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544B1 -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544B1
KR101425544B1 KR1020070077392A KR20070077392A KR101425544B1 KR 101425544 B1 KR101425544 B1 KR 101425544B1 KR 1020070077392 A KR1020070077392 A KR 1020070077392A KR 20070077392 A KR20070077392 A KR 20070077392A KR 101425544 B1 KR101425544 B1 KR 10142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ode
connection
processo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345A (ko
Inventor
박철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7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5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접속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SB 접속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해당 접속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USB 접속부에 외부 기기가 접속됨을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에 대응하여 접속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상기 접속 모드에 대응하는 프로세서의 USB 모듈과 상기 USB 접속부를 연결하고, 다른 프로세서의 USB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대응하는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접속 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되지 않는 프로세서의 USB 모듈은 비활성화시키므로, 불필요한 전력 공급으로 인하여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77392
이동통신 단말기, USB, MTP, UMS, PC studio, AP, CP, 듀얼 프로세서

Description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 처리 방법{Dual processo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USB connection thereof}
본 발명은 USB 접속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SB 접속 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선택된 접속 모드에 따라 효과적으로 해당 접속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함에 따라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부가 기능의 증가에 따라 음성 통화나 메시지 송수신 등의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CP; Call Processor) 외에, 부가 기능의 제어를 전담하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를 더 포함하는 듀얼 프로세서형 구조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응용 프로세서가 부가 기능들 즉, 카메라 기능, 전자 사전, 멀티미디어 데이터(multimedia data) 재생 기능 등을 전담함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기능들을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프로세서의 종류에 따라 두 개의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다수개의 USB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부 기기와 연결할 때, 효과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며 효과적으로 USB 접속 모드를 처리할 수 있는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 처리 방법은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이 구비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고, USB 스위치를 통해 UBS 접속부와 상기 USB 모듈을 연결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접속 처리 방법으로, 상기 USB 접속부에 외부 기기가 접속됨을 인지하는 접속 인지 과정과,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에 대응하여 접속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과정과, 상기 USB 스위치로 상기 선택된 상기 접속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과 상기 USB 접속부를 연결하고, 다른 상기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초기화 과정, 및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된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접속 모드를 수행하는 모드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USB 모듈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프로세서와, 외부 기기가 접속되는 USB 접속부와, 상기 USB 모듈을 연결하는 USB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들은 외부 입력을 통해 선택된 접속 모드와 대응하는 상기 프로세서의 USB 모듈과 상기 USB 접속부를 연결하고, 다른 상기 프로세서의 USB 모듈은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접속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 처리 방법은 통신 전용 프로세서만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접속을 확인한다. 또한, 외부 기기와 USB 연결 시, 접속 모드에 대응되지 않는 다른 프로세서의 USB 모듈은 비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대기 상태나 USB 접속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프로세서를 활성 화시킴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활성화(active) 상태'라는 용어는 해당 프로세서 또는 해당 모듈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비활성화(inactive) 상태'라는 용어는 스탠바이(standby) 상태를 지칭한다. 즉, 해당 프 로세서 또는 해당 모듈이 구동되지 않는 대기 상태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거나, 대기를 위한 최소의 전력만이 공급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콘텐츠(또는 콘텐츠 데이터)는 디지털 콘텐츠(Digital Contents)를 의미하며, 부호나 문자,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으로 표현된 자료 또는 정보, 지식, 데이터베이스 등이 IT(Information Technology)와 결합하여 전자적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된 자료나 정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로서,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 Call processor)와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 Application processor), 저장부(170), USB 스위치(120), USB 접속부(110)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표시부(150c)와 제 1 입력부(160c) 및 무선통신부(130)를 구비하며,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표시부(150a) 및 제 2 입력부(160a)를 구비한다. 이에 더하여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와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의 프로세서간의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통신을 위한 IPC 버퍼(buffer; 도시되지 않음)를 가질 수 있다.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어 하는 프로세서이다.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하는 부호기(coder), 부호화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기(modulator),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demodulator), 복조된 신호를 복호화하는 복호기(decod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능은 음성 통신,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송수신,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을 포함한다.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는 무선 통신 기능 외에 전화번호부, 메시지 작성 및 보기, 착신 모드 설정 등과 같이 무선 통신과 관련된 기능을 비롯하여 메모장, 스케줄 관리, 알람 설정 등등 다른 특정 기능의 제어가 가능한 프로세서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로서는 퀄컴사의 MSM을 비롯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마이컴(MICOM)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는 USB 접속 모드 중 PC 링크(link) 모드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C 링크 모드, MTP 모드, 및 UMS 모드의 3가지의 USB 접속 모드를 제공한다. 이 중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는 USB 모듈을 통해 PC 링크 모드를 수행한다. 이러한 USB 접속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USB 접속 처리 방법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는 부가 기능을 제어하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이다. 여기서, 부가 기능은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는 IPC 통신을 통해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제어를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특정 부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는 상기한 USB 접속 모드 중 MTP 모드와 UMS 모드를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MTP 모드와 UMS 모드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USB 접속 처리 방법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와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는 후술되는 USB 스위치(120)를 통해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는 USB 모듈(195c, 195a)을 각각 포함한다. USB 모듈(195c, 195a)은 사용자가 선택한 접속 모드(예컨대, PC 링크 모드, MTP 모드, UMS 모드)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로딩(loading)되어 선택된 접속 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USB 모듈(195c)은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제어에 따라 USB 접속부(110)에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접속 모드에 따라 USB 스위치를 제어한다.
제 1 입력부(160c)와 제 2 입력부(160a)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키 입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들로 구성된다. 제 1 입력부(160c)와 제 2 입력부(160a)로서는 키 패드(key pad),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터치 패드(touch pad) 등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입력 장치일 수 있다. 제 1 입력부(160c)와 제 2 입력부(160a)는 각각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와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입력부(160c)는 무선 통신 기능 및 그에 관련된 기능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키 패드로 구성되고, 제 2 입력부(160a )는 멀티미디어 기능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터치 키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표시부(150c)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따라서 제 1 표시부(150c)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과 관련된 정보 및 일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무선 통신 정보는 무선 통신 기능의 동작과 운영 및 그에 필요한 관련 정보로서, 통화 관련 정보, 착수신 정보, 전화번호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 2 표시부(150a)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따라서 제2 표시부(150a)는 일반적으로 부가 기능에 관련된 정보(예컨대, 멀티미디어 재생 및 그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제 1 표시부(150c)와 제 2 표시부(150a)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제 2 표시부(150a)는 멀티미디어 기능의 수행 시에 사용자의 만족감을 높이기 위하여 제 1 표시부(150c)보다 큰 규격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표시부(150c)는 288ㅧ300 규격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제 2 표시부(150a)는 320ㅧ640 규격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데이터 영역 및 프로그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음 악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예컨대,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가 저장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의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USB 접속을 통해 외부 기기(200)와 연결되면, 외부 기기(20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무선통신부(130)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제어에 따라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단문 메시지 서비스 통신,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통신, 데이터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음성 또는 음향 신호 및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어부에 의해 출력되는 음성 신호나 영상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USB 스위치(120)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에 의해 제어되며, USB 접속부(110)와 연결된다. 즉, USB 접속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200)를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USB 모듈(195c) 또는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의 USB 모듈(195a)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USB 스위치(120)는 기본적으로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의 USB 모듈(195a)에 연결되어 있으며, 필요 시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제어에 따라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의 USB 모듈(195c)로 연결된다.
USB 접속부(110)는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곳으로, 이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200)와 유선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USB 접속 처리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USB 접속 처리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접속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PC 링크 모드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TP 모드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UMS 모드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접속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중심으로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USB 접속 처리 방법은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정상 동작에 따라 대기 상태(idle state)로 진입하는 S0 과정부터 수행된다.
부팅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통신 전용 프로세서(190c; 이하 CP)만이 활성화되어 있다. 이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190a; 이하 AP)의 경우, 사용자가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나 부가 기능의 실행을 요청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이러한 요청이 없는 경우, AP는 비활성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2개의 표시부(150c, 150a)를 갖는다. 따라서, 대기 상태와 같이 CP(190c)만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표시부는 제 1 표시부(150c)만이 표시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응용 프로그램(예컨대,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을 실행 시킨 경우, CP(190c)는 IPC 통신을 이용하여 AP(190a)에게 이를 알린다. 이에 AP(190a)는 활성화되며, 제 2 표시부(150a)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표시하며 재생하게 된다. 이때, CP(190c)는 제 1 표시부(150c)를 비활성화 시키고, 지속적으로 무선 통신 기능만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대기 상태(또는 AP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기기(200; 예컨대, PC)와 연결된 USB 케이블이 접속되는 S10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가 외부 기기(200)와 연결된 USB 케이블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USB 접속부(110)에 연결하면, USB 접속부(110)는 이를 CP(190c)의 USB 모듈(195c)에게 알린다. 이를 통해 CP(190c)는 USB 접속부(110)에 외부 기기(200)가 접속이 된 것을 인지하고,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S20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CP(190c)는 AP(190a)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제 1 표시부(150c)를 통해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그러나, AP(190a)가 활성화된 경우, AP(190a)로 IPC를 전송하여 제 2 표시부(150a)를 통해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CP(190c)의 USB 모듈(195c)만을 이용하여 USB 접속부(110)에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는 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는 CP(190c)가 무선 통신을 위해 항상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외부 기기(200)가 접속을 항상 인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AP(190a)나 AP(190a)의 USB 모듈(195a)은 해당 부가 기능의 수행 요청이 수신되기 전까지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접속 모드가 모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키 입력부(160a, 160c)를 조작하여 원하는 접속 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C 링크 모드, MTP 모드, 및 UMS 모드의 3가지의 접속 모드를 제공한다.
PC 링크 모드(또는 PC studio 모드)는 PC(Personal computer)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PC(2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동기화(synchronization)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종래의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하게 CP(190c)에서 수행된다. 이에 PC 링크 모드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외부 기기(200)가 USB 스위치(120)를 통해 CP(190c)의 USB 모듈(195c)과 연결되어야 한다.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C(200)와 PC-링크(link)됨으로써,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PC(2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USB를 통해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PC(200)는 데이터(예컨 대, 폰북에 저장된 데이터와 벨/멜로디 및 이미지 파일(배경화면, 사진 등), 일정 데이터 등)를 동기화하게 된다.
MTP 모드는 Microsoft사에서 발표한 데이터 전송 규약인 MTP(Media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는 모드를 지칭한다. MTP는 콘텐츠 파일을 포함한 모든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이용되는 프로토콜로서, MTP 접속 모드로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PC(200)와 연결되면, 별도의 하드웨어 인식 과정 없이 바로 PC(200)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콘텐츠 관련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가 동기화된다.
UMS 모드는 USB 표준 규격에 따른 UMS(USB Mass Storage)를 이용하는 모드를 지칭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UMS 접속 모드로 PC(200)와 접속하는 경우, PC(2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대용량 저장 장치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MTP 모드와 UMS 모드는 콘텐츠의 전송과 관련된 모드이므로, PC 링크 모드와 다르게 AP(190a)를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MTP 모드와 UMS 모드를 이용하려는 경우, 외부 기기(200)는 USB 스위치(120)를 통해 AP(190a)의 USB 모듈(195a)과 연결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제 1 표시부(150c) 또는 제 2 표시부(150a)에 표시된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확인하고, 상기한 3가지 접속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모드를 선택하면(S30), 이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접속 모드에 따라 USB 접속을 처리하는 S40 내지 S60 과정이 수행된다.
먼저 사용자가 PC 링크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C 링크 모드는 CP(190c)를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외부 기기(200)와 CP(190c)의 USB 모듈(195c)을 연결하는 S41 과정이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CP(190c)는 USB 접속부(110)와 CP(190c)의 USB 모듈(195c)이 연결되도록 USB 스위치(120)를 제어한다. 이때, USB 스위치(120)가 이미 CP(190c)의 USB 모듈(195c)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CP(190c)는 이를 유지한다.
한편, AP(190a)(또는 제 2 표시부(150a))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속 모드가 선택된 경우(S30), 선택 정보는 제 2 입력부(160a)를 통해 AP(190a)로 전달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AP(190a)는 IPC를 통해 CP(190c)로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한 S41 과정이 수행된다.
USB 접속부(110)와 CP(190c)의 USB 모듈(195c)이 연결되면, 이어서 CP(190c)는 AP(190a)를 비활성 시키는 S42 과정을 수행한다. CP(190c)는 IPC를 전달하여 AP(190a)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CP(190c)는 외부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PC 링크 모드로 인식할 수 있도록 CP(190c)의 USB 모듈(195c)을 PC 링크 모드로 초기화하는 S43 과정을 수행한다.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CP(190c)는 S44 과정으로 진입하여 PC 링크 모드로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PC 링크 모드를 이용한 통신을 모두 완료하고, USB 접속부(110)에서 USB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게 되면(S45), CP(190c)는 PC 링크 모드를 종료하는 S46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어서 USB 스위치(120)를 제어하여 USB 접속부(110) 를 AP(190a)의 USB 모듈(195a)에 연결시키는 S47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PC 링크 모드 처리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C 링크 모드 처리 과정(S40)이 수행되는 동안 AP(190a)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을 비활성화시키므로, 사용되지 않는 AP(190a)에 전력을 공급함으로 인해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MTP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MTP 모드는 AP(190a)를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외부 기기(200)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을 연결하는 S51 과정이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CP(190c)는 USB 접속부(110)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이 연결되도록 USB 스위치(120)를 제어한다. 한편, USB 스위치(120)가 이미 AP(190a)의 USB 모듈(195a)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CP(190c)는 이를 유지시킨다.
또한, AP(190a)(또는 제 2 표시부(150a))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속 모드(MTP 모드)가 선택된 경우(S30), 선택 정보는 제 2 입력부(160a)를 통해 AP(190a)에 먼저 전달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AP(190a)는 IPC를 통해 CP(190c)로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한 S51 과정이 수행된다.
USB 접속부(110)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이 연결되면, 이어서 CP(190c)의 USB 모듈(195c)을 비활성 시키는 S52 과정이 수행된다. 이를 통해 사용되지 않은 USB 모듈(195c)이 활성화됨으로 인하여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P(190c)는 해당 USB 모듈(195c)을 비활성화시킨 후, AP(190a)로 IPC 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IPC 신호를 전달받은 AP(190a)는 외부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MTP 모드로 인식할 수 있도록 AP(190a)의 USB 모듈(195a)을 MTP 모드로 초기화하는 S53 과정을 수행한다.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CP(190c)는 S54 과정으로 진입하여 MTP 모드로 동작하며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MTP 모드를 이용한 통신을 모두 완료하고, USB 접속부(110)에서 USB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게 되면(S55), AP(190a)는 이를 인지하고 MTP 모드를 종료하는 S56 과정을 수행한다. AP(190a)는 이 과정에서 AP(190a)의 USB 모듈(195a)을 비활성화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MTP 모드 처리 과정을 완료한 AP(190a)는, IPC를 통해 CP(190c)로 USB 접속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이에 S57 과정에서 CP(190c)는 CP(190c)의 USB 모듈(195c)을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USB 모듈(195c)을 통해 USB 접속부(110)에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S30 과정에서 사용자가 UMS 모드를 선택한 경우를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UMS 모드는 AP(190a)를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외부 기기(200)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을 연결하는 S61 과정이 우선적으로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CP(190c)는 USB 접속부(110)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이 연결되도록 USB 스위 치(120)를 제어한다. 한편, USB 스위치(120)가 이미 AP(190a)의 USB 모듈(195a)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라면, CP(190c)는 이를 유지시킨다.
또한, AP(190a)(또는 제 2 표시부(150a))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접속 모드(UMS 모드)가 선택된 경우(S30), 선택 정보는 제 2 입력부(160a)를 통해 AP(190a)에 먼저 전달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AP(190a)는 IPC를 통해 CP(190c)로 선택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한 S61 과정이 수행된다.
USB 접속부(110)와 AP(190a)의 USB 모듈(195a)이 연결되면, 이어서 CP(190c)의 USB 모듈(195c)을 비활성 시키는 S62 과정이 수행된다. 이를 통해 사용되지 않는 CP(190c)의 USB 모듈(195c)이 활성화됨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P(190c)는 해당 USB 모듈(195c)을 비활성화시킨 후, AP(190a)로 IPC를 전달한다. 이에, IPC를 전달받은 AP(190a)는 외부 기기(2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UMS 모드로 인식할 수 있도록 AP(190a)의 USB 모듈(195a)을 UMS 모드로 초기화하는 S63 과정을 수행한다.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CP(190c)는 S64 과정으로 진입하여 UMS 모드로 동작하며 외부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UMS 모드를 이용한 통신을 모두 완료하고, USB 접속부(110)에서 USB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게 되면(S65), AP(190a)는 이를 인지하고 UMS 모드를 종료하는 S66 과정을 수행한다. AP(190a)는 이 과정에서 AP(190a)의 USB 모듈(195a)을 비활성화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UMS 모드 처리 과정을 완료한 AP(190a)는, IPC를 통해 CP(190c)로 USB 접속이 종료되었음을 알린다. 이에 S67 과정에서 CP(190c)는 CP(190c)의 USB 모듈(195c)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USB 모듈(195c)을 통해 USB 접속부(110)에 외부 기기(200)가 접속되는 지 여부를 감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MTP 모드와 UMS 모드 처리 과정(S40)이 수행되는 동안 CP(190c)의 USB 모듈(195c)을 비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사용되지 않는 CP(190c)의 USB 모듈(195c)에 전력을 공급함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접속 처리 방법은 통신 전용 프로세서만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의 접속을 확인한다. 또한, 외부 기기와 USB 연결 시, 접속 모드에 대응되지 않는 다른 프로세서의 USB 모듈은 비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USB 모듈에 전력을 공급함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모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접속 처리 방법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기기 접속 시 우선적으로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 기기 접속 시 기 설정된 접속 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하도록 구성하거나, 사용자가 먼저 접속 모드를 선택한 후 외부 기기를 접속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듀얼 프로세서를 갖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개별적인 USB 모듈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SB 접속을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두 개 이상의 USB 모듈을 구비하고, 외부 기기와 USB 연결이 가능한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접속 처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PC 링크 모드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MTP 모드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UMS 모드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19)

  1. USB(Universal Serial Bus) 모듈이 각각 구비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두 개 포함하고, USB 스위치를 통해 UBS 접속부와 상기 USB 모듈을 연결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USB 접속 처리 방법으로,
    상기 USB 접속부에 외부 기기가 접속됨을 인지하는 접속 인지 과정과,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에 대응하여 PC링크(PC-link)모드, MTP(Media Transfer Protocol)모드 및 UMS(USB Mass Storage)모드 중 어느 하나의 접속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과정과,
    상기 USB 스위치로 상기 선택된 상기 접속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과 상기 USB 접속부를 연결하고, 다른 상기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초기화 과정, 및
    상기 외부 기기에 연결된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접속 모드를 수행하는 모드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로세서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 및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인지 과정은,
    상기 통신 전용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전용 프로세서는
    상기 PC 링크 모드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는
    상기 MTP 모드 및 상기 UMS 모드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수행 과정 수행 후,
    상기 USB 접속부와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이 해제됨을 인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접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통신 전용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USB 접속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이 연결되도록 상기 USB 스위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과정은,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에 따라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하나의 상기 접속 모드가 선택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접속 처리 방법.
  10. USB 모듈이 각각 구비된 적어도 두 개의 프로세서와,
    외부 기기가 접속되는 USB 접속부와,
    상기 USB 모듈을 연결하는 USB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들은 외부 입력을 통해 PC링크 모드, MTP모드 및 UMS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접속 모드와 대응하는 상기 프로세서의 USB 모듈과 상기 USB 접속부를 연결하고, 다른 상기 프로세서의 USB 모듈은 비활성화시킨 후, 상기 접속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프로세서는 통신 전용 프로세서 및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전용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USB 접속부가 접속되는 것을 인지하고, 상기 접속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USB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전용 프로세서는
    상기 PC 링크 모드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는
    상기 MTP 모드 및 상기 UMS 모드와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USB 접속부와 상기 외부 기기의 접속이 해제되면 상기 프로세서들은,
    상기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통신 전용 프로세서의 상기 USB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전용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USB 접속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전용 프로세 서의 상기 USB 모듈이 연결되도록 상기 USB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모드를 선택하는 접속 모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프로세서들과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스들과 일대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77392A 2007-08-01 2007-08-01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처리 방법 KR101425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392A KR101425544B1 (ko) 2007-08-01 2007-08-01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392A KR101425544B1 (ko) 2007-08-01 2007-08-01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345A KR20090013345A (ko) 2009-02-05
KR101425544B1 true KR101425544B1 (ko) 2014-08-01

Family

ID=4068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392A KR101425544B1 (ko) 2007-08-01 2007-08-01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753B1 (ko) * 2009-07-03 2012-02-15 (주)웨이브텔레텍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4034979A (zh) * 2021-11-12 2022-02-11 昆明理工大学 一种交流输电线路测距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762A (ja) 2002-03-29 2003-10-17 Kyocera Corp 移動通信端末
KR20050058445A (ko) * 2002-08-27 2005-06-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모드 장치들을 위한 저전력 이중 프로세서 구조
KR20050091927A (ko) * 2004-03-11 2005-09-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유에스비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의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US7117288B2 (en) 2003-10-24 2006-10-03 Motorola Inc. USB dynamic service switch for dual processor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8762A (ja) 2002-03-29 2003-10-17 Kyocera Corp 移動通信端末
KR20050058445A (ko) * 2002-08-27 2005-06-1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모드 장치들을 위한 저전력 이중 프로세서 구조
US7117288B2 (en) 2003-10-24 2006-10-03 Motorola Inc. USB dynamic service switch for dual processor architecture
KR20050091927A (ko) * 2004-03-11 2005-09-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유에스비를 이용한 컴퓨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 상호간의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345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29239B (zh) 投屏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21084B (zh) 切换端口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20025331A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2261880A (ja) 携帯電話機
US8150459B2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6780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팅시간 단축 방법
US20110111748A1 (en) Distributed mobile phone system
KR101425544B1 (ko)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usb 접속처리 방법
CN112954419B (zh) 一种显示设备及显示方法
KR20070094167A (ko) 이동 단말기에서 메모리를 이용한 멀티 운영 체제 구동장치 및 방법
CN113039517B (zh) 一种音频资源调用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995732B (zh) 一种投屏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EP3499857B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713423B1 (ko) 이동통신 단말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그레이드 방법
CN112988254A (zh) 管理硬件设备的方法、装置和设备
KR100389831B1 (ko) 휴대 단말기의 시작 프로그램 실행방법
CN116700660B (zh) 音频播放方法和电子设备
WO2022052907A1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10059384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응용 프로그램 운영 시스템
CN102469125A (zh) 一种手机多任务下载系统及方法
WO2024109290A1 (zh) 应用启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85316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 setting in a portable terminal
KR100750198B1 (ko) 휴대단말의 화상통화기능을 이용한 영상 전송 방법
KR100821158B1 (ko) 듀얼 프로세서형 이동 단말의 카메라 모듈 공유 방법 및장치
JPH1013644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電話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