트 브라켓을 결속하여 상기 요크 하우징을 고정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편은 상기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프런트 브라켓과 결속시 상기 요크 하우징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푸쉬레그를 연장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편은 요크 하우징과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리어 브라켓에서 상기 프런트 브라켓을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후 관통볼트의 체결 시 나사의 체결력에 의하여 상기 체결편의 푸쉬레그는 상기 프런트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되며 요크 하우징의 둘레면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요크 하우징은 상기 리어 브라켓의 내측에 배치되는 백업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백업플레이트는 상기 요크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요크실링부재를 둘레면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프런트 브라켓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요크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 프런트 브라켓과 리어 브라켓을 체결하는 관통볼트를 요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의 브러시와 마그넷의 전기각 조절시 관통볼트로부터 간섭을 받지 않아 전기각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어 브라켓에 프런트 브라켓의 체결시 요크 하우징의 둘레면을 내부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요크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오링과 요크 하우징을 밀착시킬 수 있어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마그네트 스위치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모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모터부의 캡부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캡부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프런트 브라켓과 케이스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브라켓과 케이스의 결합 부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이동에 따란 가스켓부재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링기어 서포터와 부쉬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백업플레이트에 브러시와이어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요크 하우징 고정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요크 하우징 분리 사시도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요크 하우징 고정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하우징과 프런트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하우징과 프런트 브라켓의 조립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브라켓의 드레인홀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마그네트 스위치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모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모터부의 캡부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의 캡부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프런트 브라켓과 케이스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브라켓과 케이스의 결합 부위 확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의 이동에 따란 가스켓부재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인터널기어 어셈블리의 링기어 서포터와 부쉬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백업플레이트에 브러시와이어가 연결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브러시홀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요크 하우징 고정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요크 하우징 분리 사시도이며,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의 요크 하우징 고정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하우징과 프런트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 하우징과 프런트 브라켓의 조립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런트 브라켓의 드레인홀을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타트모터(10)는 마그네트 스위치부(100), 및 모터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그네트 스위치부(100)는 모터부(200)에 연결되는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캡부(120), 및 전원터미널(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는 단자부(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그네트 스위치부(100)는 단자부(112)를 통해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의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모터부(200)가 엔진의 링기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모터부(200)의 오버러닝 클러치(250)를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10)는 기계체결요소에 의한 결합방식을 통해 모터부(200)의 프런트 브라켓(214)에 결합되며, 내부에 코일(114)이 권선된 보빈(116)이 결합되고, 마그네트 스위치부(100)의 피니언(270)을 이동시키기 위해 코일(114)의 내측에 플런저(118)가 왕복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플런저(118)와 피니언(270)은 레버(130)와 오버런닝 클러치(250)를 통해 상호 연결한다.
또한,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단자부(112)를 설치하기 위한 캡부(120)가 결합된다.
캡부(120)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절연을 위하여 합성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된다. 또한, 캡부(120)는 단자부(112)가 상부에 결합되고, 일측에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지는 소켓(140)이 형성된다.
캡부(120)는 사출 성형될 때 소켓(140)까지 그 형태가 완전하고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열가소성 수지를 통해 사출된다.
단자부(112)는 상단부가 캡부(120)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압입되어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전원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전원터미널(도시하지 않음) 및 모터부(200)의 특정 부위에 접지되는 접지케이블(5)의 접지터미널(6)을 연결한다.
또한, 모터부(200)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원통형 요크 하우징(212)을 사이에 두고 조립된 프런트 브라켓(214)과 리어 브라켓(216), 아마추어 어셈블리(230), 인터널기어 어셈블리(400), 및 아마추어 어셈블리(2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부(200)는 아마추어 어셈블리(23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오버런닝 클러치(250)를 통해 샤프트 롤러(272) 선단의 피니언(270)으로 전달한다.
특히, 레버(130)가 피니언(270)을 전후진 시킬 목적으로 힌지점(132)을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레버(130)는 마그네트 스위치부(100)의 작동에 의해 회동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엔진 시동을 걸고자 Key On을 하면 전원이 공급되면서 아마추어 어셈블리(230)가 회전을 하게 되고, 그 회전력은 오버런닝 클러치(250)에 의해서 피니언(270)에 전달된다.
이때, 마그네트 스위치부(100)의 플런저(118)의 작동에 의해서 회동하는 레버(130)가 오버런닝 클러치(250)와 함께 피니언(270)을 밀어서 전진시키면 엔진의 기어(도시하지 않음)에 기어 결합되어 엔진을 시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서처럼,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는 리어 브라켓(216)의 내측면에 고정하는 절연판(320), 이 절연판(320)에 방사상으로 조립된 복수의 브러시홀더(310), 이 브러시홀더(310) 속에 끼워진 브러시(330), 및 이 브러시(33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한 쌍의 단자부(1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브러시 와이어(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는 다수의 브러시홀더(310)를 방사상으로 구비한 절연판(320)을 리어 브라켓(216)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서로 조립된다.
아울러, 인터널기어 어셈블리(400)는 오버런닝 클러치(250)의 드라이브 샤프트(260)의 유성기어(252)와 연결되고, 이 유성기어(252)가 아마추어 어셈블리(230)의 아마추어 샤프트(232)의 썬기어(234)에 치합되어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에 전원을 인가하면 아마추어 샤프트(232)의 회전력이 썬기어(234)와 기어 결합된 드라이브 샤프트(260)의 유성기어(252)에 전달되고, 이 유성기어(252)가 인터널기어 어셈블리(400)에서 회전되면서 드라이브 샤프트(260)가 회전하게 된다.
드라이브 샤프트(260)는 인터널기어 어셈블리(400)에 결합되며, 유성기어(252)가 지지플레이트(254) 및 중심핀(253)에 의해 드라이브 샤프트(260)에 연결된다. 이로 인하여 유성기어(252)는 드라이브 샤프트(26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되는 동시에 자전된다.
더욱이,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의 절연판(320)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가 아마추어 어셈블리(230)에 조립될 수 있도록 백업플레이트(500)를 통해 결속된다.
브러시홀더(310)를 통해 절연판(320)에 설치되는 브러시(330)는 (+)브러시(332)와 (-)브러시(334)로 구성되며, 절연판(320)에 방사선으로 위치된다. 또한, 브러시(330)는 (+)브러시(332)가 리드와이어(360)에 접속되고, (-)브러시(334)가 그라운드에 용접되어 접지되며, (+)브러시(332) 및 (-)브러시(334)가 절연판(3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하나씩 상호 이웃되게 설치된다.
각각의 브러시(330)는 정류자(236)의 외주연에 배치되며 브러시 스프링(370)의 압축력에 의해 정류자(236)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아울러, 브러시(330)를 고정하기 위한 브러시홀더(310)는 크림핑 등의 결합방식을 통해 절연판(320)에 결합된다.
이웃한 한 쌍씩의 브러시홀더(310)는 브러시 와이어(340)로 연결된다.
브러시홀더(310)는 절연커버를 구비한다.
또한, 아마추어 어셈블리(230)에는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와 접촉되는 정류자(236)가 구비된다.
한편, 양측으로 개방된 케이스(110)의 일측을 막는 캡부(120)는 단자부(112)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122)을 통공한다. 이때, 삽입홀(122)을 통해 단자부(112)와 캡부(120)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틈새로 오일 등 물기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쇼트 발생 등 마그네트 스위치부(100)의 작동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캡부(120)의 단자부(112) 삽입 부위가 밀봉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캡부(120)의 단자부(112) 삽입 부위에 발생되는 틈새를 밀봉하기 위해 밀봉부(150)가 구비된다.
밀봉부(150)는 캡실링부재(152), 평와셔부재(154), 및 고정와셔부재(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캡실링부재(152)는 삽입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도록 캡부(120)에 접하고, 단자부(112)에 원주 방향으로 연속되게 접하게 된다. 그래서, 캡실링부재(152)는 삽입홀(122)에 삽입된 단자부(112)와 캡부(120) 사이의 틈새 발생이 방지된다. 이때, 캡실링부재(152)는 고무 재질의 오링(O-ring)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캡실링부재(152)는 캡부(120)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단자부(112)를 삽입한다. 캡실링부재(152)가 단자부(112)에 삽입되며 캡부(120)에 접함으로써, 삽입홀(122)은 최대한 밀봉 처리된다.
그리고, 평와셔부재(154)는 캡실링부재(152)를 위치 고정하고,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평와셔부재(154)는 와셔(washer)로써 링 형상이고, 단자부(112)의 둘레면에 삽입된다. 아울러, 평와셔부재(154)는 캡실링부재(152)를 캡부(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캡실링부재(152)는 평와셔부재(154)의 누르는 힘에 의해 단면상 초기 원 상태에서 소정 펴지는 타원 상태로 변형됨에 따라, 삽입홀(122)의 밀봉력을 극대화하게 된다. 이는, 캡실링부재(152)가 단자부(112)의 둘레면에 코킹을 통해 결속되고, 평와셔부재(152)를 캡부(120) 방향으로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평와셔부재(154)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고정와셔부재(156)는 와셔(washer)로써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자부(112)에 고정된 채 평와셔부재(154)와 캡실링부재(152)를 캡부(120)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고정와셔부재(156)는 내측면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고정리브(157)를 돌출하고, 단자부(112)는 고정리브(157)를 일대일로 수용하는 수용홈부(159)를 함몰 형성한다.
즉, 고정와셔부재(156)의 고정리브(157)가 일대일 대응되는 단자부(112)의 수용홈부(159)에 억지 끼움됨으로써, 고정와셔부재(156)가 평와셔부재(154)와 캡실링부재(152)를 캡부(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캡실링부재(152)는 위치 고정되고 평면상 변형되어 밀봉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물론, 고정리브(15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고정와셔부재(156)는 캡부(12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고정와셔부재(156)는 캡부(120)의 표면에 접하도록 연장리브(155)를 일측에서 연장 형성한다. 연장리브(155)는 용접 등에 의해 캡부(120)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와셔부재(156)는 단자부(112)에 더욱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캡실링부재(152)가 밀봉력 증대를 위해 캡부(120)에 대해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캡부(120)는 함몰홈부(158)를 함몰 형성한다. 함몰홈부(158)는 삽입홀(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캡부(120)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함몰홈부(158)는 캡부(120)의 전측 표면에서 곡률지게 함몰 형성된다. 이로 인해, 오링 타입의 캡실링부재(152)는 캡부(120)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된다.
아울러, 캡실링부재(152)는 함몰홈부(158)에 수용된 채 평와셔부재(154)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캡실링부재(152)는 고정와셔부재(156)의 가압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며, 소정 변형이 발생되어 단자부(112)와 캡부(120) 사이의 틈새를 최대한 막게 된다.
케이스(110)의 타측은 프런트 브라켓(214)에 결합됨으로써 막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110)는 내측에 플런저(118)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때, 케이스(110)와 프런트 브라켓(214)의 결합부위에는 외부 물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발생된다.
그래서, 도 6,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케이스(110)와 프런트 브라켓(214)의 결합부위에 의한 틈새는 밀봉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스켓부재(160)는 케이스(110)와 프런트 브라켓(214)의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10)와 프런트 브라켓(214)의 연결 부위 틈새를 막아 밀봉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스켓부재(160)는 밀봉력 증대를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가스켓부재(160)는 케이스(110)와 프런트 브라켓(214)의 내측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전체 둘레에 대한 밀봉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멤브레인 와셔(163)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케이스(110)는 가스켓부재(160)의 가장자리를 접촉시킨 후 볼팅 등으로써 결합할 수 있도록 타측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리브(111)를 구비한다. 즉, 결합리브(111)는 케이스(110)의 타측에서 내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가스켓부재(160)의 가장자리와 면접촉하게 된다.
또한, 플런저(118)는 후크(119)를 구비하고, 후크(119)는 레버(130)를 힌지 연결한다. 그래서, 레버(130)가 힌지점(132)을 기준으로 시소 운동을 할 경우, 후크(119)는 전후진되고, 이에 연동되어, 플런저(118)가 직선 왕복 이동하게 된다.
특히, 가스켓부재(160)는 후크(119)에 삽입하게 된다.
가스켓부재(160)는 테두리부재(162), 및 멤브레인(1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테두리부재(162)는 케이스(110)의 타측 즉, 결합리브(111)에 면접된다. 그리고, 테두리부재(162)는 볼팅 등에 의해 결합리브(111)와 결합된다. 그리고, 테두리부재(162)는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테두리부재(162)는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재(162)가 케이스(110)와 프런트 브라켓(214)의 연결 부위를 직접적으로 막아 밀봉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멤브레인(164)은 테두리부재(162)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멤브레인(164)은 플런저(118)에 연결되는 후크(119)를 삽입하기 위한 통공홀(169)을 형성한다. 특히, 멤브레인(164)은 후크(119)와 함께 플런저(118)가 밀폐된 케이스(110)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시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구비된다. 멤브레인(164)은 주름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멤브레인(164)은 공기의 이동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하도록, 제 1멤브레인부재(165), 제 2멤브레인부재(166), 제 3멤브레인부재(167), 및 이동블록(1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1멤브레인부재(165)는 링 타입인 테두리부재(162)의 홀 내측면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1멤브레인부재(165)는 멤브레인(164)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형상 유지를 위해 경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축 및 팽창에 따른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제 1멤브레인부재(165)는 테두리부재(162)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제 1멤브레인부재(165)는 테두리부재(162)의 홀 내측면에서 프런트 브라켓(21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제 2멤브레인부재(166)는 제 1멤브레인부재(165)의 테두리 즉, 제 1멤브레인부재(165)의 단부에서 제 1멤브레인부재(165) 내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아울러, 제 2멤브레인부재(166)는 연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제 2멤브레인부재(166)는 제 1멤브레인부재(165)를 기준으로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즉, 플런저(118)와 후크(119)가 프런트 브라켓(214) 방향으로 후진시,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프런트 브라켓(214)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멤브레인부재(166)는 제 1멤브레인부재(165)에 대해 일방향으로 이동되며 팽창하게 된다. 도면상, 제 2멤브레인부재(166)는 프런트 브라켓(214) 방향으로 팽창하게 된다.
반대로, 플런저(118)와 후크(119)가 프런트 브라켓(214) 반대방향으로 전진시, 케이스(110) 내부의 공기가 프런트 브라켓(214)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2멤브레인부재(166)는 제 1멤브레인부재(165)에 대해 타방향으로 이동되며 수축하게 된다. 즉, 제 2멤브레인부재(166)는 탄성 복원된다.
또한, 제 3멤브레인부재(167)는 제 2멤브레인부재(166)의 테두리 즉, 제 2멤브레인부재(166)의 단부에서 제 2멤브레인부재(166)의 연장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 3멤브레인부재(167)는 테두리부재(162)에서 연장되는 제 1멤브레인부재(165)와 동일 방향으로 제 2멤브레인부재(166)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제 3멤브레인부재(167)는 연질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제 3멤브레인부재(167)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에 따라 제 2멤브레인부재(166)와 함께 팽창 및 수축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제 2멤브레인부재(166)와 제 3멤브레인부재(167)가 함께 팽창을 함에 따라, 플런저(118)와 후크(119)가 프런트 브라켓(214) 방향으로 후진시의 이동되는 공기는 제 2멤브레인부재(166)와 제 3멤브레인부재(167) 내부에 충분히 수용된다. 그래서, 플런저(118)와 후크(119)의 후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편의상, 팽창과 수축이 제 2멤브레인부재(166)와 제 3멤브레인부재(167)에 의해 행해진다고 도시하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후크(119)가 제 3멤브레인부재(167)에 직접적으로 삽입시, 제 3멤브레인부재(167)는 연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쉽게 찢어질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제 3멤브레인부재(167)의 테두리 즉, 제 3멤브레인부재(167)의 단부에는 적당한 두께를 가지는 연질의 이동블록(168)이 구비된다. 이동블록(168)은 후크(119)를 삽입하는 통공홀(169)을 통공한다. 통공홀(169)은 후크(119)의 직선 왕복 이동을 차단하는 억지끼움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동블록(168)은 적당한 두께를 가지는 연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후크(119)가 이동블록(168)과 마찰을 발생하더라도, 쉽게 파손되거나 찢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제 1멤브레인부재(165), 제 2멤브레인부재(166), 제 3멤브레인부재(167), 및 이동블록(168)은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크(119)는 이동블록(168)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이동블록(168)의 양측에 각각 접하도록 접촉턱(117)을 둘레면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에서처럼, 인터널기어 어셈블리(400)의 링기어 서포터(4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서로 외접 기어 결합되는 유성기어(252)를 내접 기어 결합하는 링기어(410)를 전측으로 수용하여 감싸도록 구비된다.
특히, 링기어 서포터(420)는 가장자리를 따라 비연속되게 제 2댐퍼지지부(422)를 돌출 형성하고, 링기어(410)는 둘레면에 비연속되게 제 1댐퍼지지부(412)를 구비한다.
이때, 제 2댐퍼지지부(422)가 링기어(410)의 둘레면과 접하게 된다. 그래서, 링기어 서포터(420)는 링기어(410)를 수용하여 감싸게 된다.
아울러, 링기어 서포터(420)가 링기어(410)를 수용할 경우, 제 1댐퍼지지부(412)와 제 2댐퍼지지부(422)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간격 유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 1댐퍼지지부(412)와 제 2댐퍼지지부(422) 사이에는 댐퍼(430)가 구비된다.
댐퍼(430)는 링기어 서포터(420)와 링기어(410)에 전달되는 하중과 충격 및 소음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링기어 서포터(420)는 드라이브 샤프트(260)를 삽입하기 위해 결합홀(424)을 통공한다.
이때, 드라이브 샤프트(260)가 결합홀(424)에 직접적으로 축 삽입될 경우, 드라이브 샤프트(260)의 반경 방향 하중이 링기어 서포터(420)에 집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링기어 서포터(420) 및 링기어(410)가 파손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그래서, 링기어 서포터(420)의 결합홀(424)에는 부쉬(440)가 삽입된다.
부쉬(440)는 결합홀(424)에 억지 끼움되고,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드라이브 샤프트(260)는 부쉬(440)에 삽입된다. 따라서, 부쉬(440)는 드라이브 샤프트(260)의 반경 방향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링기어(410)와 링기어 서포터(42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즉, 부쉬(440)는 링기어 서포터(420)에 대해 드라이브 샤프트(260)를 지지하는 베어링 역할을 한다.
특히, 드라이브 샤프트(260)가 회전되면서 진동 및 굽힘하중 발생시, 부쉬(440)는 결합홀(424)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부쉬(440)와 링기어 서포터(4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링기어 서포터(420)는 결합홀(424)의 내측면을 경사지게 한 제 1테이퍼면(452)을 형성하고, 부쉬(440)는 제 1테이퍼면(452)과 면접되도록 경사진 제 2테이퍼면(454)을 형성한다.
즉, 제 1테이퍼면(452)과 제 2테이퍼면(454)이 서로 대칭되게 경사져 있어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채 밀착됨으로써, 부쉬(440)는 링기어 서포터(4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부쉬(440)가 링기어 서포터(420)에 테이퍼진 채 강제 삽입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링기어 서포터(420)의 두께는 기존보다 얇아질 수도 있다.
이때, 부쉬(440)는 링기어 서포터(420)의 후측으로 항상 가압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부쉬(440)가 링기어 서포터(420)의 전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 1테이퍼면(452)은 결합홀(424)의 후측으로 갈수록 축경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 1테이퍼면(452)은 링기어 서포터(420)의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축경되는 경사면을 갖게 된다. 그래서, 부쉬(440)가 링기어 서포터(420)의 전측에서 결합홀(424)에 강제 삽입 후 링기어 서포터(420)의 후측으로 이탈 방지된다.
또한, 링기어 서포터(420)는 링기어(410)를 내측에 수용하고, 링기어(410)는 내측에 유성기어(252)를 내접 기어 결합한다. 그리고, 유성기어(252)는 지지플레이트(254)에 의해 커버링된다. 즉, 링기어 서포터(420)의 전측에는 지지플레이트(254)가 구비된다. 아울러, 지지플레이트(254)는 링기어 서포터(420)와 핀에 의한 억지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성기어(252)가 지지플레이트(254)에 의해 부쉬(440)를 소정 가압하게 된다.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에서처럼,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10)의 브러시 와이어(340)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의 브러시(330)에 접속되어 통전시 발열된다. 그래서, 브러시 와이어(340)는 방열을 위해 금속 재질의 리어 브라켓(216)에 연결된다.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의 절연판(320)은 절연재질로서 브러시(330)를 구비하고, 리어 브라켓(216)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브러시 와이어(340)가 하나의 판 형상인 리어 브라켓(216)에 직접적으로 연결시 방열 성능 향상에 제한이 있다.
그래서, 절연판(320)과 리어 브라켓(216) 사이에 백업플레이트(500)가 구비된다.
백업플레이트(500)는 리어 브라켓(216)과 절연판(320) 사이에 구비되고, 리어 브라켓(216)과 연결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백업플레이트(500)는 브러시 와이어(340)를 직접적으로 접속한다. 따라서, 백업플레이트(500)는 발열되는 브러시 와이어(340)의 방열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리어 브라켓(216)과 백업플레이트(500)는 조립 과정을 통해 자연적으로 방열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리어 브라켓(216)은 백업플레이트(500) 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 1결합돌기(610)를 돌출 형성한다. 이때, 제 1결합돌기(610)는 금속 재질로서 리어 브라켓(216)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결합돌기(6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백업플레이트(500)는 제 1결합돌기(610)와 일치되게 제 2설치홀(630)을 통공한다.
그리고, 제 1결합돌기(610)가 제 2설치홀(630)에 크림핑을 통해 결속됨으로써, 리어 브라켓(216)과 백업플레이트(500)는 방열을 위해 통전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절연판(320)은 제 3설치홀(640)을 통공한다.
아울러, 리어 브라켓(216)과 백업플레이트(500) 및 절연판(320)이 순서대로 적층시, 제 1결합돌기(610)가 제 3설치홀(640)에 수용된다.
특히, 백업플레이트(500)는 리어 브라켓(216)에 가조립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리어 브라켓(216)과 백업플레이트(5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리어 브라켓(216)은 백업플레이트(500) 방향으로 허브(217)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백업플레이트(500)는 허브(217)를 일부 삽입하기 위한 중심홀(218)을 통공한다. 즉, 백업플레이트(500)가 허브(217)를 기준하여, 백업플레이트(500)는 리어 브라켓(216)에 가조립된다. 물론, 허브(217)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리어 브라켓(216)과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허브(217)가 백업플레이트(500)와 연결됨으로써, 방열을 위한 열의 전도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백업플레이트(500)는 중심홀(218)을 통공하기 때문에,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브러시 와이어(340)는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에 가까운 백업플레이트(50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백업플레이트(500)는 브러시 와이어(34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절연판(3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502)을 구비한다. 절곡편(502)은 중심홀(218)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백업플레이트(500)에서 연장된 후 절연판(320) 방향으로 절곡 처리된다. 브러시 와이어(340)는 용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절곡편(502)에 연결된다.
물론, 절곡편(50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요크 하우징(212)은 양측으로 개방된 관[pipe] 형상으로서, 내부에 방열면적 증가를 위해 구비되는 백업플레이트(500)와 아마추어 어셈블리(230)를 수용한다. 즉, 요크 하우징(212)은 일측 내부에 백업플레이트(500)와 절연판(320)을 구비한다.
리어 브라켓(216)은 요크 하우징(212)의 일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 브라켓(216)과 백업플레이트(500)는 제 1결합돌기(610)의 크림핑에 의해 결속된다.
다시 말해서, 리어 브라켓(216)은 제 1결합돌기(610)를 복수 개 돌출하고, 백업플레이트(500)는 리어 브라켓(216)과 통전 가능하게 제 1결합돌기(610)의 크림핑을 통해 결속될 수 있도록 제 1결합돌기(610)와 일치되게 제 2설치홀(630)을 통공한다.
절연판(320)은 제 1결합돌기(610)를 수용하기 위해 제 3설치홀(640)을 통공한다.
특히, 요크 하우징(212)은 일측을 리어 브라켓(216)으로 막고, 타측을 프런트 브라켓(214)으로 막는다.
이때, 요크 하우징(212)은 일측 내부에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를 구비한다.
아울러, 리어 브라켓(216)과 요크 하우징(212)이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물기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어 브라켓(216)과 요크 하우징(212)의 결합 부위로 외부 물기가 소정 유입되더라도, 이 외부 물기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로 흐르는 것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리어 브라켓(216)이 요크 하우징(212)의 일측과 접하여 막고, 백업플레이트(500)가 리어 브라켓(21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요크 하우징(212) 내부에 구비되며, 절연판(320)이 백업플레이트(5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리어 브라켓(216)은 요크 하우징(212)의 일측 테두리와 연속되게 접하도록 조립되며, 절연판(320)은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접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백업플레이트(50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과 연속적으로 유격되게 구비된다. 즉, 백업플레이트(500)의 직경이 요크 하우징(212)의 직경보다 작게 된다. 특히, 백업플레이트(500)와 절연판(320)이 리어 브라켓(216)에 지지되고, 아마추어 샤프트(232)의 일측이 리어 브라켓(216)에 지지됨으로써, 백업플레이트(500)는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과 소정 유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백업플레이트(500)는 테두리에 요크실링부재(510)를 구비한다. 즉, 백업플레이트(500)가 요크실링부재(510)에 삽입된다. 이때, 요크실링부재(510)는 고무 등 탄성 재질을 갖는 오링(O-ring)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요크실링부재(510)가 백업플레이트(500) 둘레면에 구비된 채,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되게 접한다.
그래서, 요크실링부재(510)는 리어 브라켓(216)과 요크 하우징(212)의 결합 부위 사이 틈새로 유입된 외부 물기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요크실링부재(510)는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소정 변형되며 요크 하우징(212)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요크실링부재(510)는 요크 하우징(212) 내부로 유입된 물기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 방향으로 유동되는 경로를 최대한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즉, 요크실링부재(510)는 마주하여 서로 대향하는 리어 브라켓(216)과 절연판(320)의 가장자리 표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요크실링부재(510)가 백업플레이트(500)의 테두리에 감긴 채 요크 하우징(212) 내측면과 대향하는 리어 브라켓(216)의 가장자리 및 절연판(320)의 가장자리에 동시에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물기는 리어 브라켓(216)과 백업플레이트(500) 사이로 최대한 유입되지 않고, 함으로써, 백업플레이트(500)와 절연판(320) 사이로 최대한 유입되지 않으며,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 등 요크 하우징(212) 내부의 주요 전자부품으로 최대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의 물기가 리어 브라켓(216)과 요크 하우징(212)의 결합 부위를 통해 요크 하우징(2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리어 브라켓(216)과 요크 하우징(212)의 접합 면적이 증가됨이 바람직하고, 접합 부위가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즉, 리어 브라켓(216)은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과 테두리를 동시에 접하여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테두리에 후측단차홈부(213)를 형성한다.
후측단차홈부(213)는 리어 브라켓(216)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연속되게 테두리 일부에서 내측 가장자리 일부에 걸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요크 하우징(212)의 일측 내부면은 후측단차홈부(213)에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요크 하우징(212)의 일측 테두리는 후측단차홈부(213)에 접하게 된다.
즉, 요크 하우징(212)이 후측단차홈부(213)에 안착되어 조립됨으로써, 리어 브라켓(216)과 요크 하우징(212)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과 동시에 접촉 부위를 절곡되게 형성함에 따라, 외부 물기가 리어 브라켓(216)과 요크 하우징(212)의 결합 부위를 통해 요크 하우징(212) 내부로 최대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요크 하우징(212)의 일측 테두리가 리어 브라켓(216)의 후측단차홈부(213)에 안착됨에 따라, 외부 물기는 1차적으로 요크 하우징(212) 내부로 유입 차단된다. 그리고, 요크실링부재(510)가 백업플레이트(500), 절연판(320), 리어 브라켓(216) 및 요크 하우징(212)에 동시에 접함으로써, 외부 물기는 2차적으로 요크 하우징(212) 내부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6에서처럼, 절연판(320)은 리어 브라켓(216)의 내측에 구비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브러시홀더(310)를 고정한다. 브러시홀더(310)는 크림핑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절연판(320)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브러시홀더(31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된다.
아울러, 브러시(330)는 브러시홀더(310)에 삽입되어 축 방향을 따라 이송 가능하게 된다. 이때, 브러시(330)는 후측에서 브러시 스프링(370)이 탄성적으로 미는 힘에 의해 정류자(236) 방향으로 전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브러시(330)는 항상 정류자(236)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정류자(236)는 브러시(330)에 접촉한 상태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래서, 브러시(330)는 정류자(236)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게 된다.
브러시(330)는 마모되더라도 브러시 스프링(370)의 미는 힘에 의해 항상 정류자(236)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브러시(330)는 브러시 와이어(340)를 연결한다. 브러시 와이어(340)는 이웃한 한 쌍의 브러시(3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브러시(330)가 브러시 와이어(340)를 연결한 상태로 브러시홀더(310)에 축 삽입되기 때문에, 브러시홀더(310)는 이동하게 되는 브러시(330)와 함께 브러시 와이어(340)의 전측 방향 이송을 허용하도록 일측에 가이드홈부(312)를 통공한다. 가이드홈부(312)는 브러시홀더(310)의 후측으로 개방되게 하여 브러시 와이어(340)를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브러시 와이어(340)가 브러시(330)와 함께 브러시홀더(310)의 전측으로 이동하면서 정류자(236)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브러시 와이어(340)가 정류자(236)와 접촉시 아마추어 어셈블리(230)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도 17에서처럼, 브러시홀더(310)는 스토퍼(380)를 구비한다. 스토퍼(380)는 브러시 와이어(340)가 정류자(236)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380)는 브러시홀더(310)의 전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는데, 가이드홈부(312)와 일직선상이 되는 브러시홀더(310)의 전측 가장자리에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토퍼(38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브러시홀더(310)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러시 스프링(370)은 브러시(330)를 브러시홀더(310)의 전측으로 탄성적으로 충분히 밀 수 있도록 브러시홀더(310)에 근접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브러시 스프링(370)은 태엽스프링 또는 토션 스프링 등으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브러시 스프링(370)은 절연판(3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나, 브러시홀더(31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브러시홀더(310)는 브러시 스프링(370)을 장착하기 위해 장착노브(314)를 구비한다. 장착노브(314)는 브러시홀더(310)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브러시 스프링(370)을 지지하거나 장착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장착노브(314)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장착노브(314)는 태엽스프링 타입의 브러시 스프링(370)을 꼽아 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업플레이트(500)는 브러시 와이어(34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절연판(320)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편(502)을 구비한다. 이때, 절곡편(502)은 절연판(320)의 중심부에 상하 연통되는 홀 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래서, 절곡편(502)은 한 쌍의 브러시(330)를 잇는 브러시 와이어(340)가 정류자(236) 측으로 근접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및 도 24에서처럼, 양측으로 개방된 요크 하우징(212)의 일측은 리어 브라켓(216)이 막게 된다.
이 후, 리어 브라켓(216)과 프런트 브라켓(214)은 결속부재(720)에 의해 결속된다. 그래서, 리어 브라켓(216)과 프런트 브라켓(214)은 요크 하우징(212)의 개방 부위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요크 하우징(21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결속부재(720)는 볼트나 스크류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요크 하우징(212)은 내측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도록 복수 개의 마그넷(219)을 구비한다. 마그넷(219)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의 브러시(330)와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그래서, 마그넷(219)과 브러시(330)의 전기각이 조절된 후 조립되어야 한다.
특히, 결속부재(720)가 요크 하우징(212)의 내부로 축 삽입되어 리어 브라켓(216)과 프런트 브라켓(214)을 결속할 경우, 결속부재(720)는 브러시(330)와의 전기각 조절을 위해 원주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마그넷(219)에 간섭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해, 브러시(330)와 마그넷(219)의 전기각 자유도 설정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결속부재(720)는 요크 하우징(212)의 외측으로 노출된 채 리어 브라켓(216)과 프런트 브라켓(214)을 결속함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리어 브라켓(216)은 요크 하우징(2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속부재(720)를 설치하기 위해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체결편(700)을 구비한다.
즉, 리어 브라켓(216)은 요크 하우징(212)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체결편(700)은 리어 브라켓(216)의 가장자리에서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다. 물론, 리어 브라켓(216)이 직경을 증가시켜 결속부재(720)를 요크 하우징(21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리어 브라켓(216)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리어 브라켓(216)은 최소의 크기로 이루어지고, 체결편(700)은 리어 브라켓(216)의 가장자리를 따라 비연속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체결편(700)은 리어 브라켓(216)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리어 브라켓(216)에 일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체결편(700)은 리어 브라켓(216)에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결속부재(720)는 체결편(700)에 삽입된 후 프런트 브라켓(214)의 가장자리에 나사 결합된다. 결속부재(720)가 너트 등 다른 기계체결요소와 결속되지 않고 바로 프런트 브라켓(214)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결속부재(720)의 체결 작업이 용이하다.
아울러, 체결편(700)은 하측으로 푸쉬레그(710)를 연장 형성한다. 푸쉬레그(710)는 결속부재(720)에 의해 프런트 브라켓(214)과 체결편(700)의 결속시 요크 하우징(212)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푸쉬레그(7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체결편(700)은 리어 브라켓(216)에서 프런트 브라켓(214)을 향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는, 요크 하우징(212)에 리어 브라켓(216)을 조립시 푸쉬레그(710)가 요크 하우징(212)에 간섭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결속부재(720)가 체결편(700)에 삽입된 후 프런트 브라켓(214)에 나사 결합시, 체결편(700)은 프런트 브라켓(214)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푸쉬레그(710)는 요크 하우징(212)의 둘레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요크 하우징(212)은 상기 리어 브라켓(216)의 내측에 배치되는 백업플레이트(500)를 구비한다. 아울러, 백업플레이트(500)는 둘레면에 요크실링부재(510)를 구비한다. 요크실링부재(510)는 요크 하우징(212)과 리어 브라켓(216)의 결합 부위로 유입되는 외부 물기가 브러시홀더 어셈블리(3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 역할을 한다.
특히, 결속부재(720)가 체결편(700)과 프런트 브라켓(214)을 결속시, 푸쉬레그(710)가 요크 하우징(212)을 요크실링부재(510)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요크실링부재(510)와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은 더욱 밀착되어 완전한 밀봉을 실현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요크 하우징(212)의 타측을 막는 프런트 브라켓(214)은 내측 테두리에 전측단차홈부(211)를 함몰 형성한다. 전측단차홈부(211)는 요크 하우징(212)의 내측면과 테두리를 동시에 접하여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측단차홈부(211)는 후측단차홈부(213)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전측단차홈부(211)는 프런트 브라켓(214)의 내측 모서리 부위를 모따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프런트 브라켓(214)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테두리 일부에서 내측 가장자리 일부에 걸쳐 제거됨으로써 형성된다.
이에 따라, 요크 하우징(212)의 타측 내부면은 전측단차홈부(211)에 접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요크 하우징(212)의 타측 테두리는 전측단차홈부(211)에 접하게 된다.
즉, 요크 하우징(212)이 전측단차홈부(211)에 안착되어 조립됨으로써, 프런트 브라켓(214)과 요크 하우징(212)의 접촉 면적이 증가됨과 동시에 접촉 부위를 절곡되게 형성함에 따라, 외부 물기가 프런트 브라켓(214)과 요크 하우징(212)의 결합 부위를 통해 요크 하우징(212) 내부로 최대한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통해, 요크 하우징(212)과 프런트 브라켓(214)의 연결 부위는 밀봉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나서, 리어 브라켓(216)과 프런트 브라켓(214)이 사이에 요크 하우징(212)을 구비한 상태로 결속됨으로써, 요크 하우징(212)과 프런트 브라켓(214)의 연결 부위는 최대한 밀봉 처리된다.
또한, 프런트 브라켓(214)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외부 물기를 배출하기 위해 둘레면에 드레인홀(215)을 통공한다. 드레인홀(215)은 프런트 브라켓(214)의 엔진 장착시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드레인홀(215)은 요크 하우징(212)과 리어 브라켓(216) 및 프런트 브라켓(21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에 형성될 수 있다. 편의상, 드레인홀(215)은 프런트 브라켓(214)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드레인홀(215)이 프런트 브라켓(214)의 엔진 장착시의 하측 둘레면에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물기가 튀어 드레인홀(215)을 통해 프런트 브라켓(214)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드레인홀(215)은 외부의 물기가 프런트 브라켓(214)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중심축이 직선이 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드레인홀(215)은 프런트 브라켓(214) 내부에서 절곡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외부 물기는 대략 'S'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드레인홀(215)의 궤적으로 인해 프런트 브라켓(214)의 내부로 유입 방지된다.
물론, 드레인홀(215)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스타트모터 100: 마그네트 스위치부
110: 케이스 120: 캡부
130: 레버 140: 소켓
150: 밀봉부 152: 캡실링부재
154: 평와셔부재 156: 고정와셔부재
160: 가스켓부재 162: 테두리부재
164: 멤브레인 200: 모터부
212: 요크 하우징 214: 프런트 브라켓
216: 리어 브라켓 217: 허브
230: 아마추어 어셈블리 232: 아마추어 샤프트
236: 정류자 260: 드라이브 샤프트
300: 브러시홀더 어셈블리 310: 브러시홀더
320: 절연판 330: 브러시
340: 브러시 와이어 400: 인터널기어 어셈블리
410: 링기어 420: 링기어 서포터
440: 부쉬 452,454: 제 1,2테이퍼면
500: 백업플레이트 510: 요크실링부재
700: 체결편 710: 푸쉬레그

Claims (5)

  1. 양측으로 개방되는 요크 하우징;
    상기 요크 하우징의 일측을 막는 리어 브라켓;
    상기 요크 하우징의 타측을 막는 프런트 브라켓;
    상기 리어 브라켓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체결편; 및
    상기 요크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체결편과 상기 프런트 브라켓을 결속하여 상기 요크 하우징을 고정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요크 하우징은 상기 리어 브라켓의 내측에 배치되는 백업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결속부재에 의해 상기 프런트 브라켓과 결속시 상기 요크 하우징의 둘레면을 가압하는 푸쉬레그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요크 하우징과의 조립을 위하여 상기 리어 브라켓에서 상기 프런트 브라켓을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플레이트는 상기 요크 하우징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요크실링부재를 둘레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프런트 브라켓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KR1020130022040A 2013-02-28 2013-02-28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KR10143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40A KR101434885B1 (ko) 2013-02-28 2013-02-28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40A KR101434885B1 (ko) 2013-02-28 2013-02-28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885B1 true KR101434885B1 (ko) 2014-08-28

Family

ID=5175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040A KR101434885B1 (ko) 2013-02-28 2013-02-28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8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3656A (zh) * 2021-01-29 2021-05-14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起动机的进线连接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375A (ja) 2002-12-09 2004-07-08 Denso Corp スタ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4375A (ja) 2002-12-09 2004-07-08 Denso Corp スタ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03656A (zh) * 2021-01-29 2021-05-14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起动机的进线连接结构
CN112803656B (zh) * 2021-01-29 2024-03-29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一种起动机的进线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538B1 (ko)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밀봉장치
KR0143961B1 (ko) 엔진 시동을 위한 스타터
US6326716B1 (en) Brush holder arrangement of DC motor
JP4996696B2 (ja) 電気機械を振動遮断しながら保持するための装置
EP3007956B1 (fr) Volant de vehicule
WO2006114970A1 (en) Oil path structure
JP2001155609A (ja) マグネットスイッチ
KR20050062410A (ko)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액츄에이터를 위한 지지 장치
KR101330050B1 (ko) 스타트모터용 브러시홀더 어셈블리의 방열장치
KR101434885B1 (ko)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조립장치
KR101376539B1 (ko) 스타트모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밀봉장치
KR101376150B1 (ko) 스타트모터용 모터부의 밀봉장치
KR101434884B1 (ko) 스타트모터용 마그네트 스위치의 밀봉장치
KR101396189B1 (ko) 스타트모터용 브러시홀더 어셈블리
KR101327362B1 (ko) 스타트모터용 인터널기어 어셈블리
JPH0567168U (ja) モータのケーシング構造
JP331588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5887938B2 (ja) スタータ
KR101655139B1 (ko) 차량용 충전 커넥터의 씰링 구조
JPH10159693A (ja) 電磁装置
US6011316A (en) Starter having magnetic switch and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magnetic switch therein
JP3658864B2 (ja) スタータ
US10163595B2 (en) Gasket, magnetic switch of starter comprising same, and starter provided with magnetic switch
JP2005218169A (ja) 電動モータ
US20200340440A1 (en) Dc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