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468U - 장식용 솟대 - Google Patents

장식용 솟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468U
KR20110006468U KR2020090016613U KR20090016613U KR20110006468U KR 20110006468 U KR20110006468 U KR 20110006468U KR 2020090016613 U KR2020090016613 U KR 2020090016613U KR 20090016613 U KR20090016613 U KR 20090016613U KR 20110006468 U KR20110006468 U KR 201100064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e
tunnel
pole
bird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연
Original Assignee
심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연 filed Critical 심재연
Priority to KR2020090016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468U/ko
Publication of KR201100064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4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2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wood grain effec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솟대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무나 합성수지, 금속 등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몸체 내부에 오목하게 동굴을 형성하거나, 몸체 내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상기 동굴이나 터널 내부의 바닥에 장대를 세우고 상기 장대 위에 새를 올려서 제작된 솟대를 일반가정이나 관공서 등의 사무실에 실내 장식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국내외의 유명 관광지의 관광상품으로 상품화하여 우리 고유의 민속문화를 국내는 물론 외국에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통형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오목하게 동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동굴의 양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동굴바닥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동굴바닥에는 2개 내지 5개의 장대를 세우고, 상기 장대 위에 새를 올려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솟대를 제공한다.
장식용 솟대, 장대, 터널, 동굴

Description

장식용 솟대{The decorative wood-bird}
본 고안은 장식용 솟대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무나 합성수지, 금속 등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몸체 내부에 오목하게 동굴을 형성하거나, 몸체 내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한 후, 상기 동굴이나 터널 내부의 바닥에 장대를 세우고 상기 장대 위에 새를 올려서 제작된 솟대를 일반가정이나 관공서 등의 사무실에 실내 장식용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국내외의 유명 관광지의 관광상품으로 상품화하여 우리 고유의 민속문화를 국내는 물론 외국에도 널리 알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솟대는 마을공동체 신앙의 하나로 음력 정월 대보름에 동제(洞祭)를 올릴 때 마을의 안녕과 수호, 풍농을 위하여 마을 입구에 세운다. 홀로 세워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장승·선돌·탑·신목 등과 함께 세우기도 한다. 솟대 위의 새는 대개 오리라고 불리며 일부 지방에서는 까마귀·기러기·갈매기·따오기·까치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솟대 신앙은 물을 상징하는 물새들을 장대 위에 세움으로써 마을의 안녕과 풍농을 보장하는 마을 신의 하나로 삼았다. 풍수지리설과 과거급제에 의한 입신양명의 풍조가 널리 퍼짐에 따라서 행주형(行舟形) 솟 대에 돛대로서 세우는 짐대와 급제를 기원하는 화주대(華柱臺)로 분화·발전되었다. 솟대의 기원은 청동기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 분포는 만주·몽골·시베리아·일본에 이르는 광범한 지역이다. 이는 솟대가 북아시아 샤머니즘 문화권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신앙물임을 알려준다. 솟대는 형태를 기준으로 솟대·짐대·돛대·설대·새대·장승대 등으로 구분되고, 기능을 기준으로 수살·추악대·진목·소줏대·표줏대·효대 등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동제와 관련해서는 당산·진또배기·별신대·성황대, 세워진 위치에 따라서는 거릿대·갯대, 의인화를 기준으로 해서는 거릿대장군님·대장군님·당산할머니·당산할아버지·진또배기 서낭님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은 모두 신간(信竿)으로서의 기능과 성격을 지닌다.
상기 솟대는 큰 장대에 새를 올려놓기 때문에 집안이 아닌 마을입구에 세워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사회가 발전해가면서 민속문화가 잊혀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잊혀져 가는 민속문화를 알리기 위하여 커다란 솟대를 작게 만들어 집안에 설치하여 볼 수 있도록 장식용으로 제작하고 또 솟대 만들기 체험 행사도 많이 한다.
이와 같이 솟대는 단순하게 받침대 위에 장대를 세워 그 위에 새를 올려놓는 것으로 단순하게 제작되고 있다. 그래서 상품가치가 크지 않아 관광상품으로 개발이 잘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우리 고유의 민속문화로 잘 알려진 솟대를 집 밖의 마을 어귀가 아닌 집안에 설치할 수 있는 장식용으로 개발함은 물론 관광상품으로도 개발하여 우리 고유의 민속 문화유산을 자라나는 어린이들은 물론 외국인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단순하게 받침대에 장대를 세워 새를 올려놓은 것이 아니라 석굴암과 같이 실내 분위기에 맞게 제작된 몸체에 동굴을 파서 그 내부에 장대를 세워 새를 올려놓거나, 아니면 몸체의 전후면이 관통된 터널을 만들어 터널 내부에 장대를 세워 새를 올려놓음으로써 솟대의 아름다움을 간직함과 동시에 실내 분위기를 아름답게 조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통형의 몸체(1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오목하게 동굴(20)을 형성함과 동시에 동굴(20)의 양 측면(21)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동굴바닥(30)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동굴바닥(30)에는 2개 내지 5개의 장대(40)를 세우고, 상기 장대(40) 위에 새(50)를 올려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솟대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통형의 몸체(60)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60)의 내부를 관통하여 터널(70)을 형성함과 동시에 터널(70)의 양 측면(71)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터널바닥(80)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터널바닥(80)에는 2개 내지 5개의 장대(90)를 세우고, 상기 장대(90) 위에 새(100)를 올려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솟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 내부의 바닥에 장대를 세우고 새를 올려놓아 장식용은 물론 관광상품으로 솟대를 개발하였기 때문에, 우리 고유의 민속문화를 보전함과 동시에 그 민속문화를 세계에 널리 보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솟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솟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솟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솟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솟대에 대한 구성을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통형의 몸체(10)를 형성한다. 이때 나무로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0)는 산에서 고사된 나무(필요에 따라서는 생나무도 가능)의 가지나 기둥을 잘 활용하면 된다.
상기 원통형의 몸체(10)는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오목하게 동굴(20)을 형성하고, 동굴(20)의 높이는 장대(40)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형성한다. 또한, 몸체(10)에 형성된 동굴(20)의 양 측면(21)은 상부면의 외각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하부로 내려올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동굴바닥(30)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한다. 이때 동굴(20)의 깊이는 양 측면보다 안쪽으로 오목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동굴바닥(30)에는 2개 내지 5개 정도의 장대(40)를 서로 다른 높이로 세우고, 상기 장대(40) 위에 새(50)를 올려놓은 구성이다. 상기 장대(40)와 새(50)를 나무로 설치할 때는 칼로 잘 다듬어서 만들면 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성형기에서 예쁘게 성형하면 된다.
이때 상기 나무로 형성된 몸체(10)의 동굴(20)은 칼로 내부를 오목하게 파서 동굴을 형성하면 되고, 합성수지나 금속은 미리 몸체(10)의 내부에 동굴(20)을 형성하여 성형기에서 성형하면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솟대 제작에 대한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동굴(20)의 동굴바 닥(30)에 기다란 장대(40)를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하여 장대(40) 위에 새(50)를 올려놓으면 실내 장식용 솟대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장식용 솟대를 관광 상품으로 포장하여 공항은 물론 유명 관광지에 널리 보급하여 우리의 민속문화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솟대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통형의 몸체(60)를 형성한다. 이때 나무로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60)는 산에서 고사된 나무(필요에 따라서는 생나무도 가능)의 가지나 기둥을 잘 활용하면 된다.
상기 원통형의 몸체(60)는 도 4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여 터널(70)을 형성하고, 터널(70)의 높이는 장대(80)의 높이에 따라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형성한다. 또한, 몸체(60)에 형성된 터널(70)의 양 측면(71)은 상부 면의 외각을 따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하부로 내려올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터널바닥(80)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한다. 이때 터널(70)은 몸체(6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터널바닥(80)에는 2개 내지 5개 정도의 장대(90)를 서로 다른 높이로 세우고, 상기 장대(90) 위에 새(100)를 올려놓은 구성이다. 상기 장대(90)와 새(100)를 나무로 설치할 때는 칼로 잘 다듬어서 만들면 되고,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성형기에서 예쁘게 성형하면 된다.
이때 상기 나무로 형성된 몸체(60)의 터널(70)은 칼로 내부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하면 되고, 합성수지나 금속은 미리 몸체(60)의 내부에 터널(70)을 형성하여 성형기에서 성형하면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솟대 제작에 대한 실시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60)의 내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터널(70)의 터널바닥(80)에 기다란 장대(90)를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하여 장대(90) 위에 새(100)를 올려놓으면 실내 장식용 솟대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장식용 솟대를 관광 상품으로 포장하여 공항은 물론 유명 관광지에 널리 보급하여 판매 우리의 민속문화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솟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솟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솟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솟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60. 몸체 20. 동굴
30. 동굴바닥 40, 90. 장대
50, 100. 새 70. 터널
80. 터널바닥

Claims (2)

  1.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통형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오목하게 동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동굴의 양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동굴바닥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동굴바닥에는 2개 내지 5개의 장대를 세우고, 상기 장대 위에 새를 올려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솟대.
  2. 나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원통형의 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를 관통하여 터널을 형성함과 동시에 터널의 양 측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올수록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터널바닥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터널바닥에는 2개 내지 5개의 장대를 세우고, 상기 장대 위에 새를 올려놓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솟대.
KR2020090016613U 2009-12-21 2009-12-21 장식용 솟대 KR201100064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13U KR20110006468U (ko) 2009-12-21 2009-12-21 장식용 솟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613U KR20110006468U (ko) 2009-12-21 2009-12-21 장식용 솟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468U true KR20110006468U (ko) 2011-06-29

Family

ID=4929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613U KR20110006468U (ko) 2009-12-21 2009-12-21 장식용 솟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46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49B1 (ko) * 2013-06-05 2014-08-18 정연대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49B1 (ko) * 2013-06-05 2014-08-18 정연대 목화를 이용한 솟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lan Coba: A classic Maya metropolis
Sathāpitānon et al. Architecture of Thailand: A guide to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forms
Amir Canopy gaps and the natural regeneration of Matang mangroves
Kumar Vernacular practices: as a basis for formulating building regulations for hilly areas
Mare The archaeology of the Jerusalem area
Herrle et al. Tibetan Houses: vernacular architecture of the himalayas and environs
Ansari The Islamic Garden
Genz The Northern Levant
CN103109696B (zh) 一种千屈菜科紫薇属植物的山水盆景式艺术造型法
KR20110006468U (ko) 장식용 솟대
Patidar et al. Vernacular to modern in the search of sustainable development
Rądkowska et al. Exotic cults in Roman Berenike? An investigation into two temples in the harbour temenos
İmamoğlu et al. A fantasy in Central Anatolian architectural heritage: Dove cotes and towers in Kayseri
Chattopadhyaya Living Tradition: A Study of Prehistoric Rock-paintings and Indigenous Art from District Sonbhadra, Southern Uttar Pradesh, India
Seth Jammu—the city of temples
Jurasek The Depth of Death: Investigating the Mortuary Pattern of an Ancient Maya Chultun
Schwarzer The tree canopy as blueprint
Bowe The early development of garden making c. 3000–c. 2000 BCE
Thorn and James Copland Thorn A gazetteer of the Cyrene necropolis: from the original notebooks of John Cassels, Richard Tomlinson and James and Dorothy Thorn
Dematte Travel and landscape: The Zuo river valley rock art of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China
Kaczynska et al. The church garden as an element shaping the quality of city life–a case study in southern Warsaw
Bowe Garden making in the second millennium BCE c 2000 BCE–c 1000 BCE
Okilj et al. The architecture of the Ukrainian national minority in the Republic of Srpska
Shushunova et al. Principles of biological architecture and green construction certification of modern buildings
Nonaka The aviaries of the Farnese Gardens on the Palatine: Roman antiquity, the Levant, and the architecture of garden pavil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