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894B1 - 주조 장치 - Google Patents

주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894B1
KR101423894B1 KR1020137006122A KR20137006122A KR101423894B1 KR 101423894 B1 KR101423894 B1 KR 101423894B1 KR 1020137006122 A KR1020137006122 A KR 1020137006122A KR 20137006122 A KR20137006122 A KR 20137006122A KR 101423894 B1 KR101423894 B1 KR 101423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insert
ring
rings
inse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292A (ko
Inventor
레나토 파파
데렉 로버트슨 맥크레디
맥스필드 폴 브래드쇼
Original Assignee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0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75Connecting parts, e.g. injection screws, ejectors, to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4Moulds having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5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parting line of th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72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성형 장치는 사용시에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의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의 둘레에 안착되도록 배열되는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을 포함하는 것이다.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은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의 분리 삽입체(150) 내에 형성된 삽입 공간(152) 내에 최소한 일부가 수용되도록 배열한다. 또한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은 성형 공간(119)의 최소한 일부에서 분리 삽입체(150)의 삽입 공간(152) 내의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주조 장치{MOULD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서 밝히는 비제한적인 구현물은 일반적으로 성형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사출 성형에 사용하기 위한 성형 스택의 구성품과 관련이 있다.
성형 작업이란 성형 시스템을 사용하여 성형 재료(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P) 및 유사 재료)에서 성형 품목이 성형될 수 있게 하는 공정이다. 사출 성형 공정과 같은 성형 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성형 품목이 성형될 수 있다. 가령, PET 재료에서 성형이 될 수 있는 성형 품목의 한 예는 이후에 병 및 그 유사 용기와 같은 음료 용기로 취입 성형할 수 있는 예비 성형물이다.
도해에서와 같이, PET 재료의 사출 성형은 일반적으로 PET 재료를 동질의 용해 상태로 가열한 후 용해된 PET 재료를 압력하에, 캐비티 판(cavity plate)에 장착된 암캐비티 부품(female cavity part)및 주형의 코어 판에 장착된 수코어 부품으로 한정된 성형 공간에 일부 이상을 사출하는 것이다. 캐비티 판 및 코어 판은 클램프력으로 합쳐져서 같이 고정되는데, 클램프력은 사출된 PET 재료의 압력에 대하여 캐비티 및 코어 부품이 합쳐진 상태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것이어야 한다. 성형 공간의 형태는 성형할 성형 품목의 최종 냉각 형태와 거의 일치한다. 이렇게 사출된 PET 재료는 성형된 성형 품목이 주형에서 원활히 사출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냉각된다. 성형 품목이 냉각되면 성형 공간 내에서 수축되고, 그리하여 캐비티 및 코어 판이 벌어질 때 성형 품목은 코어 부품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한다. 따라서, 캐비티 판에서 코어 판을 떼어내면 성형 품목을 주형에서, 즉 코어 부품에서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사출 구조는 코어 절반에서 성형 품목을 제거하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출 구조의 예로는 스트리퍼 판(stripper plate), 스트리퍼 링(stripper ring) 및 넥 링(neck ring), 사출 핀 등이 있다.
음료 용기로 취입할 수 있는 예비 성형을 성형할 때 한 가지 해결해야 할 고려 사항은 이른바 “넥 부위(neck region)”의 성형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넥 부위는 마감 조립체(예: 병뚜껑)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1) 나사산 (또는 그 외 적합한 구조) 및 품목에 부착되는 (2) 도난방지 조립체, 예를 들어, 완제품(음료수가 채워져 가게에 운반된 음료 병)이 어떤 방식으로든 부정하게 변경되었는지 표시하는 마감 조립체가 있다. 넥 부위는 여러 목적으로, 이를테면 주조 시스템의 일부와 결합하기 위하여(예: 지지 걸쇠 등) 기타 부가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심미상의 이유로 넥 부위는 캐비티 및 코어 절반을 사용하여 수월하게 성형될 수 없다. 예로부터 분리 주형 삽입기(통상적으로“넥 링”이라고 함)가 넥 부위를 성형하는데 사용되었다.
도 1과같이, 주입 주형(10)의 일부를 따라 형성된 구역은 성형 시스템(표시되지 않음) 내에 배치된 일반적인 성형 스택(16)의 일부이다. 하기 도 1의 설명은 통상의 숙련자라면 주입 주형(10)의 다른 구성품의 형상을 잘 이해할 것이므로 대단히 간략화한 것이다.
성형 스택(16)은 사용시 서로 연결된 제1 스택부(17) 및 제2 스택부(18)와, 그에 각각 장착된 주입 주형(10)의 제1 주형 절반(14) 및 제2 주형 절반(12)을 포함한다. 제1 스택부(17) 및 제2 스택부(18)는 사용시 조립되어 성형 공간(19)을 형성하고 그 안에 성형 재료가 주입되어 성형 품목이 성형될 수 있다. 제1 스택부(17)는 코어 삽입기(20), 잠금 링(30) 및 넥 링 한 쌍(40)을 포함한다. 코어(20) 및 넥 링 한 쌍(40)은 주조 캐비티(19)의 내측 몸체부 및 포괄부(예: 예비 성형물/용기의 넥 부위의 주조 부위)를 각각 형성하는 성형 표면을 포함한다. 반드시 그렇지는 않으나, 잠금 링(30)은 성형 공간(19)의 어떤 부위도 한정하지 않고, 이곳의 잠금 링(30)은 성형 품목의 주조 단계에서 코어 삽입체(20)를 코어 판(표시되지 않음)에 고정하고 맞물린(절반들이 닫힌 형상을 유지하는) 넥 링 한 쌍(40)을 배열 및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2 스택부(18)는 성형 공간의 외측 몸체부 및 게이트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삽입체(50) 및 게이트 삽입체(gate insert)(60)를 포함한다. 또한 게이트 삽입체(60)는 성형 공간(19)을 용해 배분 시스템(표시되지 않음)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잠금 링(30)과 유사하게, 캐비티 삽입체(50) 역시 성형 단계에서 맞물린 넥 링 한 쌍(40)을 배치 및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도해에는 슬라이드 한 쌍(70)과 그 위의 넥 링 한 쌍(40) 역시 장착되어 있다. 슬라이드 한 쌍(70)은 스트리퍼 조립체의 상부 표면에 미끄러져 장착된다. 흔히 알려져 있고, Mai 등의 특허 United States patent 6,799,962(2004년 10월 5일등록)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다시피, 스트리퍼 조립체(72)는 주형이 개방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캐비티 판 조립체(74) 및 코어 판 조립체(표시되지 않음)와 관련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상부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한 쌍(70) 및 보조적인 넥 링 삽입기 한 쌍(40)은 성형 품목을 성형 공간(19)에서 꺼내기 위하여 캠 배열(표시되지 않음)을 경유하여 옆으로 이동할 수 있다.
넥 링(40)의 몸체에는 플랜지부(48)의 상부 및 하부면에서 나온 제1 돌출부(45) 및 제2 돌출부(46)를 포함한다. 도해와 같이, 제1 돌출부(45) 및 제2 돌출부(46)는 수테이퍼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운용시, 도해와 같이 성형 스택(16)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 돌출부(45) 및 제2 돌출부(46)는 캐비티 삽입체(50) 및 잠금 링(30) 내에 넥 링 한 쌍(40)을 해당 자리에 정렬 및 잠그기 위하여 구성된 제1 시트(52) 및 제2 시트(32)와 결합하도록 배열되어 성형 공간(19)이 형성된다. 도해와 같이, 제1 시트(52) 및 제2 시트(32)는 암테이퍼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해와 같이, 코어 삽입체(20)의 성형 표면과 넥 링(40)(넥 링 한 쌍(40) 및 코어 삽입체(20)가 만나는 곳) 사이의 넥 링 한 쌍(40) 내부로 밀어올려진 위치에 분할선(26)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할선(26)은 코어 삽입체(20)의 중심부를 둘러싸 한정된 돌출부(22)의 상부면과 넥 링 한 쌍(40)의 하부면을 통하여 형성된 삽입 공간(42)의 내부 바닥면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위치한다. 또한 돌출부(22) 상부면의 내측 원형부는 성형 공간(19)의 상부 끝단부를 같이 형성하는 성형 표면을 이룬다(예: 용기의 넥 부위의 상부 밀봉 표면을 성형함). 상기의 기술적 효과는 사출 관련 문제의 위험성이 낮은 짧은 나사산을 가짐으로써 넥 부위 주조에 따라 분할선 위치가 유연함을 들 수 있다.
또한, 분할선(26)을 넥 링 한 쌍(40)의 플랜지(48)와 일치하게 이동시켜 주위를 순환하는 냉각재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게 함으로써(표시되지 않음), 일정한 냉각과 관련한 결함(예: 분할선 패임)을 피할 수 있다.
상기와 유사한 성형 스택의 설명은, 다른 무엇보다도, 사출 성형 및 그 연동 장치용 성형 삽입체 스택을 게시한 8월 27일에 공보된 Mai의 US Patent Application US2009/0214694를참조한다. 성형 사출에 사용되는 성형 삽입체 스택은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코어 삽입체, 코어 몸체상에 한정되는 내측 성형 표면(내측 성형 표면은 사용시 예비 성형물을 성형하기 위한 형상의 성형 공간의 내측부를 제공한다), 코어 몸체에 형성되는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 지지대 몸체를 포함하는 지지대 구성품, 지지대 몸체상에 형성되는 지지대-미끄럼 인터페이스, 커플러 몸체를 포함하는 커플러 구성품, 커플러 몸체상에 형성되는 커플러-코어 인터페이스, 커플러 몸체상에 형성되는 커플러-삽입체 인터페이스, 커플러 몸체 및 코어 몸체의 한 곳 이상에 형성되는 보조 미끄럼 인터페이스, 사용시 커플러 몸체 및 코어 몸체를 상호 위치시키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커플러-코어인터페이스 및 코어-커플러 인터페이스; 사용시 성형 삽입체 상에 형성되는 보조 인터페이스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커플러-삽입체 인터페이스; 사용시 지지대-미끄럼인터페이스와 보조 미끄럼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가로로 이동하고, 지지대 몸체 사이의 하중 통로를 커플러 몸체가 결합된 코어 몸체의 한 곳 이상과 연결되도록 밀 수 있는 커플링을 도입하기 위하여, 사용시 결합하도록 구성된 지지대-미끄럼 인터페이스 및 보조 미끄럼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코어 조립체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제1 광의의 측면에 따르면, 사용시 주형 스택의 코어 삽입기를 둘러싸서 안착되도록 구성된 코어 링이 포함된 성형 장치가 제공된다. 코어 링은 성형 스택의 분리 삽입체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 내에 일부 이상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코어 링은 또한 분리 삽입체의 삽입 공간 내에 코어 링-분리 삽입체 분할선을 가지는 성형 캐비티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제2 광의의 측면에 따르면, 성형 공간의 내측 몸체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스택의 코어 삽입체를 포함하는 성형 장치가 제공된다. 코어 삽입체 역시 코어 링이 장착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안착될 수 있는 중심부 상에 링 시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코어 삽입체는 또한 코어 링이 결합하여 성형 스택의 분리 삽입체 내에 형성된 삽입 공간 내부에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청구된 제3 광의의 측면에 따르면, 사용시 서로 결합하여 성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삽입체, 코어 링 및 분리 삽입체를 포함하는 성형 스택이 제공된다. 코어 삽입체는 성형 스택의 코어 링이 안착될 수 있는 중심부 상에 장착 인터페이스를 설치할 수 있는 링 시트를 한정한다. 분리 삽입체는 하부 돌출부를 통하여 동축으로 진행하고 코어 링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삽입 공간을 형성한다. 코어 링 및 분리 삽입체는 또한 분리 삽입체의 삽입 공간 내에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그리고 그 밖의 측면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구체적인 설명을 검토하는 통상의 숙련자라면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례가 되는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성형 스택의 알려진 구현물을 관통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성형 스택인 제1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분해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성형 스택을 관통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난 성형 스택 일부의 확대도이다.
도 3c는 도 2에서 나타난 성형 스택의 코어 링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2 비제한적인 구현물에 따른 성형 스택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비제한적인 구현물에 따른 성형 스택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4 비제한적인 구현물에 따른 성형 스택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5 비제한적인 구현물에 따른 성형 스택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성형 스택의 제6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분해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성형 스택의 일부를 관통한 단면도이다.
도10은 성형 스택의 제7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분해투시도이다.
도면은 축척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가상선, 선도(線圖) 표현 및 단편도로 설명할 수 있다. 특정 경우에, 구현물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내용이나 다른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게 하는 내용은 생략되었을 수 있다.
성형 스택의 제1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분해투시도인 도 2를 참조한다. 성형 스택(116)은 사용시 주입 주형(표시되지 않음)의 제1 주형 절반(표시되지 않음) 및 제2 주형 절반(표시되지 않음)과 각각 결합되는 제1 스택부(117) 및 제2 스택부(118)를 포함한다.
제1 스택부(117)는 코어 삽입체(120), 잠금 링(130), 코어 링(140) 및 분리 삽입체(150)를 대략적으로 포함한다. 제2 스택부(118)는 캐비티 삽입체(160) 및 게이트 삽입체(170)를 대략적으로 포함한다. 상기의 구조 및 운용은 일반적으로 이전 기술과 일치하므로 알려진 특징들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하였다.
도 3a 및 3b를 또한 참조하는 바와 같이, 코어 삽입체(120)는 내측 몸체부(194) 및 성형 공간(119)의 최상부(145)의 일부를 한정한다. 코어 삽입체(12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한쪽 끝이 폐쇄된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운용시, 물 등의 냉각재가 코어 삽입체(120)의 관형 몸체 내에서, 관형 몸체의 개방된 끝단을 관통하여 배치된 버블러(bubbler)(표시되지 않음)를 경유하여 순환될 수 있다. 관형 몸체는 도해와 같이, 코어 삽입체(120)를 제1 주형 절반의 제1 주형 슈(mold shoe)(표시되지 않음)에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 스피곳(spigot) 형상을 한 장착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관형 몸체는 또한 사용시 코어 링(140)이 장착 인터페이스(190)와 결합하여 안착될 수 있는 중심부 상에 링 시트(192)를 한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 시트(192)는 관형 몸체 안에 형성된 숄더(shoulder) 위에 위치하고 숄더 최상부의 원형면(128) 및 외측 중앙면(121)의 정렬 부품(123)을 포함한다(도 2).
잠금 링(130)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성형 품목의 성형 단계에서 분리 삽입체(150)의 맞물린 구성품을 정렬 및 고정하는 것이다. 잠금 링(130)의 다른 기능은, 도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어 삽입체(120)와 연결된 코어 링(140)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렇게 3a 및 3b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코어 삽입체(120)를 제1 주조 슈(표시되지 않음)에 고정한다. 잠금 링(13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코어 삽입체(120)의 하부가 고정될 수 있는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관형 몸체는 제1 주조 슈(표시되지 않음)의 장착을 위하여 그 기저부에 장착 플랜지를 구성한다. 관형 몸체는 또한 사용시, 성형 단계에서 해당 구성품들을 정렬 및 잠금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플랜지로부터 관형 몸체의 반대쪽 끝단에, 사용시 분리 삽입체(150) 상의 제1 돌출부(155)와 결합하는 제1 분리 삽입체 시트(136)를 구성한다. 제1 분리 삽입체 시트(136)는, 도해와 같이 원뿔형 암테이퍼를 형성한다. 또한, 관형 몸체는 코어 링(140)을 코어 삽입체(120)에 고정한 후 코어 삽입체(120)를 제1 주형 슈(표시되지 않음)에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내측 표면에 코어 링(14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143)와 결합하는 유지 인터페이스(132)를 형성한다. 지지 인터페이스(132)는, 도해와 같이 원뿔형 암테이퍼 형상을 가진다.
분리 삽입체(150)는, 이를테면, 그리고 이전에 언급하였듯이, 마감재와 결합하기 위하여 용기 안에 성형 취입하기 위한 종류의 예비 성형물과 같은 성형 품목의 넥 부위에 해당할 수 있는 성형 캐비티(119)의 포괄부(157)를 형성한다. 통상의 숙련자들에게 넥 링 또는 나사산 분리기(thread split)로 흔히 알려져 있는 분리 삽입체(150)는 도해와 같이, 제1 돌출부(155)(상위 돌출부) 및 제2 돌출부(156)(하위 돌출부)가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형성되고, 일괄하여 플랜지부(153)(도 2)를 형성하는 한 쌍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 삽입체(160)와 연결된 제2 분리 삽입체 시트(166)와 결합한 제2 돌출부(156)의 기능은, 제1 분리 삽입체 시트(136)와 결합한 제1 돌출부(155)의 기능과 유사하며, 앞에서 기술한 대로, 해당 구역과 관련한 분리 삽입체(150)의 맞물린 절반들을 정렬 및 고정한다. 제1 돌출부(155) 및 제2 돌출부(156)는 도해와 같이, 원뿔형 수테이퍼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한 쌍의 몸체는 다 같이, 코어 링(140)의 돌출부(149)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2 돌출부(156)를 통하여 동축으로 나는 삽입 공간(152)을 형성한다.
코어 링(140)은 성형 공간(119) 최상부(145)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한다(도 3a)(최상부(145)는 코어 삽입체(120) 상에도 일부 형성된다). 즉, 성형 공간(119)의 최상부(145)는 코어 링(140) 및 코어 삽입체(120) 사이에서 분리된다. 코어 링(140)이 결합된 성형 공간(119)의 최상부(145)의 일부가 구성되는 기술적 효과는 코어 삽입체(120) 상에 최상부가 전적으로 형성되는 것과 관련하여 용이하고 효율적인 제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에 있어서, 코어 링(140)은 내측 표면(144)에 인접한 상부면(148)을 통하여 성형 공간 최상부(145)의 나머지 부분을 한정하는 링 몸체를 포함한다.
코어 링(140)은 또한 분리 삽입체(150)의 삽입 공간(152) 내에 코어 링-대-분리 삽입기 분할선(18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49)의 상부면(148)은 분리 삽입체(150) 내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결합하여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을 형성한다. 그리고 코어 링(140)은 코어 삽입체(120)와 결합하여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링(140)의 내측 표면(144)은 코어 삽입체(120)의 외측 중앙면(121)(도 2)과 결합하여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을 형성한다.
또한 코어 링(140)은, 사용시 성형 공간(119)의 최상부(145)로부터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코어 삽입체(120)와 결합하여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을 따라 분리선 배기 통로(110)를 형성한다. 분리선 배기 통로(110)는 성형 품목에 있어서 공기가 갇혀서 초래되는 결함을 방지하는 기술적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를 더 돕기 위하여, 코어 링(140)은 코어 삽입체(120), 코어 링(140) 및 잠금 링(130) 사이에 위치한 동체 압력관(141)이 연결된 분리선 배기 통로(110)와 연결되는 지관(141)을 포함한다. 그와 같이, 코어 삽입기(140)의 링 몸체는 몸체 측벽의 하부를 통하여 진행하는 경로로서의 지관(141)을 형성한다.
상기를 고려하여, 그림 2 및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어 삽입체(120)의 관형 몸체는 또한 분리선 배기 통로(110)의 한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외측 중앙면(121)을 따라 각각 서로 연결된 홈 망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각각 서로 연결된 홈은 상부 수집홈(122), 하부 수집홈(126) 및 그 사이에 난 다수의 수직홈(124)을 포함한다. 상부 걸림홈(122)은 사용시 관형 몸체 상부 중앙면(121)의 상부(125)에 구성되어 좁은 틈을 두는 원통형 면과 링 몸체의 내측 표면(144)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모으기 위하여, 관형 몸체상에서 성형 공간 가까이 위치한다. 하부 수집 홈(126)은 사용시 공기를 그곳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관형 몸체상에서 코어 링(140) 위 지관(141)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다수의 수직홈(124)은 사용시, 상부 및 하부 수집홈(122, 126)과 연결된다.
또한 동체 압력 경로(112)가 잠금 링(130)의 관형 몸체의 내측 원통형 표면(131)과 코어 삽입기(120)의 관형 몸체 및 코어 링(140)의 링 몸체의 외측 원통형 표면(127, 199)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잠금 링(130)의 관형 몸체는 사용 시 동체 압력관(112)이 조절 가능한 공기 공급원(공기 압력 공급원 또는 저류지)으로 연결되는 연결 압력관(114)(도 3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효과는 분리선 배기 통로(110)의, 특히 성형 공간(119)에 인접하여 위치한 상부의 좁은 간극에 존재하는 주조 잔여물을 정화하는 능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링(140) 및 분리 삽입체(150)가 결합하여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에 분할선 배기 통로(115)가 형성되어, 사용시, 성형 단계에서 성형 공간(119)의 공기가 추가적으로 더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도 3c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코어 링(140)의 상부면(148)은 다수의 배기 슬롯(146)으로 분리된 다수의 호형 패드(147)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성형 단계에서, 다수의 호형 패드(147)는 분리 삽입체(150) 내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접촉하여 차단 역할을 하는 한편, 다수의 배기 슬롯(146)은 내부 바닥면(158)과 결합하여 분할선 배기 통로(115)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코어 링(140) 및 분리 삽입체(150) 역시 결합하여 분할선 배기 통로(115)와 분리 삽입체 구성품들 사이에 형성된 분리 삽입체 배기 통로(159)가 원활히 연결되는 분할선 배기 통로(113)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분할선 배기 통로(113)는 사용시 분리 삽입기(150)의 틈새(152)와 그 내측에서 위치시킬 수 있는 코어 링(140)의 돌출부(149) 사이에 형성된다.
코어 링(140)의 설명을 마무리하자면, 코어 링(140)은 링 시트(192)를 상부에 결합하여 코어 삽입체(120)를 둘러싸서 코어 링(140)이 장착되는 장착 인터페이스(190)도 포함하므로, 링 몸체는 내측 표면(144)의 정렬 부분(142)을 따라 장착 인터페이스(190)를 형성한다.
그리고 코어 링(140)은 잠금 링(13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132)와 결합하여 코어 링(140)을 코어 삽입체(120)에 고정시키는 지지 인터페이스(143)도 포함하므로, 링 몸체는 코어 링 외측면의 정렬 부분상에 지지 인터페이스(143)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 인터페이스(143)는 원뿔형 수테이퍼의 형상을 가진다.
성형 스택(116)의 나머지 구성품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도 2 및 3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캐비티 삽입체(160)는 도해와 같이, 사용시 설치를 위하여, 제2 주조 절반의 제2 주조 슈(표시되지 않음)에 구성된 보어(표시되지 않음)에 들어가는 캐비티 삽입체 부품(16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 삽입체 부품(162)은 성형 공간(119)의 외측 몸체부(168)를 형성한다. 캐비티 삽입체(160)는 사용시 제2 주조 슈에 장착하는 장착 플랜지(164) 역시 포함하고, 캐비티 삽입체 부품(162)은 캐비티 삽입체 부품(162)이 보어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캐비티 삽입체 부품(162)은 제2 분리 삽입체 시트(166) 역시 구비한다.
마지막으로, 게이트 삽입체(170)는 성형 공간(119)의 끝단부(172)를 형성한다. 게이트 삽입체(17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서로 게이트 관으로 연결된 끝단부(172) 및 반대쪽 끝단을 관통하는 노즐 인터페이스(173)를 형성한다. 노즐 인터페이스(173)는 사용 시 용해물을 성형 공간(119)에 주입하는, 핫 러너(hot runner)와 같은 용해 배분 장치(표시되지 않음)의 노즐(표시되지 않음)과 결합한다. 게이트 삽입체(170)는 사용 시 캐비티 삽입체(160)와 함께 제2 주형 슈(표시되지 않음)의 보어 내에 장착된다.
도 4는 성형 스택(216)의 제2 비제한적인 구현의 일부를 단면도로 설명한 것이다. 성형 스택(216)의 제2 비제한적인 구현물은 종류가 다른 코어 링(24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성형 스택(116)의 제1 구현물과 동일하다. 코어 링(240)은 사용시 성형 품목을 공기의 보조를 받아 코어 삽입체(120)에서 사출하기 위하여 에어 노즐(242)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성형 스택(116)의 제1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코어 링(140)과 유사하다. 에어 노즐(242)은 코어 링(240)의 링 몸체 내에 구성된다. 에어 노즐(242)은 링 몸체의 측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지관(241)과 원활하게 연결되는 흡입 개구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지관(241)은 동체 압력관(212)(이전에 설명한 동체 압력관(112)과 같은)을 에어 노즐(242)과 원활하게 연결시킨다. 에어 노즐(242)은 코어 링(140)의 상부면(248)에 코어 삽입체(220) 상의 성형 품목(표시되지 않음)으로 공기가 고속 분사되는 배출 개구부 역시 포함한다.
도 5는 성형 스택(316)의 제3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단면도이다. 성형 스택(316)의 제3 비제한적인 구현물은 잠금 링(130)의 보조 없이 고정되게끔 코어 삽입체(320)에 눌러 끼워진 코어 링(34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성형 스택(116)의 제1 구현물과 유사하다. 그렇게 해서, 코어 삽입체(320)의 코어 링 관형 몸체인 링 몸체는 코어 삽입체에 구성된 고리형 링 시트(392)에 끼워 맞추어지는 원통형 장착 인터페이스(390)를 구성한다.
도 6은 성형 스택(416)의 제4 비제한적인 구현물 일부의 단면도이다. 성형 스택(416)의 제4 비제한적인 구현물은 잠금 링(430)이 코어 삽입체(420) 상에서 코어 링(440)과 결함함을 제외하고 성형 스택(316)의 제3 구현물과 유사하다. 그리하여, 잠금 링(430)의 관형 몸체는 잠금 링의 내측 표면상에서, 사용시 코어 링(440)을 코어 삽입체(42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코어 링(440)의 지지 인터페이스(443)와 결합하여 지지 인터페이스(432)를 형성한다. 잠금 링(430)의 관형 몸체 및 코어 링(440)의 링 몸체는 그 위에 형성된 직경단(diametrical step)을 따라 억지 끼워 맞추어진 지지 인터페이스(432) 및 지지 인터페이스(443)를 형성한다.
도 7은성형 스택(516)의제5 비제한적인 구현물 일부의 단면도이다. 성형 스택(516)의 제5 비제한적인 구현물은 코어 삽입기(5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성형 스택 상의 코어 링(540)이 패스너(표시되지 않음)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면 성형 스택(316)의 제3 구현물과 유사하다. 구체적으로, 코어 링(540)의 링 몸체는 패스너(표시되지 않음)를 나사산으로 수용하게끔 구성되고 링 몸체 내부에서 코어 삽입체(520)의 관형 몸체가 패스너의 끝단을 수용하는 홈의 형태로 지지 인터페이스(525)를 형성하는 지지 인터페이스(543)를 형성한다.
도 8 및 9는 성형 스택(616)의 제6 비제한적인 구현물이다. 성형 스택(616)의 제6 비제한적인 구현물은 성형 스택(116)의 제1 구현물과 유사하다.
코어 링(140)(도 2)과 마찬가지로, 성형 스택(616)은 사용시, 코어 삽입체(620)의 중심부(621) 주위에 배치된 코어 링(6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삽입체(620)는 사용시, 코어 삽입체 상의 장착 인터페이스(690)와 결합하여 외측 중앙면(621) 상에 코어 링(640)이 안착될 수 있는 링 시트(692)가 구성된 관형 몸체를 가진다. 성형 공간(619)의 최상부(645)는 코어 링(640) 및 코어 삽입체(620) 사이에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682)이 형성된 그 두 구성품 사이에서 분리된다.
코어 링(640)은 분리 삽입체(150) 내부에 형성된 삽입 공간(152) 내에 일부 이상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링(640)은 분리 삽입체(150)의 틈새(152)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돌출부(649)를 포함하는 링 몸체를 가지고, 코어 링 상의 돌출부(649)의 상부면(648)은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결합하여 코어 링-대-코어분리 삽입체 분할선(680)을 형성한다.
코어 링(640) 및 분리 삽입체(150)는 또한 결합하여 사용 시, 성형 단계에서 성형 공간(619)의 공기를 배출하는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680)에 걸쳐 분할선 배기 통로(615)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8과 같이, 코어 링(640)의 상부면(648)은 다수의 배기 슬롯(646)으로 분리된 다수의 호형 패드(647)를 포함한다. 따라서, 성형 단계에서 다수의 호형 패드(647)는 분리 삽입체(150) 내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접촉하여 차단 역할을 하는 한편, 다수의 배기 슬롯(646)은 내부 바닥면(158)과 결합하여 분할선 배기 통로(615)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코어 링(140) 및 분리 삽입체(150)는 분리 삽입체(150) 배기 통로(표시되지 않음)가 있는 분할선 배기 통로(615)와 원활하게 연결되어 분할선 배기 통로(613)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분할선 배기관(613)은 사용 시, 분리 삽입체(150)의 틈새(152) 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코어 링(640)의 돌출부(649)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나 성형 스택(616)과 성형 스택(116) 간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그 중 가장 큰 차이점은 성형 스택(116)은 잠금 링(130)이 필요로 하지 않다는 것이다. 대신에, 성형 스택(616)의 코어 삽입체(620) 및 코어 링(640)에 잠금 링(130)의 기능이 도입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삽입체(620)는 코어 삽입체의 끝단에 제공된 보유 플랜지(630)에 의하여 제1 주형 절반(표시되지 않음)의 코어 판(표시되지 않음)에 직접 고정되도록 설계되었다. 보유 플랜지(630)는 패스너(표시되지 않음)를 수용하여 코어 삽입체(620)를 코어 판에 조이는 용도의, 보유 플랜지를 관통하는 일련의 보어를 포함한다. 그리고 코어 링(640)은 성형 품목(표시되지 않음)의 성형 단계에서 맞물린 분리 삽입체(150)를 정렬 및 고정하도록(분리 삽입체 절반들이 맞물린 형상) 설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링(640)은 제1 분리 삽입체 시트(636)를 구성하도록 설계되었다. 제1 분리 삽입체 시트(636)는, 도해와 같이, 분리 삽입체(150)의 제2 돌출부(156)(수테이퍼)를 수용하기 위하여 원뿔형 암테이퍼의 형상을 한다.
성형 스택(616)과 성형 스택(116) 간의 또 다른 차이점은 코어 삽입체(620)에 잠금 링(130)에 의하여 해당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코어 링(640)이 조인다는 것이다(도 3b). 그리하여, 코어 링(640)은 사용시, 코어 링(640)을 코어 삽입체(620)에 고정하기 위하여, 코어 삽입체(620)의 지지 인터페이스(627)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지지 인터페이스(643)를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링(640) 및 코어 삽입체(620)는 나사산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코어 삽입체(62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627)는 코어 삽입체 외측 중앙면(121)의 하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코어 나사산(627)이다. 코어 링(64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643)는 코어 링 내측 표면(644) 하부 근처에 위치한 링 나사산(643)이다. 링 나사산 및 코어 나사산은 코어 링(640) 및 코어 나사산(620) 간의 상대적 회전으로 풀 수 있도록 체결되어 적용된다. 그러한 상대적 회전이 용이하도록, 코어 링(640)은 외측면 전체에 치공구 스플라인(645)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치공구 스플라인(645)은 보조 스플라인 공구(표시되지 않음)와 체결가능하다. 나사산으로 코어 링(640)이 코어 삽입체(620)에 체결되는 기술적 효과는 코어 링(640)을 교체할 때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이점으로는, 코어 링(640)은 주조 기계(표시되지 않음)에 설치된 사출 주형과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성형 스택(616)과 성형 스택(116) 간의 또 다른 차이점은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682)을 따라 위치한 분리선 배기 통로(110)의 특징적인 구조와 공기 압력 공급원 또는 저류지와 연결된 방식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 삽입체(620)의 관형 몸체에는, 분리선 배기 통로(610)의 형성을 보조하기 위하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어 삽입체의 중앙면(621)을 따라 서로 연결된 홈망이 있다. 외측 중앙면(121)(도 2)과 마찬가지로 외측 중앙면(621)에는 상부 수집홈(622) 및 상부 수집홈에서 아래로 형성된 다수의 수직홈(624)을 포함하는 서로 연결된 홈이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수집홈(622)은 성형 공간에 가까운 관형 몸체에 위치하여 사용시, 관형 몸체 상부 중앙면(621)의 상부(625)에 형성된 좁게 벌어진 원통형 표면과 코어 링(640) 링 몸체의 내측 표면(644) 사이를 지나가는 공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수직홈(624)은 사용시 상부 수집홈(622)을 하부 수직홈(626)과 원활하게 연결한다. 하부 수집홈(126)은 사용시 공기의 유도를 위하여 코어 삽입체(120)(도 2 및 3b)에 적용되었음을 상기한다. 코어 링(140)(도 3b)과 마찬가지로, 코어 링(640)은 지관(641)을 포함하여, 이로써 분리선 배기 통로(610)는 동체 압력관(612)에 원활하게 연결된다. 동체 압력관(612)의 큰 차이점은 잠금 링(120) 없이 코어 삽입체(620)에 형성된 것이다. 압력관(612)과 지관(641) 간의 유체소통을 위하여, 연결홈(651)이 그들 사이에 제공된다. 연결홈(651)은 코어 링(640)의 기저부를 둘러싸서 형성된다.
도 10은 성형 스택(716)의 제7 비제한적인 구현물 일부의 단면도이다. 성형 스택(716)의 제7 비제한적인 구현물은 단 한 가지 차이점인 코어 링(740)에 코어 링의 외측면 하부만을 포괄하는 치공구 스플라인(745)이 구비됨을 제외하고 성형 스택(616)의 제6 구현물과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로, 코어 링(740)의 외측면 상부(747)는 상대적으로 좁게 설계되어 스트리퍼 조립체(표시되지 않음)의 슬라이드 한 쌍(표시되지 않음) 내 위치하는 코어 링(740)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슬라이드 한 쌍의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는 더 관련이 있는 비제한적인 구현물들의 일부에 약술하였다. 이와 같은 비제한적인 구현물들은 여러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이 특정 배열 및 방법으로 기술되었을지라도 이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의도 및 개념은 다른 배치 및 용도에도 적절하고 적용가능할 것이다. 통상의 숙련자라면 게시한 비제한적인 구현물의 개조도 가능할 것이다. 설명된 비제한적인 구현물들은 이들의 더 나은 특징 및 응용들의 일부를 단지 설명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 외 유익한 결과들은 이러한 비제한적인 구현물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하거나 해당 분야의 숙련자가 잘 알고 있는 방식으로 개조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위에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드러난 여러 비제한적인 구현물들 간의 특징, 요소 및/또는 기능들을 혼합 및 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Claims (37)

  1. 사용시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내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를 둘러싸서 안착되도록 구성된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은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의 분리 삽입체(150) 내에 형성된 삽입 공간(152) 내에 일부 이상이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은 분리 삽입체(150)의 삽입 공간(152) 내에 위치하는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 680)을 갖춘 성형 공간(119, 619)의 일부 이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의 상부면(148, 648)은 상기 분리 삽입체(150)의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협동하여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 680)을 형성하는 성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성형 공간(119, 619)의 최상부(145, 645)는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 및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 사이에서 분리되는 성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의 내측 표면(144, 644)은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의 외측 중앙면(121, 621)과 협동하여 코어 링-코어 삽입체 분리선(182, 682)을 형성하는 성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은 사용시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 682)을 따라서 상기 성형 공간(119, 619)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분리선 배기 통로(110, 610)를 형성하는 성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20, 420, 620)은 분리선 배기 통로(110, 610)를 코어 삽입체(140, 340, 440, 540, 640, 740) 및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의 잠금 링(130) 중 한 곳 이상과 연결된 동체 압력관(112, 612)과 연결하여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관(141, 641)을 형성하는 성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은 사용시,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에 형성되는 링 시트(192)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장착 인터페이스(190)를 형성하는 성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540, 640)은, 사용시 상기 코어 삽입체(520, 62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525, 627)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540, 640)을 상기 코어 삽입체(520, 620)에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지지 인터페이스(543, 643)를 형성하는 성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체(62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627)는 코어 나사산(627)이고상기 지지 인터페이스(643)는 링 나사산(643)으로, 링 나사산 및 코어 나사산은 상기 코어 링(640) 및 상기 코어 삽입체(620) 간의 상대적 회전으로 풀 수 있게 체결되는 성형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440)은, 사용시 성형 스택(116, 216, 416)의 잠금 링(130, 43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132, 432)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140, 240, 340, 440)을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에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지지 인터페이스(143, 243, 443)를 형성하는 성형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240)은 코어 링(140)의 상부면(248)에 배출구(248)를 갖춘 공기 노즐(242)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어서 사용시 성형 제품을 코어 삽입체(120)에서이탈시킬 때 공기의 보조를 받도록 한 성형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640)은 분리 삽입체(150)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 680)에 걸쳐 분할선 배기 통로(115, 615)를 형성하여 사용시, 성형 공간(119, 619)에서 공기를 배출토록 한 성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코어 링(140, 640)의 상부면(148, 648)은 다수의 배기 슬롯(146, 646)에 의해 격리된 다수의 호형 패드(147, 647)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호형 패드(147, 647)는 분리 삽입체(150) 내의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접촉하여, 사용시 차단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다수의 배기 슬롯(146, 646)은 사용시 분리 삽입체(150) 내의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접촉하여 분할선 배기 통로(115, 615)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성형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640)은 분리 삽입체(150)의 제2 돌출부(156)를 수용하는 제1 분리 삽입체 시트(636)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삽입체 시트(636)는 도해와 같이, 원뿔형 암테이퍼의 형상을 한 성형 장치.
  16. 성형 공간(119, 619)의 내부 몸체부(194)를 형성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의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는 그 중심부에 링 시트(192, 392, 492, 692)를 형성토록 하여 사용 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으로 하여금 장착 인터페이스(190, 390, 690)와 협동하여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의 분리 삽입체(150) 내에 형성된 삽입 공간(152) 내에 위치하는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과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 68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간(119, 619)의 최상부(145, 645)는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 및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 사이에서 분리되는 성형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의 외측 중앙면(121, 621)은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의 내측 표면(144, 644)과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 682)을 형성하는 성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는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과 협동하여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 682)을 따라 분리선 배기 통로(110, 610)를 형성하여 사용시, 성형 공간(119, 619)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 성형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체(520, 620)는 사용시, 코어 링(540, 640) 상부의 지지 인터페이스(543, 643)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540, 640)을 코어 삽입체(520, 620)에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인터페이스(525, 627)를 형성하는 성형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체(62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627)는 코어 나사산(627)이고상기 지지 인터페이스(643)는 링 나사산(643)으로, 링 나사산 및 코어 나사산은 코어 링(640) 및 코어 삽입체(620) 간의 상대적 회전으로 풀 수 있게 체결되는 성형 장치.
  22. 사용시 성형 공간(119)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하도록 설계된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 및 분리 삽입체(150)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는 그 중심부에 링 시트(192, 392, 492)를 형성하여 사용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이 장착 인터페이스(190, 390)와 협동하여 상기 링 시트 상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분리 삽입체(150)는 그 하부 돌출부(156)를 통하여 동축으로 연장되는 삽입 공간(152)을 형성하여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의 돌출부(149)를 수용하도록 하고,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 및 분리 삽입체(150)는 분리 삽입체(150)의 삽입 공간(152) 내에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 680)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의 상부면(148, 648)은 상기 분리 삽입체(150)의 삽입 공간(152)에 있는 내부 바닥면(158)과 협동하여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 680)을 형성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간(119, 619)의 최상부(145, 645)는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 및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 사이에서 분리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의 내측 표면(144, 644)은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의 외측 중앙면(121, 621)과 협동하여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 682)을 형성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40, 440, 540, 640, 740)은 사용시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 620)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대-코어 삽입체 분리선(182, 682)을 따라서 상기 성형 공간(119, 619)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분리선 배기 통로(110, 610)를 형성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320, 420, 620)은 분리선 배기 통로(110, 610)를 코어 삽입체(140, 340, 440, 540, 640, 740) 및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의 잠금 링(130) 중 한 곳 이상과 연결된 동체 압력관(112, 612)과 연결하여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관(141, 641)을 형성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540, 640)은, 사용시 상기 코어 삽입체(520, 62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525, 627)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540, 640)을 상기 코어 삽입체(520, 620)에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지지 인터페이스(543, 643)를 형성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체(62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627)는 코어 나사산(627)이고지지 인터페이스(643)는 링 나사산(643)으로, 링 나사산 및 코어 나사산은 상기 코어 링(640) 및 상기 코어 삽입체(620) 간의 상대적 회전으로 풀 수 있게 체결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440)은, 사용시 성형 스택(116, 216, 416)의 잠금 링(130, 430) 상의 지지 인터페이스(132, 432)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140, 240, 340, 440)을 상기 코어 삽입체(120, 320, 420)에 지지하도록 배열되는 지지 인터페이스(143, 243, 443)를 형성하는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240)은 코어 링(140)의 상부면(248)에 배출구(248)를 갖춘 공기 노즐(242)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어서 사용시 성형 제품을 코어 삽입체(120)에서 이탈시킬 때 공기의 보조를 받도록 한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32.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140, 640)은 분리 삽입체(150)와 협동하여 상기 코어 링-대-분리 삽입체 분할선(180, 680)에 걸쳐 분할선 배기 통로(115, 615)를 형성하여 사용시, 성형 공간(119, 619)에서 공기를 배출토록 한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33. 제32항에 있어서,
    코어 링(140, 640)의 상부면(148, 648)은 다수의 배기 슬롯(146, 646)에 의해 격리된 다수의 호형 패드(147, 647)를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호형 패드(147, 647)는 분리 삽입체(150) 내의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접촉하여, 사용시 차단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상기 다수의 배기 슬롯(146, 646)은 사용시 분리 삽입체(150) 내의 삽입 공간(152)의 내부 바닥면(158)과 접촉하여 분할선 배기 통로(115, 615)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3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링(640)은 분리 삽입체(150)의 제2 돌출부(156)를 수용하는 제1 분리 삽입체 시트(636)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삽입체 시트(636)는 도해와 같이, 원뿔형 암테이퍼의 형상을 한 성형 스택(116, 216, 316, 416, 516, 616, 716).
  36. 삭제
  37. 삭제
KR1020137006122A 2010-08-12 2011-08-11 주조 장치 KR101423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289110P 2010-08-12 2010-08-12
US61/372,891 2010-08-12
PCT/CA2011/050489 WO2012019304A1 (en) 2010-08-12 2011-08-11 Mol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292A KR20130060292A (ko) 2013-06-07
KR101423894B1 true KR101423894B1 (ko) 2014-07-25

Family

ID=4556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122A KR101423894B1 (ko) 2010-08-12 2011-08-11 주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956150B2 (ko)
EP (2) EP2603370B1 (ko)
JP (1) JP5738414B2 (ko)
KR (1) KR101423894B1 (ko)
CN (2) CN103097102B (ko)
BR (1) BR112013002999A2 (ko)
CA (1) CA2839404C (ko)
MX (1) MX2013001534A (ko)
WO (1) WO2012019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576B1 (ko) 2003-05-09 2010-11-2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정적하장치 및 액정적하방법
USD730416S1 (en) * 2010-11-12 2015-05-2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Lock ring for use in a mold stack
WO2012171118A1 (en) * 2011-06-14 2012-12-2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plit insert half
WO2013142986A1 (en) * 2012-03-29 2013-10-0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having an air valve
JP5980967B2 (ja) * 2015-01-27 2016-08-3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用ノズル
EP3271131B1 (en) 2015-03-20 2020-12-30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system having a mold stack with a cleaning configuration and a shu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DE102015112223A1 (de) 2015-07-27 2017-02-02 MHT IP GmbH Spritzgießform mit Kernring
WO2018098564A1 (en) * 2016-12-02 2018-06-0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stack for a preform
CN108215069B (zh) * 2016-12-14 2020-10-23 赫斯基注塑系统有限公司 对开式模具插入件以及模具堆叠
JP7279025B2 (ja) * 2018-04-26 2023-05-22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射出成形用金型及びそれに含まれるリップ型並びに射出成形方法
TWI664064B (zh) * 2018-10-24 2019-07-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模具及擾流堆疊結構
CA3120677A1 (en) * 2018-12-11 2020-06-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 directing clamping load through mold stacks
KR102586810B1 (ko) * 2018-12-11 2023-10-1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몰드, 몰드 조립체 및 스택 구성요소
USD958207S1 (en) 2019-06-04 2022-07-19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ing machine part
WO2021035336A1 (en) * 2019-08-28 2021-03-04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s, mold assemblies and stack components
EP4037886A1 (en) * 2019-10-01 2022-08-10 S.I.P.A. Società Industrializzazione Progettazione e Automazione S.p.A. Apparatus and process for molding bottle preforms
WO2022256910A1 (en) * 2021-06-09 2022-12-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re sleeve re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92B1 (ko) * 2004-06-14 2008-03-2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예비성형물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 냉각 팩 부착물 및 네크 링 삽입체
US20090061043A1 (en) 2007-08-27 2009-03-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Fixture Mechanism
WO2010017622A1 (en) 2008-08-14 2010-02-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 mold stack for a prefor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6173A (en) * 1996-04-24 1998-04-07 Zygo Mold Limited Preform injection mould with slide taper locks
US6168740B1 (en) * 1997-04-16 2001-01-0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Partial crystallization method of amorphous plastic articles
US6799962B2 (en) 2001-04-09 2004-10-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Stripper assembly
JP3793072B2 (ja) * 2001-11-06 2006-07-0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DE10355018B4 (de) * 2003-11-25 2011-06-22 MHT Mold & Hotrunner Technology AG, 65239 Formnestaufbau
US7234930B2 (en) 2004-06-14 2007-06-26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Cooling circuit for cooling neck ring of preforms
CA2509181C (en) * 2005-06-03 2009-04-2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 mold split insert
US7645132B2 (en) * 2007-09-07 2010-01-1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and mold stack for use with molding machine
US7762802B2 (en) 2008-02-21 2010-07-27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stack for use in an injection mold and a coupler thereof
FR2948057A1 (fr) * 2009-07-16 2011-01-21 Airbus Operations Sas Dispositif interface perfectionne d'injection
EP2343176A1 (en) * 2010-01-11 2011-07-13 La Seda De Barcelona S.A. Injection mold stack and mol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92B1 (ko) * 2004-06-14 2008-03-20 허스키 인젝션 몰딩 시스템즈 리미티드 예비성형물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 냉각 팩 부착물 및 네크 링 삽입체
US20090061043A1 (en) 2007-08-27 2009-03-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 Insert Fixture Mechanism
WO2010017622A1 (en) 2008-08-14 2010-02-1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A mold stack for a pre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292A (ko) 2013-06-07
CA2839404A1 (en) 2012-02-16
EP2603370A1 (en) 2013-06-19
US8956150B2 (en) 2015-02-17
CA2839404C (en) 2015-09-29
EP2826614A3 (en) 2015-04-15
CN103097102A (zh) 2013-05-08
WO2012019304A1 (en) 2012-02-16
MX2013001534A (es) 2013-03-18
US20130142902A1 (en) 2013-06-06
CN103097102B (zh) 2015-11-25
EP2826614A2 (en) 2015-01-21
EP2603370B1 (en) 2016-03-30
JP5738414B2 (ja) 2015-06-24
US20150110916A1 (en) 2015-04-23
JP2013537496A (ja) 2013-10-03
EP2603370A4 (en) 2014-05-21
CN104669519A (zh) 2015-06-03
BR112013002999A2 (pt)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894B1 (ko) 주조 장치
CN108189318B (zh) 用于预制件的模具堆
US7377767B2 (en) Mold split insert
KR100719978B1 (ko) 주형으로부터 성형 제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
US11826936B2 (en) Molding system having a mold stack with a cleaning configuration and a shu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KR20100007934A (ko) 삽입체를 사용하는 몰드 조립체
CN110785276B (zh) 具有可移动对开式模具插入件的模制系统
CN213648440U (zh) 凹模组件、预制品模具组件、预制品空腔插入件、预制品空腔组件及预制品凹模
WO2021035336A1 (en) Molds, mold assemblies and stack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