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92B1 - 터미널 부품 - Google Patents

터미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92B1
KR101426092B1 KR1020080043867A KR20080043867A KR101426092B1 KR 101426092 B1 KR101426092 B1 KR 101426092B1 KR 1020080043867 A KR1020080043867 A KR 1020080043867A KR 20080043867 A KR20080043867 A KR 20080043867A KR 101426092 B1 KR101426092 B1 KR 10142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rim
bus bar
spr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148A (ko
Inventor
한스-요세프 콜만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10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27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with an opening in the housing for insertion of a release to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2)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를 가지는 터미널 부품(1)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는, 판 스프링 강으로 만들어지며, 스프링 바우(6)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베어링 림(8)과 클램핑 림(7)을 가지는 굽은 클램핑 스프링(4); 클램핑 림(7) 안으로 삽입되며 베어링 림(8)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5); 및 절연 하우징(2) 내에 형성되며 적어도 모선(5) 만큼까지는 베어링 림(8)을 따라 클램핑 스프링(4)의 뒷쪽 스프링 바우(6)로부터 뻗어 있는 컨덕터 삽입채널(9);을 구비한다. 절연 하우징(2)으로부터 형성되는, 컨덕터 삽입채널(9)의 벽은 부분적으로 차단(interrupt)된다. 베어링 림(8)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5)의 상기 단부는 베어링 림(8)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컨덕터 삽입채널(9)의 깔때기를 형성한다. 클램핑 스프링(4)의 베어링 림(8)은, 절연 하우징(2)의 차단부에서 모선(5)과 함께, 컨덕터 삽입채널(9)의 벽을 형성한다.
터미널, 컨덕터, 클램핑, 스프링

Description

터미널 부품{Terminal Component}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spring-force clamping connection)를 가지는 터미널 부품에 대한 것인데,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는, 스프링 강판(sheet spring steel)으로 형성되었으며 스프링 바우(spring bow)를 거쳐서 서로에 연결되는 베어링 림(bearing limb)과 클램핑 림(clamping limb)을 가지는 굽은 클램핑 스프링, 클램핑 림 안으로 삽입되어 베어링 림을 지지하는 모선(busbar), 및 절연 하우징 내에 형성되고 적어도 모선까지는 베어링 림을 따라 클램핑 스프링의 뒷쪽 스프링 바우로부터 뻗어 있는 컨덕터 삽입채널을 구비한다.
그러한 클램핑 부품들은 독일 특허 DE 197 11 051 A1으로부터 전기 커넥터에 대한 연결 터미널로 알려져 있다. 컨덕터(conductor)들이, 클램핑 스프링 아래의 컨덕터 삽입채널의 영역 안에 있는 클램핑 림의 구멍을 통해, 스프링 바우(spring bow)를 경유하여 컨덕터 삽입채널로 삽입된다. 이 경우에, 컨덕터 삽입채널이 깔때기(funnel)을 형성하는 절연 하우징에서 뒤집음에 의해(by a turn) 형성된다. 이 경우에, 벽부(wall part)는 클램핑 림의 베어링 림을 연결하고, 클램핑 림을 관통 하여 뻗어 있는 모선(busbar)의 단부와 실질적으로 봉합선 없이 융합시킨다.
독일 특허 DE 30 19 149 C2는 나사 없는 연결 터미널을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굽은 클램핑 베어링의 경사지게 위치한 베어링 림의 단부가 스프링력을 가지고 컨덕터 삽입채널을 통해 자유 공동(free cavity) 안으로 플러그(plug)되는 컨덕터 단부 상에 놓인다.
전기 커넥터에 대한 연결 터미널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독일 특허 DE 35 14 097 C2와 독일 특허 DE 35 14 099 C2에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도, 컨덕터 단부는 우선, 컨덕터 삽입채널을 관통하여 밀어져서, 굽은 클램핑 스프링의 스프링 바우에까지 미치고, 그 다음에 스프링 방식으로 지지하는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림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추가적인 컨덕터가 그 단부가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림의 통로 개구를 관통하도록, 플러그된다. 그리고, 추가적인 컨덕터는, 베어링 림에 대한 스프링 힘과 상쇄되는 클램핑 림의 스프링 힘(spring force)의 결과로, 제1 컨덕터의 단부에서 접촉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선 조각이,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두 개의 컨덕터 단부 사이에 배치된다.
독일 특허 DE 196 54 611 B4는 전기 컨덕터에 대한 스프링 힘 클램핑 연결부를 개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독일 특허 DE 30 19 149 C2에 유사한 방식으로, 전기 컨덕터는 컨덕터 단부가 컨덕터 삽입채널을 관통하도록 밀어지고, 클램핑 스프링의 굽은 베어링 림에 대하여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리하여 베어링 림은 위치가 옮겨지고 클램핑 스프링을 넘어서 밀어지는 컨덕터 단부에 대하여 지지되는 것이다. 클램핑 스프링은 굽은 모선 안으로 삽입되어서, 컨덕터와 모선조각 사이에서 접촉하도록 컨덕터 단부가 모선의 접촉 림(contact limb)에 대해 지지하는 베어링 림에 의해 가압된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예를 들어, 독일 특허 DE 197 11 051 A1로부터 알려진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림 아래에 실질적인 길이부를 가지는 컨덕터 삽입채널의 위치의 결과로서, 컨덕터 삽입채널의 범위의 방향으로 터미널 부품의 물리적 높이의 감소가 이미 이루어졌다.
이러한 배경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핑 스프링의 스프링 진폭(excursion)의 방향으로 클램핑 부품들의 폭(width)을 더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베어링 림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의 단부가 베어링 림에 대하여 경사져서 이루어지고 컨덕터 삽입채널의 깔때기를 형성한다는 사실 그리고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림이 모선과 함께 차단부(interrupted part)에서 컨덕터 삽입채널의 벽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의해, 처음에 설명한 형태의 클램핑 부품으로써 성취된다.
독일 특허 DE 197 11 051 A1에 따라 전기 터미널에 구비되는,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림에 인접하는 지역에서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형성되는 컨덕터 삽입채널의 벽 제거의 결과로서, 클램핑 부품의 물리적 폭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클램핑 스프링 자체의 베어링 림이 컨덕터 단부가 따라 안내되는 컨덕터 삽입채널의 벽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의해 가능하다. 필요한 깔때기의 안내(guidance)와 안정성(stability)은 베어링 림에 대하여 경사져서 이루어진 모선의 단부에 의해 보증된다. 이 때, 모선이 베어링 림과 함께 상기 설명한 컨덕터 삽입채널의 종래기술에서 제공된 절연 벽을 대체한다.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림이 컨덕터 삽입지역에서 경사지게 위치하고 이미 클램핑 스프링의 스프링 바우에서 끝나는 컨덕터 삽입채널 뒤에서 그것을 가로막 는, 연결 터미널의 다양한 변형예들과 비교할 때, 제공된 전기 컨덕터를 위한 안내채널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 이미 없어진 컨덕터 단부에 대한 상기 안내채널은 베어링 림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베어링 림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는 모선에 의해 구비된다. 베어링 림과 베어링 림에 대하여 경사진 모선의 위치는, 클램핑 부품의 물리적 폭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
베어링 림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의 단부가 베어링 림에 있는 개구를 관통하여 플러그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식으로, 베어링 림과 모선 사이의 교차연결(cross joint)이 방지되고, 컨덕터 삽입채널로 삽입될 때 컨덕터 단부가 상호 잠금(interlock)되지 않게 된다. 이미 독일특허 DE 197 11 051 A1 그 자체에서 알 수 있듯이, 클램핑 부품의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바우에 연결되는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림과 클램핑 림의 단부들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클램핑 림이, 스프링 바우(spring bow)에 연결되고 컨덕터 삽입채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부분(first section)과, 컨덕터 삽입채널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2부분(second section)을 가진다면 특히 적절할 것이다. 클램핑 림의 제2부분에서, 베어링 림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의 단부가 플러그되는 곳 안으로 윈도우 컷아웃(window cutout)이 구비된다. 이것은 작은 접촉영역을 가지는 윈도우 컷아웃을 관통하여 플러그된 컨덕터 단부에 높은 스프링 힘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최적의 전기적 접촉을 보장한다.
컨덕터 단부와 모선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컨 덕터 삽입채널의 컨덕터 플러그-인(plug-in)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선이 클램핑 림의 지역에 혹(hump)을 가지면 이롭다. 이 혹은 우선 컨덕터 삽입채널의 깔때기 입구점(entry point)에 대하여 경사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그것에 대하여 지지하는 컨덕터 단부에 대한 편향점(deflection point)으로서 작용한다. 그럼으로써 전기 컨덕터를 고정시키고 컨덕터가 클램핑 부품으로부터 원치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모선이,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림 아래에, 모선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일체로 형성된 연결판(connecting plate)과, 상기 연결판에 직각으로 연결되어서 모선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거울 대칭(mirror-symmetrical)으로 구성된 연결 레일(connection rail)을 가지는 것이 특히 이롭다. 이런 식으로, 클램핑 림을 관통하여 플러그된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지(cage)가, 클램핑 스프링(clamping spring)의 클램핑 림(clamping limb) 아래에 구비된다. 더우기 모선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선과 연결레일의 자유단(free end)들은 서로를 가리키기 위하여 경사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그들의 자유단들에서 연결 접촉면(connection contact face)을 가질 수 있는데, 그럼으로써 연결 플러그(connection plug) 등을 위한 연결 소켓(connection socket)을 형성한다. 이 연결 소켓은 예를 들어, 터미널 부품을 예를 들어, 인쇄 회로판(circuit board)으로부터 돌출한 연결 핀(connection pin)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연결판은, 상기 연결판으로부터 클램핑 림의 반 대편에 있는 상기 연결판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컨덕터 삽입채널의 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어떤 연결판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모선, 연결판(connecting plate), 정지판(stop plate) 및 연결 레일은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지를 형성한다.
전기 컨덕터를 터미널 부품의 클램핑 지점(clamping point) 안으로 삽입하기 위하여, 클램핑 지점이 미리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고 종종 필요하다. 이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림에 대하여 거의 수직 정렬되어 움직여서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림에 대하여 클램핑 스프링을 가압하는 도구 또는 추진부품(push element)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그것을 구동하기 위하여, 스크루 드라이버(screw driver) 또는 플런저 슬라이드(plunger slide)가 절연 하우징(insulating housing)의 터미널 구동 개구(terminal actuating opening) 또는 터미널 구동 채널(terminal actuating channel) 안으로 축방향으로 삽입되어서, 클램핑 스프링이 구동 도구의 전진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가로질러서 위치하고 그럼으로써 클램핑 스프링의 뒷쪽 스프링 바우의 중간 축(mid-axis)에 대하여 피봇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만큼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림에 대하여 전방으로 밀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크루 드라이버를 삽입하고 삽입된 스크루 드라이버와 함께 클램핑 림을 피봇팅하도록, 절연 하우징은, 컨덕터 삽입개구(conductor insertion opening) 반대편의 스프링 바우에 인접하여, 절연 하우징의 측벽(side wall)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형성되는 구동 개구(actuating opening)를 가지는 것이 이롭다. 이 구동 개구는 컨덕터 삽입 개구의 방향에 대하여 5˚내지 3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0˚의 각도로 뻗는 것이 이롭다. 이러한 방식으로 컨덕터 삽입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물리적 폭은 더 감소될 수 있다. 왜냐하면 경사진 위치의 결과로서, 상부면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터미널 부품의 측벽이 구동 개구에 대한 컨덕터 삽입채널의 개구를 따라 사용되기 때문이다.
구동 개구(actuating opening)는 직접 모선에 있는 클램핑 림을 관통하는 모선의 통로(passage) 아래에서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클램핑 림 아래 지역이 클램핑 스프링의 구동을 위하여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클램핑 림은 베어링 림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의 자유단이 플러그되는 윈도우 컷아웃에 인접한 자유단에서, 윈도우 컷아웃을 폐쇄하는 단부조각(end piece)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부조각은 일단 모선의 단부에 대하여 컨덕터 단부를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에 의해 전기적 접촉을 보장한다. 단부조각이 좁게 설계됨으로 인하여, 물리적 폭이 더 감소될 수가 있다.
터미널 부품에서, 상기 설명한 형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램핑 지점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서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들이 공통의 모선을 경유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 자체로 이미 알려진 방식으로 과전류 퓨즈, 스위치 등이 모선에 합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터미널 부품이 절연 하우징에 합체되어 각각의 모선을 경유하여 상기 설명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에 연결되는 전자 기제(electronics)를 함유하는 것을 상정할 수 있다.
설명한 클램핑 부품들은 출구 박스 터미널(outlet box terminal), 연결 터미널(connecting terminal), 톱 햇 레일(top-hat rail) 상에 플러그되기 위한 터미널 스트립(terminal strip), 격리 터미널(isolating terminal), 퓨즈 터미널(fuse terminal), 관통공급 터미널(feed-through terminal) 또는 인쇄 회로판 터미널(printed circuit board terminal)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클램핑 부품은 예를 들어 톱 햇 레일 상에 플러그될 수 있거나, 센서, 액추에이터 등을 연결하기 위하여 스프링 클램핑 부품들이 사용될 수 있는, 자동화 목적의 입출력 모듈(I/O module), 측정치 컨버터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일 수 있다.
본원에서 베어링 림과 베어링 림에 대하여 경사진 모선의 위치로 인하여, 클램핑 부품의 물리적 폭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베어링 림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의 단부가 베어링 림에 있는 개구를 관통하여 플러그된다면, 베어링 림과 모선 사이의 교차연결(cross joint)이 방지되고, 컨덕터 삽입채널로 삽입될 때 컨덕터 단부가 상호 잠금(interlock)되지 않게 된다.
클램핑 림이 윈도우 컷아웃을 구비함으로써, 작은 접촉영역을 가지는 윈도우 컷아웃을 관통하여 플러그된 컨덕터 단부에 높은 스프링 힘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최적의 전기적 접촉을 보장한다.
컨덕터 삽입채널의 컨덕터가 플러그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모선이 혹을 구비함으로써, 컨덕터 삽입채널의 깔때기 입구점(entry point)에 대하여 경사를 제공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그것에 대하여 지지하는 컨덕터 단부에 대한 편향점(deflection point)으로서 작용하게 되어서, 전기 컨덕터를 고정시키고 컨덕터가 클램핑 부품으로부터 원치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결 접촉면 또는 연결 소켓을 형성함으로써, 터미널 부품을 예를 들어, 인쇄 회로판(circuit board)으로부터 돌출한 연결 핀(connection pin) 상에 위치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실시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터미널 부품의 단면을 상세히 나타낸다. 터미널 부품(1)은 전기적 절연 소재, 특히 플라스틱 소재로 되어 그 자체로 알려진 방식으로 형성된, 절연 하우징(2)를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가 절연 하우징(2) 내에 배치되는데 클램핑 스프링(4)과 모선(5)으로 이루어진다. 클램핑 스프링(4)은 판 스프링 강(sheet spring steel)으로 형성되는데, 제1단부가 클램핑 림(7)에 의해 연결되고 제2단부가 베어링 림(8)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링 바우(6)를 갖는다. 클램핑 림(7)은 거의 직각으로 굽어져 있고, 컨덕터 삽입채널(9)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섹션(10)에서 모선(5)의 일 단부가 플러그되는 윈도우 컷아웃을 구비한다. 윈도우 컷아웃을 관통하여 플러그되는 상기 모선(5)의 단부는 베어링 림(8)의 방향으로 굽어져 있고 베어링 림(8)의 개구 안에 플러그된다. 컨덕터 삽입채널(9)의 베어링 림(8) 지역에, 전기 컨덕터의 일 단부를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 안으로 윈도우 컷아웃을 관통하여 삽입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절연 하우징(2)의 어떠한 벽도 구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절연 하우징(2)은 클램핑 림(7)의 제2섹션(10) 지역 정도에 위치하는 베어링 림(8)에 인접하는 컨덕터 삽입채널(9)의 깊은 지역에, 하부가 깔때기의 형태로 구비되는 컨덕터 삽입채널(9)을 형성한다. 경사진 위치의 결과로서 베어링 림(8)과 봉합선 없이 융합하는 모선 조각(5)의 상단과 함께 베어링 림(8)이, 마찬가지로 하부가 깔때기의 형태인 컨덕터 삽입채널(9)의 벽을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컨덕터 단부를 플러그시키고 그것과 접촉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림(7)은 모선(5)의 방향으로 위치하는데, 이는 컨덕터 단부가 윈도우 컷아웃을 관통하여 플러그될 수 있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클램핑 스프링(4)은 다시 해제됨으로써, 클램핑 스프링(7`)가 일점쇄선(dashed line)에 의해 도시되는 위치로 피봇되어 돌아가서 그 공정에서, 모선(5)에 대하여 클램핑 림(7`)의 제2섹션(10)의 자유단에서 단부조각(end piece,11)을 관통하여, 윈도우 컷아웃 지역에서 컨덕터 단부를 가압할 수 있게 한다. 스프링 힘과 작은 접촉지역의 결과로써, 최적의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윈도우 컷아웃을 관통하여 플러그되는 모선(5)의 상기 단부가, 모선이 클램핑 림(7) 지역에서 혹(hump,12)을 가지는 방식으로 윈도우 컷아웃 지역에서 굽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모선(5) 단부는 혹으로부터 베어링 림(8)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뻗어 있게 된다.
또한, 이 혹(12)은 혹(12)에 의해 약간 뒤로 굽어지는 컨덕터 단부에 의해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에서 컨덕터가 확실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것은 클램핑 스프링(4)의 구동 없이 컨덕터가 실질적으로 더 어려운 상방으로 물러나도록 한다.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를 구동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크루드라이버가 플러그될 수 있는 구동 개구(actuating opening,13)가 구비된다. 구동 개구(13)는 5˚내지 30˚범위의 각도로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덕터 삽입채널(9)의 플러그-인 방향을 향한 방향으로 대략 20˚의 각도로 뻗어 있게 된다.
구동 개구(13)가 터미널 부품(1)의 상부지역에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구동 개구(13)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거되는 절연 하우징(2)의 측벽부에 의해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컨덕터 삽입채널(9)의 플러그-인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물리적 폭이 감소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선(5)은, 연결판(15)이 클램핑 림(7)의 윈도우 컷아웃을 통해 플러그되는 모선(5)의 부분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해 있다는 사실에 의해 케이지를 형성한다. 이 연결판(15)은 모선(5)에 대하여 거울 대칭이 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형성되는 연결 레일(16)에 의해 마찬가지로 직각으로 연결된다. 모선(5), 연결판(15) 및 연결 레일(16)은 재성형 공정에 의해 통합하여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선(5)과 연결 레일(16) 사이의 연결판(15)의 하부지역에서, 컨덕터 삽입채널의 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서 뻗어 있는 정지판(17)이 구비된다. 이런 식으로, 모선(5)은 연결판(15), 연결 레일(16) 및 정지판(17)과 함께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지를 형성한다.
모선(5)과 연결 레일(16)의 자유단에서, 예를 들어 추가적인 컨덕터 단부, 예를 들어 인쇄 회로판 등에 납땜(soldering)되는 연결핀과 접촉하기 위한 연결부 소켓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연결 접촉면(18)이 구비된다.
도 2는 굽은 클램핑 스프링(4)과 모선조각(5)을 가지는, 도 1에서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윈도우 컷아웃(19)이 클램핑 림(7)의 제2 뒤로 굽은 섹션에 구비되는 것이 나타나 있는데, 윈도우 컷아웃을 관통하여 모선(9)의 자유단이 플러그되고 그로부터 베어링 림(8)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뻗어 있게 된다. 이런 식으로, 베어링 림(8)과 모선(5)의 경사진 단부가, 그 단부가 깔때기의 형태로 된 컨덕터 삽입채널의 지역을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클램핑 림(7)의 뒤로 굽은 제2섹션 아래에 구비되며, 모선(5), 반대편 연결레일(16), 모선(5)과 연결레일(16)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15) 및 연결판 상의 정지판(17)으로부터 형성되는, 케이지가 나타나 있다.
또한, 모선(5)의 자유단들 및 반대편 연결레일(16)에 의해 모선(5)과의 추가적인 접촉이 케이지 아래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윈도우 컷아웃(19)을 관통하여 플러그되는 모선(5)의 단부에 있는 혹(12) 명확히 나타나 있다. 또한 베어링 림(8)이, 경사져서 위치하는, 모선(5)의 상부 자유단이 그 안으로 플러그되는 개구(opening) 또는 컷아웃(cutout)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컨덕터 삽입채널(9) 안으로 삽입된 컨덕터 단부가 상호잠금되는 것을 막고 베어링 림(8) 및 경사져서 위치한 모선(5) 단부가 컨덕터 삽입채널(9)의 벽에 대한 대체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베어링 림(8)과 모선(5)으로부터의 사실상 봉합선 없는 변환(transition)이 보장된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서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베어링 림(8)과 모선(5) 사이의 봉합선 없는 변환을 보장하기 위하여, 모선(5)의 경사지게 위치한 상부 자유단이 베어링 림(8)의 컷아웃(20) 안으로 플러그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에서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부터, 윈도우 컷아웃(19)의 종단(termination)을 형성하고 그 자유단이 테이퍼진(tapered), 상대적으로 좁은 단부조각(11)이 클램핑 림(7)의 뒤로 굽은 제2섹션의 단부에 구비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부조각(11)의 작은 폭의 결과로서, 컨덕터 삽입채널(9)의 방향 및 클램핑 림(7)의 구동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물리적 폭이 더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터미널 부품의 제1실시예를 통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절연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로 플러그된 모선 조각을 가지는 클램핑 스프링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절연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로 플러그된 모선 조각을 가지는 클램핑 스프링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에서 보여진 모선 조각을 가지는 클램핑 스프링의 전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2에서 보여진 모선 조각을 가지는 클램핑 스프링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1: 터미널 부품 7: 클램핑 림
2: 절연 하우징 8: 베어링 림
3: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 9: 컨덕터 삽입채널
4: 클램핑 스프링 15: 연결판
5: 모선 16: 연결레일
6: 스프링 바우

Claims (17)

  1. 절연 하우징(2); 및 판 스프링 강으로 만들어지며 스프링 바우(6)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는 베어링 림(8)과 클램핑 림(7)을 가지는 굽은 클램핑 스프링(4), 클램핑 림(7) 안으로 삽입되며 베어링 림(8)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5), 그리고 절연 하우징(2) 내에 형성되며 베어링 림(8)을 따라 클램핑 스프링(4)의 스프링 바우(6)로부터 뻗어 있는 컨덕터 삽입채널(9),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를 가지는 터미널 부품(1)이며,
    절연 하우징(2)은 컨덕터 삽입채널(9)의 벽을 형성하고, 상기 벽은 부분적으로 차단(interrupt)되고,
    모선(5)은 베어링 림(8)에 대하여 단부 베어링을 가지며, 상기 모선(5)의 단부는 베어링 림(8)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컨덕터 삽입채널(9)의 깔때기를 형성하며,
    클램핑 스프링(4)의 베어링 림(8)은, 절연 하우징(2)에 의하여 형성된 벽이 부분적으로 차단되는 절연 하우징(2)의 부분에서 모선(5)과 함께, 컨덕터 삽입채널(9)의 또 다른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림(8)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5)의 단부는 베어링 림(8)의 개구 안으로 플러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바우(6)에 연결되는 베어링 림(8)과 클램핑 림(7)의 단부들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림(7)은 스프링 바우(6)에 연결되며 컨덕터 삽입채널(9)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1섹션; 및 컨덕터 삽입채널(9)의 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뻗어 있으면서, 베어링 림(8)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5)의 단부가 플러그되는 윈도우 컷아웃(19)을 구비하는 제2섹션(1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5)은 컨덕터 삽입채널(9)의 컨덕터가 플러그-인 방향으로 뻗어 있고, 클램핑 림(7)의 지역에서 혹(hump)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5)은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림(7) 아래에,
    일체로 형성된, 모선(5)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한 연결판(15); 및 연결판(15)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모선(5)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거울 대칭으로 구성된 연결 레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5)과 연결 레일(16)의 자유단들은 연결 소켓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를 향해 가리키며 연결 접촉면(18)을 가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촉면(18)은 곡면진(curved) 혹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은 클램핑 림(7)의 반대편 단부에서, 연결판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해 있으며 컨덕터 안내채널(9)의 방향에 대하여 가로질러 뻗어 있는 정지판(17)을 구비함으로써,
    모선(5), 연결판(15), 정지판(17) 및 연결 레일(16)이 컨덕터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2)은 스크루 드라이버(14)를 삽입하고 삽입된 스크루 드라이버(14)로 클램핑 림(7)을 피봇팅하기 위하여, 컨덕터 삽입채널(9) 반대편의 스프링 바우(6)에 인접하여, 절연 하우징(2)의 측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형성되는 구동 개구(1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개구(13)는 컨덕터 삽입개구(9)의 방향에 대하여 5˚내지 30˚의 범위의 각도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개구(13)는 모선(5)에서 직접 클램핑 림(7)을 관통하는 모선(5) 통로의 아래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림(7)은 베어링 림(8)에 대하여 지지하는, 모선(5)의 자유단이 플러그되는 윈도우 컷아웃(19)에 인접하는 자유단에서, 윈도우 컷아웃(19)을 막는 단부조각(1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 공통의 모선(5)을 경유하여 서로에게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5)의 통로에 과전류 퓨즈가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5)에 스위치가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2)에, 각각의 모선(5)을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포스 클램핑 연결부(3)에 연결되는 전자 기제가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부품.
KR1020080043867A 2007-05-11 2008-05-13 터미널 부품 KR101426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2806.8 2007-05-11
DE102007022806A DE102007022806B3 (de) 2007-05-11 2007-05-11 Klemmenbau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148A KR20080100148A (ko) 2008-11-14
KR101426092B1 true KR101426092B1 (ko) 2014-07-31

Family

ID=3987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867A KR101426092B1 (ko) 2007-05-11 2008-05-13 터미널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51363B2 (ko)
JP (1) JP5024678B2 (ko)
KR (1) KR101426092B1 (ko)
CN (1) CN101308960B (ko)
DE (1) DE102007022806B3 (ko)
FR (1) FR2916088B1 (ko)
RU (1) RU2451374C2 (ko)
TW (1) TWI414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9368B2 (ja) * 2008-03-10 2014-02-19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JP5350651B2 (ja) * 2008-03-10 2013-11-27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US7806736B2 (en) * 2008-07-01 2010-10-05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ing device terminal and related method of termination
DE102009004513A1 (de) * 2009-01-09 2010-07-2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feder für eine Federkraftklemme
IT1399168B1 (it) * 2009-04-21 2013-04-11 Morsettitalia Spa Connettore per il collegamento elettrico di mezzi di alimentazione ad elementi maschi di circuiti
FR2946187B1 (fr) * 2009-05-26 2011-06-03 Finsecur Connecteur a lamelle,outil pour actionner ce connecteur,kit et detecteur d'incendie le comportant
US7909664B2 (en) * 2009-05-29 2011-03-22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047883B2 (en) * 2009-05-29 2011-11-01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e termination mechanisms and methods of use
US8137145B2 (en) * 2009-05-29 2012-03-20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ing termination mechanisms and use thereof
US7963812B2 (en) * 2009-05-29 2011-06-21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AT508278B1 (de) * 2009-06-10 2011-12-15 Siemens Ag Klemme mit einer klemmfeder
CN107069274B (zh) * 2010-05-07 2020-08-18 安费诺有限公司 高性能线缆连接器
DE102010024809B4 (de) * 2010-06-23 2013-07-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102544811B (zh) * 2010-12-28 2014-10-15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接线盒及采用该接线盒的灯具
ES2393466B1 (es) * 2011-06-08 2013-07-01 Simon, S.A.U. Contacto eléctrico
DE102011053471A1 (de) 2011-09-09 2013-03-14 Minimax Gmbh & Co. Kg Modul, System aufweisend ein derartiges Modul sowie Verfahren zur Vergabe von Parallelbus-Adressen
US9246242B2 (en) 2012-09-05 2016-01-26 Hubbell Incorporated Push wire connector having a rotatable release member
KR101975362B1 (ko) * 2012-11-08 2019-05-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동기용 터미널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전동기
DE202013100097U1 (de) 2013-01-09 2014-04-10 Walter Söhner GmbH & Co. KG Präzisionskunststoffteile Kabelverbindungs-Vorrichtung und Kontakt-Vorrichtung
DE102013101408B4 (de) * 2013-02-13 2021-01-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element und Verbindungsklemme
CN103513066B (zh) * 2013-09-25 2016-03-23 国家电网公司 一种三爪式继电保护专用测试线线夹
CN203721935U (zh) * 2014-03-06 2014-07-1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连接导线的连接端子
FR3020507B1 (fr) * 2014-04-29 2017-12-01 Abb France Connecteur debrochable
US9806437B2 (en) 2016-03-02 2017-10-31 Hubbell Incorporated Push wire connectors
US9941605B2 (en) 2016-03-02 2018-04-10 Hubbell Incorporated Wire connectors with binding terminals
DE102016111627A1 (de) * 2016-06-24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JP6733368B2 (ja) * 2016-06-29 2020-07-2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接続機構およびスイッチ
CN110431716B (zh) 2017-01-06 2021-08-06 哈勃股份有限公司 具有免螺丝连接端子的电气布线装置
DE102017109694B4 (de) 2017-05-05 2022-10-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207265279U (zh) * 2017-10-27 2018-04-20 魏德米勒电联接(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快速连接的弹簧连接器
TWI700445B (zh) 2018-03-31 2020-08-01 油順精密股份有限公司 液態黏滯性阻尼器
WO2020010095A1 (en) 2018-07-06 2020-01-09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wiring device with keying features
US11495895B2 (en) 2019-05-01 2022-11-08 Hubbell Incorporated Terminations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9149C2 (de) * 1980-05-20 1983-05-05 Phönix Elektrizitätsgesellschaft H. Knümann GmbH & Co KG, 4933 Blomberg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
DE3514099C2 (de) * 1985-04-16 1994-11-17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DE3514097C2 (de) * 1985-04-16 1996-12-19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11559D0 (en) * 1993-06-04 1993-07-21 Amp Gmbh Spring clamp actuator
RU2065649C1 (ru) * 1993-12-03 1996-08-20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Душкин Безвинт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зажим
DE19626390C2 (de) * 1995-07-02 1999-10-14 Phoenix Contact Gmbh & Co Elektrische Klemme mit Sammelschienenanschluß
JP2965512B2 (ja) * 1996-08-02 1999-10-18 日東工業株式会社 端子装置
DE19654611B4 (de) * 1996-12-20 2004-09-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ß für elektrische Leiter
DE19711051C5 (de) * 1997-03-03 2015-03-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Klemme
DE19756751C1 (de) * 1997-12-19 1999-04-29 Broekelmann Jaeger & Busse Vorrichtung zum Verdrahten von Anschlußstellen von Komponenten elektrischer Geräte oder Anlagen
RU2208278C2 (ru) * 2001-05-16 2003-07-10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рганизация Саратовск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тары и упаковки "Профипак"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элемен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элементов
US6786779B2 (en) * 2002-06-20 2004-09-07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spring tension clamp
DE102004045025B3 (de) * 2004-09-15 2006-02-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ß- oder Verbindungsklemme
ITMI20050072U1 (it) * 2005-03-07 2006-09-08 Ilme Spa Elemento di connettore elettrico con contatti ricablabili a molla
DE102005041778A1 (de) * 2005-09-01 2007-03-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ßanordnung
TWM301422U (en) * 2006-03-16 2006-11-21 Jr-Yuan Wu Line ball structure of conductive wire terminal b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19149C2 (de) * 1980-05-20 1983-05-05 Phönix Elektrizitätsgesellschaft H. Knümann GmbH & Co KG, 4933 Blomberg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
DE3514099C2 (de) * 1985-04-16 1994-11-17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DE3514097C2 (de) * 1985-04-16 1996-12-19 Wago Verwaltungs Gmbh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16088B1 (fr) 2017-01-20
RU2008118384A (ru) 2009-11-20
CN101308960A (zh) 2008-11-19
TW200908484A (en) 2009-02-16
JP5024678B2 (ja) 2012-09-12
FR2916088A1 (fr) 2008-11-14
KR20080100148A (ko) 2008-11-14
TWI414115B (zh) 2013-11-01
US7651363B2 (en) 2010-01-26
RU2451374C2 (ru) 2012-05-20
JP2008282815A (ja) 2008-11-20
DE102007022806B3 (de) 2008-11-27
CN101308960B (zh) 2011-12-07
US20080280508A1 (en)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92B1 (ko) 터미널 부품
KR102434680B1 (ko) 전기 도체의 접촉-연결을 위한 스프링 단자 접촉부, 도체 연결 단자, 및 스프링 단자 접접부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US10014596B2 (en) Conductor terminal
US9847587B2 (en) Spring-force terminal connection and plug connector
KR102145876B1 (ko)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CN109328419B (zh) 接线端子
CN109524802B (zh) 导体接线夹
JP5224179B2 (ja) ばね力接続装置
JP6665280B2 (ja) 導体接続接点要素
JP5746030B2 (ja) 端子部品
US20190109395A1 (en) Electrical terminal
KR20150116852A (ko) 스프링-작동식 클램핑 요소 및 연결 단자
KR20160146832A (ko) 전도체 연결 단자
US11387582B2 (en) Contact insert and switch spring
US20220271447A1 (en) Contact element and conductor terminal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CN109075464B (zh) 电接线端子以及方法
EP3324488B1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a conductor press-on member
CN113574739A (zh) 接线端子
US20040127108A1 (en) Male Terminal For a Lateral Insertion Connector
EP1403975A2 (en) Improved male terminal for a lateral insertion connector
WO2011029769A1 (en) Electrical contact means
CN114824864A (zh) 包括具有侧向部分的导电条的端子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