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322B1 -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322B1
KR101423322B1 KR1020120037595A KR20120037595A KR101423322B1 KR 101423322 B1 KR101423322 B1 KR 101423322B1 KR 1020120037595 A KR1020120037595 A KR 1020120037595A KR 20120037595 A KR20120037595 A KR 20120037595A KR 101423322 B1 KR101423322 B1 KR 10142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adiation
sensor
cove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5046A (ko
Inventor
이선주
전원규
Original Assignee
전원규
이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원규, 이선주 filed Critical 전원규
Priority to KR102012003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3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5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5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7Measuring radioactive content of objects, e.g.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화를 신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안전화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내부의 작업장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화의 방사능을 신은 상태에서 측정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면에 측정용 안전화가 안착되며, 강화 유리 재질의 상면; 상기 상면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화의 밑창의 방사능 오염을 감지하는 방사능 센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체; 상기 수직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방사능 센서에서 감지된 방사능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Radioactivity detecting apparatus for safty shoes}
본 발명은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화를 신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방사능을 측정할 수 있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등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산업현장에서는 사용된 공구 및 보호구들은 일부 방사성 물질에 의하여 오염된다.
이러한 오염에 의하여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방사선 노출 정도를 인식할 수 있는 개인 선량계를 작업자들이 휴대하여 피폭 정도를 별도의 시스템으로 확인하고, 피폭 정도가 일정 수준이 넘어가는 경우 해당 작업자는 방사능 취급 장소에 출입을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선량계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473075호에는 반도체를 이용한 개인 선량계가 제안되었으며, 상기 특허는 기존에 사용되는 반도체 개인 선량계의 근본적인 단점을 해결하여 보다 정확한 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670845호에는 개인선량계를 이용한 출입 관리시스템에 제안되었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개인 선량계에 의한 피폭 정도에 따라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안전화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오염이 신발의 밑창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안전화의 정확한 오염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선량계를 안전화 밑창에 위치시켜 측정해야 하므로 다소 불편하다.
특히, 작업자 입장에서는 선량계의 사용은 작업의 불편을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능한 한 피폭 정도를 낮추어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안전화에 대한 오염은 별도로 고려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작업자 교체 시에도 이전에 사용된 안전화를 별도의 측정 없이 새로운 작업자가 신고 작업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오염된 안전화에 의한 이차 오염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지역분리대에 설치하여 안전화의 오염 정도를 안전화를 신은 상태에서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안전화를 신은 상태에서 간편하게 안전화의 오염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내부의 작업장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화의 방사능을 신은 상태에서 측정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면에 측정용 안전화가 안착되며, 강화 유리 재질의 상면; 상기 상면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화의 밑창의 방사능 오염을 감지하는 방사능 센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체; 상기 수직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방사능 센서에서 감지된 방사능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에는 안전화의 안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 상단에는 안전화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권취롤과 사용롤에 의하여 피딩되며, 상기 사용롤에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체에는 작업자의 아이디를 인식하는 리더기를 터 포함하며, 상기 리더기는 감지된 사용자 아이디를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내부에 저장수단과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리더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작업자의 아이디를 인식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안전화의 안착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방사능 센서의 출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사능 센서는 GM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GM튜브는 다수개의 단위 GM튜브이며, 측정되는 방사능 값은 측정 값이 출력되는 단위 GM튜브의 값을 평균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측정 자체도 간편하여 안전화의 오염을 비교적 손쉽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지역분리대에 설치하는 경우 작업자들이 착용한 안전화의 오염 정도를 정확히 감지하고 전체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는 경우 안전화에 의한 이차 오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안전화 제염 장치와 연계하는 경우 오염이 확인된 안전화는 안전화 제염 장치를 통하여 바로 제염하는 경우 간편하게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100)는 그 형태와 검출 대상이 안전화 밑창인 것에 특징이 있으며, 바닥에 설치되는 형태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 측면에 부착되는 수직체(20), 상기 수직체(20) 상단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30), 상기 몸체(10) 내부 공간 상단에 장착되는 방사능 센서(40), 보호장치(60) 및 제어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사각형의 박스 형태로 내부에 각종 부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의 높이는 안전화(1)를 신은 상태에서 올려놓기가 편리한 높이로 50cm이내가 적당하다.
상기 몸체(10)의 상면(11)은 오염물의 존재 인식과 제거가 유리하도록 투명한 강화 유리로 구성한다.
상기 상면(11)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방사능 감지용 방사능 센서(40)가 배치된다.
상기 방사능 센서(40)는 방사성 감지가 가능한 센서이면 어떠한 종류도 가능하나, 가이거뮬러 튜브(GM튜브)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능 센서(40)은 다수의 GM튜브로 이루어지며, 해당 방사능 량은 방사능 신호를 출력하는 GM튜브를 파악하고, 파악된 GM튜브의 출력값들을 평균하여 출력한다.
상기 방사능 센서(40) 방사성 양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므로, 상기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일부 노이즈 등을 제거하는 필터 등의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능 센서(40)의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장치(90)로 출력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방사능 센서(40)의 출력을 증폭, 변환 및 필터링은 제어장치(90)에서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안전화(1)의 방사능 측정을 위해서는 상기 상면(11)에 안전화(1)를 안착시키면 되므로 별도로 안전화(1)를 벗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감지 센서(12)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센서(12)는 안전화(1)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따라서, 단순히 안전화(1)를 신은 상태에서 상기 상면(11)에 안착하는 경우 별도의 자동지시 없이 자동으로 방사능을 측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11)에는 안전화(1)가 방사능 측정을 위하여 수시로 안착되므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장치(60)가 추가된다.
상기 보호장치(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을 덮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61), 상기 커버(61)의 일측에 사용되지 않은 커버(61)가 권취된 권취롤(62), 그리고 상기 커버(61)의 타측에 사용된 커버(61)를 권취하는 사용롤(63), 상기 사용롤(63)을 구동하는 구동모터(6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64)가 작동하면, 상기 커버(61)가 상기 상면(1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한번 측정되면, 상기 구동모터(64)를 가동하여 상기 커버(61)를 이동시키고, 전체적으로 사용이 완료된 커버(61)는 제염처리하여 소각하면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측면에는 수직체(20)가 부착된다. 상기 수직체(20)는 제어장치(90) 등을 수용하며, 상단에는 디스플레이(30)가 안착되어 방사능 센서(40)에 의하여 감지된 방사능 량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수직체(20)의 일면에는 리더기(22)를 장착하여 작업자의 ID를 인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의 ID를 인식하는 경우 해당 작업자가 신은 안전화(1)의 방사능 오염 정도를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안전에 도움이 된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90)는 도 3과 같은 구성되며,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100) 전체의 동작과 측정된 방사능 값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안전화(1)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12), 방사능 량을 직접 측정하는 방사능 센서(40), 작업자의 아이디를 인식하는 리더기(22)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30), 구동모터(64)를 제어한다.
또한, 내부에는 별도의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측정된 정보들을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한다.
또한, 외부에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부(91)를 포함하여 직접적인 외부 입력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92)을 포함하여 상기 저장공간의 정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모듈(92)은 필요한 경우 무선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9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가 자신의 출입증을 상기 리더기(22)에 접촉하면, 제어장치(90)는 작업자의 아이디를 인식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안전화(1)를 상기 상면(11) 상단에 위치하는 커버(61) 위에 안착하면, 상기 감지 센서(12)의 신호에 의하여 해당 작업자가 안전화(1)를 안착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방사능 센서(40)의 출력을 수신한다.
상기 감지 센서(12)가 다수개로 구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감지 센서(12)에서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안전화(1)가 안착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방사능 센서(40)가 다수의 GM튜브로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장치(90)는 방사능 값을 출력하는 해당 센서들을 파악하고, 파악된 센서들의 출력을 평균하여 방사능 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산출된 방사능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30)에 출력한다. 이때 기 설정된 방사능 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별도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방사능 값을 작업자 아이디와 더불어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통신모듈(92)을 통하여 외부의 시스템에도 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방사능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장치(90)는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 센서(12)의 신호를 확인하여 모든 신호에 출력이 없는 경우 안전화(1)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64)를 작동시켜 커버(61)를 이송하여 전체 검사를 완료한다.
상기 제어장치(90)는 필요한 경우, 각 단계에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방사능 측정을 안내할 수도 있으며, 측정 중 일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에러에 대한 음성 메시지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사능 센서(40) 작동 중에 감지 센서(12)의 신호 출력이 없는 경우 안전화(1)를 상면(11) 아래로 내린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측정을 다시 시작한다.
상기와 같은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100)는 비교적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지역 분리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검출 장치(100)를 지날 경우에 안전화를 신은 상태에서 안전화의 오염 정도를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 결과를 중앙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종래 관리 시스템에서 한계를 극복하여 안전화의 안전성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안전화 10: 몸체
11: 상면 12: 감지 센서
20: 수직체 22: 리더기
30: 디스플레이 40: 방사능 센서
60: 보호장치 61: 커버
62: 권취롤 63: 사용롤
64: 구동모터 90: 제어장치
91: 입력부 92: 통신모듈
100: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원자력 발전소 내부의 작업장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화의 방사능을 신은 상태에서 측정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에 있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상면에 측정용 안전화가 안착되며, 강화 유리 재질의 상면;
    상기 상면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화의 밑창의 방사능 오염을 감지하는 방사능 센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체;
    상기 수직체의 상부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방사능 센서에서 감지된 방사능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상면에는 안전화의 안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면 상단에는 안전화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면을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권취롤과 사용롤에 의하여 피딩되며, 상기 사용롤에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동모터가 연결되며,
    상기 수직체에는 작업자의 아이디를 인식하는 리더기를 터 포함하며, 상기 리더기는 감지된 사용자 아이디를 상기 제어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내부에 저장수단과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감지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리더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작업자의 아이디를 인식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출력 신호에 의하여 안전화의 안착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방사능 센서의 출력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방사능 센서는 GM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GM튜브는 다수개의 단위 GM튜브이며, 측정되는 방사능 값은 측정값이 출력되는 단위 GM튜브의 값을 평균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KR1020120037595A 2012-04-10 2012-04-10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KR10142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595A KR101423322B1 (ko) 2012-04-10 2012-04-10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595A KR101423322B1 (ko) 2012-04-10 2012-04-10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046A KR20130115046A (ko) 2013-10-21
KR101423322B1 true KR101423322B1 (ko) 2014-07-24

Family

ID=49634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595A KR101423322B1 (ko) 2012-04-10 2012-04-10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3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3619B (zh) * 2018-01-31 2021-02-09 绵阳市维博电子有限责任公司 手污染检测仪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943A (ja) * 1996-10-31 1998-05-22 Toshiba Corp ダスト放射線モニタ
EP1944624A1 (en) 2007-01-10 2008-07-16 Alessandro Manneschi Detector of unauthorized products in a protected access are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943A (ja) * 1996-10-31 1998-05-22 Toshiba Corp ダスト放射線モニタ
EP1944624A1 (en) 2007-01-10 2008-07-16 Alessandro Manneschi Detector of unauthorized products in a protected access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5046A (ko) 201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8783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detectar la presencia y la posición de un material radiactivo
KR101395103B1 (ko) 원자력발전소 사용후연료 저장조의 보조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ES2366294T3 (es) Máquina de carga de elementos combustibles y procedimiento para la manipulación de elementos combustibles.
KR101649574B1 (ko) 드론 탑재용 가스누출 감지장치
KR101423322B1 (ko) 안전화 방사능 검출 장치
KR100650325B1 (ko) 고준위 중성자/감마 검출 시스템
JP2014169981A (ja) 表面汚染測定装置
JP5359697B2 (ja) 体表面モニタ
KR200493996Y1 (ko) Pir 센서를 이용한 자동차 생산라인의 위험지역 진입 인체 감지 장치
KR102233989B1 (ko) 배기정화장치 내의 방사선 누설방지 장치
JP4908242B2 (ja) 放射能測定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30029467A (ko)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KR101875120B1 (ko) 2차원 방사선량지도 작성 장치 및 방법
US4269660A (en) Device for transporting radioactive material
KR100795183B1 (ko) 자동 핵종분석 소내 디지털방사선 감시 제어장치 및 방법
CN220210530U (zh) 城镇燃气场站监控装置
KR20210073279A (ko) 방사선 검출 시스템, 사용후 핵연료 육안 감지장치 및 사용후 핵연료 감시시스템
JP3010025U (ja) 放射線報知器
JP6374652B2 (ja) 排ガス用放射性物質測定装置
RU2799668C1 (ru) Способ мониторинга деформаций стенок резервуара
KR200218804Y1 (ko) 방사선측정장치
KR101998741B1 (ko) 시설 표면 오염도 자동 측정 시스템
JP3273850B2 (ja) 携帯型放射性表面汚染検出器
JP2005098741A (ja) 漏えい検出方法
JP2004264162A (ja) 放射性物質収納容器の密封監視設備および密封監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