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2732B1 -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2732B1
KR101432732B1 KR1020070047742A KR20070047742A KR101432732B1 KR 101432732 B1 KR101432732 B1 KR 101432732B1 KR 1020070047742 A KR1020070047742 A KR 1020070047742A KR 20070047742 A KR20070047742 A KR 20070047742A KR 101432732 B1 KR101432732 B1 KR 10143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int medium
mounting
plate
mou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243A (ko
Inventor
홍종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732B1/ko
Priority to US11/972,092 priority patent/US8025452B2/en
Publication of KR20080101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58Supply holders for sheets or fan-folded webs, e.g. shelves, tables, scrolls, pile holder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의 장착위치로부터 벗어날 때, 인쇄매체가 탑재되는 탑재판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인쇄매체 공급기는, 프레임과; 인쇄매체를 탑재하는 탑재판과; 프레임 내에서 탑재판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기구와; 프레임과 탑재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프레임과 탑재판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설치부와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어 탑재판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스프링부를 구비한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ice for feeding printable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고용량 인쇄매체 공급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의 스프링 유니트를 보인 사시도.
도 5 및 도 6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프레임 55 : 탑재판
60 : 승강기구 61 : 보조프레임
63 : 구동풀리 65 : 종동풀리
67 : 벨트 70 : 탄성유니트
71 : 설치부 73 : 결합부
75 : 스프링부 81 : 샤프트
83 : 커플러 85 : 구동원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장착위치로부터 벗어날 때, 인쇄매체가 탑재되는 탑재판의 낙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매체 공급기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여 화상형성장치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 인쇄매체 공급기는 인쇄매체의 적재 능력에 따라 수 백매 이내의 인쇄매체 적재능력을 갖춘 카세트 타입의 공급기와, 대략 2000매 정도의 인쇄매체 적재 능력을 갖춘 고용량 인쇄매체 공급기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용량 인쇄매체 공급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인쇄매체 공급기는 내부에 인쇄매체(1)를 수용하는 프레임(11)과, 이 프레임(1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매체(1)가 탑재되는 탑재판(13)을 포함한다. 상기 탑재판(13)은 화상형성장치 내에 마련된 구동원(미도시)에서 제공되는 동력과, 승강기구(15)에 의하여 승강 구동된다. 상기 승강기구(15)는 상기 프레임(11)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제1 및 제2풀리(16)(17)와, 상기 제1 및 제2풀리(16)(17)에 감긴 타이밍 벨트(19)를 포함한다. 상기 제1풀 리(16)는 동축 상에 마련된 샤프트(16a) 및 커플러(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타이밍 벨트(19)가 회전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탑재판(13)은 상기 타이밍 벨트(19)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19)의 구동에 따라 승강된다. 따라서, 상기 탑재판(13) 상의 인쇄매체(1)의 적재량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인쇄매체(1)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쇄매체의 추가적인 적재 등을 위하여 인쇄매체 공급기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뺐을 경우 상기 커플러가 분리되면서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샤프트에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풀리(16)(17)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고, 상기 탑재판(13)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이 경우, 인쇄매체 공급기의 손상이 초래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상기 제1풀리(16)와 동축 상에 마련된 기어(21)와, 이 기어(21)에 맞물려 상기 탑재판(13)의 자유낙하를 방지하는 기어오일댐퍼(23)가 더 포함된 인쇄매체 공급기가 개시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커플러의 분리시 상기 제1풀리(16)가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탑재판(13)이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탑재판(13)의 자유낙하에 따른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매체 공급기의 경우 탑재판(13)에 탑재된 인쇄매체의 분량에 따라 무게와 무게중심점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각 상황에 맞도록 된 기어오일댐퍼(23)의 설계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탑재판(13) 상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없을 때를 기준으로 기어오일댐퍼(23)를 설계한 바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설계한 경우 기어오일댐퍼(23)에 의한 완충 작용이 약하여, 탑재판(13) 상에 상당량의 인쇄매체(1)가 적재된 상태에서 인쇄매체 공급기를 뺐을 때 인쇄매체 공급기가 손상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의 장착위치로부터 공급기를 분리할 때, 적재된 인쇄매체의 분량에 관계없이 탑재판의 낙하 속도를 저감시켜 인쇄매체 공급기의 손상을 억제하고,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는, 프레임과; 인쇄매체를 탑재하는 탑재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탑재판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기구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탑재판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스프링부를 구비한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설치부에 나선상으로 권취된 띠 상의 탄성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매체를 탑재하는 탑재판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탑재판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의 분량에 따라 상기 탑재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력의 해제에 따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기 탑재판의 낙하시, 상기 탑재판을 탄성 지지하여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한 구조의 인쇄매체 공급기와;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에서 공급된 인쇄매체에 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인쇄매체 공급기는,
프레임과; 인쇄매체를 탑재 및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인접 배치된 탑재판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탑재판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유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유니트의 완충력은 상기 탑재판의 낙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 및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는 프레임(51)과, 인쇄매체를 탑재하는 탑재판(55)과, 상기 프레임(51) 내에서 상기 탑재판(55)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기구(60) 및 탄성유니트(7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1)은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인쇄매체(50)를 수용한다. 상기 탑재판(55)은 상기 프레임(51)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화상형성장치 내에 마련된 구동원(85)에서 제공되는 동력과, 상기 승강기구(60)에 의하여 승강 구동된다. 상기 승강기구(60)는 상기 프레임(51) 내 에 설치된 보조프레임(61)과, 이 보조프레임(61)에 이격 설치된 구동풀리(63) 및 종동풀리(65)와, 이 구동풀리(63) 및 종동풀리(65)에 감긴 벨트(67)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풀리(63)는 동축 상에 마련된 샤프트(81) 및 커플러(83)를 통하여 상기 구동원(85)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67)가 회전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종동풀리(65)는 상기 구동풀리(63)에 대해 상기 프레임(51)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51)에 설치된다. 상기 벨트(67)는 예컨대 타이밍 벨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풀리(63)와 종동풀리(65)에 회전 가능하게 감긴다. 상기 탑재판(55)은 상기 벨트(67)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67)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따라서, 상기 탑재판(55) 상의 인쇄매체(50)의 적재량에 따라 그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인쇄매체(50)가 원활히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의 스프링 유니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유니트(70)는 화상형성장치의 장착위치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를 분리할 때, 적재된 인쇄매체(50)의 분량에 관계없이 탑재판(55)의 낙하 속도를 저감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유니트(70)는 복수 개 구비되며, 그 각각은 상기 탑재판(55)의 연부를 따라 복수의 개소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탄성유니트(70) 각각은 상기 프레임(51)과 상기 탑재판(55)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부(71)와, 결합부(73) 및 상기 탑재판(55)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스프링부(75)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부(71)는 상기 스프링부(75)의 일 단부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1)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탑재판(55)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설치부(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75)와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부(75)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73)는 상기 스프링부(75)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51)과 상기 탑재판(55)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부(71)가 상기 프레임(51)에 결합된 경우, 상기 결합부(73)는 상기 탑재판(55)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73)와 상기 탑재판(55)은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탑재판(55)이 소정 높이 이하로 낙하 할 때는 상기 탑재판(55)에 걸리고, 소정 높이 이상을 유지할 때는 상기 탑재판(55)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51)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탑재판(55)의 최저 및 최고 높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51)의 위치를 제1 및 제2위치라 할 때, 상기 설치부(71)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탑재판(55)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설치부(71) 사이에 배치시 상기 탑재판(55)을 탄성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탑재판(55)이 상기 설치부(71)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 배치시 상기 탑재판(55)과 분리된다.
상기 스프링부(75)는 상기 설치부(71)와 상기 결합부(73)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탑재판(55)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 기 스프링부(75)는 상기 설치부(71)에 나선상으로 권취된 띠 상의 탄성판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가 A4 크기의 인쇄매체를 최대 2000매 수용한 경우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인쇄매체의 전체질량은 대략 11 내지 13 kg이 되며, 적재높이는 대략 220mm가 된다. 이때, 수용된 전체 인쇄매체(50) 중 최상부에 위치된 인쇄매체가 공급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상기 탑재판(55)은 상기 프레임(51)의 저면에 가깝게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73)는 상기 탑재판(55)에 걸리며, 상기 스프링부(75)는 최대 길이로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유니트(70)가 상기 탑재판(55)의 연부를 따라 4 개소에 마련되고, 각 탄성유니트 당 1kg중의 완충력이 작용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4kg중의 힘의 감소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탑재판(55)에 걸리는 힘은 대략 7 내지 9kg중이 된다. 상기한 상태는 인쇄매체 공급기에 동력이 전달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유지된다.
한편, 인쇄매체 공급기에 동력이 제공되는 상태에서, 상기 탑재판(55) 상의 인쇄매체(50)가 감소하게 되면 최상부에 탑재된 인쇄매체가 공급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상기 탑재판(55)이 상승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탑재판(55) 상에 인쇄매체(50)가 대략 1000매 정도 적재된 경우, 상기 탑재판(55)이 대략 2000매 적재된 경우에 비하여 대략 100mm 이상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매체(50)의 전체 질량은 대략 6 내지 7kg이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니트(70)가 바닥면에서 대략 100mm 위치에 설치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재판(55)은 상기 결합부(73)에서 이격된다.
한편, 인쇄매체 공급기가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는 다음의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탑재판(55)에 적재된 인쇄매체(50)가 1000매 이하인 경우, 인쇄매체 공급시 상기 탄성유니트(70)에 걸리는 힘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인쇄매체 공급기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하면, 구동원(85)에서 상기 샤프트(81) 및 구동풀리(63)에 제공된 동력이 상기 커플러(83)에서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닥면에서 상기 탄성유니트(70)의 설치위치까지 상기 탑재판(55)이 자유낙하 운동한다. 한편, 자유낙하 운동하는 상기 탑재판(55)은 상기 탄성유니트(70)의 설치위치에서 상기 결합부(73)에 걸리게 되어, 상기 탄성유니트(70)가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니트(70)를 통한 완충력은 상기 탑재판(55)이 하강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어, 상기 탑재판(55)의 자유낙하 충력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둘째, 탑재판(55)에 적재된 인쇄매체(50)가 1000매 이상인 경우, 인쇄매체 공급시 상기 탑재판(55)이 상기 탄성유니트(70)의 결합부(7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인쇄매체 공급기를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함에 따라, 구동원(85)에서 상기 샤프트(81) 및 구동풀리(63)에 제공된 동력이 상기 커플러(83)에서 차단됨에 따라 상기 탑재판(55)이 하강되더라도, 상기 탑재판(55)은 자유낙하하 지 않고, 상기 탄성유니트(70)에 의해 완충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니트(70)를 통한 완충력은 상기 탑재판(55)이 하강에 비례하여 커지게 되어, 상기 탑재판(55)의 자유낙하 충력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대용량 인쇄매체를 공급할 수 있는 인쇄매체 공급기(110)와,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110)에서 공급된 인쇄매체에 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유니트(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110)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는 종래의 기어오일댐퍼를 이용하는 대신 탄성유니트를 구비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장착위치로부터 공급기를 분리할 때 적재된 인쇄매체의 분량에 관계없이 탑재판의 낙하 속도를 저감시켜 인쇄매체 공급기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낙하시 발생되는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6)

  1.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한 인쇄매체 공급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인쇄매체를 탑재하는 탑재판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상기 탑재판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기구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중 다른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될 때 상기 탑재판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스프링부를 구비한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니트는,
    상기 설치부에 나선상으로 권취된 띠 상의 탄성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프링부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탑재판이 소정 높이 이하로 낙하할 때 상기 탑재판에 걸릴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4.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한 인쇄매체 공급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매체를 탑재하는 탑재판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탑재판에 적재된 상기 인쇄매체의 분량에 따라 상기 탑재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기구와;
    상기 승강기구를 구동하는 구동력의 해제에 따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소정 높이로 상승된 상기 탑재판이 낙하되어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될 때, 상기 탑재판을 탄성 지지하여 낙하 충격을 완화시키는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유니트는 상기 탑재판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니트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될 때 상기 탑재판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니트는,
    상기 설치부에 나선상으로 권취된 띠 상의 탄성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탑재판의 최저 및 최고 높이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제1 및 제2위치라 할 때,
    상기 설치부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 사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탑재판이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설치부 사이에 배치시 상기 탑재판을 탄성지지하고, 상기 탑재판이 상기 설치부와 상기 제2위치 사이에 배치시 상기 탑재판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니트는 복수 개 구비되며,
    그 각각은 상기 탑재판의 연부를 따라 복수의 개소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인가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상기 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회전 가능하게 감기며, 상기 탑재판이 결합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10.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쇄매체 공급기와;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에서 공급된 인쇄매체에 대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니트는 복수 개 구비되며,
    그 각각은 상기 탑재판의 연부를 따라 복수의 개소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인가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대해 상기 프레임의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회전 가능하게 감기며, 상기 탑재판이 결합되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는 인쇄매체 공급기에 있어서,
    프레임과;
    인쇄매체를 탑재 및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에 인접 배치된 탑재판과;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될 때 상기 탑재판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유니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중 다른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유니트의 완충력은 상기 탑재판의 낙하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성유니트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탑재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쇄매체 공급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분리될 때 상기 탑재판의 낙하운동을 탄성적으로 감쇄하는 스프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니트는 복수 개 구비되며,
    그 각각은 상기 탑재판의 연부를 따라 복수의 개소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매체 공급기.
KR1020070047742A 2007-05-16 2007-05-16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43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42A KR101432732B1 (ko) 2007-05-16 2007-05-16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1/972,092 US8025452B2 (en) 2007-05-16 2008-01-10 Print medium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742A KR101432732B1 (ko) 2007-05-16 2007-05-16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43A KR20080101243A (ko) 2008-11-21
KR101432732B1 true KR101432732B1 (ko) 2014-08-20

Family

ID=4002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742A KR101432732B1 (ko) 2007-05-16 2007-05-16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25452B2 (ko)
KR (1) KR101432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6089B2 (en) * 2015-12-30 2018-04-03 Kodak Alaris Inc. Mobile autonomous scalable scanner system
US9906664B2 (en) * 2015-12-30 2018-02-27 Kodak Alaris Inc. Mobile autonomous scalable scanne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5299A (en) * 1992-03-27 1993-06-01 Eastman Kodak Company Spring elevator system for paper supply
US5335901A (en) * 1992-02-06 1994-08-09 Fujitsu Limited Paper feeder
JPH06271098A (ja) * 1993-01-19 1994-09-27 Fujitsu Ltd 給紙装置
US5794928A (en) 1995-03-20 1998-08-18 Tohoku Ricoh Co., Ltd. Large capacity paper feed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6554A (ja) * 1992-03-04 1993-09-24 Konica Corp 給紙台昇降式給紙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901A (en) * 1992-02-06 1994-08-09 Fujitsu Limited Paper feeder
US5215299A (en) * 1992-03-27 1993-06-01 Eastman Kodak Company Spring elevator system for paper supply
JPH06271098A (ja) * 1993-01-19 1994-09-27 Fujitsu Ltd 給紙装置
US5794928A (en) 1995-03-20 1998-08-18 Tohoku Ricoh Co., Ltd. Large capacity paper feed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243A (ko) 2008-11-21
US8025452B2 (en) 2011-09-27
US20080286027A1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1877B2 (en) Paper supply apparatus with brake lever controlled lifter for a printing device
KR101432732B1 (ko) 인쇄매체 공급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3131122B2 (ja)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635878B2 (ja) 給紙装置
JP2006124052A (ja)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376941B1 (ko) 용지 수납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JP7400271B2 (ja) シート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7543814B2 (en) Automatic paper feeding apparatus
US6942212B2 (en) Mechanical media top level elevator
JP4275544B2 (ja) 給紙装置および該給紙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5910179B2 (ja)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610232B2 (ja) 排紙・紙受け装置
JP2006349022A (ja) ヒンジ装置
JP4827753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059590A (ja) 記録装置
JP2007084280A (ja) 給紙装置
KR101085931B1 (ko) 녹업 플레이트의 상승 제동 장치
JPH05132159A (ja) 用紙ホツパのテーブル昇降装置
JP4772601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60110458A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JP4045221B2 (ja) 給紙装置
JP2010208751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47218B2 (ja) 昇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285252B1 (ko) 다목적 피더의 중송 방지 장치_
JPS59102755A (ja) シ−ト収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