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149B1 -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149B1
KR101431149B1 KR1020130064901A KR20130064901A KR101431149B1 KR 101431149 B1 KR101431149 B1 KR 101431149B1 KR 1020130064901 A KR1020130064901 A KR 1020130064901A KR 20130064901 A KR20130064901 A KR 20130064901A KR 101431149 B1 KR101431149 B1 KR 101431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fruit
bird
stem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대
Original Assignee
정연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대 filed Critical 정연대
Priority to KR102013006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12Uniting ornamental elements to structures, e.g. mosaic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된 목화의 씨방과 줄기를 이용하여 솟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1 이상의 열매, 상기 열매 각각이 열린 분지(分枝) 부분 및 상기 분지 부분과 연결된 줄기 부분이 함께 포함되도록 목화를 채취하는 채취 단계; 채취된 상기 목화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상기 분지 부분과 상기 줄기 부분을 각각 새의 목과 머리 형상으로 하고, 상기 열매를 새의 몸통 형상으로 상기 목화를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목화를 받침대와 이격시켜 고정하는 고정 단계; 를 포함한다. 이로부터 목화 열매를 솜 채취 목적 이외에 장식 및 교육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제작하는 과정에서 조형감을 고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LE WITH ORNAMENTAL BIRD MADE FROM COTTEN PLANT}
본 발명은 자연물을 이용한 솟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된 목화의 씨방과 줄기를 이용하여 솟대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솟대에 관한 것이다.
솟대는 전통적으로 농가에서 섣달 무렵에 새해의 풍년을 바라는 뜻으로 볍씨를 주머니에 넣어 높이 달아매는 장대를 의미하거나, 마을 수호신 및 경계의 상징으로 마을 입구에 나무로 만든 새를 붙인 장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솟대는 최근 장식품으로서 작게 제작되거나, 체험 학습용 교구로서 사용되어왔다.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 10-2010-0124373(솟대를 이용한 체험학습용 교과재)는, 솟대를 받침대, 몸체 및 머리로 구성하고, 이들을 상, 하부 봉체로 끼워 결합하고 각각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솟대는 기존 전통적인 솟대와 거의 차이점이 없었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4298호(자연 학습 교재)는 간벌 또는 가지치기한 나뭇가지 등의 자연물을 1차 가공물로 하여, 나무판이나 토기 등의 기대 위에 목적하는 조형물의 형태로 배열시켜 끼워 맞추거나 접착하여 솟대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솟대 역시 기존 전통적인 솟대와 특별한 차이점이 없었고 이를 통해 제작자의 조형감각을 키울 수는 있었으나 자연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들은 제작자의 손재주나, 미적 감각에 따라 최종 제작되는 솟대의 형상이 천차만별이어서 제품화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학생 또는 일반인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힘들어 상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재료로서 사용되는 목화는 우리나라 고려 말 문익점이 원나라에서 국내로 도입한 것으로, 예쁜 꽃을 피운 다음 삭과(열매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져서, 각 칸 속에 많은 종자가 들어있는 열매를 의미함)가 맺히고, 삭과에서 솜을 틔우게 된다. 목화 솜은 옷감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며, 목화대는 땔감이나 종이의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솜을 빼고 남은 씨앗은 면실유로 사용하였고, 그 찌꺼기는 빨래비누나 사료로 사용되어 왔다.
문익점의 목화 도입은 우리나라 의류 문화를 변화시킨 획기적인 사건으로서, 초등 또는 중등 교과서에 기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래 들어 외국에서 값싼 면화가 수입되면서, 문익점이 목화씨를 최초로 뿌렸다는 경남 산청군 조차도 목화 시배지와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을 뿐 재배농가는 거의 없어, 목화 재배의 명맥은 우리나라에서 끊어질 실정에 놓여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학생 또는 일반인으로 하여금 목화의 생육 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목화를 이용한 솟대를 제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형감을 향상시키고, 목화 재배 농가의 수입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솟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은,
1 이상의 열매, 상기 열매 각각이 열린 분지(分枝) 부분 및 상기 분지 부분과 연결된 줄기 부분이 함께 포함되도록 목화를 채취하는 채취 단계; 채취된 상기 목화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상기 분지 부분과 상기 줄기 부분을 각각 새의 목과 머리 형상으로 하고, 상기 열매를 새의 몸통 형상으로 상기 목화를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목화를 받침대와 이격시켜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취 단계는, 상기 목화의 원줄기를 절단하여 채취하되,
상기 원줄기는 벌어지지 않은 상태의 1 이상의 열매와, 벌어진 상태의 1 이상의 열매를 함께 갖고 있는 시점에서 절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공 단계는, 상기 열매 중 벌어진 상태의 열매 내부로부터 솜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열매 중 벌어진 상태의 열매 껍질을 구성하는 복수의 씨방 일부를 제거하여 새의 날개 형상으로 가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받침대에 1 이상의 지지대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몸통 또는 단부에 가공된 1 이상의 상기 열매를 결합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해당하는 솟대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에 의하면, 솜의 채취 목적으로만 활용 가능하였던 목화의 열매, 분지 및 줄기 부분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습의 새 형상을 갖는 솟대 제작이 가능함으로써 농가의 소득원이 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발육 상태를 갖는 목화 열매로부터 다양한 형상의 솟대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 과정 중 조형감을 키울 수 있으며, 목화의 생육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어 교육적 효과 또한 크다.
도 1, 2는 종래의 솟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채취 후 건조된 목화 사진.
도 4는 목화의 열매, 분지 부분 및 줄기 부분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목화 열매에서 솜을 제거하는 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6은 목화의 줄기 부분의 양단을 절단하는 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목화 줄기 부분을 새의 머리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새의 머리 형상에 눈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9는 목화를 이용해 새를 형상화한 사진.
도 10은 채취 후 건조된 오죽 사진.
도 11은 가공된 오죽을 새의 날개 부분에 접착하는 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12는 오죽을 이용하여 받침대에 설치한 솟대 사진.
도 13은 목화 열매의 씨방 1개로 구성한 다른 솟대 사진.
도 14는 목화 열매의 씨방 2개로 구성한 다른 솟대 사진.
도 15는 목화 열매의 씨방로부터 솜을 제거하지 않고 구성한 다른 솟대 사진.
도 16은 착색한 다른 솟대 사진.
도 17은 1개의 지지대에 복수의 새가 형상화된 다른 솟대 사진.
도 18은 1개 받침대에 복수개의 지지대가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새가 형상화된 다른 솟대 사진.
본 발명의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은, 먼저 목화를 채취하는 채취 단계, 채취된 목화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건조된 목화를 새 형상으로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가공된 목화를 받침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면상의 사진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단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채취 단계
열매를 열린 목화를 적어도 1 이상의 열매, 상기 열매 각각이 열린 분지(分枝) 부분 및 상기 분지 부분과 연결된 줄기 부분이 함께 포함되도록 채취한다.
여기서 분지(分枝) 부분(120)이란, 도 4와 같이 줄기 부분(130)에서 갈라져 나온 가지를 의미하며 그 단부에는 열매(110)가 열려 있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목화의 원줄기(140)를 절단하여 채취한다. 여기서 원줄기(140)는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다. 이때, 목화의 채취 시점은, 원줄기(140)에 벌어지지 않은 미성숙된 열매와, 벌어져 성숙한 열매가 함께 매달려 있는 때로 하는 것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새를 형상화하기에 적합하다.
2. 건조 단계
채취한 목화는 그늘에서 건조한다. 물론 열풍 건조도 가능하나 목화 열매의 형태를 자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늘에서 서서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건조 단계를 거침으로써 열매의 형태가 장기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원줄기(140)를 절단하여 채취한 목화를 건조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의하면 솜이 터져 나온 다수개의 열매와 솜이 터지지 않은 열매가 함께 있음을 알 수 있다.
3. 가공 단계
건조된 목화의 분지 부분(120)과 줄기 부분(130)을 각각 새의 목과 머리 형상으로 하고, 열매(110)를 새의 몸통 형상으로 가공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4와 같이 줄기 부분(130)의 일단을 절단하고, 도 5와 같이 열매(110)로부터 솜을 제거한 후, 도 6과 같이 줄기 부분(130)의 타단을 절단한다. 그 후, 도 7과 같이 칼을 이용하여 줄기 부분(130)을 긴 부를 갖는 새의 머리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에 의해 분지 부분(120)은 자연스럽게 새의 목 부분을 나타낸다. 이때 열매(110) 주변에 붙어있는 잎 등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새의 머리 부분은 도 8과 같이, 새의 눈이 표현되도록 물감 등을 이용하여 채색할 수도 있다. 그 이외에 식물의 검은 씨앗을 부착시킴으로써 눈을 표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 도 9와 같이, 새의 몸통과 목 및 머리 부분의 형상화가 완료된다.
4. 고정 단계
새의 몸통, 목 및 머리 부분이 형상된 가공된 목화를 받침대(160)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대(150)로서 오죽(烏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160)는 어떠한 형태여도 무방하며, 주위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나무 토막도 사용 가능하다.
지지대(150)로서 사용되는 오죽은 도 10과 같이 가느다란 가지 부분을 채취하여 건조한 후 사용한다. 오죽은 그 굵기가 가늘면서도 탄성 및 강도가 높아 지지대(150)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건조한 오죽은 지지대(150)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잔가지를 제거하는 등의 가공을 한 후, 도 12와 같이 받침대(160)에 하단을 결합시키고, 상단에는 열매(110) 즉, 새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분을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부재로서는 아교와 같은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작된 솟대는 그 미감이 높아 장식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자연물만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어 학생 또는 일반인으로 하여금 체험 학습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단계를 거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솟대의 제작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새를 형상화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3과 같이, 목화 열매의 씨방 1개만을 남겨 놓고 나머지 씨방을 제거함으로써 하나의 씨방 형태만으로 새가 날개를 접고 있는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씨방'은 열매의 여러 껍질을 의미하며, 목화 열매의 경우 통상 4개로 이루어져 있고, 그 사이에는 솜이 들어 있다.
또는 도 14와 같이, 목화 열매의 씨방 2개를 남겨 놓음으로써 2개의 날개를 펼친 새 형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는, 도 15와 같이 열매의 솜을 제거하지 않은 채로 새를 형상화할 수 있다.
또는, 도 16과 같이 열매의 씨방 부분에 채색을 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거나 실제 새 형상에 접근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7과 같이 2 이상의 가지를 구비하는 지지대(150)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지지대(150)에 여러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새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8과 같이, 하나의 받침대(160)에 2 이상의 지지대(150)를 결합시킨 후 각 지지대(150)에 다양한 형상의 새를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독특한 형상의 솟대 제작이 가능하다. 이때 목화의 열매의 생육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발육 순서에 맞는 각각의 열매를 이용하여 새를 형상화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고, 이들의 균등물 내지 변형물에까지 그 효력이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0 : 열매
120 : 분지 부분
130 : 줄기 부분
140 : 원줄기
150 : 지지대
160 : 받침대

Claims (6)

1 이상의 열매, 상기 열매 각각이 열린 분지(分枝) 부분 및 상기 분지 부분과 연결된 줄기 부분이 함께 포함되도록 목화를 채취하는 채취 단계;
채취된 상기 목화를 건조하는 건조 단계;
상기 분지 부분과 상기 줄기 부분을 각각 새의 목과 머리 형상으로 하고, 상기 열매를 새의 몸통 형상으로 상기 목화를 가공하는 가공 단계; 및
가공된 상기 목화를 받침대와 이격시켜 고정하는 고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 단계는,
상기 목화의 원줄기를 절단하여 채취하되,
상기 원줄기는 벌어지지 않은 상태의 1 이상의 열매와, 벌어진 상태의 1 이상의 열매를 함께 갖고 있는 시점에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단계는,
상기 열매 중 벌어진 상태의 열매 내부로부터 솜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단계는,
상기 열매 중 벌어진 상태의 열매 껍질을 구성하는 복수의 씨방 일부를 제거하여 새의 날개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받침대에 1 이상의 지지대 하단을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몸통 또는 단부에 가공된 1 이상의 상기 열매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솟대.
KR1020130064901A 2013-06-05 2013-06-05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KR101431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901A KR101431149B1 (ko) 2013-06-05 2013-06-05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901A KR101431149B1 (ko) 2013-06-05 2013-06-05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149B1 true KR101431149B1 (ko) 2014-08-18

Family

ID=5175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901A KR101431149B1 (ko) 2013-06-05 2013-06-05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86B1 (ko) 2015-03-20 2015-08-24 유현규 목화송이를 이용하여 장식용품을 제작하는 방법
CN109832135A (zh) * 2019-03-13 2019-06-04 中国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一种棉花的种植方法及利用其棉花制备干花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198A (ja) 2000-01-21 2001-07-24 Isamu Niikura 装飾品
KR200384298Y1 (ko) 2004-12-17 2005-05-16 구춘서 자연 학습 교재
KR20110006468U (ko) * 2009-12-21 2011-06-29 심재연 장식용 솟대
KR20120001722U (ko) * 2010-07-28 2012-03-09 김근수 연필꽂이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198A (ja) 2000-01-21 2001-07-24 Isamu Niikura 装飾品
KR200384298Y1 (ko) 2004-12-17 2005-05-16 구춘서 자연 학습 교재
KR20110006468U (ko) * 2009-12-21 2011-06-29 심재연 장식용 솟대
KR20120001722U (ko) * 2010-07-28 2012-03-09 김근수 연필꽂이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86B1 (ko) 2015-03-20 2015-08-24 유현규 목화송이를 이용하여 장식용품을 제작하는 방법
CN109832135A (zh) * 2019-03-13 2019-06-04 中国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一种棉花的种植方法及利用其棉花制备干花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9791B (zh) 一种杂交马尾松的人工授粉育种方法
CN103782807A (zh) 一种木本苗木嫁接多花色苗木的方法
KR101431149B1 (ko)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CN103283496A (zh) 一种花束式垂樱梅造型方法
CN106665245A (zh) 一种矮生紫薇的多干自然开心形整形修剪方法
CN105336310B (zh) 一种竹制吹奏乐器埙的制作方法
CN201380712Y (zh) 一种装饰品
CN103568681A (zh) 一种叶贴画的制作方法
CN104118259A (zh) 花椒树杆枝加工芳香型木珠工艺品的方法
CN108486036B (zh) 一种毛白杨胚囊的分离方法
CN104641945A (zh) 一种白蜡嫁接多种丁香(蜡丁香)的方法
CN201518769U (zh) 一种变色叶脉花
KR100635105B1 (ko)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de Moura et al. Cultivars, conduction, photoperiodic and quality chrysanthemum in Brazil
CN104541860A (zh) 轻巧型火龙果盆栽的制作工艺
Ghosh Sholapith Craft of West Bengal: An Overview
Mir et al. Preparation of leaf venation skeletons of leaves for dry flower arrangement
Mir et al. Review of literature on dry flowers
CN201195461Y (zh) 一种装饰挂件
CN103535271A (zh) 杜鹃红山茶品种繁育方法
Kurniawan et al. Phenology and morphological flower of Prunus cerasoides Buch.-Ham. ex D. Don
CN201905062U (zh) 一种定向培养各种形态灵芝盆景的模具
JP2018035455A (ja) 植物の実を材料とした装飾体
CN108207382A (zh) 一种罗汉松造型的方法
KR101546486B1 (ko) 목화송이를 이용하여 장식용품을 제작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