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397B1 - 모션 입력을 통한 대체 키보드 문자 선택 - Google Patents

모션 입력을 통한 대체 키보드 문자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397B1
KR101431397B1 KR1020137000428A KR20137000428A KR101431397B1 KR 101431397 B1 KR101431397 B1 KR 101431397B1 KR 1020137000428 A KR1020137000428 A KR 1020137000428A KR 20137000428 A KR20137000428 A KR 20137000428A KR 101431397 B1 KR101431397 B1 KR 101431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s
alternate
character
graphical keyboard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797A (ko
Inventor
에릭 장
Original Assignee
구글 잉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글 잉크. filed Critical 구글 잉크.
Publication of KR2013002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유저에 의해 제공되는 모션 입력을 통해 대체 키보드 문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기술들을 개시한다. 일 실시형태의 방법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래픽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그래픽 키보드 상의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와 접촉의 개시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체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접촉의 떼어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션 입력을 통한 대체 키보드 문자 선택{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본 개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유저 입력 처리에 관한 것이다.
많은 경우, 유저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호 작용하여 수동의(manual) 유저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유저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패드, 터치패드 또는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 유저는,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면, 모바일폰, PDA, 스마트폰 등)를 사용할 때와 같이, 터치스크린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물리적 키들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키보드 디바이스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대신, 모바일 디바이스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를 유저에게 제공하는 그래픽적인 또는 소프트의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때 유저는 터치스크린과 상호작용하여 (예를 들면, 아래로 눌러서) 키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현존하는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통상적으로, 대체 문자의 입력을 위해 현존하는 키와 관련하여 모드 키들 (예를 들면, "shift" 키, "ctrl" 키, "alt" 키)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대문자 C를 입력하기 위해 "shift" 키를 누르고 그 다음 "c" 키를 누르게 된다. 몇몇 경우, 특정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 유저는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키들 (예를 들면, 'shift'와 'alt'를 함께 누르고, 다른 키를 누르는 경우)을 누르게 된다. 몇몇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특정 문자의 키에 대해 '길게 누름'을 허용하여 대문자를 입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이들 디바이스들에서, 유저는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초) 동안 "c" 키를 눌러 대문자 C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유저에 의해 제공되는 모션 입력을 수신하여 대체 키보드 문자들을 선택하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동작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스쳐)을 활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대체 키보드 문자들을 선택하는데, 대체 문자들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키보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된다. 이들 기술들은 단순하고 자연적인 방식으로 대체 문자들의 입력의 단순화를 시도한다. 더 작은 모바일 디바이스들에서 유저가 입력하기 어려울 수도 있는 모드 키들 (예를 들면, "shift" 키, "ctrl" 키, "alt" 키)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대신, 본 기술들은 유저 개시 모션 입력(user-initiated motion input)의 인식이 대체 문자들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는 명령들로 인코딩되고, 상기 명령들은 실행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그래픽 키보드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로부터 하나의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고;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하며,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키는 상기 문자들의 그룹 내의 문자와 관련되고,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적어도 하나의 대체 문자는 상기 그래픽 키보드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상기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법은: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그래픽 키보드를 컴퓨팅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로부터 하나의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키는 상기 문자들의 그룹 내의 문자와 관련되는, 상기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로부터 하나의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그래픽 키보드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상기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하는,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유저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모듈, 및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를 통해 그래픽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되며, 상기 그래픽 키보드는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로부터 하나의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되며,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키는 상기 문자들의 그룹 내의 문자와 관련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그래픽 키보드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며,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상기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기술들은 하나 이상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기술들은, 유저가 하나 이상의 동작들/제스쳐들을 사용하여 대체 문자들 (예를 들면, 대문자들, 일반 부호들)을 선택하도록 하여 문자 입력 동안 눌려지거나 선택되는 키들의 수를 줄일 수도 있다. 유저는 상이한 대체 문자들을 선택하기 위해 여러 가지 모드 키들 (예를 들면, "shift" 키, "ctrl" 키, "alt" 키)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들 사이를 전환하지 않아도 된다. 결과적으로,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GUI는 특정 상황들에서 특정 그래픽 키보드들 상의 특정 모드 키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아도 되며, 그 결과 부가적인 실 화면이 더 많은 수의 다른 키들을 하나 이상의 그래픽 키보드들 상에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의 상세가 첨부된 도면들과 하기의 설명을 통해 설명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들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의 일 실시형태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인 그래픽 키보드들과 대체 문자 선택 옵션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초기 문자의 선택시 대체 문자들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대체 문자들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대체 문자들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대체 문자들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유저 입력들을 대체 문자 선택들로 매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매핑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도면.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유저에 의해 제공되는 모션 입력의 수신을 통해 대체 키보드 문자들을 선택하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동작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활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대체 키보드 문자들을 선택하는데, 대체 문자들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키보드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된다. 이들 기술들은 단순하고 자연적인 방식으로 대체 문자들의 입력의 단순화를 시도한다. 더 작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유저들이 입력하기 어려운 모드 키들 (예를 들면, "shift" 키, "ctrl" 키, "alt" 키)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대신, 본 기술들은 유저 개시 모션 입력의 인식이 대체 문자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유저는 디스플레이되는 온스크린의 그래픽 키보드 상의 키를 누를 수도 있다.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5초) 이후, 유저 인터페이스는 특정 방향으로 모션 입력 (슬라이딩 또는 스와이프 제스쳐)시 유저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는 대체 문자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예를 들면, 팝업 키, 확장 키)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이들 대체 문자들을 선택하기 위해 유저가 취해야 할 모션 입력의 각 방향들의 지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특정 시나리오에서는, 그래픽 키보드 상의 한 키를 유저가 선택하면, 하나 이상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입력될 수도 있는 세 개의 대체 문자들을 보여준다: 선택된 키에 대해 위쪽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의 대체 문자; 선택된 키에 대해 아래쪽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2의 대체 문자; 및 선택된 키에 대해 왼쪽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3의 대체 문자. 몇몇 경우, 대체 문자 입력을 위한 가능한 모션 방향들을 지시하기 위해 화살표들 (예를 들면, 위쪽 방향 화살표, 아래쪽 방향 화살표, 왼쪽 방향 화살표)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대체 키들의 디스플레이는, 위쪽으로 모션 입력 (예를 들면, 슬라이딩 또는 스와이프 제스쳐)을 행함으로써 제 1의 대체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고, 아래쪽으로 모션 입력을 행함으로써 제 2의 대체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왼쪽으로 모션 입력을 행함으로써 제 3의 대체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저가 이해하도록 한다.
모션 입력은 다양한 방식으로 유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터치스크린을 물리적으로 터치하고/하거나 누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손가락들을 터치스크린 상에서 이동시켜 모션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유저는 터치스크린과 접촉하여 이동하는 다른 물체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를 활용하여 모션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다른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터치패드, 트랙패드)를 포함할 수도 있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유사한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들에서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트랙패드, 또는 유사한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사한 접촉을 제공하는 모션 입력을 제공하는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예를 들면, 마우스)를 활용하여 하나 이상의 대체 키보드 문자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을 제공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디바이스 (2)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컴퓨팅 디바이스 (2)는 하나 이상의 독립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더 큰 시스템의 일부일 수도 있다. 어떤 실시형태들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 (2)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 (2)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면, 무선 모바일 핸드셋 또는 디바이스), 텔레비젼 전화 (video telephone), 디지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DA, 비디오 게임 콘솔, 랩탑 컴퓨터,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그 일부일 수도 있다. 몇몇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 (2)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 (몇몇 경우, 인터넷 접속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외부의 멀리 떨어진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 (2)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4A-4N)과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들 (4A-4N)과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은 컴퓨팅 디바이스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 (2) 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들 (4A-4N) 각각은 실행되는 동안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컴퓨팅 디바이스 (2) 상에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4A-4N)은 컴퓨팅 디바이스 (2) 외부의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상호작용하고/하거나 교환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은, 몇몇 경우, 컴퓨팅 디바이스 (2)에서 동작 가능한 웹 브라우저 내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2)는, 여러 경우들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4A-4N)을 다운로드하거나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 (2)에 의해 호스트되는 웹 브라우저는, 외부 서버 (예를 들면, 웹 서버)와 같은 것에 의해 호스트되는 하나 이상의 웹사이트들의 액세스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4A-4N)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들 (4A-4N)의 어느 것이라도, 실행되는 동안, 하나 이상의 그래픽 문자 영역들 (5)에 디스플레이되고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4A-4N)에 제공될 수도 있는 유저 입력을 얻기 위한 메커니즘으로서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을 구현, 실시, 실행 또는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4A)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4A)은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을 실행하여, 그래픽 문자 영역들 (5) (예를 들어, 이메일 텍스트 영역) 내에 표시되며 입력으로서 어플리케이션 (4A)에 제공될 수도 있는 이메일 텍스트를 유저가 입력하거나 타이핑할 수도 있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 (4A)은 표시될 그래픽 문자 영역들 (5)의 갯수 및/또는 형태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용 이메일 텍스트를 표시하는 이메일 텍스트 영역).
다른 실시형태에서, 어플리케이션 (4N)이 웹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4N)은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을 실행하여, 유저가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을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웹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동안 유저 입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들은 그래픽 문자 영역들 (5) 내에 표시되며 입력으로서 어플리케이션 (4N)에 제공된다. 어플리케이션 (4N)은 표시될 그래픽 문자 영역들 (5)의 갯수 및/또는 형태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을 통해 수신되는 (예를 들면, 그래픽 키보드 (8A)를 통한 유저 입력으로부터의) 입력은 그래픽 문자 영역들 (5)에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어플리케이션들 (4A-4N)에 제공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은, 그래픽 문자 영역들 (5)에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도 있는 어플리케이션들 (4A-4N)에 입력될 수 있다.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은, 실행되는 동안, 컴퓨팅 디바이스 (2) 상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 키보드들 (8A-8N)을 유저에게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상이한 도면 부호의 숫자에 대한 "A-N"의 사용은, 묘사된 부품이 반드시 동일한 갯수여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들 (4A-4N)의 수가 그래픽 키보드들 (8A-8N)의 수와 반드시 같을 필요는 없다. 즉, "A-N"의 문자들은 도해적인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그래픽 키보드 (8A)의 하나가 도 1에 도시된다. 그래픽 키보드 (8A)는 유저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여러 상이한 키들을 포함한다. 이 특정한 실시형태들에서, 그래픽 키보드 (8A)는 소문자 형태의 알파벳 문자들과 관련된 키들을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2)가 터치스크린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 유저는 그래픽 키보드 (8A) 내에 포함된 키를 터치하거나 눌러 그 키를 데이터 입력용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2)는,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를 통해, 그래픽 키보드 (8A)의 복수의 키들로부터 키 (18)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상기 키들은 그래픽 키보드 (8A)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되며, 초기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초기 유저 입력은 컴퓨팅 디바이스 (2)의 터치스크린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것을 통해 그래픽 키보드 (8A)의 키 (18)를 선택하는 접촉의 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된 키는 문자들의 그룹 내의 문자와 관련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선택된 키는 소문자 "g"와 관련된다.
컴퓨팅 디바이스 (2)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초기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적어도 하나의 대체 문자들은 그래픽 키보드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대체 문자들 ("G", "^", 및 "*")은 키 (18)를 선택하는 초기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대체 문자 "G"는 이 대체 문자와 관련된 위쪽의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도 1에서, 대체 문자 "G"는 위쪽 화살표를 제공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2) 내에서 디스플레이된다. 도 1의 실시형태에서, 대체 문자들 ("G", "^", 및 "*")의 어느 것도 그래픽 키보드 (8A)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대체 문자 "^"는, 이 대체 문자와 관련된 왼쪽 선택 방향을 가리키는 왼쪽 화살표를 제공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4)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대체 문자 "*"는, 이 대체 문자와 관련된 아래쪽 선택 방향을 가리키는 아래쪽 화살표를 제공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6)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몇몇 경우들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선택 방향들 (예를 들면, 오른쪽 방향, 대각선 방향, 일련의 상이한 방향)과 관련된 부가적인 대체 문자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2)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대체 문자들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면, 대체 문자 "G", "^", 또는 "*" 중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상기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면, 대체 문자 "G"의 선택을 컴퓨팅 디바이스 (2)에 제공하기 위해, 유저는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을 가로질러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예를 들면,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 그 후 터치스크린에서 손가락을 떼어낸다.
마찬가지로, 유저는 터치스크린을 왼쪽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손가락을 이동하여 대체 문자 "^"의 선택을 제공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을 아래쪽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손가락을 이동하여 대체 문자 "*"의 선택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유저는 입력 프로세스 동안 하나 이상의 대체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선택 방향들로 손가락을 이동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유저는 터치스크린과 접촉하기 위해 손가락 대신 다른 도구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를 활용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는, 컴퓨팅 디바이스 (2)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들 경우, 키보드 (8A)가 모니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부로서 마우스와 같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키보드 (8A)와 상호작용할 수도 있다. 유저는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상술된 것들과 유사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을 개시하기 위해 유저는 제 1의 마우스 클릭을 사용하여 키 (18)를 선택할 수도 있고, 그 후 마우스를 위쪽 방향으로 드래그한 후 마우스 버튼에서 손을 뗌으로써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2)에 디스플레이된 대체 문자 "G"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기술들은 하나 이상의 이점들을 제공할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기술들은 하나 이상의 동작들/제스쳐들을 사용하여 유저가 대체 문자들 (예를 들면, 대문자, 심볼)을 선택할 수도 있도록 하여 문자 입력 동안 눌려지거나 선택되는 키들의 수를 줄일 수 있게 한다. 유저는, 특정한 대체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 여러 가지 모드 키들 (예를 들면, "shift" 키, "ctrl" 키, "alt" 키)을 활용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키보드들 사이를 전환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는 특정한 상황에서 또는 특정한 그래픽 키보드 상에 특정한 모드 키들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아도 되며, 그 결과 부가적인 스크린 실 화면(screen real estate)에서 하나 이상의 그래픽 키보드들 상에 직접적으로 더 많은 수의 다른 키들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디바이스 (2)의 일 실시형태의 상세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컴퓨팅 디바이스 (2)의 단지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다른 경우에서는 컴퓨팅 디바이스 (2)의 많은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 (2)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2), 메모리 (2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6), 하나 이상의 기억 디바이스들 (28), 유저 인터페이스 (30), 및 선택사항인 배터리 (3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 (2)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면, 컴퓨팅 디바이스 (2)는 배터리 (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소자들 (22, 24, 26, 28, 30, 및 32) 각각은 소자간 통신을 위해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 프로세스들 (22)은 기능을 구현하고/하거나 컴퓨팅 디바이스 (2) 내에서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들 (22)은 메모리 (24)에 저장된 명령들을 처리하거나 또는 기억 디바이스 (28)에 저장된 명령들을 처리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30)는,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 (2)의 유저에게 시각적인 정보의 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30)는, 유저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도록 하기 위해, 매뉴얼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트랙패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30)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유저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저 인터페이스 (30)는 프린트들이나 정보들을 출력하기 위한 다른 디바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원에 포함된 설명의 여러 경우들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30)에 대한 언급들은 유저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부분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 마우스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24)는 동작 동안 컴퓨팅 디바이스 (2) 내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 (24)는,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설명될 것이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메모리 (24)는 임시 메모리인데, 메모리 (520)의 주된 목적이 장기간 저장이 아님을 의미한다. 메모리 (24)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설명될 수도 있는데, 컴퓨터가 꺼지면 메모리 (24)가 저장된 내용을 유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휘발성 메모리의 예들은 RAM, DRAM, SRAM, 및 종래기술에서 알려진 다른 형태의 휘발성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메모리 (24)는 프로세서들 (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메모리 (24)는 컴퓨팅 디바이스 (2)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4A-4N))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되어 프로그램 실행 동안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기억 디바이스들 (28)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억 디바이스들 (28)은 메모리 (24)보다 대용량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억 디바이스들 (28)은 정보를 장기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기억 디바이스들 (28)은 불휘발성 기억 소자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불휘발성 기억 소자들의 예들은 자기 하드디스크, 광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시메모리, 또는 전기적으로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EPROM) 또는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한 메모리 (EEPROM)의 형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6)를 또한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 (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6)를 활용하여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서버, 웹 서버)과 통신할 수도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 (2) 내에서 구현되는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 (2)에 의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들 (4A-4N))의 어느 것도, 프로세서들 (22), 메모리 (2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6), 기억 장치 (28), 및/또는 유저 인터페이스 (30) 내에서 구현되거나 이들 내에 포함되고/되며, 이들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되고/되거나, 이들에 의해 실행되고/되거나, 이들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의 일 실시형태는 도 2에 도시된다.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은 디스플레이 모듈 (42),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44), 키보드 실렉터 (46), 및 대체 문자 매니저 (48)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은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 (30)를 통해) 도 1에 도시된 그래픽 키보드들 (8A-8N)을 제공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은 메모리 (24) 및/또는 기억 디바이스들 (3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들 (22)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되어 실행되는 동안 여러 가지 작업들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의 구현 또는 실행 동안, 디스플레이 모듈 (42)은 프로세서들 (22)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되어 유저 인터페이스 (30)를 통해 그래픽 키보드 (예를 들면, 키보드 (8A))를 디스플레이하며, 그래픽 키보드는 복수의 키들을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44)는 프로세서들 (22)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되어, 유저 인터페이스 (30)를 통해,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로부터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며, 초기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 (30)와의 접촉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과의 접촉, 마우스 디바이스와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선택된 키는 문자와 관련된다.
대체 문자 매니저 (48)는 프로세서들 (22)에 의해 동작 가능하게 되어 초기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결정하며, 각 대체 문자는 (키보드 (8A)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44)는, 유저 인터페이스 (30)를 통해,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 가능하도록 되고,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 (30)로부터의 접촉의 떼어짐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로부터의 접촉의 떼어짐, 마우스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 (42)은, 디스플레이 목적을 위해, 그래픽 문자 영역들 (5)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4A-4N))에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들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그래픽 키보드의 선택된 키와 관련된 문자의 그래픽 문자 영역들 (5)로의 제공을 방지하여, 그래픽 키보드의 선택된 키와 관련된 문자가 그래픽 문자 영역들 (5)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래픽 어플리케이션 (6)은 키보드 실렉터 (46)을 활용하여 그래픽 키보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키보드 실렉터 (46)은 디스플레이 모듈 (43)을 통해 키보드 (8A-8N)의 하나를 디스플레이용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로서, 유저는 도 1에 도시된 키보드 (8A)를 선택하기 위해 초기에 유저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 후, 유저는 키보드 (8A)의 "?123" 키를 선택하여 아라비아 숫자와 관련된 키를 포함하는 다른 키보드 (예를 들면, 키보드 (8B))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유저 입력을 수신하면, 키보드 실렉터 (46)는 선택된 키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키보드는 디스플레이 모듈 (42)을 통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된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44)은, 유저 인터페이스 (30)를 유지하는 동안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유저 입력을 통해 초기 유저 입력과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모듈 (42)은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2, 14, 16) 내에) 대체 문자들의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관련된 그래픽 화살표들은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문자들의 상대적 위치들이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2, 14, 16)이 그래픽 화살표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2, 14, 16)의 상대적 위치들 및/또는 디스플레이되는 대체 문자들 ("G", "^", "*")의 상대적 위치들이 대응하는 선택 방향들을 가리킬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42)은, 초기 유저 입력으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 (30)와의 접촉이 소정 기간 유지된 이후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 (3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면, 디스플레이 모듈 (42)은, 유저가 터치스크린을 터치하거나 눌러서 적어도 0.5초 동안 초기 키(initial key) (예를 들면 도 1의 키 (18))를 선택한 이후 대체 문자들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형태의 방법은 컴퓨팅 디바이스 (2) (도 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예를 들면, 도 2의 기억 디바이스들 (28)에 포함된 매체)는, 실행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를 들면, 프로세서들 (22))이 도 3의 방법에서 도시된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로 인코딩될 것이다.
도 3의 방법은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그래픽 키보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키보드 (8A))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60)와,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로부터 하나의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62)를 포함하고,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키는 문자들의 그룹 내의 문자와 관련된다. 상기 방법은, 초기 유저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복수의 대체 문자들 (예를 들면, 대체 문자 "G", "^", "*")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64)와, 복수의 대체 문자들 (66)의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66)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대체 문자들의 적어도 하나는 그래픽 키보드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몇몇 경우, 2개 이상의 대체 문자들이 그래픽 키보드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몇몇 경우들에서는, 대체 문자들의 각각이 그래픽 키보드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방법은, 그래픽 키보드와 분리되고 별개인 그래픽 문자 영역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그래픽 문자 영역들 (5)의 하나) 내에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선택된 키와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의 문자를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단게를 포함한다. 이들 실시형태들에서, 상기 방법은 그래픽 키보드와 분리되고 별개인 그래픽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만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 방향으로의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모션을 포함하고,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한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부가적인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래픽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그래픽 키보드 내의 단일의 디스플레이된 문자에 의해서만 각 키가 나타내어지도록 복수의 키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고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을 유지하는 동안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2, 14, 16) 중 별개의 하나 내에서) 대체 문자들의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관련된 그래픽 화살표들은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그래픽 키보드 상의 선택된 키의 위치에 대한 대체 문자들의 상대적 위치들은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이들 경우들에 있어서, 대체 문자들과 관련된 그래픽 화살표들은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그래픽 키보드 상에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초기 유저 입력으로부터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접촉이 소정 시간 유지된 이후 그래픽 키보드 상에 대체 문자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초기 유저 입력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방향으로 터치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그래픽 키보드는 제 1의 그래픽 키보드를 포함하고, 제 2의 상이한 그래픽 키보드는 선택된 대체 문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된 키는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에 대해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상의 제 1의 상대적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는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에 대해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상의 제 2의 상대적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실시형태를 참조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상의 제 1의 상대적 위치는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상의 제 2의 상대적 위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부가적 유저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일련의 상이한 선택 방향들로의 모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면, 유저는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일련의 복수의 상이한 방향들 (예를 들면, 처음에는 위쪽 그 다음에는 아래쪽)으로 유저 자신의 손가락을 이동시켜 특정한 대체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복수의 상이한 대체 문자들의 선택을 특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 계속하여, 유저는 유저 자신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을 따라 제 1의 방향 (예를 들면, 위쪽)으로 이동시켜 제 1의 대체 문자를 선택하고, 계속해서 유저의 손가락을 제 2의 상이한 방향 (예를 들면, 왼쪽)으로 이동시켜 제 2의 상이한 대체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 후, 유저는 유저 자신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에서 떼어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들에 따른, 예시적인 그래픽 키보드들 (70, 72, 74 및 76)와, 대체 문자 선택 옵션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그래픽 키보드들 (70, 72, 74, 76)의 어느 것이라도 컴퓨팅 디바이스 (2)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 (도 2의 유저 인터페이스 (3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키보드들 (70, 72, 74, 76)은, 몇몇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컴퓨팅 디바이스 (2)에 의한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의 실행 동안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임의의 선택된 대체 문자는 하나 이상의 그래픽 문자 영역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그래픽 문자 영역들 (5))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임의의 소정의 시간에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보드들 (70, 72, 74, 및 76) 중 단지 하나만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유저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해 어떤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되는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키보드 실렉터 (예를 들면 도 2의 키보드 실렉터 (46))는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어떤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될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 실렉터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저에게 키보드 (72)를 최초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키보드 (72)는 알파벳 소문자들과 관련된 키들을 포함한다. 유저는 키 (90) (도 4b)를 눌러서 다른 키보드 (74)를 선택할 수도 있다. 키보드 (72)의 키 (90)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용으로 키보드 (74)를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유저는 키보드 (72)의 키 (88)를 눌러 키보드 (70)를 선택할 수도 있다. 키보드 (72)의 키 (88)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용으로 키보드 (70)를 선택할 수도 있다.
키보드 (74)는 숫자들 및 다른 문자들과 관련된 키들을 포함한다. 키보드 (74)가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대응하는 문자의 입력을 위해 키보드 (74)의 임의의 키들을 선택한다. 유저가 키 (106) (도 4e)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디스플레이용으로 키보드 (72)를 선택할 수도 있다. 유저가 키 (104)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디스플레이용으로 키보드 (74)를 선택할 수도 있고, 그 후 키보드 (74)는 또 다른 데이터 입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키보드 (76)는 여러 가지 다른 다양한 문자들과 관련된 키들을 포함한다. 키보드 (76)가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대응하는 문자들의 입력을 위해 키보드 (76) 상의 임의의 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유저가 키 (104) (도 4d)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키보드 (74)를 선택할 수도 있다. 유저가 키 (106)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키보드 (72)를 선택할 수도 있다.
키보드 (70)는 알파벳 대문자들과 관련된 키들을 포함한다. 키보드 (70)가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대응하는 문자들의 입력을 위해 키보드 (70) 상의 임의의 키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유저가 키 (88) (도 4c)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키보드 (72)를 선택할 수도 있다. 유저가 키 (90)를 누르면, 키보드 실렉터는 키보드 (74)를 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유저는 여러 가지 다르게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들 (70, 72, 74, 및 76) 상에 포함된 키들의 수동적인 선택을 통해 이들 키보드들 사이를 토글할 수도 있고,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들 (4A-4N) 중 하나)의 실행 동안 데이터 입력을 위한 여러 가지 문자들을 입력할 수도 있게 된다. 그러나, 어떤 경우 다소 시간이 걸리거나 번거로울 수 있는 그리고 유저에 의해 제공될 키스트로크의 수가 많이 필요한 어떤 단어들, 구문들, 용어들 등을 입력하기 위해 유저는 여러 가지 키보드들 (70, 72, 74, 및 76) 사이를 토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4a의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들 (70, 72, 74, 및 76) 각각은 다른 키보드들에는 포함되지 않은 문자들과 관련된 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키보드 (70)는 "G" 문자와 관련된 키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키보드들 (72, 74, 또는 76)에는 포함되지 않은 문자이다. 키보드 (72)는 "g" 문자와 관련된 키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키보드들 (70, 74, 또는 76)에는 포함되지 않은 문자이다. 키보드 (74)는 "*" 문자와 관련된 키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키보드들 (70, 72, 또는 74)에는 포함되지 않은 문자이다. 그리고, 키보드 (76)는 "^" 문자와 관련된 키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키보드들 (70, 72, 74)에는 포함되지 않은 문자이다.
예를 들면,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동안, 유저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설명을 위해, 패스워드는 "Gia^l*"로 한다. 키보드 (72)가 유저에게 최초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키보드 (72)의 키 (88)를 먼저 눌러 키보드 (70)를 보고, 그 다음 키보드 (70)의 키 (100) (도 4c)를 눌러 문자 "G"를 입력해야 한다. 그 다음, 유저는 키보드 (70)의 키 (88)를 눌러 다시 키보드 (72)를 보고, 그 다음 키들 (81 및 83)을 눌러 "i"와 "a"의 문자들을 각각 입력해야 한다.
"^"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키보드 (72)의 키 (90)를 눌러 키보드 (74)를 보고, 그 다음 키보드 (74)의 키 (104)를 누른다. 그 후, 유저는 키보드 (76)의 키 (102)를 눌러 문자 "^"를 입력해야 한다. 그 후, 유저는 키보드 (76)의 키 (102)를 눌러 키보드 (72)의 뷰로 되돌아올 수 있고, 그 다음 키 (85)를 눌러 문자 (l)를 입력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문자 "*"를 입력하기 위해, 유저는 키보드 (72)의 키 (90)를 눌러 키보드 (74)를 보고, 그 후 키보드 (74)의 키 (108)를 눌러 "*" 문자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사용하면, 유저는, 문자 입력 동안 키보드 (72)와 다른 키보드들 (70, 74, 및 76) 사이를 토글할 필요없이, 키보드 (72)만을 사용하여 패스워드 "Gia^l*"를 다른 방식으로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보드 (72)의 키 (84) (도 4b)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초기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와의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한다. 키 (84)는 소문자 "g"와 관련된다.
그러나,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키 (84)를 눌렀다가 재빨리 떼는 것에 의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 목적의 "g"를 선택하는 대신, 유저는 소정 시간 (예를 들면, 0.5초, 또는 도 2에 도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컨트롤러 (44)에 의한 것과 같이,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다른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 가능하거나 설정된 다른 크기의 시간) 동안 키 (84)를 눌러서 유지할 수도 있다. 키 (84)를 이 소정 시간 동안 눌러서 유지한 후,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대체 문자 매니저 (48) 및/또는 디스플레이 모듈 (42)을 통해)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80, 82, 및 86)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구현예에서, 소정 시간 동안 키 (84)를 눌러 유지하면, 키 (84)와 관련된 문자 "g"는 디스플레이의 목적상 개별적이고 별개의 그래픽 문자 영역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그래픽 문자 영역들 (5)) 내에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초기 유저 입력 수신에 응답하여 대체 문자들 ("G", "^", 및 "*")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여기서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0)이 위쪽 방향의 화살표를 포함한다면, 대체 문자 "G"는 이 대체 문자와 관련된 위쪽의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0)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대체 문자 "^"는 왼쪽의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2)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대체 문자 "*"는 아래쪽의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6)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대체 문자들의 하나, 둘 또는 그 이상 (예를 들면 각각)은 그래픽 키보드 (72)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a 내지 도 4e의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대체 문자들 ("G", "^", 및 "*")의 어느 것도 그래픽 키보드 (72)의 키들과 관련된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면, 컴퓨팅 디바이스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체 문자들의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부가적 유저 입력은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면, 유저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2)과 관련된 방향에 대응하는 위쪽 방향으로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유저의 손가락을 이동 (예를 들면, "스와이핑")하고, 그 후, 유저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서 떼는 것에 의해 패스워드에 대한 "G"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유저는, 유저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대신, 장치 (예를 들면,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터치스크린과 접촉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접촉을 떼면,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80, 82, 및 86)을 디스플레이에서 제거할 것이다. 대체 문자 "G"는,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그 선택시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될 것이지만, 최초 눌려진 키 (84)와 관련된 "g" 문자는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유저는 키 (81 및 83)를 누름으로써 키보드 (72) 내에서 직접적으로 패스워드에 대한 "i" 및 "a" 문자들을 선택할 수도 있다.
패스워드의 "^"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유저는 다시 소정 시간 동안 키 (84)를 눌러 유지할 수도 있는데, 이때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80, 82, 및 86)을 다시 표시할 수도 있다. 유저는 왼쪽 방향으로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유저의 손가락 (또는 다른 장치)을 이동하고, 그 후, 유저의 손가락 (또는 다른 장치)을 터치스크린에서 떼는 것에 의해 "^"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접촉을 떼면,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80, 82, 및 86)을 디스플레이에서 제거할 것이다. 대체 문자 "^"는,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그 선택시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될 것이지만, 최초 눌려진 키 (84)와 관련된 "g" 문자는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그 다음 유저는 키 (85)를 누름으로써 키보드 (72) 내에서 직접적으로 패스워드에 대한 "l"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패스워드의 "*"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유저는 다시 소정 시간 동안 키 (84)를 눌러 유지할 수도 있는데, 이때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80, 82, 및 86)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유저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6)에 대응하여, 아래쪽 방향으로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유저의 손가락 (또는 다른 장치)을 이동하고, 그 후, 유저의 손가락 (또는 다른 장치)을 터치스크린에서 떼는 것에 의해 "*"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대체 문자 "*"는,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그 선택시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될 것이지만, 최초 눌려진 키 (84)와 관련된 "g" 문자는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접근방식을 사용하면, 유저는, 이들 대체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 여러 가지 상이하게 디스플레이되는 키보드들 사이를 수동으로 토글하지 않고도, 키보드 (72)와 대체 문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여러 가지 모션 (슬라이딩) 제스쳐들만을 사용하여 패스워드 "Gia^l*"을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들을 통한 키보드 (72)를 사용하여 유저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지만, 유저는 여전히 언제라도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임의의 다른 키보드 (예를 들면, 키보드들 (70, 74, 76)) 사이를 토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유저가 이용할 수도 있는 키보드들 (70, 74, 76)와 같이, 여러 가지 상이한 키보드 세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액세스 및/또는 저장의 목적상, 이들 키보드를 계층적 또는 적층된 구조, 또는 레이아웃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임의의 수의 상이한 계층적 또는 적층된 구조가 상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하나가 도 4a의 예시적인 도면에 도시되는데, 여기서는, 개념적으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은 도시된 구조, 또는 레이아웃으로 키보드들 (70, 72, 74, 및 76)를 관리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72)에서 키 (84)가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와 키보드 (70)에서 키 (100)가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는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키보드 (72)에서 키 (84)가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와 키보드 (76)에서 키 (102)가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는 동일하다. 또한, 키보드 (72)에서 키 (84)가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와 키보드 (74)에서 키 (108)가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는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키들 (100, 102, 108)에 대한 대체 문자들은, 유저가 보드 (72)에서 키 (84)를 누를 때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0 ("G"), 82 ("^"), 86 ("*"))에 도시되는 대체 문자들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되는 예시적인 계층적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르면 키보드 (76)가 키보드 (72)의 "왼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키보드 (76)의 키 (102)와 관련된 대체 문자 "^"를 선택하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2)은 왼쪽의 선택 방향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계층적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르면 키보드 (70)가 키보드 (72)의 "위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키보드 (70)의 키 (100)와 관련된 대체 문자 "G"를 선택하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2)은 위쪽의 선택 방향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계층적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르면 키보드 (74)가 키보드 (72)의 "아래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키보드 (74)의 키 (108)와 관련된 대체 문자 "*"를 선택하도록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2)은 아래쪽의 선택 방향을 제공한다.
도 5는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초 문자의 선택시 유저에게 대체 문자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방식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체 문자 "G"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0) 내에 디스플레이되고, 대체 문자 "^"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2) 내에 디스플레이되며, 대체 문자 "*"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6)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유저는 그래픽 디스플레 유닛들 (80, 82, 86)을 보기 위해 소정 시간 동안 키 (84)를 먼저 누를 수 있다. 키 (84)와 관련된 문자 "g"는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키 (84)와 그래픽 표시 유닛들 (80, 82, 및 86)은,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더 큰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30) 내에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도 4a가 위쪽, 아래쪽, 및 왼쪽 선택 방향들에 대응하는 세 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만을 도시하지만, 키 (84)를 누를 때 임의의 수의 부가적인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이 또한 제공되고 도시될 수 있다. 이들 부가적인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대각선 방향들 또는 일련의 상이한 방향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부가적인 방향들에 대응할 것이다. 도 5에 이러한 선택사항인 (optional) 부가적인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34)의 하나가 도시된다. 이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34)은 오른쪽의 선택 방향에 대응한다. 이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34)이 디스플레이되면, 유저는 그/그녀의 손가락 또는 다른 장치를 디스플레이를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또는 이동하여 대체 문자 "§"를 입력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유저 입력은 적어도 하나의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일련의 상이한 선택 방향들로의 모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유저의 손가락을 일련의 복수의 상이한 방향들 (예를 들면, 위쪽 그리고 왼쪽)으로 이동하여 특정한 대체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5의 실시형태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들 복수의 상이한 선택 방향들에 대응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유닛 (130) 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은 위쪽 및 왼쪽 방향들로의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이는 유저가 유저의 손가락을 위쪽 및 왼쪽 방향들로 연속하여 움직여 특정 대체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 유저 입력은 복수의 상이한 대체 문자들의 선택을 특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저는, 몇몇 다른 구현예들에서, 유저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을 따라 제 1의 방향 (예를 들면, 위쪽)으로 움직여 제 1의 대체 문자 (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0)에 도시된 "G")를 선택할 수도 있고, 계속해서 유저의 손가락을 제 2의 상이한 방향 (예를 들면, 왼쪽)으로 움직여 제 2의 다른 대체 문자 (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82))를 선택할 수도 있다. 몇몇 경우들에 있어서는, 유저는 제 1의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인 후 소정 시간 일시적으로 멈추어, 대응하는 제 1의 대체 문자의 선택을 컴퓨팅 디바이스가 인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후, 유저는 제 2의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제 2의 대체 문자를 선택하고, 계속해서 유저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저는, 어떤 경우들에 있어서, 복수의 상이한 방향들로의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상이한 대체 문자들을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
도 6은 유저에게 대체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방식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실시형태는 도 5의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34)은 도 6의 실시형태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에서는 상이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40, 142 및 144)이 디스플레이되어 대응하는 대체 문자들 ("G", "^" 및 "*")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80, 82, 및 86)과는 달리,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40, 142 및 144)은 선택 방향들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픽 화살표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그래픽 키보드 상의 키 (84)의 위치에 대한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40, 142 및 144)의 상대적 위치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대체 문자들에 대한 대응하는 선택 방향들을 유저에게 지시한다.
따라서,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140, 142 및 144)은 유저가 소정 시간 동안 키 (84)를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40)은 키 (84) 위쪽에 디스플레이되어, 대체 문자 "G"를 선택하기 위한 위쪽 선택 방향을 나타낸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42)은 키 (84) 왼쪽에 디스플레이되어, 대체 문자 "^"를 선택하기 위한 왼쪽 선택 방향을 나타낸다.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144)은 키 (84) 아래쪽에 디스플레이되어, 대체 문자 "*"를 선택하기 위한 아래쪽 선택 방향을 나타낸다.
도 7은 대체 문자들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방식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실시형태와는 대조적으로, 대체 문자들 ("G", "^", 및 "*")은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대신, 유저가 소정 시간 동안 키 (84)를 누른 후 대체 문자들 그 자체가 키 (84)에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도 6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키 (84)에 대한 디스플레이되는 대체 문자들의 상대적 위치들은 각각의 대체 문자들에 대한 대응하는 선택 방향들을 나타낸다.
도 8은 대체 문자들이 유저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방식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가적인 방향 화살표들이 관련된 대체 문자들 ("G", "^", 및 "*")에 대한 선택 방향들을 나타내도록 도시되지만, 도 8의 실시형태는 도 7의 것과 유사하다. 도 8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a, 도 5 및 도 6의 실시형태들과 같이, 개별적인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 내에 대체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되거나 포함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래픽 화살표들은, 최초 키 (84)를 선택한 후 위쪽 방향으로의 모션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손가락을 위쪽으로 슬라이딩 또는 이동시키는 것)을 취함으로써 유저가 대체 문자 "G"를 선택할 수도 있음을 유저에게 나타낸다. 유저는 왼쪽 방향으로 모션을 취함으로써 대체 문자 "^"를 선택할 수도 있고, 아래쪽 방향으로 모션을 취함으로써 대체 문자 "*"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각선 또는 지그재그 선택 방향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수의 상이한 선택 방향들과 대응하는 그래픽 화살표들이 상이한 실시형태에서 고려되거나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도 8은 단지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형태만을 제공한다.
도 9는 유저 입력들을 대체 문자 선택들에 매핑하도록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매핑 메커니즘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몇몇 양태들에서, 도 9에 도시된 매핑 메커니즘과 같은 매핑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유저 입력들을 대체 문자 선택들로 매핑시키기 위해, 그래픽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키보드 어플리케이션 (6))은 대체 문자 매니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대체 문자 매니저 (48))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의 실시형태는 유저 입력들을 대체 문자 선택들로 매핑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테이블 (150)을 도시한다. 테이블 (150)의 첫 번째 열 ("키 누름")은, 각 행에,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키보드들 (72, 70, 74, 또는 76) 중 하나와 같이, 특정한 그래픽 키보드에서 눌려질 수 있는 특정한 키를 포함한다. 도 9의 실시의 형태에서, 식별자 "K1"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키보드 (72)를 식별한다. 식별자 "K2"는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키보드 (70)를 식별한다. 식별자 "K3"은 도 4a 및 도 4e에 도시된 키보드 (74)를 식별한다. 식별자 "K4"는 도 4a 및 도 4d에 도시된 키보드 (76)를 식별한다.
"위로 스와이프"로 표기된 열은, 첫 번째 열 ("키 누름")에서 나타내어진 대응하는 키를 먼저 누른 후 위쪽 방향으로 유저가 모션 (예를 들면, 손가락이나 다른 물체를 스와이프)을 취했을 때 유저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특정한 대체 문자를 각 행에 포함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 (150)은 키보드 (72) ("K1") 상의 키 "g"를 먼저 누르고 그 다음 위쪽 방향으로 스와이핑하는 것에 의해 대체 문자 "G"를 유저가 선택할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데, 대체 문자 "G"는 키보드 (70) ("K2")에 포함된다.
"아래로 스와이프"로 표기된 열은, 첫 번째 열 ("키 누름")에서 나타내어진 대응하는 키를 먼저 누른 후 아래쪽 방향으로 유저가 모션을 취했을 때 선택될 수 있는 특정한 대체 문자를 각 행에 포함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 (150)은 키보드 (72) ("K1") 상의 키 "g"를 먼저 누르고 그 다음 아래쪽 방향으로 스와이핑하는 것에 의해 대체 문자 "*"를 유저가 선택할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데, 대체 문자 "*"는 키보드 (74) ("K3")에 포함된다.
"왼쪽으로 스와이프"로 표기된 열은, 첫 번째 열 ("키 누름")에서 나타내어진 대응하는 키를 먼저 누른 후 왼쪽 방향으로 유저가 모션을 취했을 때 선택될 수 있는 특정한 대체 문자를 각 행에 포함한다. 예를 들면, 테이블 (150)은 키보드 (72) ("K1") 상의 키 "g"를 먼저 누르고 그 다음 왼쪽 방향으로 스와이핑하는 것에 의해 대체 문자 "^"를 유저가 선택할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데, 대체 문자 "^"는 키보드 (76) ("K4")에 포함된다.
도 9의 예시적인 테이블 (150)은, 키보드 (72) ("K2")의 최초 키 (initial key)를 누르고 그 다음 위쪽, 아래쪽 또는 왼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해 모션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의 표면을 따라 손가락을 슬라이딩)을 취함으로써 유저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대체 문자들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형태들을 도시한다. 대체 문자 매니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대체 문자 매니저 (48))는 테이블에서 제공되는 매핑을 활용하여, 키보드 (72) 상에서 최초 키가 눌려진 후 유저에게 어떤 대체 문자들이 디스플레이될지를 결정하고, 또한, 위쪽, 아래쪽, 또는 왼쪽 방향들로의 후속하는 동작에 기초하여 대체 문자 선택을 결정할 수도 있다. 물론, 테이블 (150)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유저 입력들을 대체 문자 선택들로 매핑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들의 다른 형태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의 매핑 메커니즘들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의 다양한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들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반도체 (ASICs),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s), 또는 임의의 다른 등가의 통합된 또는 별도의 로직 회로 뿐만 아니라 이들 소자의 임의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또는 "처리 회로" 는 상술한 로직 회로 단독, 또는 다른 로직 회로, 또는 임의의 다른 등가 회로와 결합한 것 중 임의의 것을 일반적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제어 유닛은 또한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본 개시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동일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별도의 디바이스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설명된 유닛들, 모듈들 또는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은 별개이지만 상호 동작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모듈들 또는 유닛들로서 상이한 특징들의 예시는 상이한 기능 양태를 강조하도록 의도되며, 이러한 모듈들 또는 유닛들이 별도의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에 의해 반드시 구현되어야 함을 함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연관된 기능은 별도의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거나 또는 공통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도 있다.
본원 개시에 설명된 기술들은 또한, 명령들을 포함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내장 또는 인코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내장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포함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와 같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들 또는 다른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게끔 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AM (randomd access memroy), ROM (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CD-ROM (compact disc ROM), 플로피 디스크, 카세트, 자기 매체, 광학 매체, 또는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조 물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 개시의 여러 가지 구현예를 설명하였다. 이들 및 다른 구현예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29)

  1. 명령들로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실행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제 1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제 1의 그래픽 키보드를 터치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와는 상이한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되,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는 제 2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문자들의 그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로부터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수신하도록 하되,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키는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의 문자와 관련되고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1의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되,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수신하도록 하되,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의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제 2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고,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2의 위치에 위치된 키와 관련되며,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키의 상기 제 1의 위치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키의 상기 제 2의 위치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에서 동일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의 각 키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에서 단일의 디스플레이 문자에 의해서만 표현되도록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를 디스플레이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상기 명령들과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명령들은,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관련된 그래픽 화살표들은,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키의 상기 제 1의 위치에 대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위치들은,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과 관련된 그래픽 화살표들은,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상기 명령들은, 상기 초기 유저 입력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소정 기간 동안 유지된 후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와는 상이한 제 3의 그래픽 키보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명령들로 더 인코딩되고,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는 제 3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의 문자들의 그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제 3의 문자들의 그룹은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와는 상이한 대체 문자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와는 상이한 상기 대체 문자는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3의 위치에 위치된 키와 관련되며,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키의 상기 제 1의 위치는,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키의 상기 제 3의 위치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에서 동일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초기 유저 입력에 대해,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디스플레이로부터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제거하는 명령들로 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일련의 상이한 선택 방향들로의 모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이한 대체 문자들의 선택들을 특정하기 위한 상이한 선택 방향들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선택 방향들의 각각은 상기 상이한 대체 문자들의 하나와 대응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와는 분리되고 별개인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를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선택된 키와 관련된 상기 문자들의 그룹 내의 문자를 상기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방지하는 명령들로 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5. 제 1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제 1의 그래픽 키보드를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터치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와는 상이한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는 제 2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문자들의 그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로부터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키는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의 문자와 관련되고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1의 위치에 위치되는,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서,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으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하는,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제 2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며,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2의 위치에 위치되는 키와 관련되며,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키의 상기 제 1의 위치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와 관련된 키의 상기 제 2의 위치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에서 동일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방법.
  16.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과;
    터치스크린; 및
    하나 이상의 기억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는 제 1의 그래픽 키보드를 제공하고;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와는 상이한 제 2의 그래픽 키보드를 제공하되,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억 디바이스들에 저장되고,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는 제 2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의 문자들의 그룹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로부터 하나의 키의 선택을 특정하는 초기 유저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되,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개시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키는 상기 제 1의 문자들의 그룹의 문자와 관련되고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1의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초기 유저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대체 문자들을 제공하되, 각각의 대체 문자는 그 대체 문자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도록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제 1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지 않으며;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하나의 선택을 특정하는 부가적인 유저 입력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가로지르는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의 떼어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제 2의 문자들의 그룹 내에 포함되며,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2의 위치에 위치되는 키와 관련되며,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키의 상기 제 1의 위치는, 상기 제 2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키의 상기 제 2의 위치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에서 동일한 상대 위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유저 입력과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을 유지하는 하나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해 제공되는 유저 입력을 포함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별개의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들과 관련된 그래픽 화살표들은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키의 상기 제 1의 위치에 대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의 위치들은, 상기 대체 문자들의 각각과 관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선택 방향을 가리키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대체 문자들은, 상기 초기 유저 입력으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소정 기간 유지된 후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에 대응하는 일련의 상이한 선택 방향들로의 모션을 포함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는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와 분리되고 별개인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선택된 키와 관련된 상기 문자들의 그룹의 문자는 상기 그래픽 문자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그래픽 키보드들과는 상이한 제 3의 그래픽 키보드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문자들의 그룹들에 포함되지 않은 제 3의 문자들의 그룹과 관련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의 상기 복수의 키들과 관련된 상기 제 3의 문자들의 그룹은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와는 상이한 대체 문자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대체 문자와는 상이한 상기 대체 문자는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제 3의 위치에 위치되는 키와 관련되고,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선택된 키의 상기 제 1의 위치는 상기 제 3의 그래픽 키보드 내의 상기 대체 문자와 관련된 상기 키의 상기 제 3의 위치와 상기 제 1의 그래픽 키보드 내에서 동일한 위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유저 입력은 상이한 대체 문자들의 선택들을 특정하기 위한 상이한 선택 방향들로의 모션을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선택 방향들의 각각은 상기 상이한 대체 문자들의 하나에 대응하는,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137000428A 2010-06-07 2011-06-06 모션 입력을 통한 대체 키보드 문자 선택 KR101431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95,508 US20110302518A1 (en) 2010-06-07 2010-06-07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US12/795,508 2010-06-07
PCT/US2011/039302 WO2011156282A2 (en) 2010-06-07 2011-06-06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797A KR20130029797A (ko) 2013-03-25
KR101431397B1 true KR101431397B1 (ko) 2014-08-20

Family

ID=45065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428A KR101431397B1 (ko) 2010-06-07 2011-06-06 모션 입력을 통한 대체 키보드 문자 선택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10302518A1 (ko)
KR (1) KR101431397B1 (ko)
WO (1) WO20111562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60762B (en) * 2008-09-05 2012-03-21 Mitake Information Corp On-screen virtual keyboard system
KR20120033918A (ko) * 2010-09-30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20113008A1 (en) * 2010-11-08 2012-05-10 Ville Makinen On-screen keyboard with haptic effects
US8863040B2 (en) * 2011-01-04 2014-10-14 Google Inc. Gesture-based selection
JP5418508B2 (ja) * 2011-01-13 2014-02-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19904A1 (en) * 2011-02-15 2014-01-16 Exo U Inc. Method for providing data associated with an objec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display
US9262065B2 (en) * 2011-02-24 2016-02-16 Red Hat, Inc. Time based touch screen input recognition
WO2011100905A2 (zh) * 2011-04-11 2011-08-25 华为终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US8957868B2 (en) * 2011-06-03 2015-02-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touch text input
WO2013012267A1 (en) * 2011-07-19 2013-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input gesture and inputting selected symbol
US8959430B1 (en) * 2011-09-21 2015-02-17 Amazon Technologies, Inc. Facilitating selection of keys related to a selected key
US8490008B2 (en) 2011-11-10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310889B2 (en) 2011-11-10 2016-04-12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715489B2 (en) 2011-11-10 2017-07-25 Blackberry Limited Displaying a prediction candidate after a typing mistake
US9122672B2 (en) 2011-11-10 2015-09-01 Blackberry Limited In-letter word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US9652448B2 (en) 2011-11-10 2017-05-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or replacing on-keyboard prediction candidates
EP2618248B1 (en) 2012-01-19 2017-08-16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US9557913B2 (en) 2012-01-19 2017-01-31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display having a ticker proximate to the virtual keyboard
EP2812777A4 (en) 2012-02-06 2015-11-25 Michael K Colby STRING COMPLETION
US20130215037A1 (en) * 2012-02-20 2013-08-22 Dun Dun Mao Multi-touch surface keyboard with multi-key zones on an adaptable home line and method of inputting to same
CA2865272C (en) 2012-02-24 2019-11-05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with dynamically reconfigurable layout
EP2631758B1 (en) 2012-02-24 2016-11-02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in proximate association with candidate letters
US9064654B2 (en) 2012-03-0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RE48963E1 (en) 2012-03-02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8935774B2 (en) 2012-03-02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Accessory device authentication
US8873227B2 (en) 2012-03-02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hinge support layer
US9426905B2 (en) 2012-03-02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nection device for computing devices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9360893B2 (en) 2012-03-02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US9870066B2 (en) 2012-03-02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put device
US9134807B2 (en)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EP2653955B1 (en) * 2012-04-16 2017-02-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US9201510B2 (en) 2012-04-16 2015-12-0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JP5818361B2 (ja) * 2012-04-26 2015-11-18 Kddi株式会社 パスワード入力装置、パスワード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292192B2 (en) 2012-04-30 2016-03-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354805B2 (en) 2012-04-30 2016-05-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10025487B2 (en) 2012-04-30 2018-07-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20130285927A1 (en) * 2012-04-30 2013-10-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with correction of previously input text
US9459781B2 (en) 2012-05-09 2016-10-04 Apple Inc.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imated sequences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CN103425412A (zh) * 2012-05-17 2013-12-04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输入纠错方法及装置、自动纠错方法及装置和移动终端
US9207860B2 (en) 2012-05-25 2015-12-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esture
CN104350458B (zh) * 2012-06-04 2018-07-27 家居控制新加坡私人有限责任公司 用于键入字母数字字符的用户接口
US10031556B2 (en) 2012-06-08 2018-07-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r experience adaptation
US9019615B2 (en) 2012-06-12 2015-04-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de field-of-view virtual image projector
US8762876B2 (en) * 2012-06-21 2014-06-24 Google Inc. Secure data entry via a virtual keyboard
US9116552B2 (en) 2012-06-27 2015-08-25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selection of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US8964379B2 (en) 2012-08-20 2015-02-24 Microsoft Corporation Switchable magnetic lock
US9524290B2 (en) 2012-08-31 2016-12-20 Blackberry Limited Scoring predictions based on prediction length and typing speed
US9063653B2 (en) 2012-08-31 2015-06-23 Blackberry Limited Ranking predictions based on typing speed and typing confidence
US20140078063A1 (en) * 2012-09-18 2014-03-20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initiated keyboard functions
US20140123049A1 (en) * 2012-10-30 2014-05-01 Microsoft Corporation Keyboard with gesture-redundant keys removed
CN103870186A (zh) * 2012-12-17 2014-06-18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触摸屏电子设备的输入方法和装置
US9304549B2 (en) 2013-03-28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rotatable component attachment
US20140306898A1 (en) * 2013-04-10 2014-10-16 Barnesandnoble.Com Llc Key swipe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ui virtual keyboard
JP5786887B2 (ja) * 2013-04-22 2015-09-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操作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CN105264464A (zh) * 2013-04-23 2016-01-20 辛纳普蒂克斯公司 使用多功能键的导航和语言输入
US20140317564A1 (en) * 2013-04-23 2014-10-23 Synaptics Incorporated Navigation and language input using multi-function key
WO2014179659A1 (en) 2013-05-02 2014-11-06 Synaptics Incorporated Multi-function keys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and previews of functions
US8997013B2 (en) * 2013-05-31 2015-03-31 Google Inc. Multiple graphical keyboards for continuous gesture input
WO2015200890A2 (en) 2014-06-27 2015-12-30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EP3195098A2 (en) 2014-07-21 2017-07-26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CN115695632A (zh) 2014-09-02 2023-02-03 苹果公司 电话用户界面
US10929012B2 (en) * 2014-09-09 2021-02-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 of keys for virtual keyboard
US9940016B2 (en) 2014-09-13 2018-04-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ambiguation of keyboard input
US9424048B2 (en) 2014-09-15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ductive peripheral retention device
KR101561783B1 (ko) * 2014-10-14 2015-10-19 천태철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US10725659B2 (en) 2014-10-14 2020-07-28 Tae Cheol CHEON Letter input method using touchscreen
US9619043B2 (en) * 2014-11-26 2017-04-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KR102422793B1 (ko) * 2014-12-04 2022-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글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방법
TWI515595B (zh) * 2014-12-22 2016-01-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手持式電子裝置及其密碼輸入方法
US11221756B2 (en) * 2015-03-31 2022-01-11 Keyless Systems Ltd. Data entry systems
US10108335B2 (en) 2015-06-05 2018-10-23 Apple Inc. Touch-based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US9952764B2 (en) 2015-08-20 2018-04-24 Google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screen keyboard suggestion word generation and display
JP6620480B2 (ja) 2015-09-15 2019-12-18 オムロン株式会社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用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情報処理装置
US20170153811A1 (en) * 2015-11-27 2017-06-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U2017100667A4 (en) 2016-06-11 2017-07-06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KR101744124B1 (ko) * 2016-08-26 2017-06-07 이진우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US11314409B2 (en) * 2018-12-03 2022-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eless augmentations to a virtual trackpad on a multiple screen computing device
US11294463B2 (en) 2018-12-03 2022-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of user input devices using a digital glove
US11199901B2 (en) 2018-12-03 2021-1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of non-digital objects using a digital glove
US10564719B1 (en) 2018-12-03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gmenting the functionality of user input devices using a digital glove
US11137905B2 (en) 2018-12-03 2021-10-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eless augmentations to a virtual trackpad on a multiple screen computing device
US11921998B2 (en) 2020-05-11 2024-03-05 Apple Inc. Editing features of an avatar
CN116157769A (zh) 2020-07-24 2023-05-23 阿吉利斯无眼触摸屏键盘有限责任公司 具有死区的自适应触摸屏小键盘
US11714536B2 (en) 2021-05-21 2023-08-01 Apple Inc. Avatar sticker editor user interfa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4239A1 (en) 2001-06-08 2003-01-16 Ichbiah Jean D.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accented and other extended characters
US20070139382A1 (en) 2005-12-15 2007-06-2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oft keyboard
US20090058823A1 (en) 2007-09-04 2009-03-05 Apple Inc. Virtual Keyboards in Multi-Language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2053B2 (en) * 1998-12-04 2010-05-04 Tegic Communications, Inc.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US7168046B2 (en) * 2001-04-26 2007-0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20040261031A1 (en) * 2003-06-23 2004-12-23 Nokia Corporation Context dependent auxiliary menu elements
US7224292B2 (en) * 2004-04-29 2007-05-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duced keyboard letter selection system and method
US7752569B2 (en) * 2005-09-09 2010-07-06 Microsoft Corporation Software key labeling on software keyboards
KR100770936B1 (ko) * 2006-10-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90034215A (ko) * 2007-10-02 2009-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434495B1 (ko) * 2007-11-13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US20100085313A1 (en) * 2008-10-07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econdary character rendering and entry
KR20100024471A (ko) * 2010-02-12 2010-03-05 김정욱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4239A1 (en) 2001-06-08 2003-01-16 Ichbiah Jean D. Method and system for entering accented and other extended characters
US20070139382A1 (en) 2005-12-15 2007-06-21 Microsoft Corporation Smart soft keyboard
US20090058823A1 (en) 2007-09-04 2009-03-05 Apple Inc. Virtual Keyboards in Multi-Language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56282A2 (en) 2011-12-15
US8612878B2 (en) 2013-12-17
US20110302518A1 (en) 2011-12-08
KR20130029797A (ko) 2013-03-25
WO2011156282A3 (en) 2012-04-12
US20120030606A1 (en) 201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397B1 (ko) 모션 입력을 통한 대체 키보드 문자 선택
US7602378B2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a soft keyboard
AU2008100003A4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ewing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CN106909305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CN202649992U (zh) 信息处理设备
US201301137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8566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deletion
US20090183098A1 (en) Configurable Keyboard
US20120113008A1 (en) On-screen keyboard with haptic effects
JP5805674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90293007A1 (en)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20160085438A1 (en) Multi-finger touchpad gestures
CN102937876A (zh) 触摸传感器的动态缩放
JP2017523515A (ja) アイコンサイズ変更
US20120200503A1 (en) Sizeable virtual keyboard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7209627B (zh) 对应用启动器内的表示交互的控制
US20160378284A1 (en) Data entry system and accompanying interface
US20140372925A1 (en) Method for editing frame-based pag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5943856B2 (ja) 多面的なグラフィック・オブジェクトを有する携帯端末及び表示切替方法
JP2012155485A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148172B (zh) 操作控制方法及装置
CN109078325B (zh) 用户接口处理方法及记录介质
JP663748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ランチャーのサイズ調整
CA2791486C (en) Electric device and method for character dele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