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719B1 -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719B1
KR101433719B1 KR1020130024049A KR20130024049A KR101433719B1 KR 101433719 B1 KR101433719 B1 KR 101433719B1 KR 1020130024049 A KR1020130024049 A KR 1020130024049A KR 20130024049 A KR20130024049 A KR 20130024049A KR 101433719 B1 KR101433719 B1 KR 101433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enware
curved portion
discharge
discharge pip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신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호철 filed Critical 신호철
Priority to KR102013002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71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7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2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turning or jiggering in moulds or moulding surfaces on rotatable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by fluid pressure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 e.g. using vacuum, ai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063Control arrangements
    • B28B17/0081Process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n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that forms earthenware by stacking raw materials along an upper edge of a bottom plate, includ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is discharged; a discharge pipe that has one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ransports the raw material toward the discharge port; a guide jig that is disposed in the back of the discharge pipe and has a curved portion which corresponds in shape to an outline of the earthenware; and one or more guide bars that a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are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and are moved along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when the discharge pipe is lifted and lowered so that the discharge pipe is allowed to rotate and move horizontally.

Description

토기 성형 장치{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본 발명은 토기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 지그를 통해 토출관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토출구를 통해 원재료를 토출하여 토기를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forming a earthenware by discharging a raw material through a discharge port while guiding movement of the discharge pipe through a guide jig.

일반적으로 섭씨 700 ~ 850도 정도의 온도에서 구운 것을 토기라 하고, 1,100도 이상에서 구운 경질의 토기를 석기라고 한다. 흔히 선사시대에서부터 신라 시대에 이르기까지 유약이 없는 것을 총칭해서 토기라고 부르지만, 제작 기술면에서 보면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Generally, baked at a temperature of 700 to 850 degrees centigrade is called pottery, and a hard pottery baked at 1,100 degrees or higher is called pottery. Generally, from prehistoric times to the Silla era, there are no glazes, and they are called collectors, bu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erms of production technology.

첫째, 수날법으로 이것은 진흙을 손으로 빚어서 만드는 방법.First, this is a way to make mud by hand.

둘째, 윤적법으로 흙으로 테를 만들어 쌓아 올라가는 방법.Secondly, it is a method to build up the soil with the soil by the spinner method.

셋째, 권상법으로 흙띠를 길게 만들어 밑에서부터 감아 올라가는 방법Third, the method of winding up the clay by making the clay long

넷째, 들뜨기로서 다른 그릇의 내벽에 흙을 바르고 건조된 다음에 떼어내는 방법.Fourth, as a fan, the inner walls of other vessels are covered with soil, dried and then removed.

다섯째, 녹로(물레) 사용법으로 녹로의 회전을 이용하여 그 위에 올려놓은 흙을 손으로 늘여서 일정한 형태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Fifth, there is a method of making a uniform shape by using hand-rolling the dirt by using the rotation of the dirt wheel by using the dirt wheel.

토기 성형기법은 신석기시대부터 등장한 테쌓기, 즉 권상법을 이용하였다. 한줄 한줄 토기띠를 위로 가면서 이어 붙이고 맞물린 지점을 꼭꼭 눌러 다듬어 물손질로 벽면을 부드럽게 처리한다. 이처럼 토기를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작하려면 일일이 손으로 비벼서 토기띠를 만들어야 하므로 장시간이 소요되고, 잦은 수작업으로 인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켜 제품 경쟁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The earthenware technique was used in the Neolithic period. It is attached to one side of a row of earthenware strips and touches the point of intersection and smoothes the wall by water trimming. In order to manufacture the earthenware by the method of forming the earthenware, it is necessary to rub the earthenware by hand,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frequent manual work, resulting in deteriorat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특히, 도공이 위와 같은 수작업을 담당하고 있으나, 도공이 노령화될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대한 기술을 전수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차적으로 줄고 있어 수작업을 통한 토기 성형이 쉽지 않은 현실이다. 또한, 수작업을 통한 성형의 경우, 도공에 따라 토기의 형상 및 크기가 달라져 정형화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효소발효식품(예를 들어, 막걸리나 젓갈, 장류)을 보관할 수 있는 옹기의 경우 크기 및 형상을 정형화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the pottery is responsible for the above manual work, but not only is the pottery aged, but also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pass the technique of manual work is gradually decreasing. Further, in the case of molding through manual work, the shape and size of the earthenwar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pottery, so that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formed. However, in the case of pottery which can store fermented enzyme foods (for example, rice wine, salted fish, seaweed), it is necessary to formulate size and shape.

한국등록특허공보 10-1041131호 2011.06.13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41131 Nov. 13, 2011

본 발명의 목적은 토기의 성형을 자동화하여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enhance product competitiveness by automating the formation of earthenwa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바가 가이드 지그에 형성된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부른 토기를 성형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jar which is narrow and low in height while a guide bar moves along a curved portion formed on a guide ji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토기성형장치는 바닥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원재료를 적층하여 토기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가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원재료를 상기 토출구를 향해 이송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토기의 윤곽과 대응되는 형상의 만곡부를 가지는 가이드지그; 및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만곡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관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만곡부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토출관을 회전 및 수평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forming a earthenware by laminating raw materials along an upper edge of a bottom plate comprises: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aw material;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charge port to transfer the raw material toward the discharge port; A guide jig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pipe and having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in shape to an outline of the jar; And one or more guide bars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and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art and moving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art as the discharge tube ascends and descends to rotate and horizontally move the discharge tube.

상기 토기 성형 장치는 상기 토출관의 양측에 기립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승강축들; 양측에 각각 형성된 이동홀에 상기 승강축들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이동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승강축과 체결되어 상기 승강축이 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프레임과 함께 승강하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와 함께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토출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관은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includes elevating shafts that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pipe and have thread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bottom frame coupled to the moving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hole, the bottom frame being connected to the elevating shaft through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hole and moving up and down as the elevating shaft rotates; A suppo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and moving up and down with the floor frame and horizontally movable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And a cylindrical fixing member fixedly mounted on the support and movabl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pport, and supporting a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wherein the discharge pipe is rotatable on the fixing member.

상기 토기성형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상기 바닥판이 놓여지며, 회전가능한 물레판; 및 상기 지지대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축들의 회전속도 및 상기 물레판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bottom plate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distanc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al speeds of the elevation shafts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loat plate according to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상기 토기성형장치는 상기 토출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수평이동하며, 외주면이 상기 만곡부의 일측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바;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부를 향해 이동가능하며, 탄성체에 의해 외주면이 상기 만곡부의 타측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바를 구비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pipe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the guide bar being fixed to the connection member and horizontally mov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member, At least one first guide bar contacting one side; And at least one second guide ba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and movable toward the curved portion and having an outer peripheral surface pressing an oth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by an elastic body.

상기 가이드지그는 상기 만곡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승강시 상기 제1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guide jig has a guide hole formed inside the curved portion, and the first guide bar can move along the guide hole when the bottom frame is lifted or lowered.

상기 토기성형장치는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진공튜브; 및 상기 진공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토출관 내부의 기체를 상기 진공튜브를 통해 배출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vacuum tu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And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vacuum tube for discharging the gas inside the discharge tube through the vacuum tu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 바가 가이드 지그에 형성된 만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부른 토기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토기의 성형을 자동화하여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bar is moved along a curved portion formed in a guide jig, and a narrow and low-tall earthenware can be 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by automating the molding of the earthen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기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토기성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탄성체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제어기와 엔코더, 제1 및 제3 모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토기성형장치가 토기를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elastic body shown in Fig. 2 is installed.
4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troller, the encoder, and the first and third motors.
6 to 8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the earthenware by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토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토기는 사전적인 의미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재료의 선택에 따라 도자기나 옹기, 백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earthenware is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arthenware is not limited to a dictionary meaning, and can be applied to pottery, pottery, white porcelain, etc.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raw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기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토기성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기성형장치(1)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5)들을 포함한다. 측면프레임(5)들은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기립설치되며, 승강축(15)은 측면프레임(5)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다. 승강축(15)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프레임(9)은 측면프레임(5)들 사이에 배치되며, 바닥프레임(5)의 양측에는 승강축(15)에 의해 관통되는 이동홀(8)이 각각 형성된다. 이동홀(8)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승강축(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된다. 승강축(15)은 제1 모터(17)와 연결되며, 모터(17)의 회전에 의해 바닥프레임(9)을 승강할 수 있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of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1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frames 5. The side frames 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lifting shaft 15 is installed side by side along the side frame 5. The elevating shaft 15 may be threa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floor frame 9 is disposed between the side frames 5 an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frame 5 is formed a moving hole 8 penetrating by the lifting shaft 15.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hole 8 and is fastened through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ft shaft 15. The lifting shaft 15 is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17, and the bottom frame 9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17.

지지대(13)는 바닥프레임(9)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바닥프레임(9)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재(20)는 지지대(1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바닥프레임(9)의 승강과 함께 승강할 수 있다. 고정부재(20)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토출관(22)의 후단이 고정부재(20)에 고정설치된다. 토출관(22)의 내부공간에는 이송 스크류(도시안함)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의 후단은 스프라킷(sprocket)(도시안함)이 연결되며, 스프라킷은 제2 모터(33)와 체인연결된다. 제2 모터(33)는 지지대(13) 상에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이송 스크류 또한 함께 회전하여 점토를 토출구(24)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The support base 13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frame 9 and can move horizontally on the bottom frame 9. [ The fixing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3 and can move up and down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ottom frame 9. [ The fixing member 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22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20. A transfer screw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ischarge pipe 22.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screw is connected to a sprocket (not shown), and the sprocket is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33 in a chain. The second motor 33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ase 13, and by the rotation, the conveying screw also rotates together to convey the clay toward the discharge port 24.

이송관(27)은 토출관(22)의 상부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송관(27)의 후단부에는 연결부재(30)가 설치되며, 토출관(22)과 이송관(27)은 연결부재(30)에 각각 고정설치된다. 투입구(25)는 이송관(27)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관(27)의 내부와 연통되며, 점토(3)는 투입구(25)를 통해 이송관(27)으로 유입된다. 또한, 이송관(27)과 토출관(22)은 연결관(26)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이송관(27)을 따라 유입된 점토(3)는 토출관(22)으로 이송된다. 또한, 이송관(27)은 토출관(22)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The transfer pipe (27)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ipe (22). A connection member 3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pipe 27 and a discharge pipe 22 and a transfer pipe 27 are fixed to the connection member 30. The inlet port 25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nsfer pipe 27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transfer pipe 27 and the clay 3 flows into the transfer pipe 27 through the inlet port 25. The transport pipe 27 and the discharge pipe 22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the connection pipe 26 so that the clay 3 flowing along the transport pipe 27 is transported to the discharge pipe 22. Further, the conveyance pipe 27 may be in the shape of a cylinder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ipe 22.

이송관(27)의 내부공간에는 토출관(22)의 내부공간과 마찬가지로, 이송 스크류가 설치될 수 있다. 이송관(27)에 설치된 이송 스크류의 후단은 스프라킷이 연결될 수 있으며, 스프라킷은 토출관(22)의 후단에 설치된 스프라킷과 체인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터(33)의 구동에 의해 토출관(22) 및 이송관(27)에 각각 설치된 이송 스크류는 함께 회전하여 점토(3)를 일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A conveying screw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veyance pipe (27)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rnal space of the discharge pipe (22). The rear end of the conveying screw provided on the conveying pipe 27 can be connected to a sprocket and the sprocket can be chain-connected to a sprocket disposed on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22. [ Therefore, by the driving of the second motor 33, the feed screw provided to the discharge pipe 22 and the feed pipe 27 respectively rotate together to transfer the clay 3 in one direction.

토출관(22)의 하부에는 물레판(40)이 설치된다. 물레판(40)은 원형일 수 있으며, 토기의 바닥판(4)은 물레판(40)의 상단부에 놓여진다. 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되는 점토(3)는 바닥판(4)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적층되어 원하는 토기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물레판(40)은 제3 모터(45)와 연결되어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후술하는 가이드바(65)들이 만곡부(52)의 하단부에 위치하였을 경우, 토출구(24)는 물레판(40)의 상부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물레판(40)을 회전하는 제3 모터(45)는 후술하는 제어기(100)와 연결되며, 제어기(100)는 물레판(40)의 회전하는 속도의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A discharge plate (40) is installed below the discharge pipe (22). The spout plate 40 may be circular and the bottom plate 4 of the pottery is placed at the upper end of the spout plate 40. The clay 3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24 is stack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late 4 and can be formed into a desired shape of the earthenware. When the guide bars 65 to be described later ar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curved portion 52, the discharge port 24 is connected to the spindle 40, and the spindle 40 is connected to the third motor 45,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third motor 45 that rotates the spindle 4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ler 100 can control the change of the rotating speed of the spindle 40. [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튜브(93)는 토출관(22)에 연결될 수 있다. 진공튜브(93)는 진공펌프(90)와 연결되어 토출관(22) 내부의 점토(3)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토출관(22) 내부에서 점토(3)에 포함된 공기 등의 기체는 진공펌프(90)를 통해 배출된다. 진공펌프(90)는 제4 모터(95)와 연결되어 제4 모터(95)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2, the vacuum tube 93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22. The vacuum tube 93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90 to discharge the air contained in the clay 3 in the discharge pipe 22. The gas such as air contained in the clay 3 is discharged through the vacuum pump 90 inside the discharge pipe 22. The vacuum pump 90 is connected to the fourth motor 95 and can be operated by the fourth motor 95.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7)은 바닥프레임(9)의 후방에 기립설치된다. 가이드지그(50)의 일측면은 중앙프레임(7) 상에 고정설치되며, 가이드지그(50)는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만곡진 형상인 만곡부(52)를 가진다. 또한, 가이드지그(50)의 내면에는 만곡부(52)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홀(5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0)와 가이드지그(50) 사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바(65)들이 설치된다. 가이드바(65)는 가이드홀(55)을 따라 이동가능한 내측가이드바(63)와 만곡부(52)의 외면을 따라 이동가능한 외측가이드바(67)를 구비하며, 내측 및 외측가이드바(63,67)는 각각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세 개의 가이드바(65)를 통해 만곡부(5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 the center frame 7 stands erect on the rear side of the bottom frame 9. As shown in Fig. One side of the guide jig 50 is fixed on the central frame 7 and the guide jig 5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has a curved portion 52 which is cur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guide hole 55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5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jig 50.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guide bars 65 ar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guide jig 50. The guide bar 65 includes an inner guide bar 63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55 and an outer guide bar 67 mov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52. The inner and outer guide bars 63, 67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unit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stably support the curved portion 52 through the three guide bars 65.

바닥프레임(9)이 승강할 경우, 가이드바(65)는 토출관(22)의 회전 및 수평이동을 안내한다. 바닥프레임(9)의 승강시 가이드바(65)들은 만곡부(52)를 따라 이동하며, 가이드바(65)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재(30)는 회전 및 수평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0)에 연결된 이송관(27) 및 토출관(22)은 회전 및 수평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윤곽을 가지는 토기를 성형할 수 있다.
When the floor frame 9 ascends and descends, the guide bar 65 guides the rotation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discharge pipe 22. The guide bars 65 move along the curved portion 52 when the bottom frame 9 is moved up and down and the connecting member 30 can be rotated and horizontally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guide bar 65. [ Therefore, the conveyance pipe 27 and the discharge pipe 22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0 can be rotated and horizontally moved, thereby forming a pot with a desired contour.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탄성체가 설치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52)를 향해 밀착가능하도록 외측가이드바(67)를 가이드지그(50)를 향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3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내측가이드바(63)는 연결부재(30)에 고정설치되며, 연결부재(30)와 함께 승강 및 수평이동한다. 내측가이드바(63)는 가이드지그(50)에 형성된 가이드홀(55)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바닥프레임(9)이 승강함에 따라 만곡부(52)의 내측을 따라 이동한다. 외측가이드바(67)는 보조연결부재(34)를 통해 연결부재(30)에 연결되며, 만곡부(52)를 향해 이동가능하다.
Fig. 3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where the elastic body shown in Fig. 2 is installed. An elastic body 35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ward the guide jig 5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outer guide bar 67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urved portion 52 as shown in Fig. The inner guide bar 63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member 30. The inner guide bar 63 is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55 formed in the guide jig 50 and mov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52 as the bottom frame 9 ascends and descends. The outer guide bar 67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30 via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34 and is movable toward the curved portion 52.

탄성체(35)는 보조연결부재(34)에 탄성력을 제공하며, 외측가이드바(67)를 만곡부(52)의 타측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외측가이드바(67)는 바닥프레임(9)이 승강함에 따라 만곡부(52)의 외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내측가이드바(63) 또한 만곡부(52)의 내측에 밀착된다. 그러므로, 바닥프레임(9)의 승강시, 토출관(22)은 회전가능할 뿐만 아니라, 토출관(22) 및 지지대(13)는 바닥프레임(9)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바닥프레임(9)은 승강축(15)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토출관(22)의 회전은 토기의 측벽의 형상과 관련되며, 투출관(22)의 수평이동은 토기의 직경과 관련된다.
The elastic member 35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34 and brings the outer guide bar 67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52. Therefore, the outer guide bar 67 can move along the out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52 as the bottom frame 9 ascends and descends, and the inner guide bar 63 also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52. Therefore, not only the discharge pipe 22 is rotatable but also the discharge pipe 22 and the support base 13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loor frame 9 when the floor frame 9 is lifted or lowered. At this time, the bottom frame 9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ifting shaft 15. The rotation of the discharge pipe 22 is related to the shape of the side wall of the earthenware,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discharge pipe 22 is related to the diameter of the earthenware.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11)은 바닥프레임(9)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지지대(13)는 레일(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대(13)는 바닥프레임(9) 상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닥프레임(9)의 일측면에는 지지대(13)가 이동하는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한다. 센서는 엔코더(80)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엔코더(80)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지지대(13)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지는 도면을 통해 지지대(13)와 바닥프레임(9) 사이의 연결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2, the rails 11 are provid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rame 9, and the support rods 13 are coupled to the rails 11. Thus, the support base 13 can move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floor frame 9. [ On one side of the bottom frame (9), further comprises a sensor for sensing the distance the support (13) travels. The sensor may be an encoder 80, which will be described using an encoder 80 in the embodiment, but the sensor sensing movement distance of the support 13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upport frame 13 and the bottom frame 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4은 도 2에 도시한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제어기와 엔코더, 제1 및 제3 모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3)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렉기어(85)와 엔코더(80)가 연결되며, 지지대(13)가 이동함에 따라 렉기어(85)에 의해 엔코더(80)가 회전한다. 따라서, 지지대(13)가 이동하는 위치를 엔코더(8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제어기(100)는 엔코더(80)와 물레판(40)을 회전하는 제3 모터(45)와 각각 연결되어 엔코더(40)가 지지대(13)가 이동한 위치를 감지한 경우, 엔코더(80)가 감지된 신호에 따라 물레판(40)의 제3 모터(45)의 전류를 제어하여 물레판(40)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기(100)는 제1 모터(17)와 연결되어 바닥프레임(9)의 상승속도 또한 함께 제어할 수 있다.
4 is an enlarged view of A shown i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troller, the encoder, and the first and third motors. 4 and 5, a lever gear 85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se 13 and an encoder 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 base 13, The encoder 80 rotates. Therefore, the position at which the support table 13 moves can be sensed through the encoder 80. [ 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to the encoder 80 and the third motor 45 that rotates the spindle 40 so that when the encoder 40 senses the position of movement of the support 13,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pindle 40 can be changed by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third motor 45 of the spindle 40 according to the sensed signal. Also, the controller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17 to control the elevation speed of the bottom frame 9 as well.

원하는 토기의 윤곽이 상하부가 좁고 배가 볼록한 형상인 경우, 토출구(24)의 토출속도가 일정한 반면 토기의 직경은 달라진다. 따라서, 물레판(4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경우, 토기의 직경 변화로 인해 토기의 원주 부분에서 선속도가 변화하므로, 일정한 두께의 점토를 적층하기 위해서는 물레판(40)의 속도가 달라질 필요가 있다. 또한, 토기의 직경 변화로 인해 토기의 원주 길이가 변화하므로, 물레판(40)의 속도에 비례하여 바닥프레임(9)의 상승속도 또한 달라질 필요가 있다.
When the contour of a desired earthenware bowl is narrow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convex in shape, the discharge speed of the discharge port 24 is constant while the diameter of the earthenware vessel is varied. Therefore, when the spindle 40 rotates at a constant speed, the linear velocity changes i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earthenware due to the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earthenware. Therefore, in order to stack the clay having a constant thickness, . Further, since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earthenware changes due to the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earthenware, the rising speed of the bottom frame 9 also needs to be changed in proportion to the speed of the spindle 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13)는 바닥프레임(9) 상단부에 설치되며, 바닥프레임(9)이 승강축(15)에 연결되어 제1 모터(17)의 회전에 의해 승강함에 따라 지지대(13) 및 지지대(13)의 상단부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20) 또한 함께 승강할 수 있다. 고정부재(20)가 승강함에 따라 고정부재(20)에 연결되는 토출관(22) 및 토출구(24)는 함께 승강하며, 점토(3)를 물레판(40)의 상부를 향해 토출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기(100)는 제1 모터(17)를 제어하여 바닥프레임(9)을 상승시킬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13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frame 9. The bottom frame 9 is connected to the lifting shaft 15 and moves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17, And a fixing member 2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ase 13 can also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The discharge pipe 22 and the discharge port 24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20 are lifted and lowered together and the clay 3 can be discharg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spindle 40 as the stationary member 20 ascends and descends .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can raise the floor frame 9 by controlling the first motor 17. [

이송관(27)과 토출관(22)은 연결부재(30)에 고정설치되며, 연결부재(30)는 가이드바(65)들에 의해 가이드지그(50)의 만곡부(52)를 따라 이동된다. 바닥프레임(9)은 승강축(15)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하지만, 연결부재(30)에 각각 설치되는 내측 및 외측 가이드바(63,67)들에 의해 가이드지그(50)의 만곡부(52)를 따라서 승강하게 된다.
The transfer pipe 27 and the discharge pipe 22 are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connecting member 30 is moved along the curved portion 52 of the guide jig 50 by the guide bars 65 . The bottom frame 9 ascends and descends vertically along the elevation shaft 15 but is bent by the inner and outer guide bars 63 and 67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connecting member 30 so that the curved portion 52 of the guide jig 50 .

즉, 외측가이드바(67)는 바닥프레임(9)이 상승함에 따라 만곡부(52)의 외측을 따라 연결부재(30)의 이동을 안내하며, 만곡부(52)는 만곡부(52)의 상하측보다 중앙부가 돌출된 형상을 가지므로, 지지대(13)를 레일(11)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만곡부(52)와 대응된 형상의 토기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토기성형장치(1)는 가이드지그(50)의 만곡부(52)를 따라 승강되는 토출구(24) 및 만곡부(52)를 따라 이동하는 지지대(13)에 의해 상하부가 좁고 배가 볼록한 형상의 토기를 성형할 수 있다. 이어지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토기성형장치(1)를 통해 토기를 성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at is, the outer guide bar 67 guides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long the out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52 as the floor frame 9 moves upward, and the curved portion 52 guides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30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urved portion 52 The support portion 13 can be moved laterally along the rail 11 to form the earthenware having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52. [ Therefore,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1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24 that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curved portion 52 of the guide jig 50, and a support base 13 that moves along the curved portion 52, Can be molded. 6 through 8, a process of forming the earthenware through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도 6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토기성형장치가 토기를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토기성형장치의 토출구가 토기 하부의 직경이 작은 부위를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레판(40)은 제3 모터(45)의 회전에 의해 기설정된 속도로 회전한다. 물레판(40)의 회전속도는 제어기(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투입구(25)를 통해 투입된 점토(3)는 이송관(27) 및 토출관(22)에 각각 설치된 이송 스크류에 의해 토출구(24)로 토출된다. 물레판(40)의 상부에는 토기의 바닥판(4)이 놓여지고, 토출구(24)는 바닥판(4)의 상부에 근접하여 점토를 토출한다.
6 to 8 are views showing a process of forming the earthenware by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port of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forms a portion having a small diamet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arthenware. As shown in Fig. 6, the spindle 40 rotates at a predetermined speed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motor 45. Fi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pindle 4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00. The clay 3 charged through the inlet 25 is supplied to the transfer pipe 27 and the discharge pipe 22 by a transfer screw And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4. The floor plate 4 of the earthenware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spindle plate 40 and the discharge port 24 discharges the clay close to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4.

연결부재(30)는 내측 가이드바(63) 및 외측 가이드바(67)들을 통해 만곡부(52)에 각각 연결된다. 바닥프레임(9)이 승강축(15)을 따라 상승할 경우, 내측 가이드바(63)는 만곡부(52)의 내측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외측 가이드바(67)들은 만곡부(52)의 외면을 따라 이동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9)의 상단부에 설치된 지지대(13)는 바닥프레임(9) 상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바닥프레임(9)이 승강축(15)을 따라 상승할 경우, 내측 및 외측 가이드 바(63,67)에 의해 토출구(24)는 가이드지그(50)의 만곡부(52)와 대응되어 상승하게 된다. 즉, 바닥프레임(9)이 승강축(15)을 따라 상승하면 만곡부(52)는 상하로 만곡진 형상을 가지므로 토기의 가장 볼록한 배 부위를 성형하기까지 지지대(13)는 바닥프레임(9) 상의 측면을 향해 이동한다.
The connecting member 30 is connected to the curved portion 52 through the inner guide bar 63 and the outer guide bar 67, respectively. The inner guide bar 63 is movabl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52 and the outer guide bars 67 are movabl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52 Move along.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1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frame 9 is movable left and right on the bottom frame 9. [ When the bottom frame 9 is lifted along the lifting shaft 15, the discharge port 24 is raised by the inner and outer guide bars 63 and 67 in correspondence with the curved portion 52 of the guide jig 50 . That is, when the bottom frame 9 is lifted along the lifting shaft 15, the curved portion 52 has a vertically curved shape. Therefore, the support frame 13 is supported by the bottom frame 9 until the most convex portion of the earthenware is formed. As shown in FIG.

도 7은 토기성형장치의 토출구가 토기의 볼록한 배 부위를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기는 배 부위가 토기의 상하부에 비해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즉, 각 부위의 직경은 배 부위가 가장 크고 토기의 상하부는 배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 그러므로 물레판(40)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여 토기의 배 부위를 향해 성형할 경우, 직경의 차이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토기 하부의 점토 양과 같은 양의 점토가 토기의 배 부위에 쌓여지게 된다.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charge port of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forms a convex abdomen portion of the earthenware. As shown in Fig. 7, the earthenware portion has a convex shape compar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arthenware. That is, the diameter of each part is the largest at the abdomen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earthenware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abdomen. Therefore, when the spinning mill 40 rotates at a constant speed and forms a shape toward the belly of the earthenware vessel, the amount of clay equal to the amount of clay at the bottom of the earthenware vessel is accumulated at the belly of the earthenwar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diameter.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엔코더(80)는 내측 및 외측 가이드바(63,67)가 가이드지그(50)의 만곡부(52)를 따라 이동하면서 지지대(13)가 좌우로 이송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기(100)로 신호를 전송한다. 만곡부(52)의 형상에 대응되어 토기의 하부, 배, 그리고 상부를 쌓아올리며 성형하므로, 만곡부(52)의 형상에 따라 좌우로 함께 이동하는 지지대(13)의 이동을 감지하는 엔코더(80)는 제어기(100)와 연결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the encoder 80 senses that the inner and outer guide bars 63 and 67 move along the curved portion 52 of the guide jig 50, 100). The encoder 80 senses the movement of the supporter 13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urved portion 52 because the lower portion, the abdome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earthenware are formed by piling up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urved portion 52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기(100)는 엔코더(80)와 물레판(40)을 회전하는 제3 모터(45)와 각각 연결된다. 제어기(100)는 엔코더(80)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감지하여 제3 모터(45)의 전류를 제어하여 회전속도를 각 토출구(24)의 위치(외측 가이드바(67)의 만곡부(55)상의 위치)에 따라 회전속도를 증감할 수 있다. 즉, 제어기(100)는 토출구(24)가 바닥판(4)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면 물레판(40)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며, 토출구(24)가 바닥판(4)의 중앙으로 접근하면 물레판(40)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따라서, 물레판(40)의 상단부에 올려지는 토기의 바닥판(4)에서 토기의 가장 볼록한 단면적을 가지는 배 부위까지는 물레판(40)의 속도는 기설정된 속도로 감소시켜 토출구(24)를 통해 충분한 양의 점토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물레판(40)의 속도가 증감하는 이유는 토기의 직경 차이로 인해 원주 길이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한편, 제어기(100)는 물레판(40)의 속도에 따라 승강축(15)의 회전속도를 증감하여 바닥프레임(9)의 승강속도를 증감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00 is connected to the third motor 45, which rotates the encoder 80 and the spindle 40, respectively. The controller 100 senses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ncoder 80 and controls the current of the third motor 45 so that the rotation speed is changed to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24 (the curved portion 55 of the outer guide bar 67) The rotation speed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image. That is, the controller 100 gradually decreases the speed of the spindle 40 when the discharge port 24 is moved away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4, and when the discharge port 24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4 Thereby gradually increasing the speed of the spindle plate 40. Therefore, the speed of the spindle 40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peed from the bottom plate 4 of the earthenware plate 40, which has been raise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pindle 40, to the abdomen portion having the most convex cross-sectional area of the earthenware, A sufficient amount of clay can be provided. The reason why the speed of the spindle 40 increases or decreases is because the circumferential length increases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of the pot. The controller 100 increases or decreases the speed of the bottom frame 9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lifting shaft 15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the spindle 40.

또한, 도 8은 토기성형장치의 토출구가 토기의 상부의 좁은 부위를 성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기의 가장 볼록한 부위인 배 부위를 쌓아 성형한 후, 토기의 상부를 성형할 경우에는 토출구(24)의 위치 및 물레판(40)의 속도는 변화된다. 내측 및 외측 가이드바(63,67)들이 만곡부(52)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지지대(13) 위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20)에 각각 연결되는 토출관(22) 및 토출구(24)는 초기상태(토기의 하부를 성형하는 단계)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져 토기의 상부에 점토를 쌓을 수 있다.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port of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forms a narrow portion of the top of the earthenware. As shown in Fig. 8,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24 and the velocity of the spindle 40 are changed when the top portion of the earthenware is formed after the embossed portion, which is the most convex portion of the earthenware, is molded. The discharge tube 22 and the discharge opening 24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xing member 20 fixed on the support 13 by the movement of the inner and outer guide bars 63 and 67 along the curved portion 52 are in the initial state To form the clay on the top of the earthenware.

즉, 토기의 배 부위보다 직경이 작은 상부를 향해 토출구(24)가 이동할 경우, 지지대(13) 또한 바닥프레임(9) 상에서 이동하며, 토기의 가장 볼록한 배 부위를 성형한 후에는 만곡부(52)를 따라 이동가능하므로 바닥프레임(9)의 중앙부를 향해 지지대(13)는 이동된다. 따라서, 제어기(100)는 지지대(13)의 이동을 감지하는 엔코더(80)의 신호를 통해 물레판(40)에 연결된 제3 모터(45)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물레판(40)의 회전을 기설정된 회전속도로 감소시키며 토기를 완성해나갈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scharge port 24 is moved toward the upper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abdomen portion of the earthenware vessel, the supporter 13 also moves on the bottom frame 9. After forming the most convex abdomen portion of the earthenware vessel, So that the support 13 is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bottom frame 9. The controller 10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spindle 40 by controlling the current of the third motor 45 connected to the spindle 40 through the signal of the encoder 80 sensing the movement of the spindle 13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earthenware by decreasing it to the preset rotation spe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기의 배 부위가 토기의 상하부보다 볼록한 형상을 가지므로, 토기의 상하 직경 차이로 인해 원주의 길이가 각각 부위별로 다르다. 따라서, 제어기(100)는 물레판(40)의 속도에 따라 승강축(15)의 회전속도를 증감하여 바닥프레임(9)의 승강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토기를 성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tion of the earthen vessel has a convex shape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arthenware, the length of the circumferential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or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arthenware. Accordingly, the controller 100 can shape the earthenware by controlling the elevating speed of the bottom frame 9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levation shaft 15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the spindle 40.

따라서, 본 발명인 토기성형장치(1)는 가이드 바(65)들이 가이드 지그(50)에 형성된 만곡부(52)를 따라 이동하면서 아래위가 좁고 배가 부른 토기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엔코더(80) 및 제어기(100)를 통해 물레판(40)의 속도 및 바닥프레임(9)의 상승속도를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동일한 두께의 토기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기의 성형을 자동화하여 제조원가 절감 및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bars 65 move along the curved portion 52 formed in the guide jig 50, and the earthenware having a narrow bottom and a stomach can be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manufacture the earthenware of the same thickness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spindle 40 and the rising speed of the bottom frame 9 through the encoder 80 and the controller 100, I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enhance product competitiveness.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other form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1 : 토기성형장치 3 : 점토
5 : 측면프레임 7 : 중앙프레임
9 : 바닥프레임 13 : 지지대
15 : 승강축 20 : 고정부재
22 : 토출관 24 : 토출구
25 : 투입구 27 : 이송관
30 : 연결부재 40 : 물레판
50 : 가이드지그 55 : 가이드홀
63 : 내측 가이드바 67 : 외측 가이드바
80 : 엔코더 90 : 진공펌프
93 : 진공튜브 100 : 제어기
1: earthenware forming device 3: clay
5: side frame 7: central frame
9: bottom frame 13: support
15: lifting shaft 20: fixing member
22: discharge pipe 24: discharge port
25: input port 27: transfer pipe
30: connecting member 40: spindle plate
50: guide jig 55: guide hole
63: inner guide bar 67: outer guide bar
80: Encoder 90: Vacuum pump
93: vacuum tube 100: controller

Claims (6)

바닥판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원재료를 적층하여 토기를 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를 토출하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가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원재료를 상기 토출구를 향해 이송하는 토출관;
상기 토출관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토기의 윤곽과 대응되는 형상의 만곡부를 가지는 가이드지그; 및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만곡부의 일측 및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관이 승강함에 따라 상기 만곡부의 일측 및 타측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토출관을 회전 및 수평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성형장치.
An apparatus for forming a jar by laminating raw materials along an upper edge of a bottom plat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aw material;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charge port to transfer the raw material toward the discharge port;
A guide jig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pipe and having a curved portion corresponding in shape to an outline of the jar; And
And at least one guide bar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and position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art and moving alo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art as the discharge tube ascends and descends to rotate and horizontally move the discharge tub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기 성형 장치는,
상기 토출관의 양측에 기립설치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승강축들;
양측에 각각 형성된 이동홀에 상기 승강축들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이동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상기 승강축과 체결되어 상기 승강축이 회전함에 따라 승강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바닥프레임과 함께 승강하며,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지지대와 함께 승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토출관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출관은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Up and down shaf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pipe and having threads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bottom frame coupled to the moving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ving hole, the bottom frame being connected to the elevating shaft through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hole and moving up and down as the elevating shaft rotates;
A suppor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and moving up and down with the floor frame and horizontally movable along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frame; And
And a cylindrical fixing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and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upport member and supports the rear end of the discharge pipe,
And the discharge pipe is rotatable on the fixing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기성형장치는,
상기 토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에 상기 바닥판이 놓여지며, 회전가능한 물레판; 및
상기 지지대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축들의 회전속도 및 상기 물레판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성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A bottom plat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and disposed above the bottom plate, And
A sensor for sensing a movement distance of the support;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rotation speed of the elevation shafts and a rotation speed of the float plate in accordance with a signal sensed by th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기성형장치는 상기 토출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수평이동하며, 외주면이 상기 만곡부의 일측에 접하는 하나 이상의 제1 가이드바; 및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만곡부를 향해 이동가능하며, 탄성체에 의해 외주면이 상기 만곡부의 타측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제2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ing pipe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ing pipe,
The guide bar
At least one first guide bar fixed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and horizontally mov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memb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ntacting one side of the curved portion; And
And at least one second guide bar installed on the connecting member and movable toward the curved portion, the outer curved surface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curved portion by an elastic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지그는 상기 만곡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며,
상기 토출관의 승강시 상기 제1 가이드바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성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uide jig has a guide hole formed inside the curved portion,
And the first guide bar moves along the guide hole when the discharge tube is lifted or low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기성형장치는,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는 진공튜브; 및
상기 진공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토출관 내부의 기체를 상기 진공튜브를 통해 배출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기성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earthenware forming apparatus,
A vacuum tu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And
Further comprising a vacuum pump connected to the vacuum tube and discharging the gas inside the discharge tube through the vacuum tube.
KR1020130024049A 2013-03-06 2013-03-06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KR1014337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49A KR101433719B1 (en) 2013-03-06 2013-03-06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49A KR101433719B1 (en) 2013-03-06 2013-03-06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719B1 true KR101433719B1 (en) 2014-08-27

Family

ID=51751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49A KR101433719B1 (en) 2013-03-06 2013-03-06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7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874A (en) * 2018-08-13 2020-02-21 이향구 Potters wheel for ceramic ware formation including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840B1 (en) 1996-10-19 1999-04-15 이훈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colorful ceramic ware
JP2003154507A (en) 2001-11-26 2003-05-27 Takahama Industry Co Ltd Rolling molding equipment for ceramic ware
KR20030095843A (en) * 2002-06-15 2003-12-24 홍순식 width line formation jig for a rough ceramic
KR20040025618A (en) * 2002-09-19 2004-03-24 조현권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product having oval sha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840B1 (en) 1996-10-19 1999-04-15 이훈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of colorful ceramic ware
JP2003154507A (en) 2001-11-26 2003-05-27 Takahama Industry Co Ltd Rolling molding equipment for ceramic ware
KR20030095843A (en) * 2002-06-15 2003-12-24 홍순식 width line formation jig for a rough ceramic
KR20040025618A (en) * 2002-09-19 2004-03-24 조현권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product having oval sha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874A (en) * 2018-08-13 2020-02-21 이향구 Potters wheel for ceramic ware formation including sensor
KR102115590B1 (en) * 2018-08-13 2020-05-26 이향구 Potters wheel for ceramic ware formation including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820378U (en) Aluminum material buttress de-stacking device
JP5412020B2 (en) Gypsum board forming apparatus and gypsum board manufacturing method
CN103481360A (en) Fully automatic ceramic production system
CN202846679U (en) Full-automatic ceramic manufacturing system
CN201381273Y (en) Glass calender
KR101433719B1 (en) Apparatus for forming earthenware
CN205507563U (en) Flotation cell liquid level automatic control device
CN203233962U (en) Filling machine for western cakes
CN204625150U (en) A kind of automatic gauge paint filling equipment accurately
WO2014015610A1 (en) Flexible substrate processing device
CN203497672U (en) Flow control device for rice elevator
CN217196037U (en) Grouting device
CN215471853U (en) Grouting device
CN210125599U (en) Polycrystalline silicon material belt cleaning device
RU2640517C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glass products of complex shape by centrifuging
CN107777425A (en) A kind of printing equipment for changing sheet conveying mode
CN207224204U (en) A kind of porous shale brick molding machine
CN203482836U (en) Full-automatic bean stick production equipment
CN206288658U (en) A kind of biscuit feeding device
CN206406244U (en) Ceramic grout fabrication line
CN214394692U (en) Novel automatic glazing equipment for ceramic body
CN211733828U (en) Self-cleaning filling valve device
CN210762706U (en) Lock body automatic feeding device
CN208247112U (en) A kind of ceramic roller machine
CN206030197U (en) Pottery brick layer -by -layer distribut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