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43B1 -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 Google Patents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43B1
KR101426043B1 KR1020120081958A KR20120081958A KR101426043B1 KR 101426043 B1 KR101426043 B1 KR 101426043B1 KR 1020120081958 A KR1020120081958 A KR 1020120081958A KR 20120081958 A KR20120081958 A KR 20120081958A KR 101426043 B1 KR101426043 B1 KR 101426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binding
takap
suppl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723A (ko
Inventor
김양길
Original Assignee
김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길 filed Critical 김양길
Priority to KR102012008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3Load ori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2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welding, soldering, or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2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agitators or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65B35/205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linked to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otar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5/00Nails; Sta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개의 독립된 타카핀(P)을 결속밴드(11a)로 결속시키는 바인딩장치(1)에서 타카핀(P)을 지속적으로 연속 공급하여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가지런히 바인딩시켜서 바인딩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더불어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타카핀(P) 연속 바인딩장치(1)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P) 묶음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며, 상기 본 발명은 수개의 독립된 타카핀(P)의 연속 공급이 가능토록 경사슈트(3)에 타카핀(P)을 공급하는 공급부(2)의 구조를 회전공급드럼(22)의 내측에 위치한 저장호퍼(24)의 하측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방사상으로 수개의 정렬공급슈트(253)와 정렬가이드(254)를 갖는 연속공급기(25)를 구성하고, 경사슈트(3)에서 수평슈트(5)에 타카핀(P)을 공급할 시 종래 회전식 드럼 및 푸시방식의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으며 연속 공급되는 타카핀(P)을 균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결속밴드(11a)에 의해 결속되도록 경사슈트(3)와 수평슈트(5)를 안내슈트(6)로 직접 이어지게 하면서 이송기어부(7)와 이송기어부(7)에 타카핀(P)을 일정 속도로 밀어주는 푸시기어부(8)에 의해서 수평슈트(5)에서 타카핀(P)을 수평 이송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타카핀(P)의 바인딩작업 시 작업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이 바인딩장치에 의한 타카핀(P) 묶음의 제품불량률을 최소화시키는 등 다수의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Tacker-pin continuous binding device, and the tacker-pin bundle made in this device}
본 발명은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개의 독립된 타카핀을 결속밴드로 결속시키는 바인딩장치에서 타카핀을 지속적으로 연속 공급하여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바인딩시켜서 바인딩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더불어 바인딩장치에 의한 타카핀묶음의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목재나 석고보드 등을 고정할 시 사용되는 일명 네일건(nail-gun) 또는 타카(tacker)(이후 "타카"라 칭함)는 건네일(gun-nail) 또는 타카핀(tacker-pin)(이후 "타카핀"이라 칭함)을 가지런히 배치하여 접착제나 합성수지 또는 결속밴드 등에 의해서 바인딩시켜서 원하는 수량으로 절단한 묶음을 장착한 후 에어나 전기에 의해서 타카핀을 낱개로 발사시키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타카에 장착하기 위해 타카핀을 결속하기 위한 종래의 바인딩장치로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20-1996-001035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호퍼로부터 공급되어 경사슈트에 의해서 이송되는 T형 못을 방향을 달리하여 수평슈트로 이송할 때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할 시 경사슈트와 수평슈트가 교차되는 위치에 경사슈트로부터 공급되는 T형 못을 일정 개수 장입할 수 있는 수용홈을 다수개 가지는 공급드럼을 회전되게 설치하며, 공급드럼의 일측방에 재치단을 마련하여 양측에 가이드와 중앙에 작동실린더를 고정하고 작동실린더의 로드와 가이드의 일단에 고정편을 고정하여 공급드럼의 내측에서 수용홈에 장입된 T형 못을 수평슈트로 밀어주도록 한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호퍼의 배출부에서 T형 못을 하나의 경사슈트에 공급하므로 경사슈트로의 T형 못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공급드럼에서 경사슈트를 타고 공급된 T형 못을 수용홈에 장입 후 경사슈트를 통한 공급을 일시 중단시킨 상태에서 공급드럼의 회전 후 작동실린더에 의해서 수평슈트로 공급하므로 공급드럼에서 수용홈에 장입된 T형 못이 회전되는 동안과 수용홈의 T형 못이 작동실린더에 의해서 수평슈트로 공급되는 동안에 경사슈트의 T형 못의 공급이 멈추게 되어 T형 못의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상기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인 T형 못의 연속 공급을 위해서 종래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9370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측으로 각각 호퍼를 설치하면서 경사형 슈트인 티형 못 공급수단을 각각 설치하여 정역회전하는 이송드럼의 양측으로 티형 못을 이송드럼에 공급토록 하고, 이송드럼에 양측으로 공급된 티형 못을 실린더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에 의해 푸시를 전후진 운동시켜서 수평슈트에 공급토록 하며, 수평슈트에서 벨트에 의해서 진행되면서 접착테이프가 접합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호퍼와 경사형 슈트인 티형 못 공급수단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이 역시 이송드럼이 90도 회전할 때와 실린더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에 의한 푸시의 전후진으로 이송드럼에 내입된 티형 못이 수평슈트로 공급될 때에는 일시적으로 티형 못의 공급이 멈추게 되므로 연속 작업이 불가능하며, 이로 인한 작업효율이 저하되며, 수평슈트에서 티형 못을 벨트에 의해 강제 이송하여 티형 못이 균일한 간격으로 이송되지 못해 접착테이프에 의한 티형 못의 바인딩 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KR 20-1996-0010358 Y1 1996. 12. 10. KR 10-0793709 B1 2008. 1. 4.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에서는 수개의 독립된 타카핀의 연속 공급이 가능토록 경사슈트에 타카핀을 공급하는 공급부의 구조를 획기적으로 변경시키고, 경사슈트에서 수평슈트에 타카핀을 공급할 시 종래 회전식 드럼 및 푸시방식의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으며 연속 공급되는 타카핀을 균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결속밴드에 의해 결속되도록 수평슈트에서 타카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의 구조를 새롭게 변화시킴으로써, 바인딩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더불어 이 연속 바인딩장치에 의해 낱개의 타카핀이 결속밴드에 의하여 타카핀 묶음으로 바인딩 시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을 제공함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을 구성하되, 상기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는 낱개로 투입된 수개의 타카핀을 지속적으로 연속 공급하는 공급부 및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타카핀의 헤드가 상향되게 걸려서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출구쪽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슈트를 구비하며, 경사슈트의 단부 하측 양쪽에 타카핀을 가열토록 마주보게 기체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근적외선히터로 이루어진 예열부를 구비하며, 경사슈트의 단부에 연속적으로 경사슈트에서 공급된 타카핀의 헤드가 상향되게 걸려서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기체에 고정 설치된 수평슈트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경사슈트의 출구쪽 단부와 수평슈트의 입구쪽 단부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어 타카핀이 연속 이송되도록 호형의 안내슈트를 구성하며, 상기 수평슈트의 입구쪽 양측에 마주보며 회전되며 수평슈트에서 타카핀이 동일한 간격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타카핀의 몸체 일부가 각각 내입되는 수직의 이송홈을 방사상으로 구비토록 구성된 한 쌍의 이송기어로 이루어진 이송기어부와, 상기 이송기어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수평슈트의 입구쪽 단부 양측에 이송기어보다 1.2~1.5배속으로 마주보며 회전되며 이송기어에 의해서 타카핀이 수평 이송 시 이송기어의 이송홈에 타카핀이 빠짐없이 동일한 간격으로 내입되게 타카핀을 뒤에서 밀어주도록 원주방향으로 타카핀의 몸체 일부가 각각 내입되는 수직의 푸시홈을 방사상으로 구비토록 구성된 한 쌍의 푸시기어로 이루어진 푸시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이에 상기 푸시기어가 이송기어보다 1.2~1.5배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푸시기어와 이송기어 사이에 타카핀이 빼곡히 충전되어 푸시기어에 제동력이 발생되면 푸시기어의 회전이 단락되도록 탄력스프링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클러치가 설치된 회전제어축이 한 쌍의 푸시기어축과 체인 및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진 증속연동수단에 의해 연동되게 설치된 클러치제동부를 구비하며, 한 쌍의 이송기어가 축 설치된 이송기어축과 벨트 및 풀리로 이루어진 연동수단에 의해서 연동되게 설치되며, 한 쌍의 푸시기어축와 증속연동수단으로 연동되는 회전제어축에 벨트 및 풀리로 이루어진 연동수단으로 연동되게 설치되도록 기체에 고정 설치된 하나의 이송구동모터를 갖는 이송구동부를 구비하며, 한 쌍의 이송기어의 전방에 이송기어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슈트에서 연속적으로 수평 이송되는 타카핀의 양측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결속밴드를 가압 부착하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갖는 결속부와, 결속부를 통과하면서 예열부에서 가열된 타카핀에 의해 접착면이 용융된 결속밴드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을 갖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바인딩장치에서 상기 공급부는 기체 일측에서 전후로 이송되게 하부에 바퀴가 설치된 이송대차의 상부 전후에 각각 한 쌍식 설치된 지지롤러에 자유 회전되게 안치되면서 이송대차에 고정 설치된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벨트와 풀리로 이루어진 회전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전후로 관통된 내주면 방사상에 회전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수개의 버킷이 고정 설치된 회전공급드럼과, 이송대차를 전방으로 이동 시 회전공급드럼의 내부 가운데에 위치하여 버킷에 의해 낙하하는 다수의 타카핀을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서 하부의 환형 배출구로 배출시키도록 기체 일측에 고정 설치된 저장호퍼와, 저장호퍼의 하측에 하부로 배출되는 수개의 타카핀을 방사상으로 정렬하여 경사슈트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방사상으로 수개의 정렬공급슈트가 설치되며, 기체 일측에 방사상으로 수개가 상향 돌출되어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동롤러에 안치되며, 접선방향으로 피스톤로드가 진출 및 진입되도록 위치하여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평소에 연속공급기의 외주면으로 접하도록 인장스프링에 의해 기체에 텐션 지지되는 회동실린더에 피스톤로드가 진입될 때 피스톤로드에 의해서 방사상의 정렬공급슈트 간격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연속공급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속공급기는 저장호퍼의 배출구 내측 하부에 위치하게 기체 일측에 고정 설치된 상측 환형의 탑프레임과 기체에 설치된 회동롤러에 안치되며 탑프레임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하측 환형의 베이스프레임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 경사지도록 방사상으로 수개가 구성되며 상기 저장호퍼에서 공급되는 타카핀의 헤드가 양측으로 걸리고 중앙의 절개공으로 타카핀의 몸체가 내입되어서 타카핀 수개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가 경사슈트와 일치 시 공급되도록 구성된 정렬공급슈트와, 정렬공급슈트의 상측으로 저장호퍼에서 공급되는 타카핀을 정렬공급슈트로 보다 원활하게 정렬 이송되게 V자 형태의 절단면을 구비하여 하단부가 정렬공급슈트의 절개공을 향하도록 구성된 정렬가이드와,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회전방향의 반대편으로 개방되어 회동실린더의 피스톤로드 단부에 설치된 수직의 견인바가 피스톤로드의 회동실린더 진입 시 걸리게 견인바에 대응토록 형성된 견인홈이 각각 구비된 견인판과, 견인판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축에 회동되게 설치되며, 평소 하측 단부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정렬공급슈트의 하단부에서 타카핀이 임의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편과 차단편의 상측에 견인판의 상부로 돌출되는 개방조작편이 일체로 형성된 차단부재와, 연속공급기가 회전되어 정렬공급슈트가 경사슈트와 일치할 시 차단부재의 개방조작편이 걸려서 차단편이 개방되도록 경사슈트 일측의 기체에 고정 설치되어 견인판보다 높은 위치에서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으로 향하게 수평으로 형성된 개방편이 구비된 개방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속공급기에는 탑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수개가 설치된 정렬공급슈트의 내측에서 경사슈트쪽으로 일부가 개방되며 연속공급기의 회전방향으로 상향 1피치의 나선구조를 갖도록 기체에 고정 설치된 나선회전가이드와, 각 정렬가이드의 하부에 정렬공급슈트의 절개공으로 내입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회전가이드의 상면에 면접되게 구성된 가이드편과, 연속공급기의 회전으로 가이드편이 나선회전가이드의 상면에 면접되어 상승하다가 나선회전가이드가 개방된 경사슈트쪽으로 위치하여 하강할 시 가이드편이 나선회전가이드의 시작지점 상면보다 더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토록 정렬공급슈트의 하부 일측에 상향 돌출 구성되어 정렬가이드의 하강을 스토핑시키게 구성된 스토핑돌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에 의해서 낱개로 공급되는 수개의 타카핀을 결속밴드로 가지런히 바인딩시켜서 소정 개수로 절단 구성된 타카핀 묶음을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는 전·후진하는 이송대차에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공급드럼과 회전공급드럼에서 낙하되는 타카핀을 일시 저장하는 저장호퍼와 저장호퍼의 하부에 상측으로 정렬가이드가 설치된 정렬공급슈트 수개를 방사상으로 설치하면서 회동실린더에 의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되게 구성한 연속공급기로 이루어진 공급부에 의해서 수개의 독립된 타카핀을 경사슈트로 연속 공급이 가능토록 할 수 있으며, 경사슈트의 출구쪽 단부와 수평슈트의 입구쪽 단부를 호형의 안내슈트로 이어지게 구성하면서 수평슈트의 입구쪽 단부 전후에 양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이송기어와 푸시기어를 각각 설치하되, 후방의 푸시기어를 전방의 이송기어보다 높은 회전속도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푸시기어가 타카핀을 밀어주어 이송기어 사이로 타카핀이 동일한 간격을 가지면서 수평슈트에서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바인딩장치 전체에서 연속 공급 및 동일한 간격으로 타카핀을 바인딩시키도록 하여 바인딩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면서 결속밴드에 의한 타카핀의 바인딩 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인딩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인딩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공급부의 세부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공급부의 세부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연속공급기의 세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연속공급기의 세부구성을 보인 일부 파절된 정면도
도 7a는 연속공급기의 정렬가이드 및 정렬공급슈트의 결합을 보인 것으로서, 차단부재에 의해서 정렬공급슈트가 차단된 상태의 예시도
도 7b는 연속공급기의 정렬가이드 및 정렬공급슈트의 결합을 보인 것으로서, 개방부재에 의해서 차단부재가 회동되어 정렬공급슈트가 개방된 상태의 예시도
도 8은 연속공급기의 차단부재 작용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 중 이송기어부와 푸시기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중 이송기어부와 푸시기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상기 도면들과 더불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현장이나 실내외 인테리어 공사현장 등에서 주로 목재나 석고보드 등의 건축자재를 고정하기 위해서 에어 또는 전기에 의해서 타카핀을 발사시키는 타카에 장전 및 발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타카핀을 결속밴드에 의해서 일정 수량씩 결속시키기 위한 바인딩장치에서 각각 독립된 낱개의 타카핀을 연속적으로 공급 및 이송시켜서 타카핀의 바인딩작업이 보다 효율적이면서 불량률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타카핀(P) 연속 바인딩장치(1)는 도 1 내지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낱개로 투입된 수개의 타카핀(P)을 지속적으로 연속 공급하는 공급부(2)와,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타카핀(P)의 헤드(P1)가 상향되게 걸려서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절개공(3a)이 형성되게 좌우로 분할 구성되며, 입구쪽 단부가 높고 출구쪽 단부가 낮도록 전방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슈트(3)와, 경사슈트(3)의 단부 하측 양쪽에 타카핀(P)을 가열토록 마주보게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근적외선히터(4a)로 이루어진 예열부(4)와, 경사슈트(3)의 출구쪽 단부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기체(1a)에 고정 설치되어 경사슈트(3)에서 공급된 타카핀(P)의 헤드(P1)가 상향되게 걸려서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절개공(5a)이 형성되게 좌우로 분할 구성된 수평슈트(5)와, 상기 경사슈트(3)의 출구쪽 단부와 수평슈트(5)의 입구쪽 단부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어 타카핀(P)이 연속 이송되도록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절개공(6a)이 형성되게 좌우로 분할 구성되어 경사슈트(3)와 수평슈트(5)가 이어지게 구성된 호형의 안내슈트(6)와, 상기 수평슈트(5)의 입구쪽에 타카핀(P)을 동일한 간격으로 수평 이송시키도록 구성된 한 쌍의 이송기어(7a)를 갖는 이송기어부(7) 및 상기 이송기어부(7)의 후방 수평슈트(5)의 입구쪽 단부에 이송기어(7a)보다 1.2~1.5배속으로 회전되어 타카핀(P)을 이송기어(7a)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빠짐없이 수평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밀어주게 구성된 한 쌍의 푸시기어(8a)를 갖는 푸시기어부(8)와, 상기 한 쌍의 이송기어(7a)와 한 쌍의 푸시기어(8a) 사이의 수평슈트(5)상에 타카핀(P)이 빼곡히 충전되어 푸시기어(8a)에 제동력이 발생되면 푸시기어(8a)의 회전이 자동으로 단락되도록 탄력스프링(9b)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클러치(9a)가 설치된 회전제어축(81)이 한 쌍의 푸시기어(8a)가 설치된 푸시기어축(8c)과 체인 및 스프로킷 등의 증속연동수단(82)으로 연동되게 설치되는 클러치제동부(9)와, 상기 한 쌍의 이송기어(7a)가 축 설치된 이송기어축(7c)과 벨트 및 풀리 등의 연동수단(10a)으로 연동되게 설치되며 한 쌍의 푸시기어축(8c)에 체인 및 스프로킷 등의 증속연동수단(82)에 의해서 연동되게 설치된 회전제어축(81)에 벨트 및 풀리 등의 연동수단(10a)으로 연동되게 설치되도록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하나의 이송구동모터(10b)를 갖는 이송구동부(10)와, 상기 한 쌍의 이송기어(7a)의 전방에 이송기어(7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슈트(5)에서 연속적으로 수평 이송되는 타카핀(P)의 양측으로 가압되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합성수지제 결속밴드(11a)를 가압 부착하는 한 쌍의 가압롤러(11b)를 갖는 결속부(11)와, 상기 결속부(11)를 통과하면서 예열부(4)에서 가열된 타카핀(P)에 결속밴드(11a)가 부착된 후 가열된 타카핀(P)을 냉각시켜서 가열된 타카핀(P)에 의해 접착면이 용융된 결속밴드(11a)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12a)을 수평슈트(5) 양측에 구비한 냉각부(12)와, 상기 이송기어부(7)와 푸시기어부(8)에 의해서 전후 동일한 간격으로 수평 이송되는 타카핀(P)이 좌우 수평과 상하 수직으로 가지런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결속부(11)의 가압롤러(11b)에 의해 결속밴드(11a)가 부착되도록 수평슈트(5)의 일측으로 기체(1a)에 설치된 진동모터(13a)의 단부에 캠(13b)을 형성하여 캠(13b)의 회전 시 측면해머(13c)와 한 쌍의 수직해머(13d,13e)에 의해서 수평슈트(5)의 측면과 수평슈트(5)의 상부 및 결속밴드(11a)가 부착된 수개의 타카핀(P) 헤드(P1) 상면을 타격하도록 구성된 진동발생부(13)와, 냉각부(12)의 전방인 수평슈트(5)의 출구쪽 하부에 냉각부(12)에서 경화된 결속밴드(11a)에 의해서 연속되게 결속된 타카핀(P) 묶음을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시킬 수 있도록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에어실린더(14b)에 의해서 승강되는 커터(14a)를 구비한 절단부(14)와, 수평슈트(5)의 출구쪽 단부에 절단부(14)에서 절단된 타카핀(P)의 단위묶음을 배출컨베이어나 바스켓 등(미도시.)으로 배출토록 마주보며 배출모터(15b)에 의해서 회전되게 기체(1a)에 설치된 한 쌍의 배출롤러(15a)를 갖는 배출부(1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급부(2)는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딩장치(1)의 기체(1a) 일측에서 전후로 이송되게 하부에 바퀴(21a)가 설치된 이송대차(21)와, 상기 이송대차(21)의 상부 전후에 각각 한 쌍식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지지롤러(22a)에 안치되면서 이송대차(21)에 고정 설치된 회전구동모터(22b)의 구동축(22c)에 벨트와 풀리 등의 회전구동수단(22d)으로 연결 구성되어 회전구동모터(22b)의 구동 시 회전되도록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 회전공급드럼(22)과, 회전공급드럼(22)의 내주면 방사상에 회전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어 회전공급드럼(22)의 내부에 투입되는 낱개의 타카핀(P)을 회전구동모터(22b)에 의한 회전공급드럼(22)의 회전 시 상향 이송 후 상부에서 타카핀(P)의 자중에 의해 낙하되게 구성된 수개의 버킷(23)과, 이송대차(21)를 전방으로 이동 시 회전공급드럼(22)의 내부 가운데에 위치토록 기체(1a)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공급드럼(22)의 회전 시 버킷(23)에 의해서 상부에서 낙하하는 다수의 타카핀(P)을 일시 저장하였다가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24b)의 진동에 의해서 하부에 형성된 환형의 배출구(24a)로 배출시키게 구성된 저장호퍼(24)와, 저장호퍼(24)의 하측에 저장호퍼(24)의 배출구(24a)를 거쳐서 하부로 배출되는 수개의 타카핀(P)을 방사상으로 정렬하여 경사슈트(3)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기체(1a) 일측에 방사상으로 수개가 상향 돌출되어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동롤러(26)에 안치되게 구성된 연속공급기(25)와, 연속공급기(25)에 접선방향으로 피스톤로드(27a)가 진출 및 진입되도록 위치되며, 피스톤로드(27a)의 단부가 평소에 연속공급기(25)의 외주면으로 접하도록 인장스프링(27b)에 의해 기체(1a)에 텐션 지지되도록 회동하게 축 설치된 지지축(27c)을 하부에 고정시켜서 피스톤로드(27a)가 진입될 때 피스톤로드(27a)에 의해서 연속공급기(25)가 소정 각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회동실린더(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속공급기(25)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저장호퍼(24)의 배출구(24a)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환형의 탑프레임(251)과, 하측으로 기체(1a)에 설치된 회동롤러(26)에 안치되며 탑프레임(25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환형의 베이스프레임(252)과, 상기 상측의 탑프레임(251)과 하측의 베이스프레임(252)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 경사지도록 방사상으로 수개가 구성되며 저장호퍼(24)에서 공급되는 타카핀(P)의 헤드(P1)가 양측으로 걸리고 중앙의 절개공(253a)으로 타카핀(P)의 몸체(P2)가 내입되어서 수개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가 경사슈트(3)와 일치 시 정렬된 타카핀(P)이 경사슈트(3)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정렬공급슈트(253)와, 상기 정렬공급슈트(253)의 상측으로 저장호퍼(24)에서 공급되는 타카핀(P)을 정렬공급슈트(253)로 보다 원활하게 정렬 이송되게 V자 형태의 절단면을 구비하여 하단부가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35a)을 향하도록 구성된 정렬가이드(254)와, 상기 베이스프레임(252)의 상면 방사상으로 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회전방향의 반대편으로 개방되어 회동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 단부에 설치된 수직의 견인바(255)가 피스톤로드(27a)의 회동실린더(27) 진입 시 걸리게 견인바(255)에 대응토록 형성된 견인홈(256a)을 각각 구비한 견인판(256)과, 상기 각 견인판(256)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축(257)에 회동되게 설치되어 평소 하측 단부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정렬공급슈트(253)의 하단부에서 타카핀(P)이 임의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편(258a)과 상기 차단편(258a)의 상측에 견인판(256)의 상부로 돌출되는 개방조작편(258b)이 일체로 형성되는 차단부재(258)와, 상기 회동실린더(27)에 의한 연속공급기(25)의 회전 시 견인판(256) 내측에 회동되는 차단부재(258)의 개방조작편(258b)이 걸려서 차단편(258a)이 개방되어 각 정렬공급슈트(253)의 타카핀(P)이 경사슈트(3)로 공급되도록 경사슈트(3)의 일측 기체(1a)에 고정 설치되어 견인판(256)보다 높은 위치에서 베이스프레임(252)의 내측으로 향하게 수평으로 설치된 개방편(259a)을 갖는 개방부재(259)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연속공급기(25)는 탑프레임(251)과 베이스프레임(252)에 양단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수개가 설치된 정렬공급슈트(253)의 내측에서 경사슈트(3)쪽으로 일부가 개방되며 연속공급기(25)의 회전방향으로 상향 1피치의 나선구조를 갖도록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나선회전가이드(260)와, 상기 저장호퍼(24)에서 공급되는 타카핀(P)을 정렬공급슈트(253)로 정렬 이송하는 각 정렬가이드(254)의 하부에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으로 내입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회전가이드(260)의 상면에 면접되게 구성된 가이드편(261)과, 상기 연속공급기(25)의 회전으로 가이드편(261)이 나선회전가이드(260)의 상면에 면접되어 상승하여 정렬가이드(254)가 정렬공급슈트(253)의 상부로 이동되다가 나선회전가이드(260)가 개방된 경사슈트(3)쪽으로 위치하게 되면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을 따라 하강할 때 가이드편(261)이 나선회전가이드(260)의 시작지점 상면보다 하강되어 가이드편(261)이 나선회전가이드(260)의 상면을 타고 회전 상승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정렬공급슈트(253)의 일측에 상향 돌출 구성되어 정렬가이드(254)의 하강을 스토핑시키는 스토핑돌기(2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기어부(7)는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슈트(5)의 입구쪽 양측에 마주보며 회전되게 설치되어 수평슈트(5)에 헤드(P1)가 걸림된 타카핀(P)이 동일한 간격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원주(圓周)방향으로 타카핀(P)의 몸체(P2) 일부가 각각 내입되는 수직의 이송홈(7b)을 방사상으로 구비한 한 쌍의 이송기어(7a)로 이루어지며, 상기 푸시기어부(8)는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기어(7a)와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수평슈트(5)의 입구쪽 단부 양측에 이송기어(7a)보다 1.2~1.5배속으로 마주보며 회전되게 설치되어 수평슈트(5)에서 이송기어(7a)에 의해서 타카핀(P)이 수평 이송 시 이송기어(7a)의 이송홈(7b)에 타카핀(P)이 빠짐없이 동일한 간격으로 내입되게 타카핀(P)을 뒤에서 밀어주도록 원주(圓周)방향으로 타카핀(P)의 몸체(P2) 일부가 각각 내입되는 수직의 푸시홈(8b)을 방사상으로 구비한 한 쌍의 푸시기어(8a)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카핀(P) 연속 바인딩장치(1)는 독립된 낱개의 타카핀(P)이 다량 투입되면 공급부(2)에서 경사슈트(3)로 연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며, 경사슈트(3)에 공급된 타카핀(P)은 경사슈트(3)의 경사면을 타고 자중에 의해서 하향 이송되면서 경사슈트(3)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예열부(4)의 근적외선히터(4a)에 의해 가열된 후 호형의 안내슈트(6)를 거쳐서 수평슈트(5)로 이송되며, 상기 수평슈트(5)의 입구쪽에 예열된 상태로 유입된 타카핀(P)은 푸시기어부(8)에 의해서 전방으로 밀려서 전방의 이송기어부(7)에 의해서 수평 이송되며, 이때 이송기어부(7) 한 쌍의 이송기어(7a)와 푸시기어부(8) 한 쌍의 푸시기어(8a)는 이송구동부(1) 하나의 이송구동모터(10b)에 의해서 동시에 회전되지만, 상기 푸시기어(8a)를 이송구동모터(10b)와 연동수단(10a)로 연동되게 설치된 회전제어축(81)에 체인 및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진 증속연동수단(82)으로 연결 설치하여 푸시기어(8a)의 회전속도를 이송기어(7a)의 회전속도보다 1.2~1.5배속으로 빠르게 회전되도록 하므로 이송기어부(7)에 의해서 수평 이송되는 타카핀(P)이 동일한 간격의 가지런한 상태로 수평슈트(5)에서 수평 이송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예열부(4)에서 가열되어 푸시기어부(8)와 이송기어부(7)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이송된 타카핀(P)의 양측으로는 결속부(11) 한 쌍의 가압롤러(11b)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결속밴드(11a)가 가압 부착되며,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슈트(5)의 일측으로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진동모터(13a)가 구동되어 캠(13b)이 회전될 시 수평슈트(5)쪽으로 인장되게 스프링(13f)으로 탄력 설치된 측면해머(13c)를 수평슈트(5)의 반대쪽으로 밀었다가 스프링(13f)의 힘에 의해서 수평슈트(5)의 측면을 타격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진동모터(13a) 단부의 캠(13b)에 편심되게 축 설치된 로드(13g)에 늘어뜨려지게 설치된 한 쌍의 수직해머(13d,13e)에 의해서 수평슈트(5)의 상면과 결속밴드(11a)가 양측으로 부착된 타카핀(P)의 헤드(P1) 상면을 타격하는 진동발생부(13)에 의해서 타카핀(P)이 좌우 수평과 상하 수직으로도 가지런한 상태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11)에서 결속밴드(11a)가 부착된 타카핀(P)은 결속부(11)의 전방에 위치하는 냉각부(12)에서 에어분사노즐(12a)로부터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서 예열된 타카핀(P) 및 타카핀(P)의 열에 의해서 부착 시 접착면이 용융된 결속밴드(11a)를 동시에 냉각시켜서 결속밴드(11a)를 경화시키게 되어 낱개의 독립된 타카핀(P)이 바인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속밴드(11a)에 의해서 길게 연속적으로 결속된 타카핀(P) 묶음은 냉각부(1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절단부(14)의 에어실린더(14b) 작동 시 커터(14a)에 의해서 절단되므로 에어실린더(14b)의 작동 주기를 원하는 길이로 이송되는 시간에 맞추어 설정해 놓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할 수 있으며, 절단부(14)에서 절단된 타카핀(P)의 단위묶음은 절단부(14)의 전방인 수평슈트(5)의 출구쪽 단부에 설치된 배출부(15) 한 쌍의 배출롤러(15a)에 의해서 연동되게 설치된 배출컨베이어 또는 수평슈트(5) 출구쪽 단부에 놓인 바스켓 등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최종적으로 바인딩장치(1)에서 결속되어 배출된 타카핀(P)의 단위묶음은 타카의 탄창에 장전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이 목재나 석고보드를 고정할 부위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대상물인 목재나 석고보드 등에 타카를 대고 방아쇠를 당기면 타카의 종류에 따라 에어나 전기에 의해서 장전된 타카핀(P)의 단위묶음에서 하나의 타카핀(P)이 발사되어 고정대상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타카핀(P) 연속 바인딩장치(1)에서 타카핀(P)을 연속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회전공급드럼(22)에서 저장호퍼(24)와 연속공급기(25)가 빠지도록 회전공급드럼(22)이 설치된 이송대차(21)를 전방으로 이송시킨 후 회전공급드럼(22)의 내부로 독립된 낱개의 타카핀(P)을 다량으로 투입한 다음, 회전공급드럼(22)의 내부로 저장호퍼(24)와 연속공급기(25)가 내입되게 이송대차(21)를 후방으로 이송시킨 후 회전구동모터(22b)를 가동하면 회전구동모터(22b)의 구동축(22c)이 회전하면서 회전구동수단(22d)에 의해서 회전공급드럼(22)이 회전하게 되어 내부에 투입된 수개의 타카핀(P)이 회전공급드럼(22)의 내주면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버킷(23)에 의해서 회전방향으로 이송되어 드럼의 상부에서 타카핀(P)의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저장호퍼(24)로 연속 공급이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호퍼(24)로 낙하된 타카핀(P)은 저장호퍼(24)의 하부 진동기(24b)에 의해서 저장호퍼(24) 하부의 배출구(24a)를 통해서 저장호퍼(24) 하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연속공급기(25)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후 상기 저장호퍼(24) 하부의 배출구(24a)를 통해 연속공급기(25)로 공급되는 타카핀(P)은 상부 탑프레임(251)과 하부 베이스프레임(252)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 방사상으로 수개가 설치된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으로 몸체(P2)가 내입되면서 헤드(P1)가 상부 양측으로 걸리도록 공급되어야 하므로 정렬공급슈트(253)의 상부에서 타카핀(P)을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으로 안내하는 V자 형태의 절단면을 갖는 정렬가이드(254)에 의해서 절개공(253a)으로 정확하게 정렬 안내되며, 이때 상기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에 내입되지 못한 타카핀(P)들은 하부로 낙하되어 회전공급드럼(22)의 내부로 재투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속공급기(25)는 피스톤로드(27a)가 베이스프레임(252)의 접선방향으로 진출·입되며 피스톤로드(27a)의 단부가 평소에 연속공급기(25)의 외주면으로 접하도록 인장스프링(27b)에 의해서 텐션 지지되게 설치된 회동실린더(27)에 의해서 소정 각도로 회동되며, 정확하게는 방사상으로 수개가 설치된 정렬공급슈트(253) 각각이 경사슈트(3)와 일치되도록 방사상의 정렬공급슈트(253) 간격만큼의 각도로 회동되는 것으로서, 회동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 단부에 설치된 견인바(255)에 베이스프레임(252)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정렬공급슈트(25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갖도록 등간격으로 설치된 견인판(256)의 견인홈(256a)에 걸려서 피스톤로드(27a)가 회동실린더(27)로 진입 시 회동되는 것이며, 상기 각 정렬공급슈트(253)의 베이스프레임(252)쪽 출구에는 차단부재(258)에 의해서 연속공급기(25)의 소정 회동 시 절개공(253a)에 내입 정렬된 타카핀(P)이 경사슈트(3)가 아닌 부위에 임의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다가 정렬공급슈트(253)가 경사슈트(3)와 일치될 때에는 경사슈트(3)의 일측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개방부재(259)의 개방편(259a)에 차단부재(258)의 상부 개방조작편(258b)이 연속공급기(25)의 회전에 의해 걸리며, 이때 정렬공급슈트(253)의 출구를 차단하고 있던 차단부재(258)의 차단편(258a)이 회동축(257)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개방이 이루어져서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에 내입 정렬되어 있던 타카핀(P)을 경사슈트(3)로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정렬공급슈트(253)에서 경사슈트(3)로의 타카핀(P) 공급이 연속공급기(25)의 회전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타카핀(P)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렬공급슈트(253)에서 경사슈트(3)로 타카핀(P)을 공급할 시 타카핀(P)의 자중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정렬공급슈트(253)의 상부에 위치하는 정렬가이드(254)를 연속공급기(25)의 회동 시 방사상의 정렬공급슈트(253) 내측으로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나선형의 나선회전가이드(260)를 타고 상승하도록 한 후 나선회전가이드(260)가 경사슈트(3)쪽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정렬공급슈트(253)가 경사슈트(3)와 일치할 시 상승되어 있던 정렬가이드(254)가 정렬공급슈트(253)를 타고 하강하면서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에 내입되어 있던 타카핀(P)을 경사슈트(3)로 밀어주게 되므로 경사슈트(3)로의 타카핀(P) 연속 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낱개로 공급되는 수개의 타카핀(P)을 상술한 다양한 구성의 타카핀(P) 연속 바인딩장치(1)에 의해서 결속밴드(11a)로 가지런히 바인딩시켜 소정 개수로 절단한 타카핀(P) 묶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 시 타카핀(P)의 개수는 타카핀(P) 묶음이 장전되는 시중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타카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성 및 작용에서와 같이 공급부(2)에서 경사슈트(3)로 타카핀(P)을 연속 공급하고, 경사슈트(3)에서 수평슈트(5)로 공급된 타카핀(P)을 이송기어부(7)에서 수평 이송 시 푸시기어부(8)에서 타카핀(P)을 이송기어(7a)의 회전속도보다 신속하게 회전하면서 밀어주어 타카핀(P)의 수평 이송 시에도 정렬이 가지런히 된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상기 발명의 효과에서와 같이 바인딩작업 시 작업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상기 연속 바인딩장치(1)에 의해 만들어져서 타카에 장전된 후 사용되는 타카핀(P) 묶음의 제품불량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P:타카핀 P1:헤드 P2:몸체
1:(연속) 바인딩장치 1a:기체 2:공급부
3:경사슈트 3a:절개공 4:예열부
4a:근적외선히터 5:수평슈트 5a:절개공
6:안내슈트 6a:절개공 7:이송기어부
7a:이송기어 7b:이송홈 7c:이송기어축
8:푸시기어부 8a:푸시기어 8b:푸시홈
8c:푸시기어축 81:회전제어축 82:증속연동수단
9:클러치제동부 9a:클러치 9b:탄력스프링
10:이송구동부 10a:연동수단 10b:이송구동모터
11:결속부 11a:결속밴드 11b:가압롤러
12:냉각부 12a:에어분사노즐 13:진동발생부
13a:진동모터 13b:캠 13c:측면해머
13d, 13e:수직해머 13f:스프링 13g:로드
14:절단부 14a:커터 14b:에어실린더
15:배출부 15a:배출롤러 15b:배출모터,
21:이송대차 21a:바퀴 22:회전공급드럼
22a:지지롤러 22b:회전구동모터 22c:구동축
22d:회전구동수단 23:버킷 24:저장호퍼
24a:배출구 24b:진동기 25:연속공급기
26:회동롤러 27:회동실린더 27a:피스톤로드
27b:인장스프링 27c:지지축
251:탑프레임 252:베이스프레임 253:정렬공급슈트
253a:절개공 254:정렬가이드 255:견인바
256:견인판 256a:견인홈 257:회동축
258:차단부재 258a:차단편 258b:개방조작편
259:개방부재 259a:개방편 260:나선회전가이드
261:가이드편 262:스토핑돌기

Claims (5)

  1. 타카핀(P) 연속 바인딩장치(1)에 있어서;
    낱개로 투입된 수개의 타카핀(P)을 지속적으로 연속 공급하는 공급부(2)로부터 공급된 타카핀(P)의 헤드(P1)가 상향되게 걸려서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출구쪽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슈트(3)와,
    경사슈트(3)의 단부 하측 양쪽에 타카핀(P)을 가열토록 마주보게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근적외선히터(4a)로 이루어진 예열부(4)와,
    경사슈트(3)의 단부에 연속적으로 경사슈트(3)에서 공급된 타카핀(P)의 헤드(P1)가 상향되게 걸려서 수평으로 이송되도록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수평슈트(5)와,
    경사슈트(3)의 출구쪽 단부와 수평슈트(5)의 입구쪽 단부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어 타카핀(P)이 연속 이송되도록 구성된 호형의 안내슈트(6)와,
    타카핀(P)이 수평슈트(5)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수평 이송되도록 원주방향으로 타카핀(P)의 몸체(P2) 일부가 각각 내입되는 수직의 이송홈(7b)을 방사상으로 구비하여 수평슈트(5)의 입구쪽 양측에 마주보며 회전되게 설치된 한 쌍의 이송기어(7a)로 이루어진 이송기어부(7)와,
    이송기어(7a)에 의해서 타카핀(P)이 수평 이송 시 이송기어(7a)의 이송홈(7b)에 타카핀(P)이 빠짐없이 동일한 간격으로 내입되게 타카핀(P)을 뒤에서 밀어주도록 원주방향으로 타카핀(P)의 몸체(P2) 일부가 각각 내입되는 수직의 푸시홈(8b)을 방사상으로 구비하여 이송기어부(7)와 일정 간격을 유지토록 수평슈트(5)의 입구쪽 단부 양측에 이송기어(7a)보다 1.2~1.5배속으로 마주보며 회전되게 설치된 한 쌍의 푸시기어(8a)로 이루어진 푸시기어부(8)와,
    푸시기어(8a)가 이송기어(7a)보다 1.2~1.5배속으로 회전될 시 푸시기어(8a)와 이송기어(7a) 사이의 수평슈트(5)상에 타카핀(P)이 빼곡히 충전되어 푸시기어(8a)에 제동력이 발생되면 푸시기어(8a)의 회전이 단락되도록 탄력스프링(9b)에 의해서 탄력 지지되게 설치된 클러치(9a)가 설치된 회전제어축(81)이 한 쌍의 푸시기어축(8c)과 체인 및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진 증속연동수단(82)에 의해 연동되게 설치된 클러치제동부(9)와,
    한 쌍의 이송기어(7a)가 축 설치된 이송기어축(7c)과 벨트 및 풀리로 이루어진 연동수단(10a)에 의해서 연동되게 설치되며, 한 쌍의 푸시기어축(8c)와 증속연동수단(82)으로 연동되는 회전제어축(81)에 벨트 및 풀리로 이루어진 연동수단(10a)으로 연동되게 설치되도록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하나의 이송구동모터(10b)를 갖는 이송구동부와,
    한 쌍의 이송기어(7a)의 전방에 이송기어(7a)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슈트(5)에서 연속적으로 수평 이송되는 타카핀(P)의 양측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결속밴드(11a)를 가압 부착하는 한 쌍의 가압롤러(11b)를 갖는 결속부(11)와,
    결속부(11)를 통과하면서 예열부(4)에서 가열된 타카핀(P)에 의해 접착면이 용융된 결속밴드(11a)를 경화시킬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12a)을 구비한 냉각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2)는,
    기체(1a) 일측에서 전후로 이송되게 하부에 바퀴(21a)가 설치된 이송대차(21)의 상부 전후에 각각 한 쌍식 설치된 지지롤러(22a)에 자유 회전되게 안치되면서 이송대차(21)에 고정 설치된 회전구동모터(22b)의 구동축(22c)에 벨트와 풀리로 이루어진 회전구동수단(22d)에 의해서 회전되도록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전후로 관통된 내주면 방사상에 회전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수개의 버킷(23)이 고정 설치된 회전공급드럼(22)과,
    이송대차(21)를 전방으로 이동 시 회전공급드럼(22)의 내부 가운데에 위치하여 버킷(23)에 의해 낙하하는 다수의 타카핀(P)을 하부에 설치된 진동기(24b)의 진동에 의해서 하부의 환형 배출구(24a)로 배출시키도록 기체(1a) 일측에 고정 설치된 저장호퍼(24)와,
    저장호퍼(24)의 하측에 하부로 배출되는 수개의 타카핀(P)을 방사상으로 정렬하여 경사슈트(3)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방사상으로 수개의 정렬공급슈트(253)가 설치되며, 기체(1a) 일측에 방사상으로 수개가 상향 돌출되어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회동롤러(26)에 안치되며, 접선방향으로 피스톤로드(27a)가 진출 및 진입되도록 위치하여 피스톤로드(27a)의 단부가 평소에 연속공급기(25)의 외주면으로 접하도록 인장스프링(27b)에 의해 기체(1a)에 텐션 지지되는 회동실린더(27)에 피스톤로드(27a)가 진입될 때 피스톤로드(27a)에 의해서 방사상의 정렬공급슈트(253) 간격의 각도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연속공급기(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속공급기(25)는,
    상측으로 저장호퍼(24)의 배출구(24a) 내측 하부에 위치하게 기체(1a) 일측에 고정 설치된 환형의 탑프레임(251)과,
    하측으로 기체(1a)에 설치된 회동롤러(26)에 안치되며 탑프레임(251)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환형의 베이스프레임(252)과,
    상측의 탑프레임(251)과 하측의 베이스프레임(252)에 양단이 고정 설치되어 경사지도록 방사상으로 수개가 구성되며, 저장호퍼(24)에서 공급되는 타카핀(P)의 헤드(P1)가 양측으로 걸리고 중앙의 절개공(253a)으로 타카핀(P)의 몸체(P2)가 내입되어서 타카핀(P) 수개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다가 경사슈트(3)와 일치 시 공급되도록 구성된 정렬공급슈트(253)와,
    정렬공급슈트(253)의 상측으로 저장호퍼(24)에서 공급되는 타카핀(P)을 정렬공급슈트(253)로 보다 원활하게 정렬 이송되게 V자 형태의 절단면을 구비하여 하단부가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을 향하도록 구성된 정렬가이드(254)와,
    베이스프레임(252)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수개가 고정 설치되며, 회전방향의 반대편으로 개방되어 회동실린더(27)의 피스톤로드(27a) 단부에 설치된 수직의 견인바(255)가 피스톤로드(27a)의 회동실린더(27) 진입 시 걸리게 견인바(255)에 대응토록 형성된 견인홈(256a)이 각각 구비된 견인판(256)과,
    견인판(256)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축(257)에 회동되게 설치되며, 평소 하측 단부가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여 정렬공급슈트(253)의 하단부에서 타카핀(P)이 임의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편(258a)과 차단편(258a)의 상측에 견인판(256)의 상부로 돌출되는 개방조작편(258b)이 일체로 형성된 차단부재(258)와,
    연속공급기(25)가 회전되어 정렬공급슈트(253)가 경사슈트(3)와 일치할 시 차단부재(258)의 개방조작편(258b)이 걸려서 차단편(258a)이 개방되도록 경사슈트(3) 일측의 기체(1a)에 고정 설치되어 견인판(256)보다 높은 위치에서 베이스프레임(252)의 내측으로 향하게 수평으로 형성된 개방편(259a)이 구비된 개방부재(25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속공급기(25)는,
    탑프레임(251)과 베이스프레임(252)에 양단이 고정되어 방사상으로 수개가 설치된 정렬공급슈트(253)의 내측에서 경사슈트(3)쪽으로 일부가 개방되며, 연속공급기(25)의 회전방향으로 상향 1피치의 나선구조를 갖도록 기체(1a)에 고정 설치된 나선회전가이드(260)와,
    각 정렬가이드(254)의 하부에 정렬공급슈트(253)의 절개공(253a)으로 내입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회전가이드(260)의 상면에 면접되게 구성된 가이드편(261)과,
    연속공급기(25)의 회전으로 가이드편(261)이 나선회전가이드(260)의 상면에 면접되어 상승하다가 나선회전가이드(260)가 개방된 경사슈트(3)쪽으로 위치하여 하강할 시 가이드편(261)이 나선회전가이드(260)의 시작지점 상면보다 더 하측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토록 정렬공급슈트(253)의 하부 일측에 상향 돌출 구성되어 정렬가이드(254)의 하강을 스토핑시키게 구성된 스토핑돌기(2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구성된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에서 낱개로 공급되는 수개의 타카핀을 결속밴드로 가지런히 바인딩시켜서 소정 개수로 절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KR1020120081958A 2012-07-26 2012-07-26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KR101426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58A KR101426043B1 (ko) 2012-07-26 2012-07-26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958A KR101426043B1 (ko) 2012-07-26 2012-07-26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23A KR20140013723A (ko) 2014-02-05
KR101426043B1 true KR101426043B1 (ko) 2014-08-05

Family

ID=50264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958A KR101426043B1 (ko) 2012-07-26 2012-07-26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96B1 (ko) * 2016-12-23 2017-03-22 김진홍 피스를 매거진용 밴드에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592B1 (ko) 2014-12-04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639U (ko) * 1985-06-28 1987-01-17
JPS6349642U (ko) * 1986-09-19 1988-04-04
KR20090034853A (ko) * 2009-03-19 2009-04-08 (주)대동메탈 타카못 및 그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639U (ko) * 1985-06-28 1987-01-17
JPS6349642U (ko) * 1986-09-19 1988-04-04
KR20090034853A (ko) * 2009-03-19 2009-04-08 (주)대동메탈 타카못 및 그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96B1 (ko) * 2016-12-23 2017-03-22 김진홍 피스를 매거진용 밴드에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23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31387B (zh) 一种自动装配铆轮机
US75561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ating nails
KR101426043B1 (ko) 타카핀 연속 바인딩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타카핀 묶음
CN105397880B (zh) 一种木头托盘打钉输送堆码装置
US5392954A (en) Rivet setting machine
US5038914A (en) Automatic tie plate sorting conveyor
CN101259592B (zh) 小型工件自动送料系统
CA2741677C (en) Automatic spike feeder system
US4842181A (en) Apparatus for loading food for alignment with food sticks
CN207312446U (zh) 一种多车型共用的输送机
CA1322984C (en) Automatic tie plate sorting conveyor
CN113695879A (zh) 一种伞中棒高效自动化装配生产线
CN107685265A (zh) 阀杆倒角加工装置
CN104249247B (zh) 自动摆钉紧丝机及其工作方法
CN102502243B (zh) Led站位上料装置
CN207127490U (zh) 一种三面锁附的自动锁螺钉机
CN103601606B (zh) 一种雷管管壳自动排管机构
CN1023551C (zh) 辐条打出方法及其实施装置
KR100637377B1 (ko) 클러치가 부착된 자동선반
CN104609208A (zh) 洗衣机离合器制动轮的自动上料装置
CN213835451U (zh) 一种金属管件成型系统的自动分料加热设备
CN207127645U (zh) 阀杆倒角加工装置
US3065834A (en) Device for the aligning of parquet blocks
CN205820347U (zh) 一种理瓶装置
KR860001404B1 (ko) 탕도 및 탕구를 절단하는 방법과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