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829B1 - 링크 볼 시트 - Google Patents

링크 볼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829B1
KR101434829B1 KR1020130066861A KR20130066861A KR101434829B1 KR 101434829 B1 KR101434829 B1 KR 101434829B1 KR 1020130066861 A KR1020130066861 A KR 1020130066861A KR 20130066861 A KR20130066861 A KR 20130066861A KR 101434829 B1 KR101434829 B1 KR 10143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 seat
seat
r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유경
백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엠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엠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엠모터스
Priority to KR1020130066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링크 볼 시트의 구조를 대폭 개선하여 볼 사이의 접촉토크 조절 및 마모도의 최소화는 물론 보다 쉽고 간단한 조립성으로 인해 볼 시트의 생산성은 물론 품질 및 제품의 부가성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링크 볼 시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볼 결속홈(111) 및 볼 삽입구(112)이 형성되어 있는 볼 시트(110);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 둘레에 끼워지는 링형 소켓(120); 상기 볼 시트(110)의 외측 둘레에 돌출된 소켓 이탈방지턱(130); 상기 볼 시트(110)의 하측 내경에 끼워지는 수축 방지용 플러그(140); 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링크 볼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 시트(110)의 상부에는 수축과 이완에 관한 탄력성을 갖출 수 있는 다수의 절개홈(220)을 각각 음각 형성시킨 것과; 상기 볼 시트(110) 외측면의 상부에는 링형 소켓(120)이 압입되어 올라오면 탄력성있게 수축작용될 수 있게 일정한 경사각(X)을 갖는 시트측 경사형 압입부(210)를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링크 볼 시트{The Link Ball Seat}
본 발명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링크 볼 시트의 구조를 대폭 개선하여 볼 사이의 접촉 토크 조절 및 마모도의 최소화는 물론 보다 쉽고 간단한 조립성으로 인해 볼 시트의 생산성은 물론 품질 및 제품의 부가성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링크 볼 시트에 관한 것이다.
링크 볼(또는 볼 링크)은, 두 개의 물체 사이를 연결할 때 다방향으로의 젖힘 및 회전동작이 자유로운 볼(ball)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계된 링크수단으로써, 현재 다양한 분야(예컨대, 자동차, 항공기, 선박 및 기타 운반기의 조향장치, 현가장치 등)에서 아주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볼 시트는, 회전 및 일정한 반격의 젖힘 동작이 함께 수반되는 구형의 볼(ball)을 아주 효과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에는 일정한 직경 및 굵기의 볼이 내입된 후 감싸지는 볼 결속 홈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 결속홈의 상측에는 볼의 직경 보다 미세하게 작은 직경의 볼삽입구가 뚫려있고,
상기 볼 시트의 외 측 둘레에는 볼 시트의 벌어짐과 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 측을 감싸서 잡아주는 링형 소켓이 구성되며,
상기 링형 소켓의 하부와 대응하는 볼 시트의 외측 둘레에는 링형 소켓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소켓 이탈방지턱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소켓 이탈방지턱과 대응하는 볼 시트의 내경에는 볼 시트 하측 부의 수축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링형 소켓의 하방 이탈 성을 간접적으로 돕는 수축 방지용 플러그가 기워진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볼시트의 구조는, 볼을 감싸는 볼 결속홈의 내 벽면과 그 주체인 볼시트 전체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성형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볼 결속홈에 일정한 직경의 볼을 끼워 넣기 위해서는 상당히 높은 강압력으로 밀어넣지 않으면 조립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조립시 상당히 불편하고 많은 시간과 장비 및 노동력이 요구될 뿐 아니라 볼 또는 볼 시트의 손상(불량)이나 파손에 이르기도 하는 등을 비롯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볼을 끼워넣기 위해 지나치게 큰 가압력으로 밀어 넣게 되면 볼 결속홈이 강제로 벌어졌다 다시 수축하는 과정에서 온전한 수축률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볼 결속홈과 구형의 볼 간 정밀한 접촉 토크(밀착되는 정도)를 맞추기가 대단히 어려운 점도 또 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나아가, 내부에 볼 결속홈을 갖는 볼시트의 성형시 전술된 종래의 형태와 같이 전체가 하나의 일체로 성형하면, 금형 또는 코어로부터 제품을 취출하는 사출과정이 쉽지 않아 금형의 설계에 있어서 상당히 난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링크 볼 시트의 제작(사출성형 등)시보다 쉽고 간단한 금형 설계 및 사출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특히 입구가 좁은 볼 삽입구을 통해 볼 결속홈으로 볼을 끼워 넣을 때도 기존보다 적은 힘으로도 쉽게 끼워질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의 획일적인 절감 및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 볼과 그 볼을 감싸는 볼 결속홈 사이의 접촉 토크(밀착도)의 정밀성 유지 및 조절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고효율 스타일의 볼시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 결속홈(111) 및 볼 삽입구(112)이 형성되어 있는 볼 시트(110);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 둘레에 끼워지는 링형 소켓(120);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 둘레에 돌출된 소켓 이탈방지턱(130); 상기 볼 시트(110)의 하측 내경에 끼워지는 수축 방지용 플러그(140); 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링크 볼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 시트(110)의 상부에는 수축과 이완에 관한 탄력성을 갖출 수 있는 다수의 절개홈(220)을 각각 음각 형성시킨 것과; 상기 볼 시트(110) 외 측면의 상부에는 링형 소켓(120)이 압입되어 올라오면 탄력성있게 수축작용될 수 있게 일정한 경사각(X)을 갖는 시트 측 경사형 압입부(210)를 형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링크 볼 시트는 전술된 바와 같이 링크 볼 시트의 사출성형시보다 쉽고 간단할 뿐 아니라 볼 삽입구을 통해 볼 결속홈 내로 볼을 끼워 넣을 때도 기존보다 적은 힘으로도 쉽게 끼워질 수 있기 때문에 조립공정의 획일적인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특히 볼과 볼 결속홈 사이의 접촉 토크(밀착도) 또한, 소켓의 조공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절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링크 볼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상태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링크 볼 시트 분해 결합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링크 볼 시트 단면 확대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트 측 경사형 압입부의 경사각의 작동실시 상태예시도
본 발명의 링크 볼 시트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내부에는 볼 결속홈(111)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볼 결속홈(111)의 상측에는 볼의 직경 보다 일정부분 작은 직경의 볼 삽입구(112)가 뚫려있는 볼 시트(110);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 둘레에 끼워져 볼 시트의 임의 벌어짐과 볼의 이탈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 소켓(120); 상기 링형 소켓(120)의 하부와 대응하는 볼 시트(110)의 외 측 둘레에 돌출되어 링형 소켓(120)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소켓 이탈방지턱(130); 상기 소켓 이탈방지턱(130)과 대응하는 볼 시트(110)의 하측 내경에 끼워지는 것으로 볼 시트(110) 하부의 수축방지를 통한 링형 소켓(120)의 하방 이탈성을 돕는 수축 방지용 플러그(140); 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링크 볼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 시트(110)의 상부에는 수축과 이완에 관한 탄력성을 갖출 수 있는 다수의 절개홈(220)을 각각 음각 형성시킨 것과;
상기 볼 시트(110) 외 측면의 상부에는 링형 소켓(120)이 압입되어 올라오면 탄력성있게 수축작용될 수 있게 일정한 경사각(X)을 갖는 시트 측 경사형 압입부(210)를 형성시킨 것; 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볼 시트(110)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시트측 경사형 압입부(210)와 밀착 대응하는 상기 링형 소켓(120)의 내면 상측에는,
밋밋한 일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시트측 압입부(210) 보다 작은 경사각(X-1)을 이루는 소켓 측 경사형 가압부(230)가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소켓측 경사형 가압부(230)의 경사각(X-1)은, 볼(ball)과 볼 결속홈(111)간 바람직한 밀착 정밀도를 갖도록 하는 적합한 각도에 맞게 형성시키면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그 각도의 크기를 미세한 정도로 키우나 낮춰서 형성(±) 하면, 사용 목적 또는 요구조건 등에 따라 상기 볼(ball)과 볼 결속홈(111) 사이의 접촉 토크 또한 임의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볼 결속홈(111)의 내벽면에는, 도면과 같이 상기 볼 삽입구(112)에서 부터 아래 측 끝단부까지 길게 연결된 얇은 깊이의 윤활유 세로형 이동통로(240)를 다수 갈래로 각각 형성시키면, 볼과 볼 결속홈(111)간 접촉의 월활성 증대는 물론 마모의 최소화에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음으로 상당히 유리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윤활유 이동통로(240)의 음각 형성시, 상기 볼 시트(110) 상부에는 형성된 다수의 절개홈(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하면, 상기 더스트커버(50)에 있는 윤활유(액상의 유활유 또는 점성의 그리스 등)가 상기 절개홈(220)을 타고 내려가면서 보다 용이한 윤활제의 자동 공급이 가능할 수 있음으로 더욱 용이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볼 결속홈(111) 내 벽면의 가로방향으로도 윤활유 가로형 이동통로(241)를 추가로 더 형성시키면 공급된 윤활유의 순환에 더욱더 유리한 측면이 제공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링크 볼 시트의 결합구조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볼 시트(110)의 상부에는 수축과 이완에 관한 탄력성이 크게 높아질 수 있는 다수의 절개홈(220)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키는 동시에,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 상부에는 일정한 경사각(X)을 갖는 시트 측 경사형 압입부(210)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에 링형 소켓(120)을 끼워 압입할 때 상기 링형 소켓(120)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일정 경사각(X-1)의 소켓 측 경사형 가압부(230)가 상기 볼 시트(110)의 시트측 경사형 압입부(210)를 압입하면서 내향으로 눌러지면서,
상기 볼 시트(110) 상측부의 외경을 좀더 좁게 수축시키기 때문에 볼 결속홈(111)의 상측 부분이 볼과 밀착되지 않고 상당부분 들떠있는 형태(약간 벌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립 후에는 볼과 볼 결속홈(111)간 정밀한 밀착성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 시트(110)의 최초 사출시에는, 상기 볼 결속홈(111) 형태를 굳이 정원으로 형성(볼 삽입구의 직경이 좁아지는 원인이 됨)할 필요 없이,
상기 볼 결속홈(111)의 상측부 일부를 약간 벌어진 형태(향후 가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는 정도만큼)로 성형(볼 삽입구의 직경이 보다 넓어질 수 있음) 하여도 되므로,
사출 금형의 제작과 그 설계가 아주 쉬어지고 사출된 성형물의 취출시에도 코어 빠짐의 용이성 때문에 불량률 저하는 물론 보다 신속하고 용이한 작업성이 제공되고,
특히 상기 볼 삽입구(112)를 통하여 볼 결속홈(111) 내로 볼을 끼워넣을 때 기존과 같이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 살짝 만 눌러도 끼워질 수 있음으로 조립공정이 획기적으로 줄이 수 있어 생산성 증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X: 경사각 X-1: 경사각
111: 볼 결속홈 112: 볼 삽입구
120: 링형 소켓 130: 소켓 이탈방지턱
140: 수축 방지용 플러그 210: 시트측 경사형 압입부
220: 절개홈 230: 소켓측 경사형 가압부
240: 이동통로

Claims (3)

  1. 볼 결속홈(111) 및 볼 삽입구(112)이 형성되어 있는 볼 시트(110);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 둘레에 끼워지는 링형 소켓(120);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 둘레에 돌출된 소켓 이탈방지턱(130); 상기 볼 시트(110)의 하측 내경에 끼워지는 수축 방지용 플러그(140); 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링크 볼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볼 시트(110)의 상부에는 수축과 이완에 관한 탄력성을 갖출 수 있는 다수의 절개홈(220)을 각각 음각 형성시킨 것과,
    상기 볼 시트(110) 외 측면의 상부에는 링형 소켓(120)이 압입되어 올라오면 탄력성있게 수축작용될 수 있게 일정한 경사각(X)을 갖는 시트측 경사형 압입부(210)를 형성시킨 것과,
    상기 볼 시트(110)의 외 측에 끼워지고 상기 시트측 경사형 압입부(210)와 밀착 대응하는 상기 링형 소켓(120)의 내면 상측에는 상기 시트측 압입부(210) 보다 작은 경사각(X-1)을 이루는 소켓측 경사형 가압부(23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한 링크 볼 시트.



  2. 삭제
  3. 삭제
KR1020130066861A 2013-06-12 2013-06-12 링크 볼 시트 KR10143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61A KR101434829B1 (ko) 2013-06-12 2013-06-12 링크 볼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861A KR101434829B1 (ko) 2013-06-12 2013-06-12 링크 볼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829B1 true KR101434829B1 (ko) 2014-09-02

Family

ID=51758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861A KR101434829B1 (ko) 2013-06-12 2013-06-12 링크 볼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8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382Y1 (ko) * 1995-05-18 1999-05-01 강태룡 마모에 따른 마모보상이 가능한 볼 시트로 조립된 볼 조인트
KR100232632B1 (ko) * 1996-12-21 1999-12-01 정몽규 조향 링키지의 타이로드 엔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382Y1 (ko) * 1995-05-18 1999-05-01 강태룡 마모에 따른 마모보상이 가능한 볼 시트로 조립된 볼 조인트
KR100232632B1 (ko) * 1996-12-21 1999-12-01 정몽규 조향 링키지의 타이로드 엔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09749A (en) Ball bearing for linear motion
US9512880B2 (en) Rolling bearing
US20160053803A1 (en) Elastic short-pin type universal joint
US6206575B1 (en) Cage for bearing and bearing using the same
US8708726B2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replaceable sealing element
US20090068301A1 (en) Protection Structure for an Optical Lens Module
CN104930051A (zh) 张力辊或者卷筒装置
US11953070B2 (en) Bushing for use in a vehicle suspension
US20090246313A1 (en) Mold fixing structure
CN102086907B (zh) 轴向保持组件
JP2014202284A (ja) 円錐ころ軸受用樹脂製保持器
TWI642855B (zh) Fixing device for lower member and fluid control device for fixing device having the lower member
US3626566A (en) Method of forming a ball and socket joint
US20070041672A1 (en) Oil-impregnated sintered bear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90007686A (ko) 차량용 조인트 어셈블리
KR101434829B1 (ko) 링크 볼 시트
US20160017903A1 (en) Fluid throttle member
US9925644B2 (en) Adapter
JP3206940U (ja) 圧入治具
US5115563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ical connector
JP6826845B2 (ja) シール材圧入装着用治具
KR101564048B1 (ko) 성형용 금형의 위치맞춤장치
JP4413660B2 (ja) 給油プラグ及び給油プラグ付きスタッド形トラックローラ
US10393244B2 (en) Rolling device
US20150074976A1 (en) Joint member manufactured using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