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105B1 -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105B1
KR100635105B1 KR1020060057120A KR20060057120A KR100635105B1 KR 100635105 B1 KR100635105 B1 KR 100635105B1 KR 1020060057120 A KR1020060057120 A KR 1020060057120A KR 20060057120 A KR20060057120 A KR 20060057120A KR 100635105 B1 KR100635105 B1 KR 10063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us
rice
cut
attaching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경
Original Assignee
김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경 filed Critical 김혜경
Priority to KR1020060057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3/00Designs characterised by outlin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연실을 활용하여 각종 장식구로 제작함으로써 인공미가 아닌 자연미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꽃잎이 떨어진 후 여문 벌집 모양의 연실(10)을 수확하여 그늘에서 20~40일 동안 건조시킨 다음 질 좋은 것만을 선별하는 건조 및 선별단계와; 선별된 연실(10)의 단부에 형성된 연꽃의 열매부분인 연밥부(12)를 채취하기 위해 연실(1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를 수평으로 절단하되, 다수의 연밥(13)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연밥부(12)의 보강을 위해 연밥부(12)의 절단면과 동일 형상으로 지지판(17)을 형성시킨 다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절단면에 상기 지지판(17)을 부착시키는 지지판 부착단계와; 상기 연밥(13) 내부에 깨끗이 세척하여 선별된 연씨(15)를 삽입시켜 부착시키되, 상기 연씨(15)는 전통색인 오간색 및 오방색을 착색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자연적인 고유의 색을 지닌 상태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연씨 부착단계와; 연씨(15)의 부착 후 외부의 압력 및 습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연밥부(12)의 외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니스칠을 하여 보강시키는 보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실, 연밥, 지지판, 연씨, 액세서리

Description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S USING A LOTUS PIP}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의 절단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밥부와 지지판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연밥부의 연밥에 연씨를 삽입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의 사용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일부분이 절단되어 디자인된 연밥부로 제조한 장식구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실 12: 연밥부
13: 연밥 15: 연씨
17: 지지판 20: 연결끈
25: 연결핀
본 발명은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연실을 활용하여 각종 장식구로 제작함으로써 인공미가 아닌 자연미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꽃(Nymphaea)은 미시(오후 1-3시)에 꽃이 피어 미초 또는 한낮에 핀다하여 자오련이라 불리기도 하며, 원산지는 아시아 남부, 북호주이고, 연못에서 크며 잎 지름이 약 40㎝, 잎자루 높이가 1-2m, 꽃 지름이 15-20㎝, 꽃턱 지름이 약10㎝인 쌍떡잎 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 수초이다.
연꽃은 꽃잎이 떨어지면 벌집 모양의 열매가 10월중에 갈색으로 익으며, 그 속에는 타원형의 씨앗이 들어 있는 것으로, 연꽃이 지고 나면 생기는 열매를 연실이라 부른다.
상기 연꽃은 암술과 수술이 한 꽃안에 있는 양성화이며, 한 꽃에 300개 정도의 수술과 40개 전후의 암술 그리고 화탁으로 구성되며, 꽃잎은 백색 긴 타원형으로 한 꽃에 18-26개의 꽃잎이 붙어 있으며, 수정후 1.5㎝크기의 연밥이 생기고 이 연밥안에는 15-25개의 검은색 씨가 있으며, 잘 익은 종자의 수명은 500년 정도이다.
연꽃은 진흙속과 같은 흙탕물속에서 자라면서도 맑은 꽃을 피우게되어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서, "순결", "청순한 마음" 이란 꽃말을 가지며, 씨주머니속에 많은 씨앗을 담고 있으므로, 풍요(豊饒), 행운, 번영, 장수, 건강 및 명예와 다산(多産)을 상징하며, 그림이나 건축물, 의복, 자수 등에 연꽃을 많이 새기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연꽃의 연밥은 한방에서 신허요통, 조루, 양기부족의 치료약으로 중요하게 사용되며, 마음을 가라앉히는 약효가 뛰어나 스트레스나 신경과민, 우울증 등에 대한 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으며, 만성적인 소화 불량 및 어린이의 야뇨증에도 효과가 있으며, 맛이 담백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단맛을 지니고 있어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연실은 한방재료 또는 식용재료로만 사용될 뿐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미비하며 자연 그대로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최근들어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도 불구하고 성형기계에 의한 일체로 성형된 액세서리 등의 장식구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자연 친화적인 수공예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연실을 활용하여 자연 친화적인 수공예품 즉, 액세서리 등의 각종 장식구로 제작함으로써 인공미가 아닌 자연미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는 이로 하여금 색다른 고풍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꽃잎이 떨어진 후 여문 벌집 모양의 연실을 수확하여 그늘에서 20~40일 동안 건조시킨 다음 질 좋은 것만을 선별하는 건조 및 선별단계와; 선별된 연실의 단부에 형성된 연꽃의 열매부분인 연밥부를 채취하기 위해 연실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를 수평으로 절단하되, 다수의 연밥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연밥부의 보강을 위해 연밥부의 절단면과 동일 형상으로 지지판을 형성시킨 다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절단면에 상기 지지판을 부착시키는 지지판 부착단계와; 상기 연밥 내부에 깨끗이 세척하여 선별된 연씨를 삽입시켜 부착시키되, 상기 연씨는 전통색인 오간색 및 오방색을 착색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자연적인 고유의 색을 지닌 상태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연씨 부착단계와; 연씨의 부착 후 외부의 압력 및 습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연밥부의 외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니스칠을 하여 보강시키는 보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의 절단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연밥부와 지지판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연밥부의 연밥에 연씨를 삽입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을 이 용한 장식구의 사용상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일부분이 절단되어 디자인된 연밥부로 제조한 장식구의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은 연실의 건조 및 선별단계와, 절단단계와, 지지판 부착단계와, 연씨 부착단계와, 보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 및 선별단계에서는 꽃잎이 떨어진 후 서리 맞기 전 여문 상태의 연실(10)을 수확하여 그늘에서 20~40일 동안 90% 이상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연실(10) 중 질 좋은 것만을 선별하도록 하고, 선별된 연실(10)의 연밥부(12)만을 채취하기 위해 절단기 또는 절단칼을 이용하여 연실(1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를 수평으로 절단한다.
이때, 상기 연밥부(12)의 구비된 다수의 연밥(13)의 개구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7과 같이 상기 연밥부(12)가 여러가지 형상을 갖도록 연밥부(12)의 연밥(13)과 연밥(13) 사이를 재차 절단하여 디자인할 수 있다.
상기 연밥부(12)를 채취한 후에는 연밥부(12)의 보강을 위해 연밥부(12)의 절단면과 동일 형상으로 지지판(17)을 형성시킨 다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절단면에 상기 지지판(17)을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판(17)은 한지를 여러장 부착시켜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시킨 것을 사용하거나 플라스틱판 또는 상기 연밥부(12)를 지지할 수 있는 다른 재 질로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때 상기 지지판(17)은 상기 연밥부(12)의 색과 유사한 색을 지니도록 착색시킨 상태로 부착시키도록 한다.
이 후, 상기 연밥(13) 내부에 연씨(15)를 삽입시켜 부착시키기 위해 상기 연씨(15)를 깨끗이 세척하여 질 좋은 것만을 선별한 다음 외주면에 전통색인 오간색 및 오방색을 착색시킨 후 완전히 건조시키거나 연씨(15) 본래의 자연적인 고유색을 지닌 상태로 부착시키도록 하며, 이 경우 상기 연씨(15)는 자연 그대로 또는 절반 가량 절개시켜 부착시킬 수 있으며, 전통색이 아닌 다른 여러가지 색깔로 착색시킬 수도 있다.
상기 연씨(15)의 부착 후에는 상기 연밥부(12)가 외부의 압력 및 습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밥부(12)의 외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니스칠을 하여 보강시킴으로써 장식구를 완성한다.
이때, 완성된 장식구를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서리(타이슬링, 머리핀 등)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상기 지지판(17)에 연결끈(20)이나 연결핀(25)을 구비시켜 사용하면 된다.
[ 실시예 ]
건조 및 선별단계
10월경 연꽃의 꽃잎이 떨어진 후 여문 벌집 모양의 연실(10)을 수확하되, 침수되지 않은 연실만을 수확하여 그늘에서 20~40일 동안 90% 이상 건조시키고, 건조 후 형태가 바뀌거나 비틀린 것을 제외한 질 좋은 것만을 선별한다.
절단단계
선별된 연실(10)의 단부에 형성된 연꽃의 열매부분인 연밥부(12)를 채취하는데, 이때, 연밥부(12)에 형성된 다수의 연밥(13)은 장식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좌우하는 주요부분이므로 연밥(13)의 개구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히 채취하고, 채취시에는 연실(10)의 단부 즉, 연밥부(12)에 너무 근접하게 절단시키지 않도록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를 절단시켜 연밥부(12)가 손상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연실(10)의 연밥부(12) 절단시 보다 매끄럽게 절단되도록 예리한 절단기 또는 절단칼을 이용한다.
지지판 부착단계
연밥부(12)를 보강시키기 위해 절단면에 지지판(17)을 부착시키는데, 상기 지지판(17)은 상기 연밥부(12)의 절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시킨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판(17)은 여러장의 한지를 붙여 일정 두께로 만들거나 플라스틱판을 사용하면 된다.
연씨 부착단계
상기 연밥(13) 내부에 깨끗이 세척하여 선별된 연씨(15)를 삽입시켜 부착시키되, 상기 연씨(15)는 전통색인 오방색 및 오간색을 착색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자연적인 고유의 색을 지닌 상태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상기 오방색은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색으로 청(靑), 황(黃), 적(赤), 백(白), 흑(黑) 5종류의 색이고, 상기 오간색은 오방색의 간색으로서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 라 옛부터 오방색 및 오간색의 조화를 중시하였다.
보강단계
연씨(15)의 부착 후에는 강도 향상 및 습기의 침투를 저하시켜 외부의 압력 및 습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연밥부(12)의 외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니스칠을 하여 보강시킴으로써 장식구를 완성하고, 사용용도에 맞춰 별도의 연결끈이나 연결핀을 구비시켜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구를 제조함에 있어, 상기 연밥부(12)를 재차 절단하여 원형 또는 타원형이 아닌 다양한 형상을 갖는 연밥부(12)로 디자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연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연실을 활용하여 자연 친화적인 수공예품 즉, 액세서리 등의 각종 장식구로 제작함으로써 인공미가 아닌 자연미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보는 이로 하여금 색다른 고풍적 이미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산업화에 익숙한 현대인에게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꽃잎이 떨어진 후 여문 벌집 모양의 연실(10)을 수확하여 그늘에서 20~40일 동안 건조시킨 다음 질 좋은 것만을 선별하는 건조 및 선별단계와;
    선별된 연실(10)의 단부에 형성된 연꽃의 열매부분인 연밥부(12)를 채취하기 위해 연실(10)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를 수평으로 절단하되, 다수의 연밥(13)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연밥부(12)의 보강을 위해 연밥부(12)의 절단면과 동일 형상으로 지지판(17)을 형성시킨 다음 접착제를 이용하여 절단면에 상기 지지판(17)을 부착시키는 지지판 부착단계와;
    상기 연밥(13) 내부에 깨끗이 세척하여 선별된 연씨(15)를 삽입시켜 부착시키되, 상기 연씨(15)는 전통색인 오간색 및 오방색을 착색시킨 후 건조시키거나 자연적인 고유의 색을 지닌 상태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연씨 부착단계와;
    연씨(15)의 부착 후 외부의 압력 및 습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연밥부(12)의 외주면에 스프레이 코팅 또는 니스칠을 하여 보강시키는 보강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단계를 통해 저부가 절단된 연밥부(12)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상 기 연밥부(12)의 연밥(13)과 연밥(13) 사이를 재차 절단하여 디자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KR1020060057120A 2006-06-23 2006-06-23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KR10063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120A KR100635105B1 (ko) 2006-06-23 2006-06-23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120A KR100635105B1 (ko) 2006-06-23 2006-06-23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5105B1 true KR100635105B1 (ko) 2006-10-18

Family

ID=3762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120A KR100635105B1 (ko) 2006-06-23 2006-06-23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1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04B1 (ko) 2007-08-02 2009-05-18 이원구 말린 연씨집을 이용한 학습교재
KR100968480B1 (ko) * 2007-12-11 2010-07-09 구덕진 연밥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04B1 (ko) 2007-08-02 2009-05-18 이원구 말린 연씨집을 이용한 학습교재
KR100968480B1 (ko) * 2007-12-11 2010-07-09 구덕진 연밥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91937B (zh) 单枞尖头多瓣茉莉花茶的制备方法
CN102100724A (zh) 杜仲枝干根加工杜仲皮和制作工艺品的方法
KR100635105B1 (ko) 연실을 이용한 장식구 제조방법
US3525659A (en) Artificial dwarf tre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8162668A (zh) 一种用树叶制作工艺品的方法
KR101420861B1 (ko) 꼬아진 인삼 형상의 성형품 더덕주 제조용 더덕 재배방법 및 성형더덕
CN208228421U (zh) 仿真景观植物
CN201479631U (zh) 盆栽塑形结构
CN209756604U (zh) 一种花香铜鼓工艺品挂件
KR101431149B1 (ko)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CN110663906A (zh) 一种柿饼制作方法
CN105123312B (zh) 一种以枳壳为砧木的观赏果树盆栽根艺定型处理方法
CN220088669U (zh) 仿真非洲菊
CN106359061A (zh) 一种丝瓜瓤制作空气凤梨生长兜的方法
Norton Technology of plant materials used in artifacts
CN214083674U (zh) 一种蚕茧花型绣球
CN1032922A (zh) 灵芝盆景制作方法
CN106305402A (zh) 一种利用丝瓜瓤制作空气凤梨的养殖套筒的方法
CN210641535U (zh) 一种藤编花盆
KR200325495Y1 (ko) 부조,환조형 농작물
CN2417731Y (zh) 麻绒花
Li Chinese flower arrangement
Day Nature in Ornament
CN1231365C (zh) 用榛树穗花制作的工艺品
Novellino Weaving traditions from Island Southeast Asia: Historical Context and Etnobotanical knowle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