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532B1 -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32B1
KR101433532B1 KR1020130096022A KR20130096022A KR101433532B1 KR 101433532 B1 KR101433532 B1 KR 101433532B1 KR 1020130096022 A KR1020130096022 A KR 1020130096022A KR 20130096022 A KR20130096022 A KR 20130096022A KR 101433532 B1 KR101433532 B1 KR 10143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hannel
network
channel data
based multimedia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칭-친
창 후이-리앙
Original Assignee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은 다음에 따르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가상 채널 관리를 가리키는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를 검출한다.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에 따라 가상 채널 데이터의 관리를 수행한 후,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에 따라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그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무선 송신함으로써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 가상 채널 데이터의 관리는, 가상 채널 추가, 가상 채널 삭제, 및 가상 채널 수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는 가상 채널의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속성 데이터는 비디오 및 오디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METHOD FOR VIRTUAL CHANNEL MANAGEMENT, NETWORK-BASED MULTIMEDIA REPRODUCTION SYSTEM WITH VIRTUAL CHANNE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콘텐츠 선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브로드밴드 인터넷을 통한 비디오 송신은 비디오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청을 대체하는 것으로서 현재 일반적이다. 스마트 텔레비전에서 인터넷 TV를 브라우징하거나 인터넷 비디오를 재생하려면, 고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 제공 방식을 갖추고 있는 대응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설치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류의 텔레비전은,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 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퍼스널 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여 단지 소망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가 스크린을 보고 리모컨을 조심스럽게 조작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설계된다. 또한, 인터넷이 제공하는 콘텐츠와 타입이 다양해짐에 따라, 원래 의도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을 즐겁게 시청하는 편안한 분위기가 심각해지고 복잡해질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이러한 텔레비전으로 인해 가족이나 그룹의 사용이 어려워지게 되며, 예를 들어, 컴퓨터를 조작하는 데 익숙하지 않은 서로 다른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개시 내용은 가상 채널 관리 방법 및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전자 장치에서 다음에 따르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가상 채널 관리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를 검출한다. (b)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에 따라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를 수행하여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생성한다. (c)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무선으로 전달하여,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에 따라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되는 관리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는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링크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의한 실행시, 전자 장치가 전술한 바와 같은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다음에 따르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a)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고, 여기서, 가상 채널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 및 가상 채널 콘텐츠 재생을 위한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b) 무선 네트워크의 전자 장치에 대하여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는지를 검색한다. (c) 검색에 의해 발견되는 제1 전자 장치에 링크하도록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d) 가상 채널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에 무선 전달하여 가상 채널 데이터에 따라 제1 전자 장치가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을 포함하고, 가상 채널 데이터는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링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의한 실행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전술한 바와 같은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는, 가상 채널들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고, 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표시 유닛, 저장 유닛, 네트워크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유닛과 표시 유닛에 결합된 제어 유닛은,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와 가상 채널 콘텐츠 재생을 위한 조작 모드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네트워크 유닛과 표시 유닛을 제어한다.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면, 제어 유닛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전자 장치를 검색하고,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검색 동안 발견되는 제1 전자 장치에 링크하고,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가상 채널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에 무선 전달하여 가상 채널 데이터에 따라 제1 전자 장치가 가상 채널 데이터를 위한 조작 모드를 제공하게 되는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을 포함하고, 가상 채널 데이터는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링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제한적이지 않은 다음에 따르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것이다.
도 1은 커맨드를 수신하는 가상 채널들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과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핸드헬드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4는 핸드헬드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 5는 핸드헬드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 6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
도 7은 가상 채널들을 갖는 전자 장치의 기본 구조를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을 참조해 보면, 가상 채널들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개략도가 제공되어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인터넷 TV, 스마트 TV, 네트워크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장치 등의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인터넷의 멀티미디어 소스에 링크하는 기능을 갖는 표시 및/또는 재생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채널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의 (애플리케이션(11 내지 14) 등의)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모드에 대응한다. 특정한 가상 채널을 선택하는 것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스크린 상에 소망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도록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다수의 연관된 프로그램이나 모듈)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애플리케이션은, 실행되면,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를 풀 스크린으로 또는 다른 비율로 제시한다.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제어기(20)(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핸드헬드 장치 등의 전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커맨드를 수신하고, 커맨드가 가상 채널 스위칭에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11)(예를 들어, 유튜브 상의 비디오)을 이용하여 특정한 온라인 프로그램을 시청하길 원하거나 이메일 프로그램(13)을 이용하여 특정한 이메일 계정을 위한 인박스의 이메일을 보길 원함을 가리키는 가상 채널의 채널 코드(1001 또는 200)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제어기(20)에 수행되는, 채널 점프 또는 리턴, 입력 소스 변경, 선호하는 채널 리스트 또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의 설정 모두는 채널 스위칭을 트리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해 보면,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상 채널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 및 가상 채널 콘텐츠 재생을 위한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가상 채널 콘텐츠 재생을 위한 조작 모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전 채널들을 스위칭 또는 선택함으로써 가상 채널 콘텐츠를 재생한다.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한 복수의 조작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조작들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가상 채널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키워드(예를 들어, Oscar Ang Lee)를 입력함으로써, 그 키워드에 관한 디지털 콘텐츠를 검색할 것을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에 지시하고, 키워드는 글자(들), 단어(들), 구(들), 또는 문장(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검색 결과를,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의 스크린(P1) 상에 프로그램 리스트의 형태로 제시한다. 사용자는, 가상 채널 추가를 수행할 수 있고, 이어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은 새로운 가상 채널을 추가하고, 프로그램 리스트의 콘텐츠에 연관된 이 가상 채널이 채널 코드(예를 들어, 숫자 1101 또는 다른 코드로 표현됨)를 갖추게 한다. 이제부터, 사용자는, 텔레비전 채널들을 스위칭하는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스크린(P2) 상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상 채널의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채널 코드 1101을 입력함으로써, 가상 채널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 채널 삭제 조작과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가상 채널 관리의 각 예는 대응하는 가상 채널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가상 채널 데이터는, 예를 들어, 각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하나의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링크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해 보면, 개략도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핸드헬드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핸드헬드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사용자가 가상 채널들을 관리하도록 전자 장치(201)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더욱 양호한 사용 경험을 할 수 있고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의 가상 채널들에 대한 사용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가상 채널 관리(예를 들어, 가상 채널들의 추가, 삭제, 수정)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App)으로서 실현될 수 있고, iOS, Android, 또는 Windows 등의 운영 체제를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위한 커맨드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검출된다. 단계 S120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201)에 저장되어 있는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한 관리를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하여, 예를 들어, XML(Extended Mark-up Language)로 가상 채널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가상 채널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를 특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리스트나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된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50)를 생성한다.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되는 관리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50)가 생성된 후, 단계 S130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임의의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무선 네트워크에서 검색함으로써 전자 장치를 제어한다. 단계 S14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검색에 의해 발견되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에 링크하도록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15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이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50)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예를 들어, 가상 채널의 속성 데이터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302)(예를 들어, 비디오 공유 웹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콘텐츠 VS(예를 들어, 비디오 또는 오디오 콘텐츠)를 취득하도록,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에 무선 전달하여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
단계 S130에서, 무선 LAN 또는 홈 네트워크 등의 내부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들을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과 링크한다. 검색 동안 다른 임의의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들)이 발견되면, 그 다른 임의의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들)(예를 들어, 102)에 대하여 단계 S140과 S150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은 공통 가상 채널을 위한 조작 모드 및 개인화된 가상 채널을 위한 조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개인화된 가상 채널은 연관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선택 및 재생될 수 있고, 공통 가상 채널은 모든 사용자들에 의해 선택 및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를 위한 전자 장치(201)를 사용함으로써 갱신되는 가상 채널 데이터(50)는 공통 가상 채널 리스트 및 개인화된 가상 채널 리스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단계 S150은, 다음에 따르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즉, 공통 가상 채널 리스트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개인화된 가상 채널 리스트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다가,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상 채널 데이터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정보, 서비스 정보(인터넷의 웹사이트 서비스에 관한 정보),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가상 채널 데이터 중 변경된 부분에 대하여 동기화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110에서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는 제1 검색 기준 KC를 위한 제1 가상 채널을 추가하는 것을 가리키고, 여기서, 제1 검색 기준 KC는 키워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단계 S120에서 가상 채널 데이터를 갱신하는 조작은 가상 채널 추가 조작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120은 도 5의 단계들을 더 포함한다. 단계 S2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201)에 저장되어 있는 가상 채널 데이터에서, 제1 검색 기준 KC를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검색하여 제1 검색 결과를 얻는다. 단계 S2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제1 검색 기준 KC를 만족하는 외부 네트워크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2 검색 결과를 얻는다. 단계 S230에서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제1 검색 결과를 제2 검색 결과와 조합함으로써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고, 여기서, 프로그램 리스트는 키워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단계 S24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1)는 가상 채널을 가상 채널 데이터에 추가함으로써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생성하고,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 콘텐츠는 프로그램 리스트의 콘텐츠에 대응한다.
도 5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의 채널 콘텐츠를 관리하여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의 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를 검색함으로써 관심 토픽을 위한 가상 채널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핸드헬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가상 채널들을 어느 때라도 어느 곳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유연하며 편리하다. 사용자는, 자신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에 접속 해제되어 있는 핸드헬드 장치를 갖고 외출 중이더라도 가상 채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210과 S220에서, 제1 검색 기준 KC는, 제공자, 콘텐츠가 제공되는 시간, 또는 콘텐츠의 지속 시간 등의 검색할 다른 데이터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제1 검색 결과(로컬)는 제1 검색 기준 KC를 만족하는 프로그램 속성 데이터의 세트이다. 단계 220에서, 제1 검색 기준 KC를 만족하는 외부 네트워크 비디오/오디오 콘텐츠는, 예를 들어, (URL 또는 IP 어드레스 또는 다른 어드레싱 방식 등의) 링크 지시, 및 (인터넷 또는 디폴트 웹사이트(들) 등의) 외부 네트워크(302)의 검색 엔진 웹사이트(들) 또는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 등의) 비디오 제공 플랫폼을 검색하는 전자 장치(201)를 사용하여 발견되는 이들의 비디오(또는 디지털 콘텐츠) 속성을 포함한다. XML, HTML 형태, 또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된 제2 검색 결과(외부)로서 간주되는 이러한 링크 지시 및 속성은 플랫폼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자 장치(201)로 다시 송신된다.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어 (3G, LTE, 또는 4G 네트워크 등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등의) 외부 네트워크에 또는 (Wi-Fi 등의) 무선 LAN 등의 내부 네트워크에 링크한다.
단계 230에서, 전자 장치(201)에 의해 제1 검색 결과(로컬)와 제2 검색 결과(외부)를 조합하여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방식 또는 선호 설정에 따라 및/또는 제1 검색 기준을 만족하는 가장 양호한 최신 항목들을 제공하고자 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종류의 시퀀스, 예를 들어, 이슈 시간대, 연관성 정도, 또는 비디오의 시간 길이로 배열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기초하는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계 S230에서 생성되는 프로그램 리스트는 사용자가 표시될 프로그램의 순서를 편집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201)의 스크린(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계 S130 내지 S140은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단계 150을 가상 채널 동기화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으로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와 가상 채널 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해 보면, 흐름도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참조해 보면, 블록도는 가상 채널들을 갖는 전자 장치의 기본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은, 표시 유닛(110), 저장 유닛(120), 제어 유닛(130), 네트워크 유닛(140), 및 커맨드 검출 유닛(150)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어 유닛은 표시 유닛(110)과 네트워크 유닛(140)에 결합되어 있다. 설계 요건에 따라,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튜너 등의 텔레비전 수신 유닛 및 오디오 프로세서, 증폭기, 스피커 등의 오디오 유닛 등의 다른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맨드 검출 유닛(150)은, 물리적 버튼을 갖는 유선 또는 무선 리모컨을 구비하는 수신기, 또는 음성 인식, 얼굴 인식, 또는 제스처 인식을 위한 검출 장치이다.
다시 도 6을 참조해 보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은, 예를 들어, 단계 S3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제어 유닛(130)에 의해 적어도 네트워크 유닛(140)과 표시 유닛(100)을 제어하고, 여기서, 가상 채널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 및 가상 채널 콘텐츠 재생을 위한 조작 모드를 포함한다. 단계 S3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을 사용함으로써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면, 방법은 단계 S330 내지 S350으로 진행하여,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이 이러한 단계들을 네트워크 유닛(140)으로 수행하도록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을 제어한다. 단계 S33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의 전자 장치를 검색한다. 단계 S34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검색에서 발견되는 제1 전자 장치(예를 들어, 201)와의 링크를 형성한다. 단계 S35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자 장치가 가상 채널 데이터(60)에 따라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제1 전자 장치에 가상 채널 데이터(도 3의 60)를 무선 전달함으로써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한다. 단계 S330에서 임의의 다른 전자 장치가 발견되면, 그 다른 전자 장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단계 S340과 S350을 다시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리적 오브젝트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근처에 있으면, 단계 S320의 동기화 기준이 만족된다. 따라서,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검출 유닛에 의해 물리적 오브젝트가 범위(예를 들어, 시스템으로부터의 거리 내에 있거나 실내 영역으로 규정되는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동기화 기준은 물리적 오브젝트가 그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이다. 물리적 오브젝트가 범위 내에 있다면, 동기화 기준이 만족된다. 예를 들어, 물리적 오브젝트는 신체, 신체의 일부, 또는 전자 장치이고, 검출 유닛은 신체 검출기, 인간 얼굴 인식 검출기, 또는 근접장 통신 검출기이다. 검출 유닛은, 예를 들어, 오디오 검출기 또는 마이크로폰이고, 가변되는 소리를 검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또한, 위 상황에서 수행되는 동기화를 "능동 전달"(active transfer) 모드라 칭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가상 채널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단계 S320의 동기화 기준이 만족된다. 따라서, 방법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가상 채널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동기화 기준은 가상 채널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이고, 변경되었다면, 동기화 기준이 만족된다. 일례로, 가상 채널 데이터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변경되고, 여기서,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한 관리는,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의 가상 채널 추가, 삭제, 수정 조작들 등의 조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가상 채널 관리를 수행하거나 시스템이 가상 채널 데이터를 자동으로 변경하면,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트리거할 수 있다. 위 상황에서 수행되는 동기화를 "즉시 전달"(immediate transfer) 모드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되는 동기화를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관한 "수동 전달"(passive transfer) 모드로 간주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동기화의 수동 전달 모드가 행해진 후 새롭게 추가된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능동 전달" 모드, "즉시 전달" 모드, "수동 전달" 모드를 구현하도록,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전자 장치에 링크하기 전에,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링크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의 임의의 전자 장치들을 검색하는 것에 관하여,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 장치들에 대해서만 검색을 행할 수 있고, 즉, 시스템 내에 레코드를 갖고 있는 임의의 전자 장치(들)에 대해서 검색을 행한다. 또한, 가상 채널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동안, 예를 들어, 다음 동기화 사용을 위해, 동기화를 위한 사용자의 설정 또는 가상 채널을 위한 타임 스탬프를 또한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과 전자 장치는, 위 방법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과 전자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가 적절히 해석되고 이용될 수 있도록 가상 채널 데이터, 검색 결과, 프로그램 리스트, 또는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한 시맨틱 파싱(semantic parsing)을 위해, (예를 들어, 실행을 위해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모듈(들)을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해 보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이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예를 들어, Apple TV, 네트워크 셋톱 박스 등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기)로서 실현되면, 표시 유닛(100)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함께 통합된 표시 스크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접속된 표시스크린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101)을 구현하는 방식은 도 7의 시스템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어 유닛(130)은 표시 유닛(110) 및 메모리 또는 기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유닛)에 메모리 버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위 설명에서 언급한 구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구현이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게다가, 전자 장치(201)는 도 7에 기초하여 또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을 갖는 다른 구조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고, 여기서, 싱글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일 수 있는 제어 유닛(130)은, 도 4 또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은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표시 유닛(110)과 네트워크 유닛(14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코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모듈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또는 전자 장치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4, 도 5, 또는 도 6의 단계들은 프로그램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실시예가 전자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일례에서, 이 애플리케이션은, 단계 S120을 구현하는 가상 채널 관리 모듈(또는 컴포넌트), 단계 S130 내지 S150을 구현하는 가상 채널 동기화 모듈(또는 컴포넌트), 단계 S210 내지 S230을 구현하는 가상 채널 프로그램 검색 모듈(또는 컴포넌트), 및 단계 S240을 구현하는 가상 채널 저장 모듈(또는 컴포넌트)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도 4 또는 도 5의 실시예 또는 다른 관련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한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또는 시스템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도 6의 실시예 또는 다른 관련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한다. 실시예들의 각각의 판독가능 정보 저장 매체는, 광 정보 저장 매체, 자기 정보 저장 매체 또는 프로그래밍가능 마이크로컨트롤러 내의 메모리 카드, 펌웨어, ROM 또는 RAM, 또는 내장 메모리 등의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실제 적용에 있어서, 임의의 가족 구성원 또는 그룹 구성원은, 가상 채널을 관리하도록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를 채용할 수 있고, 가상 채널 데이터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동기화를 수행한다. 또한, 집의 서로 다른 위치 또는 방에 있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들이 가상 채널 데이터를 위해 동기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족 또는 그룹을 위한 가상 채널들의 조작이 일관될 수 있으며, 한 사람의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접속 또는 접소 해제되어 있는 동안 네트워크 비디오를 수집하는 임의의 개별인이 그 네트워크 비디오를 가상 채널의 형태로 다른 구성원들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더욱 양호한 사용 경험을 얻을 수 있고,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위한 가상 채널들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고 유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를 들어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오히려, 다양한 수정 및 유사 구성과 프로시저를 포함하려는 것이며, 따라서, 청구범위는 이러한 수정 및 유사 구성과 프로시저를 모두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으로서,
    (a) 가상 채널 관리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를 수행하여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c)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상기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에 따라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무선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되는 관리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는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링크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커맨드는 제1 검색 기준을 위해 제1 가상 채널을 추가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는 상기 가상 채널 추가 조작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작에 의해 갱신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검색 기준을 만족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가상 채널 데이터에서 검색하여 제1 검색 결과를 얻고, 상기 제1 검색 기준을 만족하는 외부 네트워크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검색하여 제2 검색 결과를 얻는 단계 - 상기 제1 검색 기준은 키워드를 포함함 - 와,
    상기 제1 검색 결과를 상기 제2 검색 결과와 조합함으로써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에 가상 채널을 추가함으로써 상기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의 프로그램 콘텐츠는 상기 프로그램 리스트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전에,
    (b1) 상기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가 생성된 후에,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여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무선 네트워크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b2) 상기 검색하는 단계 동안 발견되는 제1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 대한 링크를 형성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과 동일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2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발견되면, 상기 검색하는 단계 동안 발견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각각에 대하여 상기 (b2) 단계와 (c) 단계를 수행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된 가상 채널 데이터는 공통 가상 채널 리스트와 개인화된 가상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공통 가상 채널 리스트와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화된 가상 채널 리스트와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5. 전자 장치에 의한 실행시 상기 전자 장치가 제1항에 따른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6.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상 채널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a)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와 가상 채널 콘텐츠 재생을 위한 조작 모드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b)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면 무선 네트워크의 전자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와,
    (c) 상기 검색하는 단계 동안 발견되는 제1 전자 장치에 링크하도록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가상 채널 데이터에 따라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를 무선 전달함으로써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는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링크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의 검출 유닛에 의해 물리적 오브젝트가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기준은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이고,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가 상기 범위 내에 있다면 상기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는 신체, 신체의 일부, 또는 전자 장치인, 가상 채널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가변되는 소리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는 신체인, 가상 채널 관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가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기준은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이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를 변경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에서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하여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에 대한 관리는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의 조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가 발견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c) 단계와 (d) 단계를 수행하는, 가상 채널 관리 방법.
  13.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제6항에 따른 가상 채널 관리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의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으로서,
    표시 유닛과,
    저장 유닛과,
    네트워크 유닛과,
    상기 네트워크 유닛과 상기 표시 유닛에 결합되고, 가상 채널 조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적어도 상기 네트워크 유닛과 상기 표시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와 가상 채널 콘텐츠 재생을 위한 조작 모드를 포함하고,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상기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의 전자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 동안 발견되는 제1 전자 장치에 링크하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가상 채널 데이터를 무선 전달하여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에 따라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 관리를 위한 조작 모드는, 가상 채널 추가 조작, 가상 채널 삭제 조작, 및 가상 채널 수정 조작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을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는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채널에 대응하는 속성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링크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물리적 오브젝트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검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기준은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가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이고,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가 상기 범위 내에 있다면 상기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로서 간주되는 사용자 또는 전자 장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신체 검출기인,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은 상기 물리적 오브젝트로서 간주되는 사용자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가변되는 소리를 검출하는 소리 검출기인,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기준은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이고, 상기 가상 채널 데이터가 변경되었다면 상기 동기화 기준이 만족되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동안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가 발견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들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이,
    상기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 동안 발견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링크하고,
    상기 네트워크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자 장치에 가상 채널 데이터를 무선 전달하여 가상 채널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은 스마트 텔레비전, 네트워크화 텔레비전, 또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인,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KR1020130096022A 2013-03-07 2013-08-13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4335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108096A TW201436545A (zh) 2013-03-07 2013-03-07 虛擬頻道管理方法、具有虛擬頻道之網路多媒體重現系統和電腦可讀取記錄媒體
TW102108096 2013-03-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532B1 true KR101433532B1 (ko) 2014-08-22

Family

ID=4900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022A KR101433532B1 (ko) 2013-03-07 2013-08-13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259071A1 (ko)
EP (1) EP2775725A1 (ko)
JP (1) JP5905423B2 (ko)
KR (1) KR101433532B1 (ko)
CN (1) CN104038825A (ko)
TW (1) TW2014365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1189B1 (en) * 2015-05-11 2019-12-31 Alan AI, Inc. Voice assistant with user data context
CN105898574A (zh) * 2016-05-18 2016-08-24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虚拟频道管理方法、装置及虚拟频道服务器
KR102424355B1 (ko) 2017-08-28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9364478B (zh) * 2018-09-07 2022-08-23 深圳市腾讯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同步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339442B (zh) * 2021-12-31 2023-11-07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多媒体频道的配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221A (ko) * 2003-06-30 2005-0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이티에스씨 전송신호의 가상 채널 편집장치
KR20070039339A (ko) * 2005-10-07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KR20070100509A (ko) * 2006-04-07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 상에서 방송 컨텐츠 전송방법 및 시스템
JP2009253482A (ja) 2008-04-03 2009-10-29 Nec Access Technica Ltd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28591D0 (en) * 1998-12-23 1999-02-17 Ntl Group Limited Electronic programme scheduling system
US20040205816A1 (en) * 2003-04-11 2004-10-14 Barrett Peter T. Virtual channel preview guide
US20070118873A1 (en) * 2005-11-09 2007-05-24 Bbnt Solution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merging media content
EP1966997B1 (en) * 2005-12-19 2017-07-19 S.I.Sv.El. Societa' Italiana Per Lo Sviluppo Dell'elettronica S.P.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lates offering default settings for typical virtual channels
KR100751810B1 (ko) * 2006-05-24 2007-08-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채널정보 관리방법
US7840979B2 (en) * 2006-06-30 2010-11-23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al tile-based expansion cell guide
US8782698B2 (en) * 2007-04-30 2014-07-15 Google Inc. Customizable media channels
US8326221B2 (en) * 2009-02-09 2012-12-0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ximity-based content synchronization
US9241136B2 (en) * 2009-06-29 2016-01-1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 personalized programming guide
CA2781827C (en) * 2009-11-25 2016-05-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cessing epg metadata in 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3530635A (ja) * 2010-05-21 2013-07-25 ライヴ マトリ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ケジュールされたウェブベースイベントの対話型カレンダー及び索引要素をメタデータに関連付けるウェブの時間索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3221A (ko) * 2003-06-30 2005-0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에이티에스씨 전송신호의 가상 채널 편집장치
KR20070039339A (ko) * 2005-10-07 2007-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KR20070100509A (ko) * 2006-04-07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Dlna 네트워크 상에서 방송 컨텐츠 전송방법 및 시스템
JP2009253482A (ja) 2008-04-03 2009-10-29 Nec Access Technica Ltd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36545A (zh) 2014-09-16
US20140259071A1 (en) 2014-09-11
JP5905423B2 (ja) 2016-04-20
CN104038825A (zh) 2014-09-10
EP2775725A1 (en) 2014-09-10
JP2014176082A (ja)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6938B2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KR101498811B1 (ko) 가상 채널 관리 방법,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2023025453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commending content restrictions
US10382837B2 (en) Linking and browsing media on television
US10326822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virtual operating system on a display device
KR101433532B1 (ko) 가상 채널 관리를 위한 방법, 가상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기반 멀티미디어 재생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EP2575372A2 (en) Method of managing contents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20128728A (ko) 셋톱 박스에서의 자동 클립 발생
WO20141933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rogram guide
EP25555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ontent list associating local media content to a broadcast programs.
US10416853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oviding media guidance based on detected user events
US20230401030A1 (en) Selecting options by uttered speech
JP2014176083A (ja) 電子番組ガイドを提供する方法、マルチメディア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ー可読記憶媒体
US20160019017A1 (en) Companion Content
US9313550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management list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105879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ersonal channel
US20150245088A1 (en) Intelligent remote control for digital television
KR2012010904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 서버 및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