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465B1 - 사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465B1
KR101427465B1 KR1020120077015A KR20120077015A KR101427465B1 KR 101427465 B1 KR101427465 B1 KR 101427465B1 KR 1020120077015 A KR1020120077015 A KR 1020120077015A KR 20120077015 A KR20120077015 A KR 20120077015A KR 101427465 B1 KR101427465 B1 KR 101427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huck
sizing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594A (ko
Inventor
이창열
Original Assignee
이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열 filed Critical 이창열
Priority to KR102012007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46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10Bending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specific articles, e.g.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일측의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사이징(Sizing)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탑재될 수 있는 척지그(Chuck jig)를 갖는 척유닛(Chuck unit)과; 상기 척지그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의 축선을 따라 승강 구동되어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센터링 샤프트(Centering shaft)를 갖는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과;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와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징 롤러(Sizing roller)와, 상기 사이징 롤러를 승강 구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접촉 롤링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갖는 사이징 유닛(Siz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사이징(Sizing)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징 장치{SIZING DEVICE}
본 발명은, 원통형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축방향으로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Curling)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사이징(Sizing) 작업을 수행하는 사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사이징 장치의 작업대상의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등의 진동소자로서 사용되는 스프링 어셈블리(10)를 들 수 있다.
스프링 어셈블리(10)는 축방향으로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의 스프링 하우징(11)에 요크(12), 마그넷 링(13), 탑플레이트(14)가 순차로 수용 및 적층되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스프링 어셈블리(10)에 대하여는, 스프링 하우징(11)의 개구된 상측의 팁부(11a)를 반경방향으로 굴곡시키는 컬링(Curling) 작업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컬링 작업이 수행된 스프링 어셈블리(10)가 휴대폰 등의 진동소자로서 그대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스프링 하우징(11) 내에 수용된 요크(12), 마그넷 링(13) 및 탑플레이트(14)가 각기 회전 및 축방향 유동이 가능한 구조여서 이를 그대로 방치하였다가는 이음(異音)의 발생으로 인한 부품상의 하자로 인식될 수 있으며 오작동의 우려 또한 있다.
따라서, 컬링된 스프링 어셈블리(10)에 대하여는, 상기 컬링된 팁부(11a)를 축방향으로 가압하여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에 수용된 부품들(12, 13, 14)에 밀착시킴으로써 스프링 하우징(11)에 대한 내측 부품들, 즉 요크(12), 마그넷 링(13) 및 탑플레이트(14)의 자유회전 및 유동을 방지토록 하는 사이징(Sizing)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의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 축방향으로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Curling)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는 사이징(Sizing)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이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일측의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사이징(Sizing) 장치에 있어서, 수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탑재될 수 있는 척지그(Chuck jig)를 갖는 척유닛(Chuck unit)과; 상기 척지그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의 축선을 따라 승강 구동되어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센터링 샤프트(Centering shaft)를 갖는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과;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와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징 롤러(Sizing roller)와, 상기 사이징 롤러를 승강 구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접촉 롤링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갖는 사이징 유닛(Siz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징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센터링 유닛은, 상기 센터링 샤프트가 장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과,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을 일정한 상하 이송 스트로크(Stroke)로 승강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센터링 샤프트의 지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 조절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센터링 유닛은,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에 대한 스프링력을 측정 및 표시하기 위한 로드셀(Load cell)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표시되는 스프링력과 연계하여 상기 실린더 블록의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한 스트로크 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징 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로서 서보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서보 실린더는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상기 사이징 롤러의 접촉 롤링 시의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출력이 조절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이징 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 구동되는 승강 브래킷과, 상기 승강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이징 롤러를 지지하는 회동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대한 상기 회동아암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일측의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사이징(Sizing) 장치에 있어서, 수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탑재될 수 있는 척지그(Chuck jig)를 갖는 척유닛(Chuck unit)과; 상기 척지그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의 축선을 따라 승강 구동되어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센터링 샤프트(Centering shaft)를 갖는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과;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와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징 롤러(Sizing roller)와, 상기 사이징 롤러를 승강 구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접촉 슬립(Slip)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갖는 사이징 유닛(Siz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징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징 장치에 의하면 내부에 부품이 수용된 하우징의 팁부가 굴곡된 상태에서 척유닛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탑재 및 회전시키고 센터링 유닛에 의해 상기 회전하는 하우징을 지지한 상태에서 사이징 유닛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부품을 고정시키는 사이징(Sizing)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징 장치의 작업대상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작업대상의 조립 및 가공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징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이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사이징 장치의 주요부의 변형례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이징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징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징 작업 대상인 스프링 어셈블리(10)를 탑재 및 회전시키기 위한 척유닛(Chuck unit, 110)과, 상기 탑재된 스프링 어셈블리(10)의 회전 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 130) 및 상기 회전하는 스프링 어셈블리(10)에 대한 사이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이징 유닛(Sizing unit, 150)을 포함한다.
척유닛(110)은 그 상단에 구비되는 척지그(Chuck jig, 111)의 중앙에 형성된 탑재홀(111a)을 통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를 수용 및 지지한다(도 4 참조).
척유닛(110)은 상기 탑재홀(111a)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의 회전 구동은 하부의 풀리(112)에 대한 벨트 전동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탑재홀(111a)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링 작업이 수행된 스프링 어셈블리(10)가 삽입되되, 그 삽입 방향은 컬링으로 인해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스프링 하우징(11)의 팁부(11a)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탑재된다.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 1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척지그(111)의 상부에서 탑재홀(111a) 및 이에 탑재되는 스프링 어셈블리(10)의 공통되는 수직 축선을 따라 승강 구동되는 센터링 샤프트(Centering shaft, 131)를 구비한다.
센터링 샤프트(131)는 탑재홀(111a)에 탑재된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상면을 적절한 힘으로 가압 지지함으로써 상기 척지그(111)의 회전 구동으로 인해 회전하는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이탈 방지 및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하는 스프링 어셈블리(10)에 대한 사이징 유닛(150)의 사이징 작업이 정밀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센터링 샤프트(131)는 슬라이드 브래킷(132)의 하단에 고정 장착되고, 슬라이드 브래킷(132)은 수직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133)을 따라 승강 슬라이드되며, 상기 센터링 샤프트(131)의 승강 구동은 상기 가이드 레일(133)의 상부에 탑재되는 실린더 블록(134)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132)을 승강 구동함으로써 달성된다.
실린더 블록(134)에 의한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132)의 승강 구동은 상하 일정한 이송량, 즉 스트로크(Stroke)를 갖는다.
이때, 이와 같은 실린더 블록(134)에 의한 상하 이송 스트로크는 상기 실린더 블록(134)의 상단을 통해 돌출되는 실린더 로드(135)와 나사결합된 스토퍼(Stopper, 136)의 회전 조절을 통해 길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센터링 샤프트(131)에 의해 접촉 및 지지되는 스프링 어셈블리(10)는 상기 센터링 샤프트(131)의 접촉 지지력이 과도한 경우에는 이를 구성하는 부품들(11 내지 14)의 변형 내지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부품들 중 마그넷 링(13)은 분말합금 소결로 성형되는 관계로 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는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 블록(134)과 슬라이드 브래킷(132)의 사이에 스프링(137)을 개재시키되, 상기 실린더 블록(134)이 상기 스프링(137)을 가압하는 가압 로드 측 단부에는 스프링 조절볼트(138)를 장착함으로써, 이 스프링 조절볼트(138)의 회전 조절을 통해 상기 스프링(137)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 조절볼트(138)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스프링(137)은 곧 그 길이조절된 양만큼의 복원력을 가지게 되고, 상기 복원력만큼 하단의 센터링 샤프트(131)가 스프링 어셈블리(10)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힘, 즉 지지력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력은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에 수용된 부품들(11 내지 14)의 파손 및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정도의 범위 내에서 발휘되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센터링 샤프트(131)의 스프링 어셈블리(10)에 대한 지지력은 상기 실린더 블록(134)의 상하 이송 스트로크와도 관련이 있다. 즉, 상기 스트로크가 클수록 상기 센터링 샤프트(131)가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에 접촉된 후에도 상기 스프링 조절볼트(138)에 의해 상기 스프링(137)의 압축량이 증가하므로 이에 따라 상기 센터링 샤프트(131)에 의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에 대한 지지력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프링(137)의 압축에 따른 센터링 샤프트(131)의 가압력을 수치화하고 이와 연계하여 상기 실린더 블록(134)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137)과 슬라이드 브래킷(132)의 사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137)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원반(139)과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132) 상단부와의 접촉면 사이에 로드셀(Load cell, 도면 미도시)을 삽입 개재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137)에 의한 스프링력이 상기 로드셀로부터 측정 및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센터링 샤프트(131)가 회전하는 스프링 어셈블리(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상기 로드셀로부터 표시되는 스프링력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력은 상기 실린더 블록(134)의 스트로크 조절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센터링 샤프트(131)의 스프링 어셈블리(10)에 대한 지지력은 상기 로드셀에 의해 표시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실린더 블록(134)의 스트로크 조절로 피드백된다.
사이징 유닛(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척지그(111)에 탑재된 스프링 어셈블리(10)의 스프링 하우징(11)의 굴곡된 팁부(11a)와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징 롤러(Sizing roller, 151)를 구비한다.
사이징 롤러(151)는 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브래킷(152)이 승강구동부(153)에 의해 승강 구동됨에 따라 상기 척지그(111)에 탑재된 스프링 어셈블리(10) 측 스프링 하우징(11)의 굴곡된 팁부(11a)에 대한 접촉 롤링 및 가압을 달성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사이징 롤러(151)의 접촉 가압으로 인해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의 부품들(11 내지 14)이 파손 내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사이징 롤러(151)의 접촉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구동부(153)가 서보 실린더로 이루어져 상기 사이징 롤러(151)와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와의 접촉 시 일정한 토크(Torque)가 출력되도록 조절됨으로써 상기 사이징 롤러(151)에 의한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사이징 롤러(151)가 단순히 수직 위치 조절만으로 상기 스프링 어셈블리(10)와 접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가압력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가압력이 요구되는 수준 이하로 적은 경우에도 이를 적절한 수준으로 높이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사이징 유닛(150)은 상기한 사이징 롤러(151)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사이징 유닛(150)은 승강 브래킷(152)의 좌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되는 고정아암(154), 이 고정아암(154)의 끝단부에 전후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아암(155)을 더 포함한다. 회동아암(155)의 단부로는 사이징 롤러(151)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이징 롤러(151)는 고정아암(15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그 수평이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동아암(155)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으로서 각도조절볼트(156)가 'ㄱ'자 아암(157)을 통해 고정아암(15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볼트 하단부가 회동아암(155)을 접촉 지지한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156)의 조절을 통해 회동아암(155)의 회동 및 그에 따른 사이징 롤러(151)의 회동이 조절될 수 있다.
회동 각도가 조절된 회동아암(155)은 각도고정볼트(158)를 조임으로써 그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이징 롤러(151)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스프링 하우징(11)의 굴곡된 팁부(11a)에 접촉 롤링되는 방식으로 사이징 작업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징 롤러(251)가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그 저면의 외측단부(251a)를 통해 상기 스프링 하우징(11)의 굴곡된 팁부(11a)에 접촉되어 슬립(Slip)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굴곡된 팁부(11a)에 대한 사이징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된 사이징 장치(100) 및 그 변형례 등은 모두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 스프링 어셈블리 11: 스프링 하우징
11a: 팁부 12: 요크
13: 마그넷 링 14: 탑플레이트
100: 사이징 장치 110: 척유닛
111: 척지그 111a: 탑재홀
112: 풀리 130: 센터링 유닛
131: 센터링 샤프트 132: 슬라이드 브래킷
133: 가이드 레일 134: 실린더 블록
135: 실린더 로드 136: 스토퍼
137: 스프링 138: 스프링 조절볼트
139: 원반 150: 사이징 유닛
151: 사이징 롤러 152: 승강브래킷
153: 승강구동부 154: 고정아암
155: 회동아암 156: 각도조절볼트
157: 'ㄱ'자 아암 158: 각도고정볼트
251: 사이징 롤러

Claims (6)

  1. 삭제
  2.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일측의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사이징(Sizing) 장치에 있어서,
    수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탑재될 수 있는 척지그(Chuck jig)를 갖는 척유닛(Chuck unit)과; 상기 척지그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의 축선을 따라 승강 구동되어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센터링 샤프트(Centering shaft)를 갖는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과;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와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징 롤러(Sizing roller)와, 상기 사이징 롤러를 승강 구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접촉 롤링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갖는 사이징 유닛(Siz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링 유닛은,
    상기 센터링 샤프트가 장착되는 슬라이드 브래킷과,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을 일정한 상하 이송 스트로크(Stroke)로 승강 구동하기 위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센터링 샤프트의 지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스프링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유닛은,
    상기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드 브래킷에 대한 스프링력을 측정 및 표시하기 위한 로드셀(Load cell)과, 상기 로드셀로부터 표시되는 스프링력과 연계하여 상기 실린더 블록의 스트로크를 조절하기 위한 스트로크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징 장치.
  4.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일측의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사이징(Sizing) 장치에 있어서,
    수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탑재될 수 있는 척지그(Chuck jig)를 갖는 척유닛(Chuck unit)과; 상기 척지그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의 축선을 따라 승강 구동되어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센터링 샤프트(Centering shaft)를 갖는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과;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와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징 롤러(Sizing roller)와, 상기 사이징 롤러를 승강 구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접촉 롤링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갖는 사이징 유닛(Siz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징 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로서 서보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서보 실린더는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상기 사이징 롤러의 접촉 롤링 시의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출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징 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상하 구동되는 승강 브래킷과, 상기 승강 브래킷에 대하여 고정되는 고정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사이징 롤러를 지지하는 회동아암과, 상기 고정아암에 대한 상기 회동아암의 회동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징 장치.
  6. 원통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일측의 개구된 팁부가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부품의 고정을 위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를 상기 수용된 부품에 축방향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사이징(Sizing) 장치에 있어서,
    수직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단의 중앙부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반경방향으로 굴곡된 팁부가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탑재될 수 있는 척지그(Chuck jig)를 갖는 척유닛(Chuck unit)과; 상기 척지그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의 축선을 따라 승강 구동되어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센터링 샤프트(Centering shaft)를 갖는 센터링 유닛(Centering unit)과; 상기 척지그에 탑재된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와 수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사이징 롤러(Sizing roller)와, 상기 사이징 롤러를 승강 구동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접촉 슬립(Slip) 및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구동부를 갖는 사이징 유닛(Sizing unit);을 포함하되,
    상기 사이징 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로서 서보 실린더를 구비하며,
    상기 서보 실린더는 상기 하우징의 굴곡된 팁부에 대한 상기 사이징 롤러의 접촉 롤링 시의 가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그 출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징 장치.
KR1020120077015A 2012-07-16 2012-07-16 사이징 장치 KR101427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15A KR101427465B1 (ko) 2012-07-16 2012-07-16 사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015A KR101427465B1 (ko) 2012-07-16 2012-07-16 사이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94A KR20140010594A (ko) 2014-01-27
KR101427465B1 true KR101427465B1 (ko) 2014-08-07

Family

ID=5014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015A KR101427465B1 (ko) 2012-07-16 2012-07-16 사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4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0048A (ja) * 1995-04-27 1996-11-19 Komatsu Ltd 曲げ加工機
KR200204750Y1 (ko) * 2000-06-20 2000-12-01 김정연 보석 사이징기
JP2004249302A (ja) 2003-02-19 2004-09-09 Kyoei Seiko Kk サイジ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449561B1 (ko) 2004-02-17 2004-09-20 주식회사 봉성비에스 완충기용 피스톤의 테플론 코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0048A (ja) * 1995-04-27 1996-11-19 Komatsu Ltd 曲げ加工機
KR200204750Y1 (ko) * 2000-06-20 2000-12-01 김정연 보석 사이징기
JP2004249302A (ja) 2003-02-19 2004-09-09 Kyoei Seiko Kk サイジング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449561B1 (ko) 2004-02-17 2004-09-20 주식회사 봉성비에스 완충기용 피스톤의 테플론 코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94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998B2 (en) Double disc surface grinding machine and grinding method
CA2975457C (en) Drive belt tensioning device
JP5828943B1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US20160016373A1 (en) Press machine
KR101384958B1 (ko) 컬링장치
CN109676562A (zh) 一种航空发动机低压涡轮导向叶片安装装置
KR101427465B1 (ko) 사이징 장치
JP2008143678A (ja) 治具昇降装置
CN105252252A (zh) 一种汽车发动机组装工作台
CN105467990A (zh) 单轴机器人
JP5556899B2 (ja) ローラヘミング装置
CN107377678B (zh) 一种校直机及其带摩擦驱动装置
CN110756624B (zh) 一种车轮轮辋变形校正装置及方法
CN206500862U (zh) 一种顶升旋转装置
JP4021709B2 (ja) 缶巻締試験装置
CN102014603B (zh) 吸附嘴驱动控制方法
CN110369563B (zh) 一种桥壳中段自动检测校正设备
JP5184969B2 (ja) ロータリプレス
CN219788289U (zh) 一种车辆零件缺陷检测平台
KR20220074554A (ko) 고중량 전동기 핸들링 장치
CN209329914U (zh) 电机出轴上零部件压装装置
CN105141087A (zh) 拉入式嵌线机旋转及支撑组件
CN110138151A (zh) 一种电机定子整形系统及其使用方法
DE102009006156A1 (de) Linsenbearbeitungsvorrichtung
JP2007071383A (ja) 回転軸支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