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749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749B1
KR101429749B1 KR1020130085566A KR20130085566A KR101429749B1 KR 101429749 B1 KR101429749 B1 KR 101429749B1 KR 1020130085566 A KR1020130085566 A KR 1020130085566A KR 20130085566 A KR20130085566 A KR 20130085566A KR 101429749 B1 KR101429749 B1 KR 101429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forming
battery
forming portion
loop
reinforc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최웅철
김정용
주용호
김현준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85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장착장치에서는 전기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를 하나의 배터리안착부(16)에 복수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안착부(16)의 바닥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를 별개로 만들고, 보강프레임(30)을 더 두어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를 보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가 만나는 부분에 상기 제1 및 제2내면형성부(20,20)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도록 연결보강플레이트(38)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차량의 루프(10)를 구성하는 루프몸체(12)에 연결지지바아(34)를 사용하여 지지된다. 상기 연결지지바아(34)는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일측 보강바아(32)에서 전방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배터리안착부(16)에 복수개의 배터리가 안착되도록 함에 있어서, 배터리가 중량물일지라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Battery mounting apparatus for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루프 부분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챠량은 연료로서 휘발유와 경유 등의 석유와, LPG, LNG 등의 가스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석유와 가스는 한정된 자원이어서 점차 가격부담이 커지고 있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로 인하여 점차 대체연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차량의 대체연료로서는 전기가 상용화되고 있는데, 전기는 배터리에 충전되어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전기자동차인데,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개발은 지하자원의 고갈, 환경오염, 지구온난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전기자동차는 플러그인 방식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게 되므로 긴 대기시간으로 인해 운전자의 불편과 충전시설 운영업체의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자동차에서 차량에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로 충전하지 않고, 사전에 충전된 배터리 자체를 교환하는 방식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배터리 하나의 용량은 한정되어 있어, 긴 거리를 주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용량의 배터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하나의 배터리의 용량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수개의 배터리를 전기자동차에 장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보다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버스와 같이 큰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배터리 자체의 크기가 매우 크므로, 이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의 구성 또한 커지게 되어 전기자동차의 주행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배터리 장착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는 중량물이므로 전기자동차의 루프 내에 설치함에 있어서 배터리의 중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28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배터리를 전기자동차의 상부에 있는 루프 내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의 상부 설치되는 루프몸체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루프몸체를 관통하여 개방부가 형성되는 루프와,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안착되어 배터리안착부의 바닥과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1내면형성부와, 상기 개방부의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협력하여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바닥과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2내면형성부와, 상기 제1내면형성부나 제2내면형성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루프나 차량의 차체에 지지되어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는 상기 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 하면에는 연결보강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루프의 개방부를 둘러서는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후드관통부가 형성된 후드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 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보강바아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바닥에 장착된 판지지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보강바아가 위치되게 구성된다.
상기 보강프레임을 상기 루프나 차체에 고정하는 연결지지바아는 상기 보강프레임의 일측 보강바아에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선단에 있는 연결판이 상기 루프나 차체에 고정된다.
상기 판지지구는 지지구몸체의 하단에 상기 제1 및 제2내면형성부에의 고정을 위한 장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몸체의 상단에는 배터리안착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안착부의 바닥과 내면을 구성하는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를 분리하여 구성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배터리안착공간을 형성하면서도 배터리안착부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부품의 제조를 위한 금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루프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두었으므로, 대형 차량에서 사용되는 대형의 배터리를 보다 안전하게 배터리안착부에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채용된 루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루프를 저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중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보강프레임과 그 주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의 배터리 장착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배터리안착판을 배터리안착부의 바닥에 지지하는 판지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도시되지 않음)의 상부에는 차량의 루프(10)가 설치된다. 상기 루프(10)의 차량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루프(10)의 골격을 루프몸체(12)가 형성하는데, 상기 루프몸체(12)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루프몸체(12)의 재질은, 예를 들면, FRP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루프몸체(12)는 다수개의 조각을 별도로 만들어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 2에 그 형상이 잘 도시되어 있다. 물론, 반드시 상기 루프몸체(12)가 도 2에 도시된 형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루프몸체(12)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개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부(13)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터리안착부(16)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개방부(13)는 평면도로 볼 때,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상이다. 이는 배터리안착부(16) 내에 안착되는 배터리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배터리가 납작한 직육면체 형상이고, 2개의 배터리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차례로 설치되므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개방부(13)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1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가 설치되어 배터리(도시되지 않음)가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루프몸체(12)의 개방부(13)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후드(14)가 위치된다. 상기 후드(14)는 상기 배터리안착부(16)의 상부를 외부와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드(14)에는 상기 개방부(13)와 연통되는 후드관통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드관통부(15)는 배터리안착부(16)의 내부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루프몸체(12)에 후드(14)가 안착됨에 의해 상기 후드관통부(15)를 포함하는 부분이 배터리안착부(16)가 된다. 상기 후드(14)의 후드관통부(15)의 양측 내면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의 측면을 가리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가 안착되는 공간의 바닥, 즉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바닥에는 배터리안착판(18)이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안착판(18)에는 실제로 배터리가 위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터리안착판(18)에는 배터리를 고정하고 배터리를 안내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상기 루프몸체(12)의 개방부(13)에는 제1내면형성부(20)가 있다. 상기 제1내면형성부(20)는 본 실시례의 도면들에서는 상기 루프몸체(12)와 별개로 형성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제1내면형성부(20)는 루프몸체(12)와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되어 상기 루프몸체(1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루프몸체(12)는 대략 4~5개 정도의 별도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루프몸체(12)의 개방부(13)에는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인접하여 제2내면형성부(22)가 설치되어 배터리안착부(16)의 내부공간 바닥과 내측면 등을 형성한다.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의 구성을 살펴보면, 바닥판(24)이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 바닥판(24)의 3개의 변을 따라서는 측판(26)이 직교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판(26)은 상기 바닥판(24)의 3개의 변을 둘러 형성되어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측판(26)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판(24)쪽은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측판(26)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플랜지(2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8)는 상기 측판(26)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소정 폭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28)는 상기 루프몸체(12)의 개방부(13) 가장자리에 안착되어 제2내면형성부(22)가 상기 루프몸체(1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내면형성부(22)가 상기 루프몸체(12)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내면형성부(20)도 상기 루프몸체(12)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8)는 상기 루프몸체(12)에 결합될 때, 방수를 위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루프몸체(12)와 플랜지(28)의 사이를 리벳팅으로 결합하면서 실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함께 제2내면형성부(22)를 두는 것은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를 일체로 해서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한 장의 판으로 만드는 것보다는 금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를 합친 크기의 사출물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은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를 각각 제조하는 금형보다 크기가 클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를 합쳐서 하나로 만든다면 상대적으로 처짐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를 분리해서 만드는 것이 더 유리하다.
한편,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보강프레임(30)이 사용된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상기 제2내면형성부(22)가 지지할 수 있는 하중을 보다 높여서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보강프레임(30)이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에만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에도 별도 또는 상기 제2내면형성부(22)를 위한 보강프레임(30)과 일체로 된 보강프레임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다수개의 보강바아(32)를 격자모양으로 연결하여 만든 것이다. 상기 보강바아(32)들은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보강바아(32)들은 상기 바닥판(24)과 측판(26) 그리고 플랜지(28)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소정 형상의 보강프레임(30)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연결지지바아(34)를 통해 차체 또는 루프(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바아(34)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바아형상으로 상기 보강프레임(30)의 일측 보강바아(32)에서 전방 하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연결지지바아(34)는 상기 보강프레임(30)의 폭방향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지지바아(34)는 상기 보강프레임(30)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보강프레임(30)의 폭방향 양단에 각각 하나 씩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지지바아(34)의 선단에는 연결판(36)이 있다. 상기 연결판(36)은 소정 형상의 판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루프(10)의 내면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가 서로 만나는 부분에는 연결보강플레이트(38)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보강플레이트(38)는 별도로 만들어진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를 서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보강플레이트(38)는 길이에 비해 폭이 좁은 판형상으로 띠모양의 판형상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안착부(16)의 바닥에는 다수개의 판지지구(40)가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안착판(18)을 지지한다. 상기 판지지구(40)의 형상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고, 상기 판지지구(4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안착부(16)의 바닥에 배치된다. 즉, 하나의 배터리안착판(18)에 대해서 8개의 판지지구(40)가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배터리안착판(18)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판지지구(40)는 사각통형상의 지지구몸체(42)의 하단에 장착판(44)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판(44)이 구비된 반대쪽에는 지지판(46)이 있다. 상기 장착판(44)은 상기 판지지구(40)를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의 바닥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지지판(46)은 상기 배터리안착판(18)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터리안착부(16)에는 상기 루프(10)의 길이방향, 즉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2개의 배터리가 안착된다. 상기 배터리는 차량의 주행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16)는 도시되지 않은 개폐도어장치의 제1 및 제2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배터리안착부(16)에 안착된 2개의 배터리는 예를 들면 제1도어를 개방하고 제2도어를 닫은 상태로 일측의 것이 교체되고, 제1도어를 닫고 제2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타측의 것이 교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2개의 배터리를 배터리안착부(16)에 안착시켜서 사용하게 되면, 차량의 배터리 용량이 2배로 늘어나게 되어 주행거리를 2배로 늘릴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배터리장착장치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루프(10)를 구성하는 루프몸체(12)를 조립한다. 상기 루프몸체(12)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루프몸체(12)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루프몸체(12)에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를 고정한다. 먼저, 상기 제1내면형성부(20)를 루프몸체(12)에 고정한다. 물론, 상기 제1내면형성부(20)는 상기 루프몸체(12)를 형성하는 다른 부품과 일체로 되어 있어 루프몸체(12)를 제작함에 의해 미리 상기 루프몸체(12)에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의 선단 하면에 상기 연결보강플레이트(38)를 결합한다. 상기 연결보강플레이트(38)는 예를 들면 리벳팅을 통해 체결하고 실란트를 발라서 수분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연결보강플레이트(38)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내면형성부(22)를 상기 루프몸체(12)에 결합한다. 상기 루프몸체(12)에 제2내면형성부(22)를 결합하는 것도 리벳팅과 실란트처리를 하면 된다.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와 상기 연결보강플레이트(38)의 사이도 역시 리벳팅과 실란트처리를 통해 결합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와 제2내면형성부(22)가 만나는 부분을 지지하여 하중에 대한 지지강도를 높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프레임(30)을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의 하면에 설치한다. 물론, 상기 제1내면형성부(20)의 하면에도 보강프레임(3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상기 제2내면형성부(22)의 하면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바아(34)가 상기 보강프레임(30)과 상기 루프(1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프레임(30)이 상기 루프(10)에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이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프레임(30)과 상기 연결지지바아(34)는 용접을 통해 서로 체결하고, 상기 루프(10)와 상기 연결지지바아(34)의 연결판(36)은 리벳팅을 통해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바아(34)는 상기 보강프레임(30)에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판(36)이 있는 부분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루프몸체(12)의 내면에 상기 연결판(36)이 고정되므로, 상기 보강프레임(30)을 상기 루프몸체(12)에 대해 위로 밀어올리는 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를 루프몸체(12)에 장착한 다음에는 상기 후드(14)를 상기 루프몸체(12)에 장착한다. 상기 후드(14)가 장착되면 상기 배터리안착부(16)의 내부공간이 외부와 구획된다. 물론, 상기 후드(14)의 후드관통부(15)의 입구를 통해서 상기 내부공간은 개방된다.
상기 후드(14)를 상기 루프몸체(12)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의 바닥에 상기 판지지구(40)를 장착한다. 상기 판지지구(40)의 장착판(44)을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에 고정하여 상기 판지지구(40)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판지지구(40)를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에 장착한 후에는 상기 배터리안착판(18)을 상기 판지지구(40)들 상에 고정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배터리안착판(18)을 8개의 상기 판지지구(4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배터리안착판(18) 상에는 배터리의 안착을 위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안착판(18)과 이에 관련된 부품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배터리안착부(16)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즉, 상기 후드(14)의 후드관통부(15) 입구에 상기 도어개폐장치가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도어개폐장치에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있어 2개가 안착되는 배터리의 교체시에 각각 해당되는 도어가 개폐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안착부(16)에 배터리를 안착시키는 것은 상기 도어개폐장치에서 어느 일측 도어를 개방하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하나의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안착판(18) 상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해당되는 도어를 닫고 반대쪽 도어를 개방시켜 다른 쪽의 배터리안착판(18) 상에 배터리를 안착시킨다. 다른 쪽에도 배터리를 안착시킨 후에는 해당되는 도어를 닫는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되는데, 상기 배터리안착판(18) 상에 안착된 배터리의 하중은 상기 판지지구(40)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의 바닥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에 배터리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는 그 자체의 강성으로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가 별개로 만들어짐에 의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강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하중이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가 탄성변형되도록 작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하중은 상기 보강프레임(30) 및 연결보강플레이트(38)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지지바아(34)가 상기 보강프레임(30)을 상기 루프(10)에 지지함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판지지구(40)는 상기 배터리안착판(18)에 작용하는 배터리의 하중을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의 특정 위치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판지지구(40)에 의해 배터리의 하중이 상기 제1 및 제2 내면형성부(20,22)의 특정 위치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프레임(30)의 보강바아(32)의 위치 및 간격이 달리한다. 즉, 상기 판지지구(40)에 의해 배터리의 하중이 전달되는 부분에 상기 보강바아(32)가 위치하여 배터리의 하중을 보다 잘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후드(14)는 반드시 상기 루프몸체(12)와 별개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루프몸체(1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10: 루프 12: 루프몸체
13: 개방부 14: 후드
15: 후드관통부 16: 배터리안착부
18: 배터리안착판 20: 제1내면형성부
22: 제2내면형성부 24: 바닥판
26: 측판 28: 플랜지
30: 보강프레임 32: 보강바아
34: 연결지지바아 36: 연결판
38: 연결보강플레이트 40: 판지지구
42: 지지구몸체 44: 장착판
46: 지지판

Claims (7)

  1. 차량의 상부 설치되는 루프몸체가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루프몸체를 관통하여 개방부가 형성되는 루프와,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안착되어 배터리안착부의 바닥과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1내면형성부와,
    상기 개방부의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협력하여 상기 배터리안착부의 바닥과 내측면을 형성하는 제2내면형성부와,
    상기 제1내면형성부나 제2내면형성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루프나 차량의 차체에 지지되어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는 상기 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단부가 만나는 부분 하면에는 연결보강플레이트가 각각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를 연결하면서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의 개방부를 둘러서는 상기 개방부와 대응되는 후드관통부가 형성된 후드가 더 설치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 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하면과 측면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보강바아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내면형성부와 제2내면형성부의 바닥에 장착된 판지지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보강바아가 위치되게 구성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을 상기 루프나 차체에 고정하는 연결지지바아는 상기 보강프레임의 일측 보강바아에서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선단에 있는 연결판이 상기 루프나 차체에 고정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지지구는 지지구몸체의 하단에 상기 제1 및 제2내면형성부에의 고정을 위한 장착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몸체의 상단에는 배터리안착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구비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KR1020130085566A 2013-07-19 2013-07-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KR10142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566A KR101429749B1 (ko) 2013-07-19 2013-07-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566A KR101429749B1 (ko) 2013-07-19 2013-07-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749B1 true KR101429749B1 (ko) 2014-08-12

Family

ID=5175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566A KR101429749B1 (ko) 2013-07-19 2013-07-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7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3600A1 (fr) * 2015-11-16 2017-05-19 Bluebus Vehicule electrique terrestre de transport en commun, de type bus, muni de modu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superieurs.
CN109203960A (zh) * 2018-09-30 2019-01-15 浙江飞碟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安装于汽车顶盖的电池包及其使用方法
CN111511597A (zh) * 2017-12-22 2020-08-07 戴姆勒股份公司 用于机动车的蓄电单元、将这种蓄电单元固定在机动车车体结构上的固定机构及具有这种蓄电单元的机动车
RU208159U1 (ru) * 2021-06-26 2021-12-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ДИ ТУЛИНГ» Планка прижимная
CN109203960B (zh) * 2018-09-30 2024-05-03 山东五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安装于汽车顶盖的电池包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669A (ja) 2006-06-16 2007-12-27 Toyota Auto Body Co Ltd バッテリー支持部材
KR20110059354A (ko) * 2009-11-27 2011-06-02 (주)브이이엔에스 자동차
KR20120060073A (ko) * 2010-12-01 2012-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버스의 배터리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669A (ja) 2006-06-16 2007-12-27 Toyota Auto Body Co Ltd バッテリー支持部材
KR20110059354A (ko) * 2009-11-27 2011-06-02 (주)브이이엔에스 자동차
KR20120060073A (ko) * 2010-12-01 2012-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버스의 배터리 장착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3600A1 (fr) * 2015-11-16 2017-05-19 Bluebus Vehicule electrique terrestre de transport en commun, de type bus, muni de modules de stockage d'energie electrique superieurs.
WO2017084921A1 (fr) * 2015-11-16 2017-05-26 Bluebus Véhicule électrique terrestre de transport en commun, de type bus, muni de modules de stockage d'énergie électrique supérieurs
CN111511597A (zh) * 2017-12-22 2020-08-07 戴姆勒股份公司 用于机动车的蓄电单元、将这种蓄电单元固定在机动车车体结构上的固定机构及具有这种蓄电单元的机动车
CN109203960A (zh) * 2018-09-30 2019-01-15 浙江飞碟汽车制造有限公司 一种安装于汽车顶盖的电池包及其使用方法
CN109203960B (zh) * 2018-09-30 2024-05-03 山东五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安装于汽车顶盖的电池包及其使用方法
RU208159U1 (ru) * 2021-06-26 2021-12-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ДИ ТУЛИНГ» Планка прижимна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36863A1 (en) Vehicle body bottom structure
CN108068602B (zh) 车身的电池支撑结构
CN103140412B (zh) 机动车辆底盘
US7347475B2 (en)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KR101565981B1 (ko) 전기 자동차용 플로워 패널 조립체
KR101565980B1 (ko) 전기 자동차용 플로워 패널 조립체
CN105938882A (zh) 用于电动车辆的无盖电池总成
KR101241162B1 (ko) 고전압 배터리팩의 차량 설치구조
KR10142974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장착장치
KR100974736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샤시 프레임
CN103253120B (zh) 车辆后部结构
KR20130131302A (ko) 승객 좌석을 고정하는 돌출 박스 구조를 구비한 섀시
US9051952B2 (en) Support structure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body with a plastic insert
US20090294189A1 (en) Case structure of integrated package module for hybrid vehicle
US20120268062A1 (en) Charging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CN114261449A (zh) 车辆地板结构
CN203832559U (zh) 电动卡车的车架组件和电动卡车
CN113799883A (zh) 车辆地板结构
CN203126674U (zh) 用于车门的内部的安装后视镜的系统、和后视镜安装系统
US20170246945A1 (en) Underbody for the co-installation of an electric engine and a heat engine
JP5212150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US9010832B2 (en) Multi-piece vehicle tank enclosure
JP2018192939A (ja) 車体下部構造
CN107554619B (zh) 用于车辆的机舱安装框架结构及车辆
CN218594239U (zh) 一种储物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