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4286B1 -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4286B1
KR101424286B1 KR1020080061550A KR20080061550A KR101424286B1 KR 101424286 B1 KR101424286 B1 KR 101424286B1 KR 1020080061550 A KR1020080061550 A KR 1020080061550A KR 20080061550 A KR20080061550 A KR 20080061550A KR 101424286 B1 KR101424286 B1 KR 101424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lat tube
compartments
vertical center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584A (ko
Inventor
백승철
박태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286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1/02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multip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inside the tubular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플랫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 측면에 따른 플랫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다수 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 바디; 상기 튜브 바디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튜브 바디의 내벽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중 적어도 2개의 구획부의 길이 또는 두께가 서로 다르다.
열교환기, 플랫튜브, 확관

Description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Flat tube and Heat exchanger comprising in the same}
본 실시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란,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으로,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동작하여 그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부의 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는 그 형상에 따라서 크게 핀 앤 튜브 타입과 마이크로채널 타입으로 구분된다. 상기 핀 앤 튜브 타입의 열교환기는, 다수개의 핀 및 상기 핀을 관통하는 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채널 타입의 열교환기는, 플랫튜브 및 다수회 밴딩되어 상기 플랫튜브 사이에 구비되는 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핀 앤 튜브 타입의 열교환기 및 상기 마이크로채널 타입의 열교환기는, 양자 모두, 상기 튜브 또는 플랫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부의 유체가 열교환되고, 상기 핀은 상기 튜브 또는 플랫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외부의 유체와의 열교환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플랫튜브가 핀에 관통결합되는 열교환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확관에 의해 핀에 결합될 수 있는 플랫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플랫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다수 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 바디; 상기 튜브 바디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튜브 바디의 내벽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중 적어도 2개의 구획부의 길이가 서로 다르다.
다른 측면에 따른 플랫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는, 그 내부에 다수 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 바디; 상기 튜브 바디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튜브 바디의 내벽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중 적어도 2개의 구획부의 두께가 서로 다르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플랫튜브를 핀에 관통 결합하기 위하여 확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랫튜브 내부에 다수의 냉매유로를 형성하는 구획부가 파단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플랫튜브의 변형에 의한 큰 내부응력으로 인해 상기 플랫튜브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플랫 튜브가 다수 개의 핀에 관통되므로,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하측으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에는, 다수 개의 플랫튜브(10) 및 다수 개의 핀(20)이 포함된다. 상기 플랫튜브(10)는 그 외형이 납작한 형상이고, 상기 다수 개의 핀(20)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하나의 핀(20)에 다수 개의 플랫 튜브가 관통 결합된다. 상기 각 핀에는 다수의 플랫튜브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22)이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10)에는, 상기 플랫튜브(10)의 외관을 형성하는 튜브 바디(11)와, 상기 플랫튜브(10)의 내부에 다수의 냉매유로(15)가 형성되도록 하는 다수의 구획부(100)가 포함된다. 일례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플랫튜브(10)의 내부에는 5개의 구획부(100)에 의하여 6개의 냉매유로(15)가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나, 상기 구획부(100) 및 냉매유로(15)의 개수는 제한이 없다.
상기 구획부(100)에는, 2개의 직선부(102)와 상기 직선부(102)를 연결하는 연결부(104)가 포함된다. 상기 2개의 직선부(102)는, 상기 튜브 바디(11)의 내벽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직선부(102)를 이은 연장선은 동일선상에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04)는, 상기 2개의 직선부(102)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104)는, 상기 2개의 직선부(102) 사이의 거리보다,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플랫튜브(10)의 확관시에, 상기 2개의 직선부(10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보상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04)는 다수의 변곡점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04)와 상기 직선부(102)의 연결부위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확관시 상기 구획부(100)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플랫튜브(10)에 포함되는 상기 다수의 구획부(100)의 길이는, 상기 플랫튜브(10) 단면의 수직중심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보다 상세히, 상기 플랫튜브(10) 단면의 수직중심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구획부(100)일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고, 먼 곳에 위치한 구획부(100)일수록 그 길이는 짧아진다. 일례로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상기 플랫튜브(10)에 포함되는 구획부(100) 중, 상기 플랫튜브(10) 단면의 수직중심에 가장 가까운 제 1 구획부(110)는 그 길이가 가장 길게 형성되고, 상기 플랫튜브(10) 단면의 수직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제3구획부(130)는 그 길이가 가장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부(110) 및 제3구획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제2구획부(120)는 그 길이가 상기 제1구획부(110)보다는 짧고 상 기 제3구획부(130)보다는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는, 상기 각 구획부(110,120,130)에 포함되는 직선부(102)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연결부(114,124,134)는, 서로 동일한 5개의 변곡점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3에서 볼 때, 상기 각 연결부(114,124,134)의 좌우길이(이하에서는, '연결부의 폭'이라 함)가 상기 플랫튜브(10)의 수직중심에 가까이 위치하는 연결부(104)일수록 길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각 연결부(104) 중 상기 제1연결부(114)의 폭(W1)이 가장 크고, 상기 제3연결부(124)의 폭(W3)가 가장 작고, 상기 제2연결부의 폭(W2)은 상기 제1연결부(114)의 폭(W1)보다는 작고 상기 제3연결부의 폭(W3)보다는 크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와 핀의 확관 결합 전후 상태 및 확관 결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10)는, 그 외주 길이가 핀(20)에 형성되는 관통홀(22)의 내주 길이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튜브(10)는 상기 핀(20)에 형성되는 관통홀(22)에, 용이하게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튜브(10)와 핀(20) 사이에는, 상기 플랫튜브(10)의 외주 길이와 상기 관통홀(22)의 내주 길이의 차이에 의한, 틈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핀(20)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홀(22)에, 상기 플랫튜브(10)가 관통 결합된 다음에는, 상기 플랫튜브(10)의 내벽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플랫튜브(10)가 확관되도록 한다. 확관시에, 상기 튜브 바디(11)가 확관되는 만큼, 상기 튜브 바 디(11)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구획부(100)도 인장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100)가 받는 인장력의 방향은, 상기 2개의 직선부(102)를 연장하여 그어지는 가상의 선상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100)에 인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2개의 직선부(102)에는, 벤딩모멘트 없이 순수한 인장력만이 가해질 수 있다. 즉, 상기 2개의 직선부(102)는, 집중응력 없이 변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04)도 인장력에 의해 변형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104)는, 상기 연결부(104)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벤딩모멘트를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04)는 직선 형상으로 변형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04)는, 라운드지는 형상이므로, 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특별히 일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산재되어 분포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104)가 집중응력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04)는 벤딩되어 변형되기 때문에, 단순히 인장되어 변형되는 경우에 비하여, 더 적은 힘으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플랫튜브(10)와 핀(20)을 용이하게 확관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튜브바디(11)가 납작하게 형성되므로, 상기 플랫튜브(10)의 확관 시에는 상기 플랫튜브(10)의 단면의 수직 중심 부근에서 가장 큰 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확관 후 상기 플랫튜브(10)의 단면을 볼 때 상기 튜브바디(11)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상이 된다.
여기서, 확관 후에 상기 각 구획부(110,120,130)에 포함되는 상기 각 직선부(102) 사이의 거리는 확관 전에 비하여 멀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직선 부(102)가 멀어지는 정도는, 상기 플랫튜브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제 1 구획부(110)에서 가장 크고, 가장 멀리 위치되는 상기 제 3 구획부(130)에서 가장 작고, 상기 제 1 구획부(110) 및 제3 구획부(130)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구획부(120)에서는 상기 제 1 구획부(110)의 경우에 비해서는 작고 상기 제 3 구획부(130)의 경우에 비해서는 크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확관 전 상기 각 구획부(110,120,130)에 포함되는 연결부(104)는 그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 확관 시에 상기 각 구획부(110,120,130)에 포함되는 직선부(102) 사이 거리가 변화되는 정도의 차이가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랫튜브(10)의 확관에 의해, 상기 플랫튜브(1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구획부(100)일수록 그 두께가 더 얇아지는 현상 및 상기 플랫튜브(1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구획부(100)에서 파단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랫튜브(10) 내벽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플랫튜브(10)의 내부유로를 채우는 물질에 따라, 공압, 수압, 유압을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다만, 종래의 확관법으로써, 확관볼을 사용하는 기계적 방법도 있으나, 플랫튜브(10)에는 그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부(100)가 구비되므로, 이를 적용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다음으로, 확관된 후의 상기 플랫튜브(10)와 핀(20)을 살펴보면, 확관된 상기 플랫튜브(10)의 외주 길이는, 상기 핀(20)에 형성되는 관통홀(22)의 내주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즉, 확관 전에 상기 플랫튜브(10)와 핀(20) 사이에 있었던 틈은, 확관 후에는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튜브(10)와 핀(20) 사이의 접촉에 의한 열저항이 최소화되고, 상기 플랫튜브(1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연결부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획부(310,320,330)에 포함되는 각 연결부(314,324,334)의 폭(W)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상기 각 구획부(310,320,330)에 포함되는 각 연결부(314,324,334)는, 상기 플랫튜브(30)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가까이 위치하는 구획부(300)에 포함되는 것일수록 더 많은 변곡점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각 연결부(314,324,334) 중 상기 제 1 연결부(314)가 가장 많은 변곡점을 가지고, 상기 제 3 연결부(334)는 가장 적은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제 2 연결부(324)는 상기 제 1 연결부(314)보다는 많고 상기 제 3 연결부(334)보다는 적은 변곡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구획부(310,320,330)의 길이를 비교하면, 상기 제 1 구획부(310)가 가장 길고, 상기 제 3 구획부(330)가 가장 짧으며, 상기 제 2 구획부(320)는 상기 제 1 구획부(310)보다는 길고 상기 제 3 구획부(330)보다는 짧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플랫튜브(30)의 확관에 의해, 상기 플랫튜브(3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구획부(300)일수록 그 두께가 더 얇아지는 현상 및 상기 플랫튜브(3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구획부(300)에서 파단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구획부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플랫튜브(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각 구획부(410,420,430)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구획부(410,420,430)는 튜브바디(41)의 두 지점으로부터 수직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각 구획부(410,420,430)의 두께는, 상기 플랫튜브(40)의 수직 중심에 가까이 위치되는 것일수록 더 두껍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각 구획부(410,420,430) 중, 상기 플랫튜브(40)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제 1 구획부(410)가 가장 두껍고, 상기 플랫튜브(40)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상기 제 3 구획부(430)가 가장 얇으며, 상기 제 1 구획부(410) 및 상기 제 3 구획부(430)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구획부(420)는 상기 제 1 구획부(410)보다는 얇고 상기 제 3 구획부(430)보다는 두껍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랫튜브(40)가 확관될 때에는 상기 플랫튜브가 납작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플랫튜브(4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지점의 변형이 더욱 크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400)도 상기 플랫튜브(4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이 위치되는 것일수록 더 큰 인장력이 가해진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제 1 구획부(410)에 가장 큰 인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제 3 구획부(430)에는 가장 작은 인장력이 가해지며, 상기 제 2 구획부(420)에는 상기 제 1 구획부(410)보다는 크고 상기 제 3 구획부(430)보다는 작은 인장력이 가해진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400)가 받는 인장력의 방향은, 상기 구획부(400)를 연장하여 그어지는 가상의 선상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400)는 직선 형상이므로, 전체적으로 벤딩모멘트없이 순수한 인장력만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부(400)는 집중응력 없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부(400)는 인장력에 의해 그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소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구획부(400)가 길어지면, 반대로 상기 구획부(400)의 두께는 얇아지게 된다. 즉, 상기 각 구획부(410,420,430)는 상기 플랫튜브(4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것일수록 더욱 길어지고, 그 두께는 더욱 얇아지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확관 전 상기 각 구획부(410,420,430)의 두께가 상기 플랫튜브(4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것일수록 더욱 굵게 형성되므로, 확관 후에 상기 각 구획부(410,420,430)의 두께는 서로 비슷하게 된다.
도 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구획부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제 1 실시예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 구획부(510,520,530)가, 상기 플랫튜브(5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것일수록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각 구획부(510,520,530) 중, 상기 플랫튜브(50)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제 1 구획부(510)가 가장 두껍고, 상기 플랫튜브(50)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제 3 구획부(530)가 가장 얇으며, 상기 제 1 구획부(510) 및 상기 제 3 구획부(530)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 2 구획부(520)은 상기 제 1 구획부(510)보다는 얇고 상기 제 3 구획부(530)보다는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각 구획부(510,520,530)에 포함되는 연결부(504)는, 동일한 길이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랫튜브(50)의 확관 시에, 상기 연결부(504)는 2가지 측면에서 변형된다.
일 측면에서는, 상기 구획부(500)가 확관 시에 인장력을 받게 되면, 상기 구획부(500)에 포함되는 연결부(504)에는 벤딩모멘트도 함께 작용한다. 상기 벤딩모멘트에 의해, 상기 연결부(504)는 직선 형상으로 변형된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기 구획부(500)가 확관 시에 인장력을 받게 되면, 상기 구획부(500)에 포함되는 연결부(504)도 인장력을 받게 된다. 상기 인장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504)는 더욱 길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504)가 길어지면, 반대로 상기 연결부(504)의 두께는 얇아지게 된다.
따라서, 확관 시에, 상기 각 구획부(500)는 상기 플랫튜브(5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것일수록 더욱 길게 변형되는 만큼, 그 두께는 더욱 얇아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관 전 상기 각 구획부(500)의 두께가 상기 플랫튜브(50)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것일수록 더욱 굵게 형성되므로, 확관 후에 상기 각 구획부(510,520,530)의 두께는 서로 비슷해지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7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플랫튜브의 확관 후 상태를 보인 도면.

Claims (15)

  1. 그 내부에 다수 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 바디;
    상기 튜브 바디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튜브 바디의 내벽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에는,
    상기 튜브 바디의 내벽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직선부; 및
    상기 복수의 직선부를 연결하며,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연결부가 포함되며,
    상기 연결부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각 직선부의 연결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에는,
    상기 플랫튜브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제 1 구획부와 가장 멀리 위치되는 제 3 구획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구획부는, 그 길이가 상기 제 3 구획부보다 길게 형성되는 플랫튜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에는,
    상기 제 1 구획부 및 제 3 구획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구획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구획부는, 그 길이가 상기 제 1 구획부보다는 짧고 상기 제 3 구 획부보다는 길게 형성되는 플랫튜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플랫 튜브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이 위치될수록, 그 길이가 더욱 길게 형성되는 플랫튜브.
  5. 그 내부에 다수 개의 냉매 유로가 형성되는 튜브 바디;
    상기 튜브 바디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튜브 바디의 내벽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포함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 중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에는,
    상기 튜브 바디의 내벽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직선부와 상기 2개의 직선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직선부의 연장선은 일직선 상에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중에서, 상기 플랫튜브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연결부의 폭이 플랫튜브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먼 연결부의 폭에 비하여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튜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에는,
    상기 플랫튜브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장 가까이 위치되는 제 1 구획부와 가장 멀리 위치되는 제 3 구획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 1 구획부는, 그 두께가 상기 제 3 구획부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플랫튜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에는,
    상기 제 1 구획부 및 제 3 구획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 2 구획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2 구획부는, 그 두께가 상기 제 1 구획부보다는 얇고 상기 제 3 구획부보다는 두껍게 형성되는 플랫튜브.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플랫 튜브 단면의 수직 중심에 가까이 위치될수록, 그 두께가 더욱 두껍게 형성되는 플랫튜브.
  9. 삭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각 직선부의 연결부위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플랫튜브.
  11. 삭제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적어도 두 개의 연결부의 폭은 서로 동일한 플랫튜브.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의 변곡점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중에서, 상기 플랫튜브의 수직 중심에 가까운 연결부의 변곡점 개수가 상기 플랫튜브의 수직 중심으로부터 먼 연결부의 변곡점 개수보다 많은 플랫튜브.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다수개의 변곡점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구획부에 포함되는 각 연결부는, 서로 동일한 개수의 변곡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플랫튜브.
  15. 삭제
KR1020080061550A 2008-06-27 2008-06-27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101424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0A KR101424286B1 (ko) 2008-06-27 2008-06-27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0A KR101424286B1 (ko) 2008-06-27 2008-06-27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84A KR20100001584A (ko) 2010-01-06
KR101424286B1 true KR101424286B1 (ko) 2014-08-13

Family

ID=4181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550A KR101424286B1 (ko) 2008-06-27 2008-06-27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2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4759B3 (de) * 2012-08-20 2014-02-06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JP6636110B1 (ja) * 2018-09-13 2020-01-2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熱交換器、拡管部材、および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CN114440687A (zh) * 2022-01-28 2022-05-06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换热器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479A (ja) * 1999-10-19 2001-04-27 Mitsubishi Alum Co Ltd 熱交換器用の偏平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14373B2 (ja) * 1996-10-30 2001-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偏平伝熱管
JP2005127597A (ja) * 2003-10-23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373B2 (ja) * 1996-10-30 2001-10-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偏平伝熱管
JP2001116479A (ja) * 1999-10-19 2001-04-27 Mitsubishi Alum Co Ltd 熱交換器用の偏平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27597A (ja) * 2003-10-23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84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2602B2 (en) Heat exchanger having a plurality of plate-like fins and a plurality of flat-shaped heat transfer pipes orthogonal to the plate-like fins
JP2005326135A (ja) 熱交換器
JP2003148889A5 (ko)
US10914524B2 (en) Un-finned heat exchanger
US20150107813A1 (en) Tube and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tube
US7165326B2 (en) Heat exchanger and process for fabricating same
KR101424286B1 (ko)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20170015146A (ko) 열교환기
WO2020250624A1 (ja) 熱交換器
JP5911597B2 (ja) 扁平形状伝熱管、それを備えた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の製造方法、その方法で製造されたクロス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JP6583071B2 (ja) タンク、および熱交換器
JP4972488B2 (ja) 熱交換器
JP6674262B2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095797A1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6636110B1 (ja) 熱交換器、拡管部材、および熱交換器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18124034A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
WO2019203115A1 (ja) 扁平多穴管、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1369546B1 (ko) 플랫 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JP2000283677A (ja) 熱交換器
JP2005345038A (ja) 熱交換器
JP2009287907A (ja) 熱交換器
JP2009113625A (ja) エバポレータ
JP2009250600A (ja) 銅製扁平伝熱管
JP2016080236A (ja) 熱交換器
JP2009008347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