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511B1 -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 - Google Patents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511B1
KR101424511B1 KR1020130038991A KR20130038991A KR101424511B1 KR 101424511 B1 KR101424511 B1 KR 101424511B1 KR 1020130038991 A KR1020130038991 A KR 1020130038991A KR 20130038991 A KR20130038991 A KR 20130038991A KR 101424511 B1 KR101424511 B1 KR 101424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ratio
mixer
bottle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슬
Original Assignee
(주)제이비엘
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비엘, 이슬 filed Critical (주)제이비엘
Priority to KR102013003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84Ratio control
    • B67D1/1286Ratio control by mechanic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Abstract

본 발명은 병음료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 병음료의 목부분과 밀착 되어 음료를 투입할 수 있는 복수의 음료투입구를 두고 내부에 기계적인 비율조정기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둘 이상의 음료를 특정한 동력 없이 간편하게 혼합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음료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Bottle-drink mixer}
본 발명은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의 목부분과 밀착 되어 음료를 투입할 수 있는 복수의 음료투입구와 비율조정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둘 이상의 음료 또는 주류를 혼합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 음료 혼합기에 관한 것이다.
일명 폭탄주는 맥주와 양주, 또는 맥주와 소주를 섞어 만든 주류를 뜻하는데, 그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지만 일반적인 의미의 폭탄주가 대중들에게 알려지게 된 건 1900년대 초로 주로 벌목꾼이나 탄광의 인부, 항만의 노동자와 같이 육체적으로 고된 노동을 주로 하는 계층에서 싼 값으로 빨리 취하게 하기 위해 즐겼다고 여겨진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이 시기에 발생한 폭탄주로 도수가 높은 술에 맥주를 섞어 만든 '보일러 메이커'라는 술이 인기가 있어서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 이나 '워터프론트' 등의 영화에도 출현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부터 미국 유학을 다녀온 군 장교들을 중심으로 '보일러 메이커' 형식의, 양주와 맥주를 섞은 술을 마시기 시작한 것이 폭탄주의 시초로 보고 있다. 해외 폭탄주가 주로 하류층 노동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빠르게 취하기 위해 마셨다면, 우리나라의 폭탄주의 경우 폭탄주를 들여 온 군을 비롯한 사회 지도층들이 단결을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상류층으로부터 밑으로 전파되기 시작했다. 폭탄주가 상류에서 중산, 하류층으로 내려오면서 값비싼 양주 대신 값싼 소주를 맥주와 섞는 시도가 발생하게 되었고, 값싼 가격과 함께 독한 양주보다 산뜻한 소주 맛을 대중들이 선호함에 따라 소주와 맥주를 섞은 폭탄주가 샐러리맨들을 중심으로 퍼져 나가 현재 유행하는 일명 '소맥(소주+맥주)'의 원류를 만들게 되었다. 소맥은 특히 젊은 층 및 상대적으로 술이 약한 여성에게 인기가 좋은데, 소주처럼 쓰고 알콜 냄새가 심하지도 않을뿐더러 맥주처럼 밋밋하지 않고 값싸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인 단체 회식 자리에서 소맥을 비롯한 폭탄주를 마시게 되면 폭탄주를 만드는 조주사 한 명이 술을 섞어서 나머지 회식원 들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보통 폭탄주를 제조할 때는 잔을 두 개를 준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잔에 독한 술을 넣고, 큰 잔에 맥주를 일정량 채운 다음 독한 술이 담긴 작은 잔을 맥주가 담긴 큰 잔 안으로 넣어서 섞어서 제조하게 되는데, 조주사가 독주를 얼마나 투입하느냐에 따라 도수 및 독주의 농도가 달라지게 되고, 잔끼리 부딪히며 유리 파편이 술에 들어가게 될 위험이 존재한다.
또한 상기 비율을 조절하는 문제와 번거로운 제조법으로 인하여 빠른 제조가 힘들기 때문에, 폭탄주 수요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음식점에서는 폭탄주를 직접 판매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술을 특정 비율로 섞을 수 있는 주류제조장치가 특허 10-1053891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의 주류 제조장치는 전자식으로 전기가 필요하여 전기를 수급하지 못하는 야외 등에서는 사용하기가 힘들고 부피가 커서 휴대성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 또는 주류가 담긴 병의 입구 부분을 끼워 맞출 수 있는 복수의 나팔관 형식의 음료투입구를 설치하고 음료가 서로 만나게 되는 음료혼합부에 기계식으로 사용자가 특정한 비율로 음료를 혼합할 수 있는 간단한 음료비율조정기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쉽게 병음료를 혼합할 수 있고 휴대성과 경제성이 용이한 병음료 혼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료병의 목 부분이 밀착 삽입되도록 하는 나팔관 형식의 복수의 음료투입구와, 투입된 음료가 만나는 지점인 음료혼합부에서는 음료가 특정한 비율로 섞일 수 있도록 하는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를 제공한다.
상기 음료혼합부의 내부는 특정 비율로 음료가 혼합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크기의 천공이 존재하는 음료비율조정기를 설치하여 정해진 특정 비율로 음료가 섞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료비율조정기는 사용자가 특정 음료비율을 제조할 수 있도록 조정 가능하도록 외부에 설치된 비율조정레버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 비율로 음료를 섞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료비율조정기에는 고무재질의 오링을 설치하여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둘 이상의 목이 긴 형태의 병음료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율에 맞춰 간단하게 혼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병을 직접 고정하여 음료나 액체를 나팔관 안으로 투입할 수 있다면 병 뿐 아니라 다른 형태의 음료나 액체 또한 필요한 비율로 혼합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은 크기로 인해 휴대 및 설치가 용이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혼합음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병음료혼합기(10)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료투입기(100)와 음료비율조정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혼합부(140)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외부 케이스와 장착되어 작동 가능한 본 발명의 병음료혼합기(10)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병음료혼합기(10)의 사시도로써, 음료투입기(100)와 음료비율조정기(20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음료투입기(100)는 두 개의 나팔관형 삽입부(110, 120)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일단의 음료이동관(130)과 연결되며, 상기 음료이동관(130)들이 만나는 부분에서는 음료혼합부(140)가 연결되고, 상기 음료혼합부(140)의 타단에는 토출관(150)이 연결되고, 상기 토출관(150)의 끝단쪽에는 토출부(1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음료혼합부(140)의 상부쪽에는 음료비율조정기(200)가 체결되는데, 상기 음료비율조정기(200)는 상부의 비율조절레버(210)와, 비율조절레버(210)와 연결되는 축대(230), 그리고 축대(230)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음료혼합부(140)와 연결되는 혼합기(2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음료혼합부(140)와 혼합기(220) 사이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재질의 오링(240)이 혼합기(220)에 취부된다.
상기에서 음료비율조정기(200)는 음료의 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음료비율조정기(200)를 음료투입기(100)의 음료혼합부(140)에 삽입 체결시킨 후 비율조정레버(210)를 손으로 회전시켜 원하는 비율이 되도록 혼합기(220)를 맞추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비율조정레버(210)의 상면에는 표시눈금(210A)이 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표시눈금(210A)을 확인하여 자신이 설정한 비율이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비율조정레버(210)를 돌리게 되면 상기 비율조정레버(210)의 하면에 고정 체결되어 있는 축대(230)가 같이 움직이게 되고, 상기 축대(230)와 고정 체결된 혼합기(220)가 상기 비율조정레버(210)와 같은 각도로 움직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 비율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혼합기(220)가 음료 비율을 결정할 수 있도록 음료를 혼합시키는 방법은 혼합기(220)에 형성된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기천공(300)을 통해 음료 비율을 조절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음료투입기(100)와 음료비율조정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혼합부(14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음료투입구(100)와 음료비율조정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음료가 투입되면, 상기 음료비율조정기(200)의 혼합기천공(300)을 통과하여 섞이게 되는데, 상기 음료비율조정기(200)의 혼합기(220) 내에 천공된 혼합기천공(300)은 모두 서로 다른 크기의 4개가 존재한다. 상기 혼합기천공(300)의 크기가 각기 다르기에 특정 크기의 혼합기천공(300)이 상기 두 개의 음료이동관(130)과 연결될 경우, 음료이동관(130)의 크기보다 상기 연결된 혼합기천공(300)의 크기가 작아 특정 음료를 일부만 통과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율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혼합기천공(300)들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격벽은 칸막이(400) 역할을 하는데, 서로 다른 크기의 4개의 칸막이(400)가 특정 음료 투입구의 일부를 막게 된다.
도 3는 상기 도 2의 음료투입기(100)와 음료비율조정기(200)가 결합된 상태의 A-A 단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3가지의 음료혼합비율을 제공하는데 그 비율은 A토출공(410)에서 제공하는 5:5비율, B토출공(420)에서 제공하는 6:4비율, C토출공(430)에서 제공하는 7:3비율이다. D토출공(440)은 비율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를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료혼합부(140)로 좌측나팔관(120)과 우측나팔관(110)을 통해 음료가 투입되면, 상기 좌측나팔관(120)에서 투입되는 음료는 도 3의 제1투입구(300a)로, 상기 우측나팔관(110)에서 투입되는 음료는 도 3의 제2투입구(300b)로 투입된다. 각각의 투입구(300a, 300b)로부터 이동관(130)을 통해 이동한 음료는 음료혼합부(140)로 들어오게 되는데, 여기서 A, B, C토출공(410, 420, 430) 중 어느 부분이 각각의 투입구(300, 300b)와 만나느냐에 따라 음료의 혼합 비율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먼저 제1칸막이(310)와 제1칸막이(310)보다 약간 큰 제2칸막이(320) 사이에 위치한 A토출공(410)은 중심으로부터 제1칸막이(310), 제2칸막이(320) 사이의 각도가 77.16ㅀ이며 제1투입구(300a), 제2투입구(300b)의 크기가 동일하도록 하여 투입되는 두 음료가 5:5의 비율로 음료혼합부(300)에서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칸막이(320)와 제2칸막이(320)보다 더 큰 제3칸막이(330) 사이에 위치한 B토출공(420)은 중심으로부터 제2칸막이(320), 제3칸막이(330) 사이의 각도가 62.3ㅀ이며 제1투입구(300a)에 비해 제2투입구(300b)의 크기가 좁아지도록 하여 제1투입구(300a)를 통해 투입되는 음료와 제2투입구(300b)를 통해 투입되는 음료가 6:4의 비율로 음료혼합부(140)에서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3칸막이(330)와 제3칸막이(330)보다 더 큰 제4칸막이(340) 사이에 위치한 C토출공(430)은 중심으로부터 제3칸막이(330), 제4칸막이(340) 사이의 각도가 53ㅀ이며 제1투입구(300a)에 비해 제2투입구(300b)의 크기가 상기 B토출공(420)에서의 제2투입구(300b)보다 더욱 좁아지도록 하여 제1투입구(300a)를 통해 투입되는 음료와 제2투입구(300b)를 통해 투입되는 음료가 7:3의 비율로 음료혼합부(140)에서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칸막이(310)와 제4칸막이(340) 사이의 D토출공(440)은 비율을 제공하지 않으며 단지 B토출공(420)이 투입구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토출부(500)로 혼합된 음료가 나갈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작동예를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품은 수직으로 선 채로 외부케이스(600)에 장착된 상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600)는 좌측나팔관(120), 우측나팔관(110), 비율조정레버(210) 및 토출부(160)가 외부로 노출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을 통해 혼합된 음료수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는 혼합할 음료 또는 액체가 담긴 두 병(11, 12)을 도 1의 좌측나팔관(120)과 우측나팔관(110)에 입구를 연 채로 끼워 삽입하게 되는데, 여기서 사용자는 음료를 투입하기 전에 먼저 음료비율조정기(200)의 비율조정레버(210)를 돌려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음료가 섞일 수 있도록 미리 조정해 놓는다. 비율조정레버(210)를 돌려 비율을 맞춘 후에 음료를 투입하게 되는데, 여기서 5:5비율이 아닌, 6:4나 7:3등의 비율을 이용하여 음료를 혼합할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의 음료가 담긴 병을 우측나팔관(110)에 삽입한다.
음료를 투입하면 투입되는 두 음료 중력에 의해 음료이동관(130)을 자유낙하 이동하여 음료혼합부(140)에서 혼합기(220)에 의해 두 음료수가 각각 설정된 비율만큼 흘러서 섞이게 된다. 섞인 음료수는 직각으로 꺾인 토출관(150)을 지나 토출부(160)를 통해 배출되는데, 사용자는 토출부(160)에 통상의 밸브 또는 꼭지를 설치하여 음료의 흐름을 조절할 수도 있다.
10 : 병음료혼합기. 100 : 음료투입기. 110 : 우측나팔관. 120 : 좌측나팔관.
130 : 음료이동관. 140 : 음료혼합부. 150 : 토출관. 160, 500 : 토출부.
200 : 음료비율조정기. 210 : 비율조정레버. 220 : 혼합기. 230 : 축대.
300 : 혼합기천공 .300a : 제1투입구. 300b : 제2투입구.
310 : 제1칸막이. 320 : 제2칸막이. 330 : 제3칸막이. 340 : 제4칸막이.
400 : 칸막이. 410 : A토출공. 420 : B토출공. 430 : C토출공.
440 : D토출공.

Claims (4)

  1. 병음료 혼합기에 있어서,
    음료병의 목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나팔관 형식인 2개의 삽입부;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음료이동관을 통해 투입된 음료가 특정한 비율로 섞일 수 있는 음료혼합부;
    상기 음료혼합부의 타측 토출관과 연결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하부는 서로 다른 크기의 혼합기 천공이 4개 형성되어 상기 혼합부 내부로 오링을 통해 끼워지고, 하부 천공부와 축대로 연결되며 상부에는 표시눈금이 있는 비율 조절레버가 구비되는 음료비율조정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병음료 혼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038991A 2013-04-10 2013-04-10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 KR10142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91A KR101424511B1 (ko) 2013-04-10 2013-04-10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991A KR101424511B1 (ko) 2013-04-10 2013-04-10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511B1 true KR101424511B1 (ko) 2014-08-01

Family

ID=5174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991A KR101424511B1 (ko) 2013-04-10 2013-04-10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5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169A (ko) * 1988-04-15 1989-12-15 도자와 미쯔오 유량조절장치
US20120111450A1 (en) * 2010-11-10 2012-05-10 Claps Don L Beverage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169A (ko) * 1988-04-15 1989-12-15 도자와 미쯔오 유량조절장치
US20120111450A1 (en) * 2010-11-10 2012-05-10 Claps Don L Beverage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8901T3 (es) Sistema y método para preparar bebidas infundidas con nitrógeno
JP6383752B2 (ja) マルチタワーモジュール式飲料分配システム
JP5883126B2 (ja) モジュール式分配システム
US11802036B2 (en) Beverage dispenser
JP6768517B2 (ja) 分配システム
JP6146756B2 (ja) 微小量注入注出システム
RU269226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а напитка, содержаще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а средства для приема таблеток или капсул
RU201213409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выбранного напитка
MX2010002290A (es) M?todo y aparatos para proporcionar una bebida seleccionable.
CN105849030A (zh) 用来混合一种或多种饮料组分与至少一种碳酸液体的饮料分配器和方法
CN108602661A (zh) 竖直饮料分配歧管,包括该分配歧管的分配器以及分配饮料的方法
US8640748B2 (en) Multiple liquid dispenser
JP6737804B2 (ja) 層状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飲料注出機
ES2929411T3 (es) Dispensador de agua para dispensar agua carbonatada y método
CN108367905A (zh) 用于饮料分配系统的饮料盛装器、包括饮料盛装器的饮料分配系统、和通过提供饮料分配系统分配混合酒精饮料制品的方法
KR101424511B1 (ko) 병 용기에 담긴 음료 혼합기
US20120111450A1 (en) Beverage Mixing and Dispensing Apparatus
WO2020021412A3 (en) A liquid dispenser for dispensing water and a flavored beverage
ES2893583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ispensar una bebida enriquecida con un gas desde una bombona de gas
CA2510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vored discharge from portable potable water reservoir
JP7340446B2 (ja) 液体分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飲料供給装置
RU2812798C2 (ru) Способ отпуска насыщенного газом напит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пуска напитка, насыщенного газом из напорного резервуара
ES1091233U (es) Máquina expendedora de bebidas perfeccionada
ES1298106U (es) Maquina dispensadora de combinados de bebidas alcoholicas
RU724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ничной продажи пенящихся напитков в одноразовых стаканах, узел охлаждения пенящихся напитков и узел розлива пенящихся напит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