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654B1 -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654B1
KR101427654B1 KR1020080002314A KR20080002314A KR101427654B1 KR 101427654 B1 KR101427654 B1 KR 101427654B1 KR 1020080002314 A KR1020080002314 A KR 1020080002314A KR 20080002314 A KR20080002314 A KR 20080002314A KR 101427654 B1 KR101427654 B1 KR 10142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receiver
power supply
sensor
power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393A (ko
Inventor
박성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6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받는 경우,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GPS 수신부가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촬상 장치, 제어 방법, GPS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GPS 수신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촬상 장치의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최근에는 촬상 장치에 GPS 수신 시스템이 포함되는 제품이 출시되었다.
그러한 GPS 수신 시스템을 구비한 촬상 장치는, GPS 수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촬영 장소의 경도 및 위도 등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촬영된 이미지에 첨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그러한 촬상 장치에서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GPS 수신 시스템에 전원을 입력하더라도, GPS 수신 시스템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상태, 즉, 초기화를 거쳐 최소한 3개의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상태로 되기까지에는, 약 수십초 내지 수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촬영자가 피사체를 지정하고, 촬영에 임박하여 비로소 GPS 수신 시스템의 전원을 on 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자 하려면, 최소한 수십 초의 초기화 및 준비 시간이 필요하고, 그렇게 되면, 촬영에 있어 위치 정보를 반영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었다. 특히, 이동하는 피사체의 경우에는 피사체의 포착이 급박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촬영 시, 위치 정보를 반영하기가 더욱 힘들었다.
그렇다고 해서, 항상 GPS 수신 시스템의 전원을 on 상태로 유지시키게 되면 전원의 소비가 많아지게 되어, 촬상 장치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하는 시점에 GPS 수신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상태에 있도록 하면서도, 촬상 장치의 전원을 최대한으로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GPS 수신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와,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와,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받는 경우,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GPS 수신부가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 표면 초음파 전도 센서, 열 검지 센서 및 압력 검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촬상 장치의 그립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신호가 중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GPS 수신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GPS 수신부는 GPS 위성 신호를 받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와, 촬상이 수행되면, 상기 GPS 수신부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 표면 초음파 전도 센서, 열 검지 센서 및 압력 검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신호가 중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촬영 시 촬영 장소의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하면서도, 촬상 장치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로서, 렌즈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는 렌즈부(111) 등의 광학계, 촬상 소자(112), 앰프 일체형의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 회로(113), A/D 변환기(114), 화상 입력 콘트롤러(115),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 압축 처리 회로(120),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122), LCD(124), 타이밍 발 생기(126), 제어부(128), 조작부(132), 메모리(134),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136), 미디어 콘트롤러(138), 기록 미디어(140), GPS 수신부(150), 터치 센서(16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렌즈부(11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투과시켜 촬상 소자(112)까지 도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부(111)에는 줌 렌즈, 초점 렌즈, 조리개, 셔터 등이 포함되는데, 줌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초점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로서, 피사체의 크기를 변화하여 촬영한다. 또한, 조리개는, 화상을 촬영할 때에 촬상 소자(112)로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하고, 초점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초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촬상 소자(112)는 렌즈부(111)를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촬상 소자(112)로는 CCD(charge couple devices)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CDS 회로(113)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샘플링 회로의 일종인 CDS 회로와, 잡음을 제거한 후에 전기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CDS 회로와 앰프가 일체가 된 회로를 이용하여 CDS 회로(113)를 구성하고 있지만, CDS 회로와 앰프를 별도의 회로로 구 성해도 된다.
A/D 변환기(114)는, 촬상 소자(112)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화상 입력 콘트롤러(115)는 디지털의 영상 신호를 제어부(128)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출력된 촬영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의 값을 조정하는 회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제어부(128)와 별도의 회로로 구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제어부(128)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116)는 전기 회로 자체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압축 처리 회로(120)는, 촬영 화상의 데이터를 적절한 형식으로 압축하는 압축처리를 행한다. 화상의 압축 형식은 가역형식 또는 비가역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형식으로 변환해도 된다.
LCD(124)는 표시부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촬영 조작을 행하기 전의 라이브 뷰 표시나, 촬상 장치(100)의 각종 설정 화면이나, 촬영한 화상의 표시 등을 행한다. 화상 데이터나 촬상 장치(100)의 각종 정보의 LCD(124)에의 표시는, LCD 드라 이버(122)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로서 LCD(124)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표시부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타이밍 발생기(126)는, 촬상 소자(112)에 타이밍 신호를 입력한다. 타이밍 발생기(12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셔터 속도가 결정된다. 즉, 타이밍 발생기(126)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해 촬상 소자(112)의 구동이 제어되고, 촬상 소자(112)가 구동하는 시간 내에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입사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전기 신호가 생성된다.
제어부(128)는, 촬상 소자(112)나 CDS 회로(113) 등에 대해 신호계의 명령을 행하거나, 조작부(132)의 조작에 대한 조작계의 명령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를 하나만 포함하고 있지만, 신호계의 명령과 조작계의 명령을 별도의 제어부에서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어부(128)는 터치 센서(160)로부터 신호를 받아 연산처리하여, GPS 수신부(150)의 전원 공급 및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28)는 촬상 장치(100) 전체의 전원 상태와는 별개로 GPS 수신부(15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본 촬상 장치(100) 자체의 전원이 off 상태라 하더라도, 제어부(128)는 GPS 수신부(150)의 전원 상태를 on 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GPS 수신부(150)는 제어부(128)에 의해 제어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GPS 수신부는 제어부(128)와는 별개의 회로로 이루어진 GPS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8)는 영상 처리 기능도 수행한다. 즉, 촬상 소자(112)로부터 받은 촬영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128)는 전송된 촬영 데이터의 감마 보정을 수행된다.
감마 보정이란 인간의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베버의 법칙(Weber's law)에 따라 밝기에 대해 비선형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한정된 비트 심도(Bit depth)가 주어졌을 때, 선형적으로 빛의 밝기를 기록하면 포스터리제이션(Posteriza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주어진 비트 심도 하에서 최대한의 화질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비선형 함수를 사용하여 부호화해야 하는데, 이를 수행하는 것을 감마 보정이라 한다.
제어부(128)의 감마 보정은 감마 커브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12 비트 영상 신호의 입력 휘도 레벨을 8비트 휘도 레벨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조작부(132)는, 촬영 모드 선택부로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촬상 장치(100)의 조작을 행하거나, 촬영시의 각종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132)에 배치되는 부재에는, 전원 버튼, 촬영 모드나 촬영 드라이브 모드의 선택 및 효과 파라미터의 설정을 행하는 십자키 및 선택 버튼, 촬영 조작을 개시하는 셔터 버튼 등이 배치된다.
메모리(134)는, 화상 기억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의 데이터나 작동에 필 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메모리(134)는, 복수의 화상을 기억할 수 있는 만큼의 기억 용량을 갖고 있다. 메모리(134)에의 화상의 판독/기입은 화상입력 콘트롤러(115)에 의해 제어된다.
VRAM(136)은, LCD(124)에 표시하는 내용을 유지하는 것으로, LCD(124)의 해상도나 최대 발색수(發色數)는 VRAM(136)의 용량에 의존한다.
기록 미디어(140)는, 화상 기록부의 일례로서, 촬영한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다. 기록 미디어(140)에의 입출력은, 미디어 콘트롤러(138)에 의해 제어된다. 기록 미디어(140)에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카드형의 기억장치인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MMC(multimedia car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GPS 수신부(150)는, GPS 위성들로부터 위도/경도 등의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GPS 안테나 등을 포함하고 있고, 자체에 위치 정보 신호 수신 회로를 보유하고 있다.
GPS 수신부(150)는, GPS 위성들로부터 위치 정보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그 위치 정보 신호를 제어부(128)로 전송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및 작동에 대해서는 제어부(128)의 지시를 받는다.
GPS 수신부(150)는, 그 전원 상태가 off 상태로부터 전원이 공급된 후 최종적으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약 수십초에서 수분의 준비 시간(TR)이 소요된다. 여기서, 준비 시간(TR)에는 적어도 3개의 GPS 위성들로부터 신호를 받는 초기화 시간(First Fix Time)이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과 동시에 GPS 수신부(150)로부터 위치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GPS 수신부(150)는 촬영 시점에서 즉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는 상태인 추적 모드(tracking mode) 상태에 있어야 한다. 여기서, 추적 모드란 GPS 수신부가 준비 시간(TR)을 거친 후의 상태 모드로써,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의미한다.
터치 센서(160)는 촬상 장치(100)의 그립부(100a)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을 경우나 몸에 터치되는 경우에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28)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160)는 정전 용량 센서를 사용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사용자가 잡을 경우 터치 신호를 생성하여, 그립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8)로 전송할 수 있으면,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로 표면 초음파 전도 센서, 열 검지 센서, 압력 검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의 GPS 수신부(150)의 작동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GPS 수신부의 작동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촬상 장치(100)의 그립부(100a)를 잡게 되면, 사용자는 터치 센서(160)를 터치하여(touching), 터치 센서(160)가 작동하게 되고, 터치 센서(160)는 터치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S301).
이어, 제어부(128)는 GPS 수신부(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GPS 수신부(150)를 초기화시킨다(단계 S302).
이어, 제어부(128)는 촬상 장치(100)의 전원 상태가 on 인지, off 인지 판단한다(단계 S303). 여기서, 촬상 장치(100)의 전원의 상태는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하기 위해 전원 스위치를 on 또는 off 하면서 결정되게 된다.
상기 S303 단계에서, 촬상 장치(100)의 전원의 상태가 on으로 판정되면, 제어부(128)는 GPS 수신부(150)의 작동 모드를 추적 모드(tracking mode)로 전환한다(S304). 전술한 바와 같이, 추적 모드란 촬영이 이루어지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는 대기 상태를 의미한다.
이어, 사용자가 피사체를 결정하고, 셔터 버튼을 눌러 촬영이 이루어지면(단계 S305), GPS 수신부(150)는 GPS 위성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단계 S306). 획득된 현재의 위치 정보는 제어부(128)로 전송되어 저장된 뒤, 촬영된 이미지 정보에 적절히 첨부되거나 태그 정보로 사용되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128)는 촬상 장치(100)의 전원의 상태가 on 인지, off 인지 판단하여, 촬상 장치(100)의 전원의 상태가 on 이면 단계 S304의 직전으로 이동하고, 전원의 상태가 off 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단계 S307).
S308 단계는 제어부(128)에서 수행되는데, S308 단계에서는 촬상 장치(100)의 전원 상태가 off 이면, 터치 센서(160)로부터 터치 신호가 계속 발생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터치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중단 상태라면 터치 신호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얼마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그 중단 상태 시간(TL) 을 미리 결정된 소정의 시간(TS)과 비교하여, 중단 상태 시간(TL)이 소정의 시간(TS)을 더 초과하였으면 단계 S309로 진행하고, 초과하지 않았으면 단계 S307의 직전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비교 대상인 소정의 시간(TS)은 미리 제어 프로그램에 입력되는데, 사용자는 가용한 전원의 용량에 따라 소정의 시간(TS)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TS)을 5분으로 정하였다면, 5분이 지나도록 터치 센서(160)로부터 터치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단계 S309로 진행하게 된다.
그 다음, 단계 S309에서는, GPS 수신부(150)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여, GPS 수신부(150)의 기능을 중지한다.
이상과 같이 GPS 수신부(15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당업계의 설계자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 외에도 수많은 제어 방법의 고안 및 응용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본 발명의 청구항에 기재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이라면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터치 센서(160)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로 GPS 수신부(150)를 미리 추적 모드로 가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촬영을 수행하게 되면, 위치 정보를 바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촬영 시에 위치 정보를 적시에 획득하면서도, 터치 센서(160)의 터치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00)의 전원 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종류 및 형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 영상 캠 코더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GPS 수신부의 작동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촬상 장치 111: 렌즈부
112: 촬상 소자 113: CDS 회로
114: A/D 변환기 115: 화상 입력 콘트롤러
116: 화이트 밸런스 조정부 120: 압축 처리 회로
122: LCD 드라이버 124: LCD
126: 타이밍 발생기 128: 제어부
132: 조작부 134: 메모리
136: VRAM 138: 미디어 콘트롤러
140: 기록 미디어 150: GPS 수신부
160: 터치 센서

Claims (7)

  1.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터치하는 경우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 및
    상기 촬상 장치의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촬상 장치의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과 독립하여 상기 GPS 수신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터치 신호를 받는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이전에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먼저 공급하여 상기 GPS 수신부를 초기화시키고, 상기 촬상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GPS 수신부가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 표면 초음파 전도 센서, 열 검지 센서 및 압력 검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촬상 장치의 그립부에 설치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에 전원 공급이 되는 중에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신호가 중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촬상 장치.
  5. GPS 수신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촬상 장치의 전체에 대한 전원 공급과 독립하여 상기 GPS 수신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촬상 장치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터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촬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이전에 상기 GPS 수신부에 먼저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GPS 수신부를 초기화시키는 단계;
    상기 촬상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GPS 수신부를 GPS 위성 신호를 받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촬상이 수행되면, 상기 GPS 수신부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 표면 초음파 전도 센서, 열 검지 센서 및 압력 검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에 전원 공급이 되는 중에 상기 촬상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터치 신호가 중단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 상기 GPS 수신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80002314A 2008-01-08 2008-01-08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2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14A KR101427654B1 (ko) 2008-01-08 2008-01-08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314A KR101427654B1 (ko) 2008-01-08 2008-01-08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93A KR20090076393A (ko) 2009-07-13
KR101427654B1 true KR101427654B1 (ko) 2014-08-07

Family

ID=4133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314A KR101427654B1 (ko) 2008-01-08 2008-01-08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5495A (zh) * 2021-09-23 2021-11-19 温州大学大数据与信息技术研究院 一种便于安装的基于计算机视觉的车载目标跟踪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955A (ko) * 2001-10-25 2003-05-0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전원제어장치 및 전원제어방법
JP2007155577A (ja) 2005-12-07 2007-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58886A (ja) 2005-12-07 2007-06-21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gps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955A (ko) * 2001-10-25 2003-05-01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촬상장치에 있어서의 전원제어장치 및 전원제어방법
JP2007155577A (ja) 2005-12-07 2007-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力供給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58886A (ja) 2005-12-07 2007-06-21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gps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393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0585B2 (en) Imaging device,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use in an imaging system including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US201101383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4262388B2 (ja) 電子カメラ
US8525913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9794487B2 (en) Imaging device, camera body,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US20130113985A1 (en) Imaging apparatus including zoom lens, focus lens and focus driver
KR101964380B1 (ko) 외부 장치의 종류를 인식하는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외부 장치
KR101427654B1 (ko) 촬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040032490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image sen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0161361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070002386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05260879A (ja) デジタルカメラ
US20040263913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US8228393B2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 moving image and a still image
KR101630295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5600962B2 (ja) 撮像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初期値設定方法
JP2007097098A (ja) 電子カメラ
JP2004023452A (ja) 電子カメラ
JP2002077689A (ja) 電子カメラ
JP201916982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画像表示方法
JP4839239B2 (ja) 撮像装置
KR20110029004A (ko) 디지털 촬영 장지,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07033775A (ja) 撮像装置
JP2005217479A (ja) 撮影場所情報付加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334495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