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424B1 - 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24B1
KR101426424B1 KR1020120059026A KR20120059026A KR101426424B1 KR 101426424 B1 KR101426424 B1 KR 101426424B1 KR 1020120059026 A KR1020120059026 A KR 1020120059026A KR 20120059026 A KR20120059026 A KR 20120059026A KR 101426424 B1 KR101426424 B1 KR 101426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rail
fixed
str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0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5457A (en
Inventor
채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남특장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남특장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남특장차
Priority to KR102012005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24B1/en
Publication of KR2013013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37Latch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에 수용된 화물의 고정을 위한 끈이 고정되기 위한 끈고정부와, 상기 적재함의 천정에 고정되어 상기 끈고정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끈고정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와,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방식으로 상기 끈고정부와 함께 이동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를 상기 끈고정부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물의 양에 따라 적합한 끈 고정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staple fixing part for fixing a strap for fixing a cargo accommodated in a loading compartment; a rail fixed to a ceiling of the loading compartment to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aple fixing part, And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wheel portion to the strik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vehicle equipped with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rgo can be more stably fix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uitable cord can be easily fix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go, and the cargo can be more easily fixed by the user.

Description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0001] DESCRIPTION [0002] Apparatus for fixing cargo for a specially-

본 발명은 특장차에 수용되는 화물을 고정하기 위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specific car for fixing a cargo accommodated in a car.

일반적으로, 특장차는 특수한 용도에 맞추어 제작된 차량을 의미한다. 특장차에는 윙바디형 차량, 냉동탑 차량, 내장탑 차량, 특수탑 차량 등 다양한 형태의 차량이 포함된다. Generally, a specially designed vehicle means a vehicle manufactured for a specific purpose. Specially equipped vehicles include various types of vehicles such as a wing-type vehicle, a freezing tower vehicle, a built-in tower vehicle, and a special tower vehicle.

특장차에는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적재함이 형성되고, 적재함에 화물이 수용됨으로써, 특장차에 의하여 다양한 화물이 운송될 수 있다. 그런데, 화물이 특장차의 적재함에 수용된 상태에서 특장차가 이동하는 경우에, 출발과 정지, 노면 상태 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특장차가 흔들리게 되고, 특장차의 내부에 수용된 화물도 함께 흔들려 본래의 위치에서 이탈됨으로써, 파손될 염려가 있다. The car is equipped with a loading box for accommodating the cargo, and the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loading box, so that various cargoes can be carried by the car. However, when the specially equipped vehicle is moved in the state that the cargo is accommodated in the loading box of the specially equipped vehicle, the specially equipped car is shaken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the start, stop and road surface conditions, and the cargo accommodated in the specially- , There is a risk of being damaged.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9-0109288호에 의한 윙바디형 차량을 살펴보면, 적재함에 화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운행하는 경우에, 화물이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재함 내부에서 자유롭게 흔들려 서로 부딪히거나, 바닥에 떨어져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wing-bird-type vehicl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109288, when a vehicle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a cargo is accommodated in a loading car, freight is not fixed, , It is likely to fall on the floor and break down.

이러한 특장차에 의한 화물의 운송 중에 화물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함 양측 내면에 고리를 형성하고 끈을 고리에 묶는 방식으로 화물이 적재함 내부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더라도, 소규모의 박스를 여러 층으로 쌓아 올려 적재하는 경우에, 고정을 위한 끈과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끈에 의해서 고정될 수 없는 화물도 있어, 화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the cargo from being shaken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cargo by the specially equipped car, there has been attempted to fix the cargo in the loading car so as not to be shaken by forming a ring o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cargo and tie the string to the ring. However, even with this method, when a small-sized box is piled up and stacked in several layers, there are some cargoes which can not be fixed by the strap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strap for fixing, There was a limit.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0928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10928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장차의 화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specific car capable of more stably fixing a cargo of a car.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go holding device for a specific car which can more easily fix a cargo by a us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는, 적재함에 수용된 화물의 고정을 위한 끈이 고정되기 위한 끈고정부와, 상기 적재함의 천정에 고정되어 고정되어 상기 끈고정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끈고정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방식으로 상기 끈고정부와 함께 이동하는 바퀴부와, 상기 바퀴부를 상기 끈고정부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car equipped with a tailgate, comprising: a string fixing part for fixing a string for fixing a cargo received in a cargo hold; and a fixing part fixed to a ceiling of the cargo hold, And a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wheel portion to the stiffness adjusting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ffness adju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에 의하면, 화물 고정을 위한 끈이 적재함의 양측 내면 뿐만 아니라 천정에도 동시에 고정되므로, 즉 끈이 경사지는 방향으로 놓여 고정되기 때문에, 서로 높이가 다르게 위치되는 화물들도 함께 고정 가능되어, 화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specif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ing for fixing the cargo is simultaneously fixed on the ceiling as well as the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cargo bay, that is, the string is fixed in the inclined direction, The stored cargo can be fixed together, and the cargo can be more stably fix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는, 적재함의 천정에 화물의 양에 따라 천정에 고정되는 끈 위치를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화물의 양에 따라 적합한 끈 고정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specific car, which is capable of freely adjusting and fixing the position of a string fixed to a ceiling according to the amount of cargo on the ceiling of a loading ca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rgo can be fixed easily and easily by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바퀴부를 보인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바퀴부를 보인 우측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cargo fixing device for a specific purpos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specific purpos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 cargo fixing device for a specific purpos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wheel portion of a cargo fixing device for a specific purpos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wheel portion of a cargo fixing device for a specif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specif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바퀴부를 보인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의 바퀴부를 보인 우측면도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specif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car equipp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cargo fixing apparatus for a car. FIG. 4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wheel part of a cargo fixing device for a specif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wheel part of the cargo fixing device for a ca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1)는, 특장차의 적재함(10) 천정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화물 고정 장치(1)에 고정되는 끈이 양측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놓여 화물을 균형감있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화물 고정 장치(1)는 적재함(10) 천정의 중앙부에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놓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1)는 다양한 특장차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윙바디형 차량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1 to 5, a cargo fixing apparatus 1 for a specific purpos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ceiling of a loading box 10 of a specially equipped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cargo holding device 1 is arrang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10 so as to be able to symmetrically locate the straps fixed to the cargo holding device 1 in both directions to fix the cargo in a balanced manner. As shown in Fig. Here, the cargo fixing device 1 for a specific-purpose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on various specially equipped vehicles, but a wing-bird-type vehicle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윙바디형 특장차는 양측 윙(101)이 회동 가능하게 동시에 고정되는 중앙 프레임(102)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 프레임(102)은 기능을 고려하여 대들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윙바디형 특장차에서 양측 윙(101)은 측방향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개폐될 수 있으므로, 상기 중앙 프레임(102)은 상기 윙바디형 특장차의 적재함(10) 천정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The wingbody type specially equipped vehicle includes a central frame 102 to which both wings 101 are rotatably fixed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frame 102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girder considering its function. Since the wings 101 are symmetrically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wing-bodetail specially equipped vehicle, the center frame 102 is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ong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10 of the wing- .

즉, 윙바디형 특장차의 경우에는, 상기 화물 고정 장치(1)가 상기 중앙 프레임(102)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case of a wingbody type specially equipped vehicle, the cargo holding device 1 can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frame 102.

상기 화물 고정 장치(1)는, 화물의 고정을 위한 끈이 고정되기 위한 끈고정부(11)와, 상기 중앙 프레임(102)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끈고정부(1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끈고정부(11)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12)과, 상기 레일(12)을 따라 구르는 방식으로 상기 끈고정부(11)와 함께 이동하는 바퀴부(13)와, 상기 바퀴부(13)를 상기 끈고정부(11)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물 고정 장치(1)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끈고정부(11)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끈고정부(1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15)를 더 포함한다. The cargo holding device 1 includes a string fastening part 11 for fastening a string for fixing a cargo and a fastening part 11 fasten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02 so that the fastening part 11 can slide in the front- A wheel part 13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sticking part 11 in a manner of rolling along the rail 12 and a wheel part 13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sticking part 11, And a connection bracket (14) for connecting the locking part (13) to the locking part (11). The cargo holding device 1 further includes a locking portion 15 for fixing the locking portion 11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11 is adjus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끈고정부(11)는 양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적재함(10)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12)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끈고정부(11)의 일지점 또는 다수 지점에 끈이 묶이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끈의 일단이 상기 끈고정부(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끈의 타단이 상기 적재함(10)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리 등에 묵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끈이 적재함(10)을 가로 질러 놓이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함(10)을 가로질러 놓인 끈에 의하여, 끈이 전방에 놓인 화물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서 화물의 고정을 위한 끈은 섬유 재질의 끈 뿐만 아니라, 와이어 등 상기 끈고정부(11)에 고정될 수 있고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것이 될 수 있다. The sticking part 11 is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both lateral directions and is positioned below the rail 12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in the loading box 10. The string can be fixed in a manner such that the string is tied to one point or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sticking part 11. [ In the state where one end of the string is fixed to the string fastening portion 11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is fixedly attached to a ring or the lik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cking box 10, May be fixed to be placed across. And, with the strap laid across the loading box 10, the strap can be secured so that the forward loaded cargo does not leave behind. Of course, the string for fixing the cargo here may be various types within a range that can be fixed to the string tightening part 11 such as a wire, as well as a string of a fiber material and can fix the cargo.

상기 레일(12)은 상기 중앙 프레임(102)의 저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일(12)의 측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중앙부(121)는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102)의 저면에 접촉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2)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바퀴부(13)가 안착되어 구를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바퀴홈(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12)은 상기 바퀴홈(122)의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13)가 상기 바퀴홈(12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속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바퀴홈(122)은 상기 레일(12)의 측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양측 단부에 각각 하나씩, 총 2개로 형성된다. The rail 12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02. The center portion 121 is form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the remaining portion a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frame 102 by a reference to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rail 12. [ At both ends of the rail 12, a wheel groove 122 is form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wheel portion 13 is seated thereon. The rails 12 are inclined upward to both sides of the wheel grooves 122 so that the wheels 13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wheel grooves 122. At this time, the wheel grooves 122 are formed at two ends, one on each side of the rail 12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바퀴부(13)는 수직으로 세워진 원반 형상으로 상기 바퀴부(13)의 외주면이 상기 바퀴홈(122)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바퀴부(13)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레일(1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바퀴부(13)의 중심에는 상기 바퀴부(13)의 회전 중심축에 해당하는 샤프트(13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30)는 상기 바퀴부(13)의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4)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바퀴부(13)도 상기 바퀴홈(122)에 대응되게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2개로 구비된다.The wheel part 13 is formed in a vertically erected disk shape and the wheel part 13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heel part 13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groove 122, It becomes possible to mov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haft 130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wheel unit 1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heel unit 13. The shaft 130 extends in one direction of the wheel unit 13 a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4. At this time, the wheel portions 13 are also provided in two so as to correspond to the wheel grooves 122, respectively.

상기 연결브라켓(14)은 전체적으로 'ㄴ' 자 형상의 납작한 평판으로 형성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끈고정부(11)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측연결부(141)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퀴부(13)의 샤프트(130)에 고정되는 상측연결부(1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14)은 상기 끈고정부(11) 및 샤프트(130)에 볼트, 핀, 리벳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bracket 14 is formed as a flat flat plate having an overall shape of an 'B' shape so as to have a lower connection part 141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ring fastening part 11, And an upper connection part 142 fixed to the shaft 130 of the part 13.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racket 14 may be fixed to the stiffness fixing part 11 and the shaft 130 by various methods such as bolts, pins, and rivets.

상기 잠금부(15)는, 상기 끈고정부(11)에 고정되는 후렌치너트(151)와, 상기 후렌치너트(151) 및 끈고정부(11)에 나사 결합되는 나비볼트(152)를 포함한다. 상기 후렌치너트(151)가 상기 끈고정부(11)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나비볼트(152)가 상기 끈고정부(11)의 하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나비볼트(152)의 단부는 상기 끈고정부(11)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나비볼트(152)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후렌치너트(151) 및 끈고정부(11)에 대하여 조이고 풀림에 따라, 상기 끈고정부(11)를 기준으로 상기 나비볼트(152)가 승하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렌치너트(151) 및 나비볼트(152)는 상기 레일(12)의 측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바퀴부(13)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The locking part 15 includes a wrench nut 151 fixed to the stalk fastening part 11 and a wing bolt 152 screwed to the wrench nut 151 and the fastening part 11 . The wrench bolt 152 is screwed so as to penetrate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icking part 11 in a state where the flange nut 151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icking part 11. [ At this time, the end of the wing bolt 152 protrudes above the sticking part 11 and is tightened to the fulcrum nut 151 and the sticking part 11 by rotating the wing bolt 152 The butterfly bolt 152 can ascend and descend on the basis of the pull tab 11. The flange nut 151 and the butterfly bolt 152 are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wheel portion 13 with respect to the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rail 12.

따라서, 상기 나비볼트(152)가 상승하다 보면, 상기 나비볼트(152)의 단부가 상기 바퀴부(13)의 저면에 접촉되어 압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면 나비볼트(152)의 단부와 상기 바퀴부(13)의 저면이 압박 고정됨으로써, 상기 끈고정부(11)가 상기 레일(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when the wing bolt 152 rises, the end portion of the wing bolt 152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wheel portion 13 to apply pressure. The end portion of the wing bolt 15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heel portion 13 are pressed and fixed so that the sticking portion 11 can be fixed so as not to move relative to the rail 12. [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1)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먼저 화물을 적재함(10)의 전면부터 후방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실을 수 있다. 그리고, 화물의 적재가 완료된 후에는, 우선 상기 끈고정부(11)를 상기 적재함(10)에 실린 화물의 후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끈고정부(11)는 상기 레일(12)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끈고정부(11)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끈고정부(11)의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잠금부(15)를 이용하여 상기 끈고정부(11)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즉, 상기 나비볼트(152)를 조이는 방식으로 상기 나비볼트(152)가 상기 바퀴부(13)의 저면을 압박하여, 상기 끈고정부(11)가 상기 레일(1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0031] The operation of the cargo fixing apparatus 1 for a specif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A user can load the cargo sequential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loading box 10 sequentially. After the loading of the cargo is completed, the locking part 11 can be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cargo stored in the loading box 10 first. At this time, since the sticking part 11 can be freely moved along the rail 12,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icking part 11. [ When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sticking part 11 is completed, the user uses the locking part 15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sticking part 11. [ That is, the butterfly bolt 152 presses the bottom surface of the wheel part 13 in such a manner that the butterfly bolt 152 is tightened, so that the hair ironing part 11 is fixed to the rail 12.

상기 끈고정부(11)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끈고정부(11)의 일측에 끈의 일단을 묶어 고정하고, 끈의 타단을 상기 적재함(10)의 양측 내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리 중 상기 화물의 후단에 가까운 고리에 묶는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끈이 상기 끈고정부(11)와 고리에 동시에 고정됨으로써, 화물이 후방으로 이탈되되지 않도록 화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the state where the sticking part 11 is fixed, a user ties and fixes one end of a string to one side of the sticking part 11 and connects the other end of the string to a ring formed on the inner side or bottom side of the loading box 10 And can be fixed to a ring near the rear end of the cargo. Then, the string is simultaneously fixed to the hooking part 11 and the hook so that the cargo can be fixed so that the cargo is not released backward.

이때, 더 효과적인 화물의 고정을 위하여, 다수개의 끈 일단이 상기 끈고정부(11)의 다수 지점에 묶이고, 다수개의 끈 타단이 상기 적재함(10) 양측 내면 또는 바닥면에 묶이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끈에 의하여 화물이 구속되는 지점이 더 많아지므로, 화물이 더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fix the cargo, one end of a plurality of strings may be bound to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stationary part 11, and a plurality of strings may be fix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other ends of the strings are tied to the inner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 In this case, the cargo can be more effectively fixed as the location of the cargo is constrained by the strap.

물론, 끈의 일단이 상기 끈고정부(11)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끈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상기 끈고정부(11)의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Of course,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string is fixed to the sticking part 11, the user ma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ticking part 11 by pulling the string.

본 발명에 의하면, 화물 고정을 위한 끈이 적재함(10)의 양측 내면 뿐만 아니라 천정에도 동시에 고정되므로, 즉 끈이 경사지는 방향으로 놓여 고정되기 때문에, 서로 높이가 다르게 위치되는 화물들도 함께 고정 가능되어, 화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ing for fixing the cargo is fixed to the ceiling at the same time as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loading box 10, that is, the string is fixed in the inclined direction so that the cargoes positioned at different heights can be fixed together So that the cargo can be more stably fix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1)는, 적재함(10)의 천정에 화물의 양에 따라 천정에 고정되는 끈 위치를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화물의 양에 따라 적합한 끈 고정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더욱 간편하게 화물을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argo holding device 1 for a specific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that the position of a string fixed to a ceiling can be freely adjusted in front and rear depending on the amount of cargo on the ceiling of the loading box 10,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fix the cargo.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on the basis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1 : 화물 고정 장치
10 : 적재함
11 : 끈고정부
12 : 레일
13 : 바퀴부
14 : 연결크라켓
15 : 스토퍼
1: Cargo hold device
10: Loading
11: Strong government
12: Rail
13:
14: Connecting kracket
15: Stopper

Claims (2)

윙바디형 특장차의 적재함에 수용된 화물의 고정을 위한 끈이 고정되기 위한 끈고정부;
상기 윙바디형 특장차의 양측 윙이 회동 가능하게 동시에 고정되는 중앙 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끈고정부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끈고정부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구르는 방식으로 상기 끈고정부와 함께 이동하는 바퀴부;
'ㄴ' 자 형상의 납작한 평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퀴부를 상기 끈고정부에 연결하는 연결브라켓; 및
전후 방향으로 상기 끈고정부의 위치가 조정된 상태에서 상기 끈고정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을 포함하고,
상기 끈고정부는, 끈의 일단이 상기 끈고정부의 다수 지점에 묶이고 끈의 타단이 상기 적재함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형성되는 고리에 묶여 화물이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상기 레일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레일의 측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상기 중앙 프레임의 저면에 접촉 고정되는 중앙부; 및
상기 레일의 측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레일의 양측 단부에 각각 상기 바퀴부가 안착되어 구를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2개의 바퀴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2개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에 고정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2개의 바퀴부의 외주면이 상기 2개의 바퀴홈에 각각 접촉한 상태에서 구르는 방식으로 상기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끈고정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하측연결부;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퀴부의 샤프트에 고정되는 상측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바퀴부의 직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끈고정부에 고정되는 후렌치너트; 및
조이고 풀림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끈고정부를 상기 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후렌치너트 및 끈고정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비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용 화물 고정 장치.
A striking part for fixing a strap for fixing a cargo accommodated in a loading box of a wing-bodied specially equipped car;
The wings of the wing-type specially equipped vehicle are provided so as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ral frame which is rotatably fixed at the same time,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triking part is guided in such a way that the string- Rail;
A wheel part that moves along the rail in a manner of rolling along the rail;
A connection bracket formed of a flat plate having an 'a' shape and connecting the wheel portion to the stiffness fixing portion; And
And a locking portion for fixing the string fastening portion so as not to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tring fastening portion is adjus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string fastening portion is elongated in both lateral directions so that one end of the string is tied to a plurality of points of the string fastener and the other end of the string is bound to a ring formed on a side surface or a bottom surface of the stacker, And a lower end of the rail,
The rail
A central portion formed to be relatively higher than a remaining portion of the rail relative to a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rail and being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enter frame; And
And two wheel grooves formed on both side ends of the rail with respect to a lateral cross section of the rail,
The two wheel portions are provided with two wheels which are rotated about the shaft fixed to the connection bracket and ar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rails in such a manner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wo wheel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the two wheel grooves Can,
The connection bracket
A lower connection part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iffness fixing part; And
And an upper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shaft of the wheel portion,
The locking portion
A wrench nut fixed to the strik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heel portion; And
And a wing bolt threadedly engaged with the hinge nut and the hinge cover so that the hinge cover can be selectively fixed to the rail by raising and lowering the hinge cover by tightening and loosening.
삭제delete
KR1020120059026A 2012-06-01 2012-06-01 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 KR1014264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26A KR101426424B1 (en) 2012-06-01 2012-06-01 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026A KR101426424B1 (en) 2012-06-01 2012-06-01 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57A KR20130135457A (en) 2013-12-11
KR101426424B1 true KR101426424B1 (en) 2014-08-05

Family

ID=4998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026A KR101426424B1 (en) 2012-06-01 2012-06-01 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880A (en) 2014-07-15 2016-01-25 조영호 Apparatus for fixing cargo in truck
CN112127818B (en) * 2020-09-09 2022-04-15 西南石油大学 Continuously adjustable vibrating screen experiment bench device
CN113844356B (en) * 2021-10-13 2024-03-22 芜湖造船厂有限公司 Special cargo fixing device and motor vehicle us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077U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Freight fixed structure of truck
JP2002293187A (en) * 2001-03-30 2002-10-09 Nissan Diesel Motor Co Ltd Luggage holding device of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4077U (en)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Freight fixed structure of truck
JP2002293187A (en) * 2001-03-30 2002-10-09 Nissan Diesel Motor Co Ltd Luggage holding devic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57A (en)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891B2 (en) Removable frame systems for vehicle shipping
MX2013003661A (en) Collapsible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US20170106779A1 (en) Low Profile Wheel Chocking System and Chock Construction
US20160137121A1 (en) Removable Frame Systems For Vehicle Shipping
KR101473976B1 (en) container for coil transportation
KR101426424B1 (en) Apparatus for fixing cargo used in specially equipped car
US8979451B2 (en) Self-leveling lift-assisted decking system for use in a cargo trailer
US8876140B2 (en) Adjustable motorcycle trailer assembly
US8672594B1 (en) Hau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0987538B1 (en) bottom plate inclined stacking apparatus of truck for carrying vehicle
US9162602B2 (en) Apparatus configurable into ramp or barrier
US8398343B1 (en) Rail cargo restraint system
US20120128441A1 (en) Cargo restraint device
JP2020069836A (en) Pickup and delivery dolly
US7318694B2 (en) Apparatus for securing objects to vehicles or trailers
US20140326763A1 (en) Cargo catch
RU2359855C1 (en) Knurling shoe for emergency train cars return onto track, method for shoes packaging and device for method realisation
WO2012063841A1 (en) Securing device for transporting two-wheeled vehicle
JP2004352363A (en) Transport device
KR100831165B1 (en) Freight vehicles
CN204714123U (en) A kind of mobile hydraulic steps on vehicle bridge
US20160355163A1 (en) Temporary platform brake for a vehicle
US20090317205A1 (en) Decking beam support bracket
CN107585457B (en) Automobile transportation frame
KR200463387Y1 (en) Sliding stacking apparatu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