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428B1 -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428B1
KR101434428B1 KR1020120119089A KR20120119089A KR101434428B1 KR 101434428 B1 KR101434428 B1 KR 101434428B1 KR 1020120119089 A KR1020120119089 A KR 1020120119089A KR 20120119089 A KR20120119089 A KR 20120119089A KR 101434428 B1 KR101434428 B1 KR 101434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working fluid
heliport
cylind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688A (ko
Inventor
양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4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07Helicopter portable landing pa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헬리포트의 평형을 유지하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헬리콥터가 착륙하도록 구비된 헬리포트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피스톤, 상기 헬리포트의 저면의 상기 제1피스톤이 힌지결합된 부위와 이격된 지점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제2피스톤, 일측에 상기 제1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2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1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거나 제2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는 제1펌프 및 상기 헬리포트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 그리고, 상기 수평센서에서 측정된 경사도로서 헬리포트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Balance Keeping Device for Heliport}
본 발명은 선박에 헬리콥터가 착륙하는 헬리포트의 평형을 유지하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사용 선박, 대형선박 등과 같은 선박(10) 또는 고층건물에는 헬리콥터와 같은 수직 이착륙 비행체가 착륙 및 이륙하기 위한 헬리포트(20)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헬리포트(20)는 원할한 이착륙을 위해 항상 수평이 유지되지만, 파도에 의한 선박의 움직임, 강풍에 의한 고층건물의 흔들림 등으로 인해 헬리포트의 수평이 유지되기 어렵게 된다.
특히, 강풍과 높은 파도가 상존하는 원해에서는 선박(10)에 롤링 및 피칭 등의 움직임이 가해져 수평을 유지하기가 무척 어려워 헬리콥터의 이착륙시 사고 위험이 매우 높다.
따라서 선박의 움직임, 고층건물의 흔들림에도 헬리포트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수평유지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헬리포트의 수평유지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있는 헬리포트(20) 및 상기 헬리포트(20)와 설치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헬리포트(20)를 설치면에 대해서 지지함과 동시에 신축됨으로써 상기 헬리포트(20)를 설치면에 대해서 경사시킴으로써 헬리포트(20)의 수평을 유지하는 신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부(30)는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각 신축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4)과 실린더(32) 및 펌프(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스톤(34) 및 실린더(32)는 설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32)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34)을 밀어올리기 위한 작동유체(38)가 충진되고, 상기 펌프(36)는 상기 작동유체(38)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피스톤(34)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34)에는 상기 헬리포트(20)의 자중 또는 헬리포트(20)에 착륙한 헬기의 자중이 더해진 하중이 신축부(30)의 개수만큼 나뉘어 작용된다.
상기와 같은 하중이 작동유체(38)에 의해 상기 펌프(36)의 실린더(32) 측에 P1만큼의 압력으로 작용된다고 하면, 이 때에 상기 펌프(36) 외측의 압력은 대기압(Pa)이므로, 상기 펌프(36)가 상기 피스톤(34)을 밀어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P1과 대기압(Pa)의 차이만큼의 압력을 생성해야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헬리포트(20)의 수평유지장치는 적어도 3개 이상, 일반적으로 4개의 신축부(30)가 필요하며, 각 신축부(30)마다 펌프(36)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작동유체(38)를 가압하는 펌프(36)가 작동하기 위한 힘이 지나치게 커서 펌프(36)의 용량이 커야 하며 그에 따른 에너지의 소모가 크고 유지보수시 각 신축부(30)를 모두 점검해야 하므로 정비소요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헬리포트(20)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문제점 또한 커지게 된다.
공개특허 10-2009-0041888
본 출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출원은 보다 적은 힘으로 펌프의 구동이 가능하여 작은 용량의 펌프의 사용이 가능하고, 에너지의 소모가 적고, 필요한 펌프의 개수 또한 적어 정비소요가 크지 않은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헬리포트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피스톤, 상기 헬리포트의 저면의 상기 제1피스톤이 힌지결합된 부위와 이격된 지점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제2피스톤, 일측에 상기 제1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2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1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거나 제2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는 제1펌프 및 상기 헬리포트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 그리고, 상기 수평센서에서 측정된 경사도로서 헬리포트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제1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1피스톤이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피스톤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1피스톤 수용부, 상기 제1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작동유체 수용부, 상기 제2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2피스톤이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피스톤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2피스톤 수용부 및 상기 제2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작동유체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톤 수용부는, 상기 제1피스톤이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피스톤 수용부는, 상기 제2피스톤이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는 상기 제1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3피스톤, 상기 지지면의 상기 제3피스톤이 힌지결합된 부위와 이격된 지점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제4피스톤, 일측에 상기 제3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4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3피스톤과 제4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제3피스톤 및 제4피스톤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 내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3피스톤측으로 가압시키거나 제4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는 제2펌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평센서에서 측정된 경사도로서 헬리포트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1실린더 및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헬리포트의 가상의 회전축인 제1축과, 상기 제2실린더 및 제3피스톤과 제4피스톤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헬리포트의 가상의 회전축인 제2축이 상호 교차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는, 상기 제3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3피스톤이 상기 제2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3피스톤 수용부, 상기 제3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작동유체 수용부, 상기 제4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4피스톤이 상기 제2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4피스톤 수용부 및 상기 제4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4작동유체 수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 및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헬리포트의 가상의 회전축인 제1축은 선박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헬리포트의 평형을 유지시키고자 헬리포트를 경사시키는데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압력을 필요로 하므로 용량이 작은 펌프를 사용할 수 있어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다.
둘째,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에 소요되는 에너지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셋째, 헬리포트의 자중에 의한 셀프 밸런싱 효과가 더해질 수 있다.
넷째, 펌프에 작용되는 압력이 낮으므로 펌프에 가해지는 부하 또한 낮아 펌프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평형유지장치에 설치되는 펌프의 개수가 작아 제작단가가 저렴해지는 것은 물론 유지보수의 소요 비용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헬리포트에 가해지는 무게가 증가해도 펌프의 용량이 커질 필요가 없어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본 출원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헬리포트가 설치된 선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헬리포트의 수평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신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축 평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가 탑재된 선박이 기울어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기울어진 선박의 헬리데크가 평형을 이루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도 4의 헬리포트 평형유지장치에 제2축 평형부가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이하 본 출원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는 선박에 구비된 헬리포트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박 외에 건물이나 구조물 등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포트(20)의 하측에 제1축 평형뷰(110)가 설치된다. 상기 헬리포트(20)는 헬리콥터 등의 수직 이착륙 비행체가 착륙하도록 상면이 평평한 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축 평형뷰(110)는 지지면에 고정 되어 설치되며,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스톤(114)과 제2피스톤(124), 제1실린더(112) 및 제1펌프(1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피스톤(114)은 상기 헬리포트(20)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2피스톤(124)은 상기 제1피스톤(114)이 힌지결합된 부위와 이격된 지점의 하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112)는 일단에 상기 제1피스톤(114)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제2피스톤(124)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피스톤(114)과 제2피스톤(124)을 이동시키는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체(134)가 충진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작동유체(134)는 가스나 오일 등의 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린더(112) 내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1피스톤(114) 측으로 가압시키거나 제2피스톤(124) 측으로 가압시키는 제1펌프(132)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펌프(13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12)의 양 단에 구비된 제1피스톤(114) 및 제2피스톤(124)이 제1실린더(112)로부터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스톤(114)과 제2피스톤(124)은 상기 제1실린더(112) 내의 정해진 양의 작동유체(134)에 의해 이동되므로, 상기 제1피스톤(114)과 제2피스톤(124) 중 어느 하나가 신장되면 다른 하나는 수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헬리포트(20)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1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센서(102)는 상기 헬리포트(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기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헬리포트(20)의 경사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센서(102)에서 측정한 헬리포트(20)의 경사도를 바탕으로, 상기 헬리포트(20)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펌프(13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112)는, 제1피스톤 수용부(116)와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 제2피스톤 수용부와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피스톤 수용부(116)는 상기 제1피스톤(114)이 수용되며, 상기 제1피스톤(114)이 제1실린더(112)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피스톤(114)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는 상기 제1피스톤(114)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피스톤 수용부(126)는 상기 제2피스톤(124)이 수용되며, 상기 제2피스톤(124)이 제1실린더(112)에 대해서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피스톤(124)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는 상기 제2피스톤(124)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피스톤(114) 및 제2피스톤(124)은 상기 제1실린더(112)가 설치된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제1피스톤 수용부(116)와 제2피스톤 수용부(126) 또한 지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펌프(132)는 상기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와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132)는 상기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피스톤(124) 측을 가압하거나, 상기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피스톤(114) 측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펌프(132)는 상기 제1피스톤(114)을 제1실린더(112) 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제2피스톤(124)을 헬리포트(20) 측으로 밀거나, 상기 제2피스톤(124)을 제1실린더(112) 측으로 당기면서 상기 제1피스톤(114)을 헬리포트(20) 측으로 밀도록, 상기 제1실린더(112) 내의 작동유체(134)를 제1피스톤(114) 또는 제2피스톤(124) 측으로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상기 제1피스톤(114)과 제2피스톤(124)은 상기 제1펌프(132)의 작동에 따라 동일한 양 만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피스톤(34)을 밀어올리기 위해 펌프(36)가 P1과 대기압(Pa)의 차이만큼의 압력을 생성해야 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100)에 따르면, 상기 제1피스톤(114)과 제2피스톤(124)에는 동일한 P1만큼의 힘이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되므로, 상기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와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에 형성되는 압력이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제1펌프(132)의 양 단에 작용되는 압력이 동일하므로, 상기 제1펌프(132)가 아주 적은 힘으로도 상기 제1피스톤(114) 또는 제2피스톤(124)을 밀어올릴 수 있는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리포트(20)의 무게가 증가한다고 하여도 상기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와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에 작용되는 압력은 동일하므로 제1펌프(132)의 용량이 상기 헬리포트(20)의 무게에 따라 커질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축 평형뷰(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복수개의 제1축 평형뷰(110)는 상기 헬리포트(20)가 가상의 제1축(20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호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축(200)은 상기 헬리포트가 탑재된 선박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에 롤링(Rolling)이 발생하여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축 평형뷰(110)가 작동하여 상기 헬리포트(20)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선박(10)은 좌우방향의 흔들림인 롤링 이외에도 수미(首尾)방향의 흔들림인 피칭(pitching)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의 피칭 운동에 의한 헬리포트(20)의 기울어짐을 보상하여 헬리포트(20)의 균형을 이루는 제2축 평형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 평형부(150)는 상기 제1축 평형뷰(110)를 지지하는 지지면(140)의 하측에 힌지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축 평형부(150)는 제3피스톤(154)과 제4피스톤(164), 제2실린더(152) 및 제2펌프(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피스톤(154)은 상기 지지면(140)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전술한 제1축 평형뷰(110)의 제1피스톤(114)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리고, 상기 제4피스톤(164)은 상기 지지면(140) 저면의 상기 제3피스톤(154)이 결합된 부위와 이격된 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전술한 제1축 평형뷰(110)의 제2피스톤(124)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한편, 상기 제2실린더(152)는 일측에 상기 제3피스톤(154)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4피스톤(164)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피스톤(154)과 제4피스톤(164)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제3피스톤(154) 및 제4피스톤(164)을 밀어내거나 당기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152)는 전술한 제1실린더(112)와 유사하게 제3피스톤 수용부(156)와 제3작동유체 수용부(158) 및 제4피스톤 수용부(166)와 제4작동유체 수용부(168)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피스톤 수용부(156)는, 상기 제3피스톤(154)이 수용되며, 상기 제3피스톤(154)이 상기 제2실린더(152)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이고 전술한 제1피스톤 수용부(116)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제3작동유체 수용부(158)는 상기 제3피스톤(154)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제1작동유체 수용부(118)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또한, 상기 제4피스톤 수용부(166)는 상기 제4피스톤(164)이 수용되며, 상기 제4피스톤(164)이 상기 제2실린더(152)에 대해서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제2피스톤 수용부(126)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또한, 상기 제4작동유체 수용부(168)는, 상기 제4피스톤(164)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부분이며, 전술한 제2작동유체 수용부(128)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또한, 그리고, 상기 제2펌프(172)는 상기 제3작동유체 수용부(158)와 제4작동유체 수용부(168)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3작동유체 수용부(158)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4작동유체 수용부(168)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피스톤(154) 측을 가압하거나, 상기 제4작동유체 수용부(168)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3작동유체 수용부(158)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3피스톤(154) 측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펌프(172)는 상기 제어부(104)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수평센서(102)에서 측정한 경사도로서 상기 헬리포트(20)의 평형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제2펌프(17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펌프(17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3피스톤(154)이 신장하면서 상기 제4피스톤(164)이 수축하거나, 또는 상기 제3피스톤(154)이 수축하면서 상기 제4피스톤(164)이 신장하여 상기 제1축 평형뷰(110)를 지지하는 지지면(140)의 균형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헬리포트(20)의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축 평형부(150)는 도 8에 설치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제2축 평형부(150)는 상기 헬리포트(20)가 상기 제1축(200)과는 교차되는 제2축(30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호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축(300)은 상기 제1축(200)과 직교하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축(200)이 선박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므로, 상기 제2축(300)은 선박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선박의 폭방향과 평행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박의 롤링(rolling)운동뿐만 아니라 피칭(pitching)운동에 대해서도 상기 헬리포트의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선박 20: 헬리포트
100: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102; 수평센서 104: 제어부
110: 제1축 평형부 112: 제1실린더
114: 제1피스톤 116: 제1피스톤 수용부
118: 제1작동유체 수용부 124: 제2피스톤
126: 제2피스톤 수용부 128: 제2작동유체 수용부
132: 제1펌프 134: 작동유체
140: 지지면 150: 제2축 평형부
152: 제2실린더 154: 제3피스톤
156: 제3피스톤 수용부 158: 제3작동유체 수용부
164: 제4피스톤 166: 제4피스톤 수용부
168: 제4작동유체 수용부 172: 제2펌프
200: 제1축 300: 제2축

Claims (6)

  1. 헬리포트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1피스톤;
    상기 헬리포트의 저면의 상기 제1피스톤이 힌지결합된 부위와 이격된 지점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제2피스톤;
    일측에 상기 제1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2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1실린더;
    상기 제1실린더 내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1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거나 제2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는 제1펌프;
    상기 헬리포트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
    상기 제1실린더를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저면 일측에 힌지결합되는 제3피스톤;
    상기 지지면의 상기 제3피스톤이 힌지결합된 부위와 이격된 지점의 하측에 힌지결합되는 제4피스톤;
    일측에 상기 제3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제4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3피스톤과 제4피스톤에 압력을 가하는 작동유체가 충진되어 상기 제3피스톤 및 제4피스톤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제2실린더; 및
    상기 제2실린더 내의 작동유체를 상기 제3피스톤측으로 가압시키거나 제4피스톤 측으로 가압시키는 제2펌프; 및
    상기 수평센서에서 측정된 경사도로서 헬리포트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펌프 및 제2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실린더 및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헬리포트의 가상의 회전축인 제1축과, 상기 제2실린더 및 제3피스톤과 제4피스톤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헬리포트의 가상의 회전축인 제2축이 상호 교차되도록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는,
    상기 제1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1피스톤이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피스톤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1피스톤 수용부;
    상기 제1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작동유체 수용부;
    상기 제2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2피스톤이 상기 제1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피스톤이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2피스톤 수용부; 및
    상기 제2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작동유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 수용부는, 상기 제1피스톤이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피스톤 수용부는, 상기 제2피스톤이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헬리포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는,
    상기 제3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3피스톤이 상기 제2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3피스톤 수용부;
    상기 제3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작동유체 수용부;
    상기 제4피스톤이 수용되며, 상기 제4피스톤이 상기 제2실린더에 대해서 슬라이딩 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슬라이딩 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제4피스톤 수용부; 및
    상기 제4피스톤을 가압하는 작동유체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4작동유체 수용부;를 포함하는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및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헬리포트의 가상의 회전축인 제1축은 선박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인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KR1020120119089A 2012-10-25 2012-10-25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KR101434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089A KR101434428B1 (ko) 2012-10-25 2012-10-25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089A KR101434428B1 (ko) 2012-10-25 2012-10-25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88A KR20140052688A (ko) 2014-05-07
KR101434428B1 true KR101434428B1 (ko) 2014-08-26

Family

ID=50885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089A KR101434428B1 (ko) 2012-10-25 2012-10-25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4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601A (ko) * 2017-12-07 2019-06-17 (주)유에스티21 연안 모니터링 및 관측을 위한 공중 및 수상 복합 이동체
KR20200079650A (ko) 2018-12-26 2020-07-06 홍승일 수직 이착륙기의 이착륙 스테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72B1 (ko) * 2014-08-13 2016-06-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피난통로의 수평유지 장치
KR101711471B1 (ko) * 2015-08-26 2017-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추 장치
KR101877956B1 (ko) * 2017-11-06 2018-07-12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평형 안정성과 내풍압성을 향상시키고 빗물 침투 및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포트용 엘리베이터
KR102070838B1 (ko) * 2018-05-11 2020-01-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장치
CN113928584A (zh) * 2021-11-02 2022-01-14 普宙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机巢及具有该机巢的可移动装置、车辆
KR102672537B1 (ko) * 2022-05-31 2024-06-10 김선겸 차량의 적재공간에 설치되는 드론 이착륙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990A (ja) * 1984-10-12 1986-05-10 Mitsubishi Heavy Ind Ltd 上部構造物制御支持船舶
JPS6344894U (ko) * 1986-09-10 1988-03-25
JPH0352299U (ko) * 1989-09-29 1991-05-21
KR20090094561A (ko) * 2008-03-03 2009-09-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설비의 구조물 수평 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부유식 해양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990A (ja) * 1984-10-12 1986-05-10 Mitsubishi Heavy Ind Ltd 上部構造物制御支持船舶
JPS6344894U (ko) * 1986-09-10 1988-03-25
JPH0352299U (ko) * 1989-09-29 1991-05-21
KR20090094561A (ko) * 2008-03-03 2009-09-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설비의 구조물 수평 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부유식 해양 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601A (ko) * 2017-12-07 2019-06-17 (주)유에스티21 연안 모니터링 및 관측을 위한 공중 및 수상 복합 이동체
KR102082946B1 (ko) * 2017-12-07 2020-04-28 (주)유에스티21 연안 모니터링 및 관측을 위한 공중 및 수상 복합 이동체
KR20200079650A (ko) 2018-12-26 2020-07-06 홍승일 수직 이착륙기의 이착륙 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688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428B1 (ko) 헬리포트의 평형유지장치
US111422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motions of a floating vessel
DK1993902T4 (en) VESSEL, MOVEMENT PLATFORM, COMPENSATION PROCEDURE FOR MOVEMENT OF A VESSEL AND USE OF A STEWART PLATFORM
JP6931389B2 (ja) 人員および装備を第一の装置から第二の装置へ移送するためのギャングウェイ
US6162058A (en) Motion base device for simulators
CN105606357B (zh) 一种飞机静强度试验加载装置
RU2503577C2 (ru) Компенсирующее смещени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равновешивания несущей рамы на судне при движении воды
US10150565B2 (en) Load hook substructure
CN107558728B (zh) 液压爬模爬升姿态调整装置、液压爬模及姿态调整方法
EP3288825B1 (en) Telescopic access bridge, unit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there for
ITVI20100119A1 (it) Piattaforma ad ingombro contenuto per l'atterraggio di un velivolo su un'infrastruttura di accesso
KR20170044832A (ko) 균형유지 기능이 구비된 드론용 이착륙 시스템
CN201051044Y (zh) 具有六自由度的直升机试飞台
CN209258417U (zh) 一种直升机起落架落震综合实验装置
KR20170058925A (ko) 로드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EP3227175B1 (en) A motion compensation device
US5511979A (en) Motion system including actuator assembly
DeVries et al. LSST telescope primary/tertiary mirror hardpoints
EP3497008B1 (en) System to transfer people and/or cargo during offshore operations
CN102935973A (zh) 吊具及具有该吊具的起重机
CN210310820U (zh) 一种小型船舶维修用的支撑设备
CN110356584B (zh) 一种飞机机翼装配用调节方法
WO2008080161A2 (en) Stabilizing system for a vibration isolation platform
US20210403293A1 (en) (heave) balancing device, hoisting system, method for hoisting and kit of parts for spring balancing a hoisting system
NO342595B1 (en) Rotary inline heave compens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