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0913B1 -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0913B1
KR101430913B1 KR1020120082610A KR20120082610A KR101430913B1 KR 101430913 B1 KR101430913 B1 KR 101430913B1 KR 1020120082610 A KR1020120082610 A KR 1020120082610A KR 20120082610 A KR20120082610 A KR 20120082610A KR 101430913 B1 KR101430913 B1 KR 101430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se
guide
stag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835A (ko
Inventor
성낙승
Original Assignee
성낙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낙승 filed Critical 성낙승
Priority to KR1020120082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09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7/00Boring by making use of ultrason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26Perforating by non-mechanical means, e.g. by fluid jet

Abstract

본 발명은 캠(cam)에 의해 가공침(바늘)의 유동을 생성하여 소재의 홀(hole)가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는, 캠(cam)으로 이루어져 요동운동을 생성하는 요동캠(120)과; 상기 요동캠(120)의 유동에 따라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유동하는 상하축(140)과; 상기 상하축(140)의 하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중앙부에 홀(hole)을 성형하는 가공침(170)과; 소재가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테이블(200)과; 상기 테이블(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테이블구동수단(220)과; 상기 테이블(200)의 소재안착부(210)에 놓인 소재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단(300)과;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조절하는 고정단조절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공침의 낌이 방지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Device for hole in drawing dies}
본 발명은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캠(cam)에 의해 가공 바늘의 유동을 생성하여 가공침(바늘)에 의한 홀(hole)가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발다이스는, 가는 환봉이나 철사와 같은 가는 금속선을 인발로 뽑아내기 위해 사용하는 부품이다.
이러한 인발다이스의 중앙에는, 인발되는 제품의 직경에 대응되는 가는 홀(hole)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hole)은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홀(hole)의 가공을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2885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진동자의 초음파를 이용하는 장치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초음파를 이용한 장치는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홀(hole) 가공시 침(니들)의 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8857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캠작용에 의해 홀(hole)을 가공하는 바늘(가공침)의 떨림을 발생시킴으로써 바늘의 낌이 방지되고 가공침에 의한 홀(hole) 가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공침(바늘)이 소재와 접촉하기 위해 이동하는 하강속도와 상승속도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가공침의 파손이 방지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늘(가공침)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고, 정기적으로 가공침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구성되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회전모터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캠(cam)으로 이루어져 요동운동을 생성하는 요동캠과; 상기 요동캠의 내측에 전후로 설치되며, 상기 요동캠에 의해 상하좌우로 유동하는 정지축과; 상기 정지축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정지축의 유동에 따라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유동하는 상하축과; 상기 상하축이 관통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단과; 상기 지지단과 케이스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단이 탄성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인장스프링과; 상기 상하축의 하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중앙부에 홀(hole)을 성형하는 가공침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가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테이블구동수단과; 상기 테이블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의 소재안착부에 놓인 소재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조절하는 고정단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조절수단은, 상기 고정단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와; 상기 상하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는 고정단실린더와; 상기 고정단의 좌측에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의 상하 위치의 센싱(sensing)을 가이드하는 상단가이드 및 하단가이드와; 상기 상단가이드와 하단가이드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고정단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단센서 및 하단센서와; 상기 상단센서와 하단센서 사이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단의 상승 속도를 빠르게 하고, 일정 높이 이상에서는 상기 고정단의 상승 속도를 느리게 하는 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단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단이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오지 않도록 제어하는 높이조절수단과, 상기 지지단이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유동수단과, 상기 유동수단의 작동 간격을 셋팅하는 타임설정기와, 상기 타임설정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자동설정기와, 상기 지지단의 높이를 감지하여 지지단이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상기 테이블구동수단이 정지하도록 하는 이탈센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단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와 나사 체결되며, 상기 조절볼트가 일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수단은, 상기 지지단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대와; 사용자의 설정 시간에 의해 정기적으로 상기 접촉대와 접촉하여, 접촉대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로 유동되도록 하는 접촉너트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너트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강제하는 유동실린더와; 상기 유동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일단에 상기 접촉너트가 나사 체결되는 유동로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발다이스에 요동캠이 구비되어 가공침의 상하 유동을 발생시킨다. 즉, 캠의 운동을 상하운동으로 전환하여 가공침에 상하 떨림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공침의 상하유동이 캠(cam)에 의해 기구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가공침에 의한 홀(hole) 가공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지단이 하측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가공침이 가공물(인발다이스)의 하측으로 갑자기 삽입됨으로 인한 작업중단이나 불량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타임설정기의 시간 설정에 따라, 유동수단이 지지단을 정기적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가공침이 가공 도중에 가공물(소재)에 끼이는 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침의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보인 부분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단조절수단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의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공침의 설치상태와 고정단조절수단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어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회전모터(110)와, 캠(cam)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요동운동을 생성하는 요동캠(120)과, 상기 요동캠(120)의 내측에 전후로 설치되어 상기 요동캠(120)에 의해 상하좌우로 유동하는 정지축(130)과, 상기 정지축(130)의 하측에 상하로 길게 연결 설치되어 정지축(130)의 유동에 따라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유동하는 상하축(140)과, 상기 상하축(140)이 관통되는 지지단(150)과, 상기 지지단(150)과 케이스(100)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단(150)이 탄성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인장스프링(160)과, 상기 상하축(1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소재의 중앙부에 홀(hole)을 성형하는 가공침(170)과, 소재가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테이블(200)과, 상기 테이블(2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소재안착부(210)와, 상기 테이블(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테이블구동수단(220)과, 상기 테이블(200)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200)의 소재안착부(210)에 놓인 소재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단(300)과,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조절하는 고정단조절수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회전모터(110)는, 상기 케이스(100)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요동캠(120)의 회전에 필요한 회전 동력을 생성한다.
상기 요동캠(120)은, 상기 회전모터(110)의 전방에 구비되며, 캠(cam)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요동캠(120)의 상하좌우로 유동하게 되어, 상기 요동캠(120)의 중앙에 설치된 정지축(130)이 상하좌우로 요동하게 된다. 즉, 요동캠(120)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정지축(130)에는 미세한 떨림이 발생하게 된다.
캠(cam)이 요동운동을 생성하는 것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요동캠(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 내부의 상반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요동캠(120)의 내측에는 상기 정지축(130)이 전후로 설치된다. 즉, 상기 정지축(130)은 상기 요동캠(120)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하좌우로 유동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요동캠(120)은 상기 회전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데, 요동캠(120)의 중앙에 설치된 정지축(130)은 요동캠(120)에 따라 회전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만, 이러한 정지축(130)은 상기 요동캠(120)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요동캠(120)의 회전에 따라 상하좌우로만 미세하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정지축(130)의 선단에는 상하축(140)이 연결된다. 상기 상하축(140)은, 상기 정지축(130)의 선단에 상하로 길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정지축(130)의 유동에 따라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상하축(140)은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단(15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요동캠(120)의 테두리와 하부에는 요동캠(120)의 외측을 감싸는 캠커버(12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단(150)을 상기 상하축(140)이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단(150)은, 상기 요동캠(120)과 상하축(140) 등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단(150)은 상기 인장스프링(160)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메달리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지지단(150)의 좌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한 쌍의 인장스프링(16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150)이 이러한 한 쌍의 인장스프링(16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상기 가공침(170)은, 상기 상하축(140)의 하측에 설치되어 소재(도시되지 않음)의 중앙부에 홀(hole)을 가공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하축(140)의 하측에는 고정척(172)이 구비되고, 이러한 고정척(172)에 상기 가공침(170)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가공침(170)이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테이블(200)에 놓여진 소재에 홀(hole)을 가공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소재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테이블(200)은 소재가 우측으로부터 투입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200)에는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소재안착부(210)는, 상기 테이블(2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테이블(200)은,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에 의해 상하로 유동된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후방에는 테이블구동수단(220)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200)의 상하 유동을 강제하고 안내하게 된다.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은,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200)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고 안내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은,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하모터(222)와, 상기 상하모터(222)에 의해 회전하는 상하가이드축(224)과, 상기 상하가이드축(224)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축결합단(226)과, 상기 상하모터(222)의 회전을 상기 상하가이드축(224)에 전달하는 전달벨트(2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가이드축(224)은, 상기 케이스(100)에 상단과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외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축결합단(226)은, 수나사가 형성된 상기 상하가이드축(224)에 나사 체결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축결합단(226)의 중앙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홀(hol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결합단(226)은 상기 테이블(200)과 일체로 형성되는 테이블후면(20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축결합단(226)이 상하로 이동하면 상기 테이블(20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달벨트(228)는, 상기 상하모터(222)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모터(222)와 상하가이드축(224)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풀리(pulley)를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상하모터(222)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전달벨트(228)를 통해 상기 상하가이드축(224)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모터(222)에서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하가이드축(224)이 회전하면, 상기 상하가이드축(224)은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축결합단(226)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결국에는 상기 축결합단(226)이 일체로 연결된 테이블(200)이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200)의 하측에는 가공된 소재가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슈트(204)가 더 구비된다.
상기 테이블(200)의 상측에는 고정단(300)이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단(300)은 상기 테이블(200)의 소재안착부(210)에 놓인 소재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300)에는 중앙부에 원형의 홀(hole)이 형성된 안내부(30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302)는, 상기 가공침(170)이 아래에서 설소재안착부(210)에 놓여진 소재의 중앙에 정확하게 근접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단(300)은, 고정단조절수단에 의해 상하 유동이 제어된다. 즉, 고정단조절수단이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조절수단은,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312)와,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는 고정단실린더(310)와, 상기 고정단(300)의 좌측에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위치의 센싱(sensing)을 가이드하는 상단가이드(320) 및 하단가이드(322)와, 상기 상단가이드(320)와 하단가이드(322)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고정단(300)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단센서(330) 및 하단센서(332)와, 상기 상단센서(330)와 하단센서(3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센서(3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가이드(312)는, 상기 고정단(300)의 하측에 구비되어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단실린더(31c0)는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고정단실린더(310)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테이블(2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테이블(200)에는 상기 배출슈트(204)가 고정 장착되고, 이러한 배출슈트(204)에 상기 고정단실린더(310)가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단실린더(310)에 일체로 연결된 로드가 상기 상하가이드(312)이며, 상하가이드(312)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단(300)이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단(300)의 좌측에는, 센서가이드(324)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센서가이드(324)는 상기 상단가이드(320) 및 하단가이드(322)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이 상기 고정단(300)에 결합된다.
상기 센서가이드(324)에는 상기 상단가이드(320) 및 하단가이드(322)가 상하에 설치된다. 상기 상단가이드(320) 및 하단가이드(3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가이드(324)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센서가이드(324)를 따라 상하 그 위치를 유동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상단가이드(320) 및 하단가이드(322)는 상기 센서가이드(324)에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조임단추(326)를 조이는 것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면에는 다수의 센서(330,332,334)가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상하 위치 및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330,332,334)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측과 하측에는 상기 상단센서(330) 및 하단센서(332)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상단센서(330)와 하단센서(332) 사이에는 속도센서(334)가 설치된다.
상기 상단센서(330) 및 하단센서(332)는 상기 상단가이드(320)와 하단가이드(322)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높이를 감지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단센서(330)는, 상기 상단가이드(320)가 상단센서(330)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상방 이동이 중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센서(332)는, 상기 하단가이드(322)가 하단센서(332)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하방 이동이 중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단센서(330)와 하단센서(332) 사이에 설치되는 속도센서(334)는, 일정 높이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상승 속도를 빠르게 하고, 일정 높이 이상에서는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상승 속도를 느리게 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이 상승할 때, 상기 하단가이드(322)가 상기 속도센서(334)의 하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상승속도를 빠르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가이드(322)가 상기 속도센서(334)에 도달한 다음부터는 상기 고정단(300)과 테이블(200)의 상승속도는 느리게 된다.
이는 상기 하단가이드(322)가 상기 속도센서(334)의 상측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가공침(170)에 의해 소재의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동속도를 느리게 하여야 하며, 그 이외의 이동시에는 이동속도를 빠르게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다.
한편, 상기 지지단(150)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단(150)이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오지 않도록 제어하는 높이조절수단(3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340)은, 상기 지지단(150)이 일정 높이 이하로는 내려오지 못하도록 제한하여, 결국 상기 가공침(17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342)과, 상기 지지편(342)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조절볼트(344)와, 상기 조절볼트(344)가 일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조절너트(3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편(34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단(1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조절볼트(344)는, 상기 지지편(342)에 나사 체결되어 지지편(342)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절볼트(344)의 상단이 상기 지지단(150)의 하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 조절너트(346)는, 상기 조절볼트(344)와 나사 체결되며, 상기 조절볼트(344)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단(150)의 후측에는 상기 지지단(150)이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유동수단(35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유동수단(350)은 상기 지지단(150)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측으로 미세하게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소재를 가공하는 가공침(170)이 작업 도중에 소재의 홀(hole)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동수단(350)은,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대(352)와, 사용자의 설정 시간에 의해 정기적으로 상기 접촉대(352)와 접촉하여 접촉대(352)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로 유동되도록 하는 접촉너트(354)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너트(354)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강제하는 유동실린더(356)와, 상단에 상기 접촉너트(354)가 나사 체결되는 유동로드(35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대(3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를 전후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후단이 상기 케이스(100)의 후방으로 길게 돌출된다.
상기 접촉너트(354)는, 상기 케이스(100)의 후방으로 돌출된 접촉대(352)와 직접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유동로드(358)의 끝단부(상단)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유동실린더(356)는, 상기 케이스(100)의 후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접촉너트(354)가 상하로 유동하도록 힘을 강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동로드(358)는 상기 유동실린더(356)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유동실린더(356)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실린더로드로, 끝단(상단)은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접촉너트(354)가 체결된다.
상기 지지단(150)의 좌측에는 이탈센서(38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이탈센서(380)는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지지단(150)의 높이를 감지하여 상기 테이블(200)의 상승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탈센서(380)는, 상기 지지단(150)의 높이를 감지하여, 지지단(150)이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이 정지하도록 하여 테이블(200) 및 고정단(300)의 상방이동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상기 이탈센서(380)로부터 상기 지지단(150)이 상방으로 이탈하게 되면,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의 작동을 정지시켜 테이블(200)과 고정단(300)이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는 이상상황 발생으로 가공침(170)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공침(170)에 의해 소재의 홀(hole) 가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200)과 고정단(300)이 계속 상승하게 되면, 상기 지지단(150)이 상측으로 밀려 올려가게 되므로, 이때에는 이러한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테이블구동수단(220)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테이블(200)의 우측에는 소재의 공급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테이블(200)의 우측에는 소재가 일시적으로 정지하여 대기하는 소재대기단(390)이 형성되고, 이러한 소재대기단(390)의 우측에는 소재를 좌측으로 미는 공급실린더(392)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급실린더(392)의 좌측단에는 직접 소재와 접촉되는 공급지그(39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소재대기단(390)의 후측으로는 소재가 공급되는 공급슈트(396)가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소재대기단(39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재대기단(390)에 소재가 놓여졌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소재감시센서 등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블(200)의 후측에는 가공된 소재의 배출을 강제하기 위한 배출실린더(206)와 같은 다수의 구성이 더 마련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에는 제어판넬(4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판넬(400)은 상기에서 설명한 각 부품들의 제어를 위한 각종 버튼이 구비되는 곳으로, 여기에는 상기 유동수단(350)의 작동 간격을 셋팅하는 타임설정기(410)와, 상기 타임설정기(4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자동설정기(420) 등이 구비된다.
상기 타임설정기(410)는 상기 유동수단(350)에 의해 상기 지지단(150)이 정기적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자동설정기(420)는, 상기 타임설정기(41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지지단(150)의 상승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인지, 아니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지지단(150)이 들어 올려지도록 조치를 취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버튼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상기 공급슈트(396)를 통해 상기 소재대기단(390)에 소재가 공급되면, 상기 공급실린더(392)에 의해 소재가 좌측소재안착부(210)기 테이블(200)의 소재소재안착부(210) 놓여진다.
상기 소재안착부(210)에 소재가 놓여지면, 상기 고정단실린더(310)의 작동에 의해 상기 고소재안착부(210)측으로 내려와 상기 소재안착부(210)에 놓여진 소재가 정위치에 제대로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누른다.
그런 다음에는,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이 작동하여 상기 테이블(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이때 상기 고정단(300)도 테이블(20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200)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속도는 상기 속도센서(334)의 감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단가이드(322)가 상기 속도센서(334)의 하측에 있을 때는 상기 테이블(200)은 빠른 속도로 상승하다가, 상기 하단가이드(322)가 상기 속도센서(334)에 도달한 다음부터는 테이블(200)의 상승속도는 느려지도록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의 회전모터(110) 회전수가 조절된다.
상기와 같은 테이블(200)의 상승에 따라 상기 가공침(170)이 안내부(302)를 통과하여 상기 소재안착부(210)에 놓인 소재에 닿게 되고, 내부의 홀(hole)을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요동캠(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공침(170)에는 미세한 상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재의 홀(hole) 가공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상기 타임설정기(41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유동수단(350)이 정기적으로 상기 지지단(150)을 들어올리게 되므로, 상기 가공침(170)이 상측으로 일시적으로 들어 올려진다.
그리고, 소재의 홀(hole) 가공이 완료되면,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에 의해 상기 테이블(200)이 다시 하강하게 되어 원위치된다. 그런 다음에는 배출실린더(206)에 의해 상기 소재안착부(210)에 놓인 소재가 전방으로 인출되어 상기 배출슈트(204)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회전모터
120. 요동캠 130. 정지축
140. 상하축 150. 지지단
160. 인장스프링 170. 가공침
200. 테이블 210. 소재안착부
220. 테이블구동수단 300. 고정단
310. 고정단실린더 320. 상단가이드
330. 상단센서 340. 높이조절수단
350. 유동수단 380. 이탈센서
390. 소재대기단 400. 제어판넬
410. 타임설정기 420. 자동설정기

Claims (5)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회전모터(11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110)에 의해 회전하고, 캠(cam)으로 이루어져 요동운동을 생성하는 요동캠(120)과;
    상기 요동캠(120)의 내측에 전후로 설치되며, 상기 요동캠(120)에 의해 상하좌우로 유동하는 정지축(130)과;
    상기 정지축(130)의 일측에 상하로 길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정지축(130)의 유동에 따라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유동하는 상하축(140)과;
    상기 상하축(140)이 관통되며,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단(150)과;
    상기 지지단(150)과 케이스(100)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단(150)이 탄성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인장스프링(160)과;
    상기 상하축(140)의 하측에 구비되며, 소재의 중앙부에 홀(hole)을 성형하는 가공침(170)과;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소재가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테이블(200)과;
    상기 테이블(2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부(210)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20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테이블구동수단(220)과;
    상기 테이블(200)의 상측에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테이블(200)의 소재안착부(210)에 놓인 소재의 상면을 눌러 고정하는 고정단(300)과;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고 조절하는 고정단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조절수단은,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하가이드(312)와;
    상기 상하가이드(3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이동을 강제하는 고정단실린더(310)와;
    상기 고정단(300)의 좌측에 상하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단(300)의 상하 위치의 센싱(sensing)을 가이드하는 상단가이드(320) 및 하단가이드(322)와;
    상기 상단가이드(320)와 하단가이드(322)의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고정단(300)의 높이를 감지하는 상단센서(330) 및 하단센서(332)와;
    상기 상단센서(330)와 하단센서(332) 사이에 설치되며, 일정 높이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단(300)의 상승 속도를 빠르게 하고, 일정 높이 이상에서는 상기 고정단(300)의 상승 속도를 느리게 하는 속도센서(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150)의 일측에는,
    상기 지지단(150)이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오지 않도록 제어하는 높이조절수단(340)과, 상기 지지단(150)이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유동수단(350)과, 상기 유동수단(350)의 작동 간격을 셋팅하는 타임설정기(410)와, 상기 타임설정기(410)의 작동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자동설정기(420)와, 상기 지지단(150)의 높이를 감지하여 지지단(150)이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상기 테이블구동수단(220)이 정지하도록 하는 이탈센서(38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340)은,
    상기 지지단(1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100)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편(342)과;
    상기 지지편(342)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조절볼트(344)와;
    상기 조절볼트(344)와 나사 체결되며, 상기 조절볼트(344)가 일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조절너트(3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수단(350)은,
    상기 지지단(150)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후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대(352)와;
    사용자의 설정 시간에 의해 정기적으로 상기 접촉대(352)와 접촉하여, 접촉대(352)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로 유동되도록 하는 접촉너트(354)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너트(354)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힘을 강제하는 유동실린더(356)와;
    상기 유동실린더(356)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일단에 상기 접촉너트(354)가 나사 체결되는 유동로드(35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KR1020120082610A 2012-07-27 2012-07-27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KR101430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610A KR101430913B1 (ko) 2012-07-27 2012-07-27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610A KR101430913B1 (ko) 2012-07-27 2012-07-27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35A KR20140013835A (ko) 2014-02-05
KR101430913B1 true KR101430913B1 (ko) 2014-08-18

Family

ID=5026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610A KR101430913B1 (ko) 2012-07-27 2012-07-27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0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9205B (zh) * 2017-12-30 2024-04-09 佛山市南海鑫隆机工机械有限公司 一种打孔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0048A (ja) * 1995-04-27 1996-11-19 Komatsu Ltd 曲げ加工機
KR20030073589A (ko) * 2002-03-12 2003-09-19 최영기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의 성형장치
KR100736655B1 (ko) 2007-03-27 2007-07-06 최낙근 소형 케이스의 프레스성형방법
KR20080009816A (ko) * 2006-07-25 2008-01-30 손동주 용접용 팁의 제조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0048A (ja) * 1995-04-27 1996-11-19 Komatsu Ltd 曲げ加工機
KR20030073589A (ko) * 2002-03-12 2003-09-19 최영기 화장용 브러시 케이스의 성형장치
KR20080009816A (ko) * 2006-07-25 2008-01-30 손동주 용접용 팁의 제조를 위한 장치
KR100736655B1 (ko) 2007-03-27 2007-07-06 최낙근 소형 케이스의 프레스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35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781B1 (ko) 톱을 이용한 칼럼 이송형 절삭 장치
CN207479854U (zh) 一种激光套切机
WO2016119272A1 (zh) 一种全自动攻牙装置
KR930003528B1 (ko) 공작물 반송장치
KR101430913B1 (ko) 인발다이스의 홀 가공장치
US6701765B2 (en) Spring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493039B1 (ko) 왕복 승하강 장치의 높낮이 조절구조 및 이를 이용한 커팅기
CN205629182U (zh) 一种冲压整形模具
CN220010957U (zh) 上料转移机构和上料输送装置
CN111266842B (zh) 一种倍速线在线打螺丝定位装置及其调整方法
CN218395609U (zh) 一种用于模具定位稳固的模架定位装置
CN105710243A (zh) 一种冲压整形模具
CN112248705A (zh) 一种玉石超声波雕刻机
CN207119994U (zh) 一种攻牙机滑台装置
KR102211302B1 (ko) 파이프 커팅장치
KR20110054283A (ko) 테이프 자동 부착기
CN213734371U (zh) 一种玉石超声波雕刻机
JPH11207586A (ja) バリ取り装置
CN108426888B (zh) 一种机器人自动化检测设备
JPH05253971A (ja) 竪型電動式射出成形機のノズルタッチ機構
CN219075234U (zh) 太阳纹拉丝机
CN220806117U (zh) 一种螺丝自动上料装置
CN213134892U (zh) 一种搓牙机自动上料装置
CN214685643U (zh) 一种端子座去毛刺装置
CN217291902U (zh) 一种内孔研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