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066B1 -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066B1
KR101429066B1 KR1020130107260A KR20130107260A KR101429066B1 KR 101429066 B1 KR101429066 B1 KR 101429066B1 KR 1020130107260 A KR1020130107260 A KR 1020130107260A KR 20130107260 A KR20130107260 A KR 20130107260A KR 101429066 B1 KR101429066 B1 KR 101429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engaging portion
side coupling
coupling portion
sid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철
박기태
신현섭
주봉철
김태헌
황지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07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장교 등과 같은 케이블 교량을 작게 축소하여 제작한 실험 모형을 이용하여 케이블 교량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는 실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교량 상판을 지지하는 케이블이 파단되었을 때 케이블 교량에 발생하는 피해, 구조적 거동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가위나 기타 일반적인 절단기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절단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외부의 교란 없이, 실험자가 의도한 순간에 교량 축소실험모형의 케이블이 파단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볼록부(2)와 오목부(3)로 이루어진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로 구성되며;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에는 전자석판(5)이 구비되어 있고,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에는 부착부재(6)가 구비되어 있어서; 톱니 형상이 서로 맞물림과 동시에, 전자석판(5)과 부착부재(6)는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되어 케이블(200)이 연결되며;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할 때에는 전자석판(5)의 자력을 상실시키고, 케이블(200)의 인장력에 의해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케이블(200)을 파단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Cable of Bridge Simulation Model}
본 발명은 케이블 교량에 대한 실험 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장교 등과 같은 케이블 교량을 작게 축소하여 제작한 실험 모형(이하, "교량 축소실험모형"이라고 약칭함)을 이용하여 케이블 교량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는 실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교량 상판을 지지하는 케이블이 파단되었을 때 케이블 교량에 발생하는 피해, 구조적 거동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가위나 기타 일반적인 절단기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절단함으로 인해 야기되는 외부의 교란 없이, 실험자가 의도한 순간에 교량 축소실험모형의 케이블이 파단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장교 등과 같은 케이블 교량에 있어서, 교량 상부구조물을 매달아 지지하는 케이블은 매우 중요한 구조부재이다. 따라서 지진이나 태풍, 또는 기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케이블의 파단이 발생하게 되면, 자칫 케이블 교량 전체의 붕괴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이 파단될 때 케이블 교량의 구조적 거동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어떠한 피해가 케이블 교량에 발생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시공될 또는 시공되어 있는 실제 케이블 교량을 축소한 교량 축소실험모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005호에는 사장교가 소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737호에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교량 축소모형을 제작하여 실험하는 사례가 개시되어 있다.
교량 축소실험모형에서 교량 상판이나 거더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케이블을 파단시킬 때, 가위, 칼 등과 같은 일반적인 절단기를 이용하게 되면, 케이블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을 당기거나 누르는 등의 행위들이 발생하거나 또는 케이블에 진동을 가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절단기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행위로 인하여 교량 축소실험모형에는 의도하지 않은 물리적인 교란이 가해지게 되며, 결국 케이블 파단에 의한 케이블 교량의 실제 거동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9005호(2010. 07. 09. 공고) 참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1737호(2013. 02. 14. 공고) 참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교량 축소실험모형에서 교량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케이블을 파단시키는 실험을 수행할 때, 절단기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행위로 인하여 케이블 파단시 가해지는 외부의 물리적인 교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실험자가 의도한 순간에 케이블이 자체적으로 파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파단에 의한 케이블 교량의 실제 거동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교량의 축소실험모형에서 케이블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파단시키거나 연결하는 케이블 파단장치로서,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케이블이 결합되어 있는 제1측 결합부와 제2측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측 결합부에는, 연결 단부에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결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사이의 경계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 결합부에도, 연결 단부에는 상기 제1측 결합부의 톱니 형상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결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와 상기 오목부 사이의 경계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측 결합부의 볼록부에는 전기 공급에 의해 자성을 띄게 되는 전자석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측 결합부의 오목부에는 부착부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제1측 결합부의 톱니 형상과 제2측 결합부의 톱니 형상이 서로 기계적으로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판과 상기 부착부재는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측 결합부와 제2측 결합부가 결합되어 케이블이 연결되며; 케이블의 파단이 필요할 때에는 상기 전자석판의 자력을 상실시키고, 케이블의 인장력에 의해 제1측 결합부와 제2측 결합부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케이블을 파단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케이블 파단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2측 결합부의 볼록부가 삽입되는 제1측 결합부의 오목부에는, 탄성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어서, 제1측 결합부와 제2측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이 제2측 결합부 볼록부를 밀어 주도록 작용하고 있으며; 케이블의 파단이 필요하여 제1측 결합부에 구비된 전자석판이 자력을 상실하여 부착부재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측 결합부의 볼록부가 제1측 결합부의 오목부로부터 밀려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가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케이블 파단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제1측 결합부의 오목부에 삽입되는 제2측 결합부의 볼록부에는, 탄성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어서, 제1측 결합부와 제2측 결합부가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이 제1측 결합부의 오목부를 밀어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케이블의 파단이 필요하여 제1측 결합부에 구비된 전자석판이 자력을 상실하여 부착부재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측 결합부의 볼록부가 제1측 결합부의 오목부로부터 밀려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에 있어서, 제1측 결합부의 오목부에도 부착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제2측 결합부의 볼록부에도 전기 공급에 의해 자성을 띄게 되는 전자석판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제1측 결합부와 제2측 결합부 사이에서 톱니 형상이 서로 맞물렸을 때, 제1측 결합부의 부착부재와 제2측 결합부의 전자석판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자력에 의한 결합이 더 형성되며; 케이블의 파단이 필요할 때에는 제1측 결합부 및 제2측 결합부에 각각 구비된 전자석판이 모두 자력을 상실하여 부착부재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더 나아가서 상기 부착부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제1측 결합부와 제2측 결합부가 결합될 때에는 전자석판이 상기 부착부재의 자석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자화되며; 케이블의 파단이 필요할 때에는 전자석판이 부착부재의 자석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자화되어 전자석판과 부착부재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에서는 전자석판에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케이블 파단장치가 분리되도록 하여 짧은 순간에 케이블을 파단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칼이나 가위 같은 절단기로 케이블을 절단하면서 케이블을 당기거나 진동시키는 등의 행위를 하기 때문에 케이블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교란이, 본 발명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를 이용하게 되면, 교량 축소모형실험을 통해서 케이블 파단에 의한 케이블 교량의 실제 거동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의 파단을 위해서는 단지 전자석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판의 자성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므로, 실험자가 의도한 순간에 신속하게 케이블이 자체적으로 파단될 수 있게 되어, 교량 축소모형실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는 언제든지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이 파단된 후에, 다시 케이블을 연결하여 연속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교량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경사진 케이블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사장교의 축소실험모형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K 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파단장치가 분리된 상태로 됨으로써 케이블이 파단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케이블 파단장치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케이블 파단장치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도 4에 도시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1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1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2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2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제1측 결합부의 오목부에 탄성 스프링이 내장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1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결합되었을 때 도 12의 선 D-D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각각 제2측 결합부의 볼록부에 탄성 스프링 내장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2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결합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도 13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분리될 때를 보여주는 도 1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및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분리된 상태로 됨으로써 케이블이 파단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가 분리되는 과정 및 분리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1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2측 결합부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와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교량 상부구조물(300)을 지지하는 경사진 케이블(200)에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는 사장교의 축소실험모형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란 및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는 케이블 교량을 축소하여 제작한 교량 축소실험모형에서 교량의 슬래브나 거더 등의 교량 상부구조물(300)을 지지하는 케이블에 설치되어, 케이블(200)이 파단되도록 함과 동시에, 추가 실험을 위하여 파단된 케이블(200)을 다시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는 사장교에서 교량 상부구조물(300)을 직접 지지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주(main) 케이블(200)에 본 발명의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사용처는, 사장교의 주케이블 이외에도, 현수교의 현수 케이블 및 연직 케이블을 포함하여, 교량의 주요 구조물을 지지하는 케이블을 모두 포함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200)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 즉, 도 2의 화살표 K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분리된 상태에 있게 되어 케이블(200)이 파단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각각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분리되는 중간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도 6은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는, 필요할 경우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후에는 간단하게 다시 결합될 수 있는,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각각 케이블(200)이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일체로 조립되어 있으면 케이블(200)도 연결되지만,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분리되면 케이블(200)은 파단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는 톱니가 형성된 막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제1측 결합부(1A)를 이루는 막대부재가 원형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 부재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막대부재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각형이나 기타 다각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이는 후술하는 제2측 결합부(1B)도 마찬가지이다.
제1측 결합부(1A)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측 결합부(1A)의 외측 단부에는 케이블(200)이 연결되지만, 이와 반대쪽에 존재하는 단부 즉, 연결 단부에는 볼록부(2)와 오목부(3)가 연결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형상의 "톱니"가 존재한다.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제1측 결합부(1A)의 단면 절반 미만의 두께만큼만, 제1측 결합부(1A)의 연결 단부로부터 외측 단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로 수평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상기 볼록부(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3)는 상기 볼록부(2)를 형성할 때 제거한 것보다 더 큰 깊이로 즉, 제1측 결합부(1A)의 단면 절반 보다 더 큰 깊이로 상기 볼록부(2)의 끝단으로부터 제1측 결합부(1A)의 두께 방향으로 제거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는 그 측면에서 볼 때, 연결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가면서 볼록부(2)와 오목부(3)가 순차적으로 존재하여 톱니 형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볼록부(2)와 오목부(3)가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톱니 형상을 이룰 때,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면(4)은 연결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면(4)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후술하는 것처럼 케이블(20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이 일어나면서 제1측 결합부(1A) 및 제2측 결합부(1B)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밀쳐내도록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도 7 및 도 8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제1측 결합부(1A)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7)와 조립 사시도(도 8)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측 결합부(1A)에서 상기 볼록부(2)에는 전자석판(5)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볼록부(2)의 상면(후술하는 제2측 결합부의 오목부 상면과 접하는 면)에는 전자석판(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석판(5)의 아래쪽으로 상기 볼록부(2) 내에는 전자석판을 위한 전자석 형성부품(7)이 배치되는 장착홈(51)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면부호 52는 전선을 제1측 결합부(1A)의 외면으로 뽑아내기 위하여 장착홈(51)과 연통된 전선관통공(52)이며, 도면부호 8은 상기 전자석판(5)을 볼록부(2)의 상면에 조립 결합하기 위한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8)이고, 도면부호 53은 전자석 형성부품(7)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선(53)이다. 전력 공급선(53)을 통해 전력이 공급되었을 때 전자석판(5)이 자성을 띄게 만드는 전자석 형성부품(7) 자체는 공지된 것이므로, 도면에서는 편의상 간단하게 블록 형태로 도시하였으며,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2측 결합부(1B)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9) 및 조립 사시도(10)가 도시되어 있다. 제2측 결합부(1B)에는, 상기한 제1측 결합부(1A)와 마찬가지로, 외측 단부에는 케이블(20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측 결합부(1B)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 및 오목부(3)에 대응되는 톱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측 결합부(1B)의 연결 단부에는, 상기한 제1측 결합부(1A)와 마찬가지로, 연결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가면서 볼록부(2)와 오목부(3)가 순차적으로 존재하고 있어서, 제2측 결합부(1B)의 연결 단부는 톱니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제2측 결합부(1B)의 톱니 형상은 제1측 결합부(1A)의 톱니 형상과 대응되어 서로 맞물리는 것이다. 그리고 제2측 결합부(1B)에서도,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면(4)은 연결 단부에서 외측 단부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 상면(앞서 설명한 제1측 결합부의 볼록부 상면과 접하는 면)에는 자석에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부재(6)가 체결부재(8) 등을 이용하여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에 구비된 부착부재(6)는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에 구비된 전자석판(5)과 자력에 의해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에서는,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될 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는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 내에 삽입되고,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에는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가 삽입되어, 제1측 결합부(1A)의 톱니 형상과 제2측 결합부(1B)의 톱니 형상이 서로 기계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즉, 케이블(200)을 일체로 연속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위와 같이 볼록부(2)가 오목부(3) 내에 삽입되도록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 각각의 톱니 형상이 서로 기계적으로 맞물리도록 하여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를 서로 결합한다. 이와 같이,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케이블(200)이 연속된 상태에서는, 한쪽 케이블(200)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톱니 형상의 기계적인 맞물림에 의하여 다른쪽 케이블(200)로 전달된다.
특히, 위와 같이 제1측 결합부(1A)의 톱니 형상과 제2측 결합부(1B)의 톱니 형상이 서로 기계적으로 맞물림과 동시에,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에 구비된 전자석 형성부품(7)에 전기가 공급되고 그에 따라 전자석판(5)이 자성을 띄게 되고, 그에 따라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 상면에 구비된 부착부재(6)는 자력(磁性)에 의해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에 구비된 전자석판(5)과 결합된다. 즉,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자석판(5)이 자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에 구비된 전자석판(5)과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에 구비된 부착부재(6)는 자력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부착 결합되는 것이다.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의 경계면(4)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0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케이블 인장력의 작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에 구비된 전자석판(5)과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에 구비된 부착부재(6)는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은 척력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에 구비된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교량 축소실험모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볼록부(2)에 구비된 전자석판(5)의 자성을 제거하게 되면,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서로 분리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200)은 파단된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블(200)에 인장력이 작용할 경우,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의 경사면으로 인하여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있지만, 전자석판(5)과 부착부재(6) 간의 자력 부착에 의해 상기 척력이 상쇄되어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전자석판(5)의 자성을 제거하게 되면, 전자석판(5)과 부착부재(6)간에는 더 이상 자력에 의한 부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의 경사면으로 인하여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 간에 슬라이딩이 발생하게 되어, 결국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분리되고, 케이블(200)이 파단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전자석판(5)에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것만으로도, 전자석판(5)의 자성을 제거하여 짧은 순간에 케이블(200)을 파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칼이나 가위 같은 절단기로 케이블(200)을 절단하면서 케이블(200)을 당기거나 진동시키는 등의 행위를 하기 때문에 케이블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교란이, 본 발명에서는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를 이용하게 되면, 교량 축소실험모형에서 교량 상판을 지지하는 케이블(200)을 파단시키는 실험을 수행할 때, 절단기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행위로 인하여 케이블 파단시 가해지는 외부의 물리적인 교란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고, 교량 축소모형실험을 통해서 케이블 파단에 의한 케이블 교량의 실제 거동을 정확하게 모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200)의 파단을 위해서 단지 전자석판(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전자석판(5)의 자성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므로, 실험자가 의도한 순간에 신속하게 케이블(200)이 자체적으로 파단될 수 있게 되어, 교량 축소모형실험의 신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위와 같이 케이블(200)이 파단된 후에, 다시 케이블(200)을 연결하여 연속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를 다시 톱니 형상이 맞물리도록 함과 동시에 전자석판(5)에 자성을 발생시켜 부착부재(6)와 자력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파단장치(100)를 결합하여 케이블(200)을 다시 연결하는 과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반복적인 케이블(200)의 파단 및 재연결 시험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에서,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에는 탄성 스프링(9)이 내장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각각 오목부(3)에 탄성 스프링(9)이 내장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제1측 결합부(1A)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11)와 조립 사시도(도 1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에 있어서,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 즉,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삽입되는 오목부(3)에는, 탄성 스프링(9)이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도면부호 91은 필요에 따라 탄성 스프링(9)에 구비되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 상면을 직접 밀어주게 되는 가압판(91)이다.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결합되었을 때 도 12의 선 D-D 위치에서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200)의 연결을 위하여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 스프링(9)은 가압된 상태에 있게 되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를 밀어주는 탄성력을 가하고 있게 된다. 물론 제1측 결합부(1A)의 전자석판(5)이 자화되어 있고, 그에 따라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에 구비된 부착부재(6)가 전자석판(5)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이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를 밀어 주도록 작용하고 있더라도,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4에는 도 13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블(200)의 파단을 위하여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의 전자석판(5)이 가지고 있던 자성이 상실되고 그에 따라 부착부재(6)가 전자석판(5)과 분리된 상태가 되면,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를 밀어 주도록 작용하고 있으므로,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로부터 밀려서 빠져나가게 되며, 그에 따라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서로 분리되어 케이블(200)의 파단이 더욱 빠르게 일어나게 된다.
상기한 탄성 스프링(9) 및 가압판(91)은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각각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에 탄성 스프링(9)과 가압판(91)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제2측 결합부(1B)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15)와 조립 사시도(도 16)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경우,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에, 탄성 스프링(9)이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에는 각각 도 13 및 도 1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결합되었을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도 17)와,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분리될 때의 개략적인 단면도(도 18)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블(200)의 연결을 위하여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탄성 스프링(9)은 가압된 상태에 있게 되어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를 밀어주는 탄성력을 가하고 있게 된다. 물론 제1측 결합부(1A)의 전자석판(5)이 자화되어 있고, 그에 따라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에 구비된 부착부재(6)가 전자석판(5)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위와 같이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이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를 밀어 주도록 작용하고 있더라도,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케이블(200)의 파단을 위하여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제1측 결합부(1A)의 전자석판(5)이 가지고 있던 자성이 상실되고 그에 따라 부착부재(6)가 전자석판(5)과 분리된 상태가 되면,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이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를 밀어 주도록 작용하고 있으므로,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로부터 밀려서 빠져나가게 되며, 그에 따라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서로 분리되어 케이블(200)의 파단이 더욱 빠르게 일어나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를 설명하였기 때문에 제1측 결합부(1A)는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제2측 결합부(1B)는 제1측 결합부(1A)의 위쪽에서 결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 "제1측" 또는 "제2측"이라는 용어는 결합되는 방향이나 위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경우, 케이블 파단장치(100)를 이루는 2개의 결합부 중에서 한 개의 결합부에만 볼록부(2)에 전자석판(5)과 전자석 형성부품(7)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같이, 2개의 결합부(1A, 1B)가 서로 결합되고, 그중 한 개의 결합부의 경우만 볼록부(2)에 전자석(5)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편의상 볼록부(2)에 전자석판(5)이 구비되어 있는 결합부를 "제1측 결합부(1A)"라고 명명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케이블 파단장치(100)는, 2개의 결합부 모두 볼록부(2)에 전자석판(5)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9 내지 도 26에는 이와 같이 2개의 결합부 모두 볼록부(2)에 전자석판(5)이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9 및 도 20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결합됨으로써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도 19)와 개략적인 측면도(도 2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분리된 상태로 됨으로써 케이블(200)이 파단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2 및 도 23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가 분리되는 과정(도 22) 및 분리된 후의 상태(도 23)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 및 도 25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1측 결합부(1A)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23)와 조립 사시도(도 24)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6 및 도 27에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의 제2측 결합부(1B)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도 26)와 조립 사시도(도 27)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경우, 제2측 결합부(10B)의 볼록부(2) 상면에도 전자석판(5)기 구비되어 있다. 즉, 제1측 결합부(10A)의 볼록부와 마찬가지로 제2측 결합부(10B)에서 볼록부 내에도 전자석판을 위한 전자석 형성부품(7)이 배치되는 장착홈(51)이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볼록부(2)의 상면에는 전자석판(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에서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 상면에는,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2측 결합부(1B)의 전자석판(5)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재(6)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에서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될 때, 볼록부(2)가 오목부(3)에 삽입되어, 제1측 결합부(1A)의 톱니 형상과 제2측 결합부(1B)의 톱니 형상이 서로 기계적으로 맞물림과 동시에 제1측 결합부(1A) 및 제2측 결합부(1B)에 각각 구비된 전자석판(5)은 전기 공급에 의해 자성을 띄게 되고, 그에 따라 볼록부(2)가 끼워진 각각의 오목부(3) 상면에 구비된 부착부재(6)는 자력에 의해 각각의 전자석판(5)과 결합된다. 즉, 제1실시예의 상태에 더하여, 제1측 결합부(1A)의 부착부재(6)와 제2측 결합부(1B)의 전자석판(5)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자력에 의한 결합이 더 형성되는 것이며, 따라서 케이블(200)이 연속되는 상태에서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는 매우 견고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 각각에 구비된 전자석판(5)의 자성 형성을 위한 전기 공급을 동시에 중단함으로써, 볼록부(2) 각각에 구비된 전자석판(5)이 모두 자성을 잃도록 만들어서 전자석판(5)과 부착부재(6)간에 더 이상 자력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만든다. 이와 같이 제1측 결합부(1A) 및 제2측 결합부(1B)에 구비된 전자석판(5)의 자성 제거에 의해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케이블(200)이 파단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의 경우, 부착부재(6)는 단순히 강재판(steel plate)로 이루어져 있지만, 상기 부착부재(6)는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에 구비된 부착부재(6)가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파단장치(100)에서는, 부착부재(6)가 영구자석으로 되어 있으므로, 케이블(200)을 서로 연결할 때, 볼록부(2)에 구비된 전자석판(5)은 오목부(3)에 구비된 부착부재(6)의 자석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자화되어, 전자석판(5)과 부착부재(6)가 강한 인력으로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케이블 파단장치(100)를 분리시켜 케이블(200)을 파단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자석판(5)의 자석 극성을 반대로 바꾸어서, 부착부재(6)의 자석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자화되도록 함으로써, 전자석판(5)과 부착부재(6) 사이에 강한 척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더욱 용이하게 분리되게 만든다. 영구자석을 부착부재(6)로 이용하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와 같이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1A : 제1측 결합부
1B : 제2측 결합부
2 : 볼록부
3 : 오목부
4 : 경계면
5 : 전자석판
6 : 부착부재
100 : 케이블 파단장치
200 : 케이블
300 : 교량 상판

Claims (5)

  1. 케이블 교량의 축소실험모형에서 케이블(200)에 설치되어 케이블(200)을 파단시키거나 연결하는 케이블 파단장치(100)로서,
    각각의 외측 단부에는 케이블(200)이 결합되어 있는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로 구성되며;
    제1측 결합부(1A)에는, 연결 단부에 볼록부(2)와 오목부(3)가 배치되어 있고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의 경계면(4)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측 결합부(1B)에도, 연결 단부에는 1측 결합부(1A)의 톱니 형상과 대응하여 맞물리도록, 볼록부(2)와 오목부(3)가 배치되어 있고 볼록부(2)와 오목부(3) 사이의 경계면(4)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 결합부(1A)의 볼록부(2)에는 전기 공급에 의해 자성을 띄게 되는 전자석판(5)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2측 결합부(1B)의 오목부(3)에는 부착부재(6)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1측 결합부(1A)의 톱니 형상과 제2측 결합부(1B)의 톱니 형상이 서로 맞물림과 동시에, 전자석판(5)과 부착부재(6)는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되어 케이블(200)이 연결되며;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할 때에는 전자석판(5)의 자력을 상실시키고, 케이블(200)의 인장력에 의해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케이블(200)을 파단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삽입되는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에는, 탄성 스프링(9)이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어서,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를 밀어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하여 제1측 결합부(1A)에 구비된 전자석판(5)이 자력을 상실하여 부착부재(6)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로부터 밀려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에 삽입되는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에는, 탄성 스프링(9)이 압축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어서,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이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를 밀어 주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하여 제1측 결합부(1A)에 구비된 전자석판(5)이 자력을 상실하여 부착부재(6)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스프링(9)의 탄성력에 의해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가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로부터 밀려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측 결합부(1A)의 오목부(3)에도 부착부재(6)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제2측 결합부(1B)의 볼록부(2)에도 전기 공급에 의해 자성을 띄게 되는 전자석판(5)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 사이에서 톱니 형상이 서로 맞물렸을 때, 제1측 결합부(1A)의 부착부재(6)와 제2측 결합부(1B)의 전자석판(5)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자력에 의한 결합이 더 형성되며;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할 때에는 제1측 결합부(1A) 및 제2측 결합부(1B)에 각각 구비된 전자석판(5)이 모두 자력을 상실하여 부착부재(6)와의 자력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6)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측 결합부(1A)와 제2측 결합부(1B)가 결합될 때에는 전자석판(5)이 상기 부착부재(6)의 자석 극성과 반대 극성을 가지도록 자화되며;
    케이블(200)의 파단이 필요할 때에는 전자석판(5)이 부착부재(6)의 자석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자화되어 전자석판(6)과 부착부재(6) 사이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단장치.




KR1020130107260A 2013-09-06 2013-09-06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 KR101429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260A KR101429066B1 (ko) 2013-09-06 2013-09-06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260A KR101429066B1 (ko) 2013-09-06 2013-09-06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066B1 true KR101429066B1 (ko) 2014-08-13

Family

ID=5175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260A KR101429066B1 (ko) 2013-09-06 2013-09-06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7805A (zh) * 2015-12-07 2016-05-04 北京工业大学 拉索主动控制破断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289301B1 (ko) * 2021-05-07 2021-08-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및 인공위성 안테나의 운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617A (ja) * 1995-09-08 1997-03-25 Tokyo Seiko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ロープのロツク式連結方法及びそのロツク式連結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8617A (ja) * 1995-09-08 1997-03-25 Tokyo Seiko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とロープのロツク式連結方法及びそのロツク式連結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7805A (zh) * 2015-12-07 2016-05-04 北京工业大学 拉索主动控制破断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289301B1 (ko) * 2021-05-07 2021-08-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인공위성 안테나 장치 및 인공위성 안테나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519350A2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segura operaÇço de um aparelho de conexço
KR101429066B1 (ko) 케이블 교량에 대한 축소실험모형에서의 케이블 파단장치
KR101447208B1 (ko) 매설위치 표시가 가능한 지중 배전선로 연결용 커넥터
KR101869719B1 (ko) 전자접촉기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KR101957118B1 (ko) 전자기 릴레이
KR101444729B1 (ko) 고속 스위치 장치 및 방법
US20180375315A1 (en) Fastening structure of clamp for supporting power line and insulator
JP2018063760A (ja) 直流配電用接続装置
KR102111687B1 (ko) 배전 케이블 스페이스 유지 장치
CN103080567A (zh) 固定装置
JP2015130342A (ja) 電磁開閉装置
CN203166362U (zh) 隔离开关通用绝缘遮蔽罩
KR101629572B1 (ko) 전력선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JP2018100514A (ja) 橋梁用支承装置
JP6091695B1 (ja) 橋梁用支承装置
KR101629566B1 (ko) 전력선 지지용 클램프와 절연애자의 체결구조
CN111952113B (zh) 一种柱上真空断路器
KR101068925B1 (ko) 단조성형방식으로 제작 가능한 클램프본체를 포함하는 전력선 클램프장치
BR102013023179A2 (pt) conjunto de braço de contato estacionário para disjuntor de caixa moldada
CN201997384U (zh) 静电除尘器阳极振打杆限位装置
CN104092139A (zh) 改进型绝缘挡板
CN106240404B (zh) 冗余式承力索/接触线终端锚固装置
CN107060106A (zh) 一种斥力型磁悬浮隔震支座及其制造施工方法
KR101262640B1 (ko)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