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836B1 -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 Google Patents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836B1
KR101431836B1 KR1020080049812A KR20080049812A KR101431836B1 KR 101431836 B1 KR101431836 B1 KR 101431836B1 KR 1020080049812 A KR1020080049812 A KR 1020080049812A KR 20080049812 A KR20080049812 A KR 20080049812A KR 101431836 B1 KR101431836 B1 KR 10143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hold
pipe
cargo
lng
pump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642A (ko
Inventor
최익흥
원선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83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F17C1/12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4W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9/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ethods of manufacturing
    • F17C2209/22Assembling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물창과 화물창의 사이에 구비된 공간을 활용하여 펌프타워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창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극저온인 액화천연가스로 인해 발생되는 펌프타워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LNG선 화물창에 액체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파이프를 구비하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LNG선의 화물창과 화물창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격벽공간에 마련된 파이프는, 상기 격벽공간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물창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 영역;과 상기 고정 영역에서 상기 격벽공간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펌프타워, 격벽공간, 선박구조부재, 파이프

Description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Pump tower of Cargo Tank on LNG Carrier}
본 발명은 LNG선 화물창에 액체화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펌프타워에 관한 것으로, 펌프타워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물창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화물창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펌프타워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NG는 메탄(Methane)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3℃로 냉각해 그 부피를 1/600로 줄인 무색 투명한 초저온 액체로 통상 액화천연가스라 칭한다. 이러한 LNG는 산지에서 LNG선에 의해 수송되어 육상 LNG 터미널에 저장된 후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LNG선에는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한 여러개의 화물창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물창은 액화천연가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이중 방벽 구조로서, LNG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1차 방벽인 멤브레인 금속패널이 내측에 구비되고, 그 외측으로 1차 단열층과, 2차 방벽과, 2차 단열층 등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화물창의 내부에 펌프타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화물창(10)의 내부에는 액체화물의 하역을 위한 펌프타워(20)가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 상기 펌프타워는 2개의 배출파이프(Discharge Pipe)와 1개의 충전파이프(Filling Pipe) 그리고 1개의 응급파이프(Emergency Pipe)를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화물창의 내부에 펌프타워가 설치될 경우, 화물창에 저장되는 액화천연가스에 의하여 펌프타워에 구조적인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설계가 요구되는 폐단이 있으며, 더욱이 화물창의 단열구조의 손상 없이 펌프타워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물창의 내부에 설치되는 펌프타워의 부피만큼 화물의 선적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창과 화물창의 사이에 구비된 공간을 활용하여 펌프타워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창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극저온인 액화천연가스로 인해 발생되는 펌프타워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펌프타워는 LNG선 화물창에 액체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파이프를 구비하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LNG선의 화물창과 화물창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격벽공간에 마련된 파이프는, 상기 격벽공간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물창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 영역;과 상기 고정 영역에서 상기 격벽공간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 영역은 격벽공간에 구비된 선박구조부재를 관통하되, 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선박구조부재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이프 외측에는 단열재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의 외측에는 플라이우드(Plywood)가 설치되며, 상기 플라이우드의 외측에는 가이드 파이프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선박구조부재에는 가이드 파이프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리브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LNG선의 화물창과 화물창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공간을 활용하여 펌프타워를 설치함으로써, 화물창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으며, 더욱이 극저온인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펌프타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펌프타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3은 도 2의 정면도를, 도 4는 도 2의 평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의 파이프가 화물창의 내부로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펌프타워는 LNG선의 화물창(11)과 화물창(12)의 사이에 마련된 격벽공간(S)을 활용하여 설치됨으로써 화물창의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액화천연가스에 의한 펌프타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는 화물창에 액체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하여 액체화물이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배출파이프(111,112)와 충전파이프(113) 및 응급파이프(114)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파이프(111,112)와 충전파이프(113) 및 응급파이프(114)는 종래의 펌프타워에 구비된 각각의 파이프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바, 각각의 파이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배출파이프(111,112)와 충전파이프(113) 및 응급파이프(114)를 파이프(110)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110)는 화물창(11)과 화물창(12)의 사이에 마련된 격벽공간(S)을 통해 화물창의 내부로 연장되어 액체화물을 화물창에 채우거나 또는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110)는 격벽공간(S)의 하부에서 화물창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된 고정영역(110a)과, 상기 고정영역(110a)으로부터 선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영역(110b)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영역(110a)은 격벽공간(S)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처럼 고정영역(110a)을 격벽공간(S)의 하단부에 고정함에 있어 용접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구조물을 격벽공간(S)의 하단부에 설치하여 고정영역(110a)을 고정하도록 하는 등 격벽공간(S)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물론 화물창의 내부로 연장된 고정영역(110a)은 화물창의 구조에 따라 도 5와 같이 상부나 하부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영역(110b)은 격벽공간(S)의 내부에서 선상으로 수직하게 연장됨에 있어 화물창과 화물창의 안정된 구조를 위하여 격벽공간(S) 내에 설치된 선박구조부재(30)를 관통하게 된다. 이때 지지영역(110b)을 선박구조부재(30)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극저온의 액체화물을 하역할 경우, 각각의 파이프는 열변형에 의해 신축되므로, 선박구조부재(30)에 고정시킬 경우, 파이프(110) 또는 선박구조부재(30)에 손상이 발생되므로, 지지영역(110b)이 선박구조부재(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됨에 있어 선박구조부재(3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충전파이프가 선박구조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각각의 파이프(110)는 액체화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이 단열재(115)에 의해 감싸지며, 단열재(115)의 외측은 플라이우드(116)에 의해 감싸져 있으며, 또 플라이우드(116)의 외측은 가이드 파이프(117)에 의해 감싸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는 충전파이프(111)가 단열재(115)와 플라이우드(116) 및 가이드 파이프(117)에 의하여 감싸진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배출파이프(111,112) 및 응급파이프(114) 또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단열재(115)와 플라이우드(116) 및 가이드 파이프(117)에 의하여 감싸진 파이프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선박구조부재(30)에 설치하기 위하여 선박구조부재(30)에는 원통형 구조의 슬리브(31)가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선박구조부재(30)에 설치된 슬리브(3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각각의 파이프는 측방향에 대한 흔들림은 구속되고, 상하 방향에 대한 슬라이딩은 가능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각각의 파이프는 열변형에 의해 자연스럽게 신축되므로 파이프 또는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0은 리퀴드 돔(Liquid dome)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 은 종래 화물창의 내부에 펌프타워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펌프타워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정면도,
도 4 는 도 2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타워의 파이프가 화물창의 내부로 연장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충전파이프가 선박구조부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격벽공간 (11) : 화물창
(12) : 화물창 (30) : 선박구조부재
(31) : 슬리브 (110) : 파이프
(110a) : 고정영역 (110b) : 지지영역
(111),(112) : 배출파이프 (113) : 충전파이프
(114) : 응급파이프 (115) : 단열재
(116) : 플라이우드 (117) : 가이드 파이프

Claims (3)

  1. LNG선 화물창에 액체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파이프를 구비하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LNG선의 화물창(11)과 화물창(12)의 사이에 형성된 격벽공간(S)에 마련되고,
    상기 격벽공간(S)에 마련된 파이프는,
    상기 격벽공간(S)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물창 내부로 연장되는 고정 영역(110a);과
    상기 고정 영역(110a)에서 상기 격벽공간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영역(11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11b)은 격벽공간(S)에 구비된 선박구조부재(30)를 관통하되,
    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선박구조부재(30)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외측에는 단열재(115)가 설치되고, 상기 단열재(115)의 외측에는 플라이우드(116)(Plywood)가 설치되며, 상기 플라이우드(116)의 외측에는 가이드 파이프(117)가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선박구조부재(30)에는 가이드 파이프(117)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리브(3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KR1020080049812A 2008-05-28 2008-05-28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KR101431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12A KR101431836B1 (ko) 2008-05-28 2008-05-28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812A KR101431836B1 (ko) 2008-05-28 2008-05-28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42A KR20090123642A (ko) 2009-12-02
KR101431836B1 true KR101431836B1 (ko) 2014-08-25

Family

ID=41685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812A KR101431836B1 (ko) 2008-05-28 2008-05-28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38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타워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61580B1 (fr) * 2010-06-17 2012-07-13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isolante comportant un pied de support
KR200466647Y1 (ko) * 2010-10-28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체화물 투하 장치
CN102167135A (zh) * 2011-03-21 2011-08-31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Lng船液货舱泵塔cts管路安装方法
KR101324116B1 (ko) * 2011-12-06 2013-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유지보수가 가능한 상부모듈을 갖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설비
KR101465951B1 (ko) * 2013-02-08 2014-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구조체 및 이를 갖춘 lng탱크
KR101895488B1 (ko) * 2016-11-18 2018-09-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창
KR102061825B1 (ko) * 2018-07-25 2020-01-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설치장치 및 그 방법
CN109305289B (zh) * 2018-09-04 2019-09-03 浙江新乐造船股份有限公司 一种液化天然气船雷达管安装方法
CN113581410A (zh) * 2021-07-21 2021-11-0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货油泵的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594U (ko) * 1990-05-29 1992-02-05
JP2003170892A (ja) 2001-12-06 2003-06-17 Tokyo Gas Co Ltd ハイドレート船およびその荷役装置
JP2003285791A (ja) 2002-03-27 2003-10-0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ペレット輸送船
KR20060021951A (ko) * 2004-09-06 200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수송수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594U (ko) * 1990-05-29 1992-02-05
JP2003170892A (ja) 2001-12-06 2003-06-17 Tokyo Gas Co Ltd ハイドレート船およびその荷役装置
JP2003285791A (ja) 2002-03-27 2003-10-0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ガスハイドレートペレット輸送船
KR20060021951A (ko) * 2004-09-06 2006-03-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천연가스 수송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038A (ko) * 2017-12-27 2019-07-05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펌프타워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2123724B1 (ko) * 2017-12-27 2020-06-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642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836B1 (ko) Lng선 화물창의 액체화물 하역용 펌프타워
US8235242B2 (en) Anti-sloshing structure for LNG cargo tank
WO2015186909A1 (ko) 초저온 유체 저장탱크용 코너 패널 및 이를 가지는 초저온 유체 단열 시스템
KR20130009071A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리퀴드 돔
KR20100123982A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KR101496485B1 (ko) 액화가스 운반 및 저장용 탱크
KR20140004166U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 장치
KR101554896B1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160148309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180958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펌프타워의 설치구조 및 방법
KR101743583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 처리장치
WO2017065363A1 (ko)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의 멤브레인 용접을 위한 멤브레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멤브레인 용접장치 가이드 시스템
KR20150015731A (ko) 펌프타워 파이프구조물
KR102077912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해양구조물
KR101687976B1 (ko) 선박용 수직형 저장탱크 설치수단
KR20120061568A (ko) 저장탱크의 탄성 지지 구조체
KR20180029132A (ko) 펌프타워
KR101177819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화물 양하역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및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150000531U (ko) Lng 운반선의 lng 저장 탱크
KR20130052304A (ko) 저온 유체화물 화물창 지지구조체
KR102017907B1 (ko) 탱크 지지구조
JP2023093407A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の搬入出タワー
KR101895488B1 (ko) 화물창
KR20150145069A (ko) 액체화물 저장탱크 지지 구조
KR20230083964A (ko) 액화 가스 저장 탱크 설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