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749B1 -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 Google Patents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749B1
KR101431749B1 KR1020130081644A KR20130081644A KR101431749B1 KR 101431749 B1 KR101431749 B1 KR 101431749B1 KR 1020130081644 A KR1020130081644 A KR 1020130081644A KR 20130081644 A KR20130081644 A KR 20130081644A KR 101431749 B1 KR101431749 B1 KR 101431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lates
steel wire
high plates
type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수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1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7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7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4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removable block mold assembly, especially comprising one or more steel wires buri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inside; a pair of high plate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rranged to be mutually separated; a connection tie to connect the top of a pair of high plates in a plurality of points; and a nut type coupler which inserts the connection ti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onnection steel wire to connect the connection steel wire with the connection tie. The non-removable block mold assembly can meet a local seismic design standard while a function of a mold is performed as the non-removable block mold assembly is formed not to be separated from a concrete structure placed in a pair of high plates after being cured.

Description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0001]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0002]

본 발명은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체를 구성하는 비내진벽체인 블록 또는 벽돌을 내진형으로 교체하여 건축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tachable block formwork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detachable block formwork assembly which can replace a block or brick, which is a non-resisting wall body constituting a wall of a building, with a seismic shape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 Block form assembly.

일반적으로, 건축물 중 낮은 높이를 가지는 저층 건물의 경우, 블록 또는 벽돌을 쌓아 벽체를 형성하고, 그 벽체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마무리함으로써 1차적인 건물의 외형을 갖추게 된다.Generally, in the case of a low-rise building having a low height in a building, a block or a brick is stacked to form a wall,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wall to finish the primary building.

이와 같은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배합물을 양생하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저층 건물의 시공에 적합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각광을 받는다.Such a construction method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by reducing the curing time of the concrete mixture, which is suitable for construction of a low-rise building and is inexpensive because of its low cost.

특히, 국내의 경우, 90%가량의 건축물이 대략 3층 미만의 근린생활 건물로써, 상술한 시공 방법에 의하여 그 벽체를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domestic, 90% of the buildings are constructed as neighborhood buildings of less than three stories, and the wall is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그러나, 최근 국내의 지진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국내 내진설계 기준이 강화되고 있어, 기존의 저층 시공 방식에 의하여서는 강화된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recently,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and domestic seismic design standards have been strengthen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eet the reinforced seismic design criteria by the existing low - level construction method.

한편, 최근에는 이와 같은 국내 내진설계 기준의 강화를 충족하기 위하여 거푸집형 블록 시공 방식이 채택되고 있지만, 이는 플랜지부와 웨브 부분으로 구성되어 중앙부에 철근을 연속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방식으로서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하기는 하나, 거푸집형 블록 자체가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 벽체를 구성한 후에는 구조재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이어진다.
Recently, in order to satisfy the strengthening of the seismic design standard of domestic such, the form block type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adopted. However, this method consists of the flange part and the web part, Although the earthquake-resistant design standard is met, the form block itself performs the form function, but after the wall is constructed, the function as the structural material can not be performed su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후에는 건물의 구조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separable block form assembly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 as a structural member of a building after pouring concrete after curing. The purpose.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에 상하로 수직되게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강선을 포함하고,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복수 개소에서 연결시키는 커넥션 타이와, 상기 커넥션 타이를 측방으로 삽입 정착시키고,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커넥션 타이와 상기 강선을 연결시키는 너트형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양생 후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high plates including at least one connecting steel wire embedded vertically and vertically therein and formed in a plate shap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necting tie fo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at a plurality of places and a nut type coupler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connection tie laterally and fitting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to connect the connection tie to the steel wire And is not separated after curing from the concrete structure lai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t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member coupled to a facing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high plates.

또한, 상기 커넥션 타이와 상기 너트형 커플러는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Also, the connection tie and the nut type coupler may be integrally fixed.

또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는 상측으로 복수층이 되도록 적층 가능하고, 상기 너트형 커플러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가 끼움되고, 상부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강선의 하단부가 끼움되도록, 상하에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high plates may be laminated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upper side. The nut type coupler has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ir of high plates disposed thereunder,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projecting to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high plates disposed in the upper plate may be inserted.

또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의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male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and female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tting hol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너트형 커플러가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끼움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high plat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so that the nut type coupler is fit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to be seated.

또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넥션 타이가 상기 너트형 커플러에 끼움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high plat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so that the connecting tie is not interfered when the connecting tie is fitted into the nut type coupler.

또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는, 복수개가 좌우 방향 또는 어느 일측으로 연속되게 배치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 중 일단에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 중 타단에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high plates may be arranged so that a plurality of the high plate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on either side of the pair of plates, And an insertion rib inserted into an insertion slot of another pair of adjacent plate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air of plates.

또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와 평행되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 철근과,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와 평행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 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bar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air of high plates and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pair of high plates,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arranged.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하이 플레이트를 연속 또는 적층 배치함은 물론,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건물의 벽체 구성 후에 구조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국내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시키는 효과를 가진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high plates are arranged continuously or lamin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firmly fixed to perform a function as a structural member It has the effect of meeting domestic seismic design criteria.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시공 공정이 간단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because of the simple construction proces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이 플레이트를 고인성 섬유콘크리트 또는 경량 콘크리트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내진 설계를 충족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Meanwhil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atisfying the seismic design by manufacturing the high plate forming the outer shape using the high-toughness fiber concrete or the lightweight concrete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of Fig. 1,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수평 방향으로 연속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 배열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 분해도이다.2 is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removable block formwor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FIG.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하로 수직되게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강선(30)을 포함하고,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와,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복수 개소에서 연결시키는 커넥션 타이(40)와, 상기 커넥션 타이(40)를 측방으로 삽입 정착시키고, 상기 강선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커넥션 타이(40)와 상기 강선을 연결시키는 너트형 커플러(5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양생 후 분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die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connecting steel wire 30 vertically and vertically buried therein as shown in Fig. 1, A connection tie 4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at a plurality of places and a connecting tie 4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at a plurality of places, And a nut type coupler (50)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steel wire and connecting the connection tie (40) to the steel wire, wherein a curing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And is not separated.

여기서, 상기 하이 플레이트(10)는, 고성능 재료, 즉 고인성 섬유 콘크리트 또는 경량 콘크리트 재료로 제작된 판상의 플레이트로서, 최근 강화된 내진설계 기준에 적합하다. 상기 하이 플레이트(10)는, 상기 커넥션 타이(40)와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다양한 사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커넥션 타이(40)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하이 플레이트(10)가 제작되지만,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부가 아니라 중간 부분 중 어느 일부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하이 플레이트(10)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Here, the high plate 10 is a plate-like plate made of a high-performance material, that is, a high-toughness fiber concrete or a lightweight concrete material, and is suitable for recently reinforced seismic design standards. The high plate 1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pecifications depending on the connection type with the connection tie 40. For examp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ie 40 is fabricated such that the high plate 10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It is possible to fabricate the high plate 10 so as to connect any part of the intermediate part rather tha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1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강선(30)은 일정 두께를 가진 상기 하이 플레이트(10)에 미리 매립 설치된다. 즉, 상기 하이 플레이트(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인성 섬유 콘크리트 또는 경량 콘크리트 재료 중 어느 하나의 콘크리트 재료 혼합물을 이용하여 양생한 것인 바, 상기 콘크리트 재료 혼합물 양생시 미리 내부에 매립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is previously embedded in the high plate 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at is, the high plate 10 is cured using a concrete mixture of any one of the high-toughness fiber concrete and the lightweight concret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nd the high plate 10 is disposed so as to be embedded in the concrete material cure in advance will be.

상기 하이 플레이트(10)의 외부 표면에는 다양한 질감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혼합되는 상기 콘크리트 재료에 더하여 다양한 질감을 부여할 수 있는 특정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하이 플레이트(10)의 외부 표면에 다양한 질감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외부에 보이는 부분의 미관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창출한다.The outer surface of the high plate 10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textures. That is, it is possible to mix specific materials capable of imparting various textures in addition to the concrete material to be mix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high plate 10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textures,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aesthetics of the portion substantially visible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는 단열 부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die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member 20 coupled to a facing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상기 단열 부재(20)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가 저층 건물의 블록 시공 방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벽체를 구성하므로, 건물의 단열을 위하여 부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이다. 그러나, 반드시 상기 단열 부재(20)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나, 선택적으로 상기 단열 부재(20)가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어, 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배합물과 상기 하이 플레이트(1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insulating member 20 constitutes a wall formed by a block construction method of a low-rise building, which is a construction necessary for insulation of a building, because the non-removable block formwor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all. However,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provide the heat insulating member 20, but when the heat insulating member 20 is provided, it is coupled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And the high plate 10, as shown in Fig.

상기 커넥션 타이(40)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배합물의 양생시 상기 하이 플레이트(10)로 하여금 견고한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onnection ties 40 connect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to each other so that the high plate 10 cures when the concrete mixture is poure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Function.

한편, 상기 커넥션 타이(40)는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를 매개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하부에는 상기 하이 플레이트(10)에 매립 설치된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홀(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홀(51)에 끼움된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측면에는 상기 커넥션 타이(40)의 양단 중 어느 하나가 끼움되어 장착되는 정착홀(53)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tie 40 connects upp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via the nut type coupler 50. More specifically, a fitting hole 51 may b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nut-type coupler 50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embedded in the high plate 10 is fitted. A fixing hole 53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nut type coupler 50 inserted in the fitting hole 51 so that either end of the connection tie 40 is inserted.

상기 끼움홀(51)에 끼움되는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51)의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Male thread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51 and female threads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tting holes 51.

상기 커넥션 타이(40)와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는 상호 분리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커넥션 타이(40)와 상기 너트형 커플러(5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커넥션 타이(40)가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와 일체로 구비된 경우, 상기 커넥션 타이(40)와 함게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를 삽입하여 끼움 고정시키는 한도에서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커넥션 타이(40)와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는 상호 분리 제작되어, 적절한 긴장수단(미도시)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정착홀(53)에 상기 커넥션 타이(40)를 끼움 정착시킬 때 필요한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tie 40 and the nut type coupler 5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tie 40 and the nut type coupler 50 may be integrally form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nection tie 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nut type coupler 50, the connecting tie 40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nut type coupler 50, It is also possible to integrally form an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However,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connection tie 40 and the nut type coupler 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ttached to the fixing hole 53 of the nut type coupler 50 by adding appropriate tension means (not shown) It is preferable that a tension force necessary when the connection tie 40 is inserted and fixed can be given.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외형은 대략 육각 볼트 머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끼움홀(51)은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가 상하로 적층될 경우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기 연결 강선(30)의 하단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상부에 상술한 끼움홀(51)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shape of the nut type coupler 5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bolt head. The fitting hole 51 of the nut type coupler 50 is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wh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are stacked up and down, The above-described fitting hole 5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ut-type coupler 50 so as to be connected in the same manner.

이하에서는, 이해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홀(51)을 '상부 끼움홀(51)'이라 칭하고,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홀(51)을 '하부 끼움홀(51)'이라 칭하며, 상기 정착홀(53)은 상기 상부 끼움홀(51)과 상기 하부 끼움홀(51) 사이에 해당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The fitting hole 51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nut type coupler 50 is referred to as an upper fitting hole 51 and the lower fitting hole 51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nut type coupler 50 The fitting hole 51 is referred to as a lower fitting hole 51 and the fixing hole 53 is formed on a side surface between the upper fitting hole 51 and the lower fitting hole 51 do.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는 상측으로 복수층이 되도록 적층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가, 기존의 블록 또는 벽돌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시공 방법에 기인한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는 복수개가 좌우 방향 또는 어느 일측으로 연속되게 배치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high plates 10 can be stacked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upper side. This is due to the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non-removable block formwor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wall using existing blocks or bricks. For the same reason, it is natural that a plurality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can be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on either side.

이때,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가 끼움되고, 상부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강선(30)의 하단부가 끼움되도록, 상하에 상기 상부 끼움홀(51) 및 하부 끼움홀(51)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ut type coupler 50 has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pair of the high plates 10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pair of high The upper fitting hole 51 and the lower fitting hole 51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protru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plate 10 is inserted.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너트형 커플러(50)가 상기 강선의 상단부에 끼움되어 안착되는 제1안착홈(60)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상기 너트형 커플러(50)가 끼워지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안착홈(60)이 형성되는 것이다.A first seating groove 60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so that the nut type coupler 50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steel wire . In particular,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is not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60) is formed.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하단부에도, 역시 하부의 다른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와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 강선(30)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상기 제1안착홈(60)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steel wires 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via the other pair of lower plates 10 and the nut type coupler 50 The first seating groove 60 may be formed.

아울러, 상기 강선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넥션 타이(40)가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에 끼움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제2안착홈(60)이 형성될 수 있다.A second seating groove 60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teel wire so as not to interfere when the connection tie 40 is fitted into the nut type coupler 50 .

상기 제2안착홈(60)은 상기 제1안착홈(60)과 연결되는 가공 홈부로써, 동일한 안착홈(60)으로 명명하되, 상기 강선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부분을 제1안착홈(60)이라 칭하고, 상기 커넥션 타이(40)가 연결되는 방향으로 개구된 부분을 제2안착홈(60)이라 칭할 수 있다.The second seating groove 60 is a machining groov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60 and is called an identical seating groove 60. The portion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60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steel wire extends The first seating groove 6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seating groove 60 and the portion ope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tie 40 is connected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eating groove 60. [

상기 상부 끼움홀(51) 및 상기 하부 끼움홀(51)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수나사산은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를 상하로 적층시킬 때 동시에 상기 상부 끼움홀(51)에 상기 연결 강선(30)의 하단부를 끼움시키고 상기 하부 끼움홀(51)에 상기 연결 강선(30)의 상단부를 끼움시켜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를 회전 공구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각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한 번의 상기 너트형 커플러(50)의 회전에 의하여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와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ale thread formed on the inside of the upper fitting hole 51 and the lower fitting hole 51 and the male thread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are formed by stacking the pair of high plates 10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fitting hole 51 and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30 is fitted into the lower fitting hole 51 so that the nut-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in a direction to be inserted at the same time. As a result, the pair of high plates 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the pair of high plates 10 disposed on the lower side can be firmly fixed by rotation of the nut type coupler 50 once, Can be shortened.

한편,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를 좌우 방향 또는 어느 일측으로 연속하여 배치할 경우에, 인접하는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끼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좌우 양단 중 일단에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13)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 중 타단에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삽입 슬롯(13)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11)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are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or on either side, the pair of high plates 10 The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air of plates is provided with a pair of adjacent plat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 insertion rib 11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13 of the body 10 can be formed.

상기 삽입 리브(11)가 상기 삽입 슬롯(13)에 삽입되는 동작으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외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insertion of the insertion rib 11 into the insertion slot 13 can prevent the outward deviation of the pair of the high plates 10.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 사이에 콘크리트 배합물을 타설하기 전에, 시공될 벽체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와 평행되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 철근(70) 및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와 평행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 철근(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removable block formwork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in this manner is characterized in that before the concrete compound is lai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0) arrange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so as to be parallel to the pair of high plates (10) and a pair of the high plates An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bars 80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pair of high plates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조립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process of the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below.

먼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세워 정렬한 후, 상기 커넥션 타이(40)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를 연결시킨다.3, the pair of high plates 1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using the connection tie 40, .

다음으로, 복수개의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를 조립 정렬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한 후 상기 삽입 리브(11)가 상기 삽입 슬롯(13)에 삽입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속 배치시킨다.Next, a plurality of pairs of high plates 10 are assembl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air of high plates 10 assembled and aligned, and then the insertion ribs 11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s 13, Direction.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의 상측에 복수개의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를 적층 배열시키기 위하여, 상기 너트형 커플러(50)를 이용하여 상기 상하의 연결 강선(30)의 상하단부를 각각 견고하게 고정시킨다.4 and 5, in order to stack a plurality of pairs of high plates 10 on the upper side of the pair of high plates 10, the nut type coupler 50 is us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eel wires 30 are firmly fixed.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10) 사이에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평 철근(70) 및 수직 철근(80)을 배치할 수 있다.
If necessary,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bars 70 and vertical reinforcing bars 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콘크리트 배합물을 타설 및 양생시키는 과정 동안 거푸집으로서의 기능을 최대한 수행함은 물론, 콘크리트 배합물의 양생 후에도 벽체의 구조재로서의 일부가 됨으로써, 최근 강화된 국내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함은 물론, 비교적 간단한 시공 방법에 의하여 시공되므로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detachable block formwork assembly 1 constructed in this way, as described above, not only maximizes its function as a mold during the process of casting and curing the concrete formulations, but also as a structural material of the wall after curing of the concrete formulatio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eet the recently strengthened domestic seismic design criteria,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truction time since it is constructed by a relatively simple construction method.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a non-separable block form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10: 하이 플레이트
11: 삽입 리브 13: 삽입 슬롯
20: 단열 부재 30: 연결 강선
40: 커넥션 타이 50: 너트형 커플러
51: 끼움홀 53: 정착홀
60: 안착홈 70: 수평 철근
80: 수직 철근
1: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10: High plate
11: insertion rib 13: insertion slot
20: heat insulating member 30: connecting steel wire
40: connection tie 50: nut type coupler
51: insertion hole 53: fixing hole
60: seat groove 70: horizontal reinforcement
80: vertical reinforcement

Claims (9)

내부에 상하로 수직되게 매립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 강선을 포함하고,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단부를 복수 개소에서 연결시키는 커넥션 타이와;
상기 커넥션 타이를 측방으로 삽입 정착시키고,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커넥션 타이와 상기 강선을 연결시키는 너트형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 사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체로부터 양생 후 분리되지 않는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A pair of high plates arranged in a plate shape and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ing at least one connecting steel wire embedded vertically upside down;
A connection tie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high plates at a plurality of places;
And a nut type coupler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ie so as to be fitted in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wire to connect the connection tie and the steel wire,
And is not separated after curing from the concrete structure lai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결합되는 단열 부재를 더 포함하는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member coupled to a facing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high plat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타이와 상기 너트형 커플러는 일체로 고정되는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tie and the nut type coupler are integrally fix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는 상측으로 복수층이 되도록 적층 가능하고,
상기 너트형 커플러는,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가 끼움되고,
상부에 배치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기 연결 강선의 하단부가 끼움되도록,
상하에 끼움홀이 형성된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high plates may be laminated so as to be a plurality of layers on the upper side,
The nut type coupler includes: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projecting upward from the pair of high plate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is fitted,
And a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teel wire protruded to the lower side of the pair of high plates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inserted,
A non-removable block form assembly in which upper and lower fitting holes are form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의 내측에는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4,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And a female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tting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너트형 커플러가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끼움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t-type coupler is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pair of high plates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the fitting groove being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강선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넥션 타이가 상기 너트형 커플러에 끼움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ounting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high plates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steel wire so that the connection tie is not interfered when the connection tie is inserted into the nut type coup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는, 복수개가 좌우 방향 또는 어느 일측으로 연속되게 배치 가능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 중 일단에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의 좌우 양단 중 타단에는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한 쌍의 플레이트의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삽입 리브가 형성된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high plates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 high plates are continuous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Wherein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air of plates is formed with an insertion slot into which the tips of another pair of adjacent plates are inserted,
And an insertion rib inserted into an insertion slot of another pair of adjacent plate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air of plate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와 평행되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평 철근과,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한 쌍의 하이 플레이트와 평행되게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 철근을 더 포함하는 미분리형 블록 거푸집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plurality of horizontal reinforcing bar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in parallel to the pair of high plate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vertical bar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igh plates in a vertical direction parallel to the pair of high plates.
KR1020130081644A 2013-07-11 2013-07-11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KR1014317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44A KR101431749B1 (en) 2013-07-11 2013-07-11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44A KR101431749B1 (en) 2013-07-11 2013-07-11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749B1 true KR101431749B1 (en) 2014-08-19

Family

ID=5175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644A KR101431749B1 (en) 2013-07-11 2013-07-11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74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55A (en) * 2018-04-03 2019-10-14 정상열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rame using insulation instead of formwork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20190117889A (en) 2018-04-09 2019-10-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Block precast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with Coupling unit
KR20230022573A (en) 2021-08-09 2023-02-16 이일구 Unremovable Form Block Assembly
KR20240013397A (en) 2022-07-22 2024-01-30 강병현 Masonry block with steel reinforcing coupler and Method for forming/insta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9988A (en) 2003-09-12 2005-04-07 Hirofumi Fujimoto Form unit
KR100557335B1 (en) 2003-08-26 2006-03-07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A Dismonuting Structure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04997A (en) * 2009-07-09 2011-01-17 재 술 나 Construction method using one-body type concrete form panel
KR20130076845A (en) * 2013-06-18 2013-07-08 조성문 Hybrid assembly and the used wall constru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335B1 (en) 2003-08-26 2006-03-07 주식회사 삼중종합건축사사무소 A Dismonuting Structure Fo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089988A (en) 2003-09-12 2005-04-07 Hirofumi Fujimoto Form unit
KR20110004997A (en) * 2009-07-09 2011-01-17 재 술 나 Construction method using one-body type concrete form panel
KR20130076845A (en) * 2013-06-18 2013-07-08 조성문 Hybrid assembly and the used wall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55A (en) * 2018-04-03 2019-10-14 정상열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rame using insulation instead of formwork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2108621B1 (en) * 2018-04-03 2020-05-07 정상열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frame using insulation instead of formwork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20190117889A (en) 2018-04-09 2019-10-17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Block precast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with Coupling unit
KR20230022573A (en) 2021-08-09 2023-02-16 이일구 Unremovable Form Block Assembly
KR20240013397A (en) 2022-07-22 2024-01-30 강병현 Masonry block with steel reinforcing coupler and Method for forming/insta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03890B2 (en) An interlocking masonry block
US8646236B2 (en) Interlocking web for insulated concrete forms
KR100903398B1 (en) Precast multi tee fiber and wiremesh slab
KR101431749B1 (en) Block type and anti-dividable Form assembly
KR102040229B1 (en) Architectural modular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81707Y1 (en) The outer wall for easy construction
KR101731382B1 (en) Apparatus for molding block
KR101765334B1 (en) Construction methods of precast concrete slab having its connection part being concealed by coupled ribs and, precast concrete slab used therefor
KR20190072334A (en) Building Core System using Precast Concrete Segmented Boxes with Tongue and Groove Joint
KR101027973B1 (en) Foam block structure of constructing wall
KR101464073B1 (en) Panel integrated concrete wall constructed without forms and construction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KR101216632B1 (en) the method of constructing wall using foam block structure
KR102082481B1 (en) Continuous construction type pc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50183B1 (en) Structural Block and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075109A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wall structure and wall constructed by thereof
KR101477214B1 (en) Prefabricating wall shaped mold unit using horizontal adjustable underpinning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326008B1 (en) Concrete structure for house construction
CZ303550B6 (en) Modular system for precise construction
CN112663788B (en) Assembled rapid construction method
CN210713792U (en) Exempt from to tear open heat preservation template system with promote roughness
WO2014076716A1 (en) A wall system of parallelepiped precast building panel
KR101320697B1 (en) Concrete mold connector and method for connecting concrete mold using concrete mold connector
KR101083403B1 (en) Foam block fixing bridge
KR101492066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structure of column
KR2011012445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a lot of concrete blo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