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918A -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918A
KR20120033918A KR1020100095676A KR20100095676A KR20120033918A KR 20120033918 A KR20120033918 A KR 20120033918A KR 1020100095676 A KR1020100095676 A KR 1020100095676A KR 20100095676 A KR20100095676 A KR 20100095676A KR 20120033918 A KR20120033918 A KR 2012003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virtual keypad
portable terminal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건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918A/ko
Priority to US13/248,288 priority patent/US20120081321A1/en
Publication of KR2012003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를 입력모드로 전환하고,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를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상 키패드의 키들 중 특정 키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 PORTAB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가상 키패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도 MP3 기능, 게임 기능, 그리고 각종 정보 전송 및 저장 기능 등을 포함하여 매우 많은 기능들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에는 이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한 키들의 조합인 키패드가 배치된다.
이러한 키패드가 최근에는 터치 방식(정전식/정압식)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로 표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로서, 이러한 상기 가상 키패드는 컴퓨터나 게임기기 등과 달리 협소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입력 오류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이전의 휴대용 단말기에 하드웨어적으로 배치되는 키패드에서와 같이 하나의 키에 배치된 숫자, 다수의 한글 혹은 영어 문자들을 택일적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도 1의 (a),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번의 키 모드 변환을 통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가 각 키에 배치된 문자들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상 키패드에 구비된 각 키에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 를 매핑하고, 이러한 키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인식된 경우 해당 키에 매핑된 기능별 개체 각각을 소정 영역에 할당하여 배열함으로써 기능 키 모드별 전환 없이 원하는 키 별 직접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를 입력모드로 전환하고,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를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상 키패드의 키들 중 특정 키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소정 키 배열의 레이아웃 형태로 키 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매핑되어 있는 키들로 조합된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와, 다수의 가상 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에서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표시하는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의 키들 중 특정 키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매칭된 키들이 조합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해당 키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 각각을 소정 영역에 할당하여 배열함으로써 키 모드별 전환 없이 기능별 키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감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개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를 보인 화면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에 관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국가별 문자, 숫자 및 기호 등을 간편하게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가상 키패드에 구비된 각 키에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 예컨대, 국가별 문자, 숫자, 특수문자 및 심볼 등을 매핑하고, 이러한 키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인식된 경우 해당 키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 각각을 소정 영역에 할당하여 배열함으로써 국가별 문자, 숫자, 특수문자 및 심볼 키 모드 전환 없이 기능별 키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이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개체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ACKET RADIO SERVICE)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관해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먼저, 210 과정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212 과정에서는 가상 키패드를 활성화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가상 키패드는 쿼티 키 배열의 레이아웃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상 키패드를 구성하는 각 키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매핑되어 있고, 상기 각 키에 매핑된 기능별 개체는 숫자, 국가별 문자, 심볼, 특수 문자를 포함한다.
214 과정에서는 상기 212 과정에서 표시된 가상 키패드의 키들 중 특정 키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 인식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상에서 사용자 입력 수단 즉,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등과 같은 것으로 포인팅하는 사용자 접촉을 통해 수행 가능하다.
이어 216 과정에서는 상기 214 과정에서 인식된 키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된 해당 키의 기능별 개체는, 상기 가상 키패드의 키들과 동일한 키 배열의 레이아웃 형태로 각각 할당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인식된 키에 매핑된 기능별 개체가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은 상기 인식된 키에 인접한 키에 매핑된 해당 문자를 함께 표시한다.
218 과정에서는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된 특정 키의 해당 기능별 개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체가 입력 필드에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매핑되어 있는 인식된 키는 입력 완료에 해당하는 키가 인식될 때까지 상기 가상 키패드에서 활성화 상태로 표시되어, 소정 영역에 표시된 해당 기능별 개체의 입력이 종료될 때까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216 과정에서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된 인접한 키에 매핑된 해당 문자 키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인접한 키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로 변경된다.
이러한 상기210~218 과정의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쿼티 키 배열의 레이아웃 형태로 구성되는 가상 키패드를 보인 것으로, 상기 가상 키패드는 특정 키(312)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영역(314)과, 상기 인식된 키(312)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9, O, %)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310)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소정 영역(310)에 포함된 316 키는, 상기 인식된 키(312)에 인접한 키(315)에 매핑된 해당 문자 P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입력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키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의 (b), (c) 및 (d)는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 특정 키(312)의 해당 기능별 개체 중 어느 하나의 개체가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해당 개체가 활성화되어 입력필드에 입력되는 과정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의 (e)는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함께 표시된 인접한 키(316)에 매핑된 해당 문자 키 P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소정 영역이 상기 인접한 키 P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로 변경됨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400)는 무선통신부(410), 디스플레이부(412), 메모리(414), 가상 키패드(416) 및 제어부(418)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통신부(410)은 무선 하향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하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2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310)는 상기 제어부(320)로부터 입력된 상향 데이터를 변조하여 무선 하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무선 상향 신호를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중으로 무선 전송한다. 이러한 변조 및 복조는 바람직하게는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방식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이외에 주파수분할다중(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방식, 시분할다중(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방식 등에 따라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12)는 다수의 가상 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상 키패드(416)를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416)에서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표시하는 입력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가상 키패드(416)은 쿼티 키 배열의 레이아웃 형태로 키 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매핑되어 있는 키들로 조합된다.
상기 메모리(414)는 제어부(418)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가상 키패드에 표시되는 국가별 문자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18)은 디스플레이부(412)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의 키들 중 특정 키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된 특정 키의 해당 기능별 개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체가 입력 필드에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18)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인식된 키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의 소정영역에 상기 인식된 키의 인접한 키에 매칭된 해당 문자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접한 키의 문자가 입력된 키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소정 영역을 상기 인접한 키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10. 무선통신부 414. 메모리
412. 디스플레이부 418. 제어부

Claims (12)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모드를 입력모드로 전환하고,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를 활성화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가상 키패드의 키들 중 특정 키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된 기능별 개체는,
    상기 가상 키패드의 키들과 동일한 키 배열의 레이아웃 형태로 할당되어 각각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된 특정 키의 해당 기능별 개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체가 입력 필드에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키는,
    입력 완료에 해당하는 키가 인식될 때까지 상기 가상 키패드에서 활성화 상태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기능별 개체가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의 소정영역은 상기 인식된 키에 인접한 키에 매칭된 해당 문자를 함께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키의 문자가 입력된 키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소정 영역을 상기 인접한 키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로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패드는,
    쿼티 키 배열의 레이아웃(layout)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8.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소정 키 배열의 레이아웃 형태로 키 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매핑되어 있는 키들로 조합된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와,
    다수의 가상 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상 키패드를 표시하고, 상기 가상 키패드에서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표시하는 입력필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가상 키패드의 키들 중 특정 키로부터 발생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를 상기 가상 키패드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영역에 표시된 특정 키의 해당 기능별 개체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개체가 입력 필드에 입력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는,
    숫자, 국가별 문자, 심볼, 특수 문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키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의 소정영역에 상기 인식된 키의 인접한 키에 매칭된 해당 문자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접한 키의 문자가 입력된 키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경우, 상기 소정 영역을 상기 인접한 키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별 개체가 표시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1020100095676A 2010-09-30 2010-09-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20033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76A KR20120033918A (ko) 2010-09-30 2010-09-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US13/248,288 US20120081321A1 (en) 2010-09-30 2011-09-29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676A KR20120033918A (ko) 2010-09-30 2010-09-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918A true KR20120033918A (ko) 2012-04-09

Family

ID=4588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676A KR20120033918A (ko) 2010-09-30 2010-09-3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81321A1 (ko)
KR (1) KR201200339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76947B (zh) * 2012-07-20 2016-09-07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触摸屏设备的信息处理方法、装置和触摸屏设备
CN111782095B (zh) * 2020-06-15 2022-02-25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可视化区域内的显示对象的切换显示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008B2 (en) *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US6169538B1 (en) * 1998-08-13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keyboard and a text buffer on electronic devices
US6271835B1 (en) * 1998-09-03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Touch-screen input device
CN1308803C (zh) * 2002-05-21 2007-04-0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对象输入电子设备
US7453439B1 (en) * 2003-01-16 2008-11-18 Forwa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US7443316B2 (en) * 2005-09-01 2008-10-28 Motorola, Inc.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070256029A1 (en) * 2006-05-01 2007-11-01 Rpo Pty L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A User With A Touch-Screen
KR100770936B1 (ko) * 2006-10-20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EP1988444A3 (en) * 2007-04-30 2016-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8253694B2 (en) * 2007-08-03 2012-08-28 Google Inc. Language keyboard
US20090058823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Virtual Keyboards in Multi-Language Environment
TWI390427B (zh) * 2007-12-27 2013-03-21 Htc Corp Electronic device, symbol input module and its symbol selection method
EP2131272A3 (en) * 2008-06-02 2014-05-07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roximity sensor and display controlling method therein
JP2010033272A (ja) * 2008-07-28 2010-02-12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20110018812A1 (en) * 2009-07-21 2011-01-27 Cisco Technology, Inc. Fast Typographical Error Correction for Touchscreen Keyboards
US20110302518A1 (en) * 2010-06-07 2011-12-08 Google Inc. Selecting alternate keyboard characters via motion input
US20130271379A1 (en) * 2011-01-27 2013-10-17 Sharp Kabushiki Kaisha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81321A1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593B1 (ko) 키보드를 갖는 핸드헬드 전자 장치
CN1692328A (zh) 文本输入方法及其装置
US9665706B2 (en) Password creating method and device
WO2007047188A2 (en) Entering text into an electronic device
US8188980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r numbers in mobile terminal
CN100437443C (zh) 用于数据输入的方法和系统
KR20120058312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US7505796B2 (en) Keypad for portable wireless devices
WO2010024416A1 (ja) 表示機器およびその表示方法
CN106055251A (zh) 一种虚拟键盘及终端
KR20120033918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1098526A (zh) 盲文通信终端
US6802661B1 (en) Method of inputting alphanumeric codes by means of 12 keys
EP3115864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0386944B1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100640504B1 (ko) 휴대장치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30043532A (ko) 소형 기기에서의 영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75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CN1542687B (zh) 允许屏幕功能共享触摸屏的公共显示区的方法
KR1013362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430922B1 (ko) 문자입력키패드
CN1936788A (zh) 移动电话的文字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KR20100090850A (ko)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20160069292A (ko) 패턴을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4013376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