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9467A -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 Google Patents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9467A
KR20130029467A KR1020110092721A KR20110092721A KR20130029467A KR 20130029467 A KR20130029467 A KR 20130029467A KR 1020110092721 A KR1020110092721 A KR 1020110092721A KR 20110092721 A KR20110092721 A KR 20110092721A KR 20130029467 A KR20130029467 A KR 20130029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dule
signal processing
radiation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직
최희열
이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9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9467A/ko
Publication of KR20130029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02Dos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7/00Details of radiation-measuring instrumen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하우징(100-1)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하부에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연결된 하부하우징(100-2)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캡(1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0-1)은 내측 상부에 안치된 센서모듈(1)과 상기 센서모듈(1)의 하부에 위치한 고압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내측 상부에 안치된 신호처리모듈(3)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의 하부에 설치된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 및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장치(10,10-1)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Movable and installable type a environmental radiationmonitor}
본 발명은 원자력시설 주변 환경감시 또는 대기권 핵실험의 조기탐지와 같은 우리 생활주변의 환경방사선을 연속적으로 감시하는데 장치중 하나로서,
방사능 비상사태 발생시 신속한 비상대응을 위한 방사능 오염지역에 이동 설치하여 대기중의 방사선량과 기상자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원자력 비상사고로 인한 방사능오염여부를 확인하고 오염물질의 확산을 관측하기 위하여, 원거리에서 신속히 방사능 오염 정도를 측정 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가 가능한 환경방사선 감시를 구현하는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관련법에서는 인공방사성동위원소에 의한 환경오염을 감시하기 위한 목적에서 원자력시설 주변환경에 대한 공간방사선량 측정을 규정화 하였으며 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는 이 법에 근거하여 전국토 환경방사선 자동감시망을 운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방사선계측기로 방사선량(율)을 측정하고 자 할 때 원자력법이나 국제권고에서 정하는 일정한 거리에서 측정해야 하는데 그 거리와 방사능 오염정도를 확인하는 방사선계측기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888200000(20020830)호에는 방사선계측기에 초음파를 이용한 거리 감지장치를 내장 또는 외부에 장착하여 원자력법이나 국제 권고에 의한 측정 항목의 측정시 측정거리를 합리적으로 확인하여 측정함으로서 측정자의 편리성과 측정의 표준화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사선계측기와 거리감지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683560000(20020305)호에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측정값중 제어패널에 의해 제어되어 필요로 하는 일정범위의 데이터 값으로 변환시키는 제어·연산부 및 상기 제어연산부의 산출값을 출력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계측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방사선 계측기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814190000(20050401)호에는 케이스(20)의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아날로그계측기(10)에서 발생된 폴링 에지 구형파 데이터 펄스신호를 라이징 에지 구형파 데이터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NAND GATE(21)과, 마이콤(40)이 디지털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징 에지 구형파 데이터 펄스신호가 저장되는 EEPROM(22); EEPROM(22)에 저장된 라이징 에지 구형파 데이터 펄스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프로그램메모리(23); 프로그램메모리(23)를 제어하는 제어부(24); 프로그램메모리(23)에 의하여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 제어부(24)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으로서 소정 시간동안 프로그램메모리(23)에 의하여 발생되는 디지털신호의 평균값을 연산하는 연산부(26); 측정이 종료될 경우에 이를 소리로 알리는 스피커(27); 케이스(20)의 외부에 설치되어 제어부(24)를 조작하는 스위치부(28);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방사선 계측기의 디지털 표시기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727330000(20050103)호에는 빛이 차단된 챔버 내부에 알파선 측정을 위한 반도체검출기와 감마선 측정을 위한 반도체검출기를 장착하여, 각각의 반도체검출기에서 측정된 값으로부터 '공간방사선량', '라돈농도', 공간방사선량에서 감마선을 방출하는 공기중의 라돈자핵종들에서 방출된 감마선에 의한 기여분을 제거한 '유도방사선량', 및 라돈과 라돈자핵종들 간의 '방사평형'에 관한 정보 등 총 4가지 정보를 1대의 휴대형 계측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원격으로 감시 할 수 있는 피폭선량 예측을 위한 환경방사선 측정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2510640000(20000110)호에는 레이저 거리측정기, 방사선 스케너, 컴퓨터로 구성되며, 방사선 스케너의 시준기를 통해 차폐용기에 장착된 계측기로 방사선의 세기를 측정하고 레이저 거리측정기의 레이저 광선이 렌즈를 통해 물체를 화상 정보화하여 컴퓨터로 3차원 거리 및 분포정보롤 처리하여 공간에서 방사선의 분포를 컴퓨터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하는 방사선 분포 3차원 측정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97081(20041117)호에는 빛이 차단된 챔버 내부에 알파선 측정을 위한 반도체검출기와 감마선 측정을 위한 반도체검출기를 장착하여, 각각의 반도체검출기에서 측정된 값으로부터 '공간방사선량', '라돈농도', 공간방사선량에서 감마선을 방출하는 공기중의 라돈자핵종들에서 방출된 감마선에 의한 기여분을 제거한 '유도방사선량', 및 라돈과 라돈자핵종들 간의 '방사평형'에 관한 정보 등 총 4가지 정보를 1대의 휴대형 계측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 또는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원격으로 감시 할 수 있는 피폭선량 예측을 위한 환경방사선 측정 기술이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136940000(20050901)호에는 방사선 치료용 선형가속기의 회전갠트리 헤드부에 설치되어 헤드부내의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선의 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 설치되는 장착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내장되며 그 일측면에 상기 방사선 방출부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이 투사되고 투사된 방사선의 선량에 대응하는 전류신호를 발생하는 챔버플레이트와; 상기 장착플레이트에 대해 고정 설치되며 챔버플레이트로부터 발생된 전류신호를 받아들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의 계측장비로 전달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방사선량 계측기기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9255600000(20091030)호에는 검사 대상물의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계측기, 상기 방사선 계측기와 상기 검사 대상물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적외선 거리측정기, 상기 방사선 계측기를 상기 검사 대상물의 표면을 따라 X,Y,Z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3차원 이동장치, 상기 방사선 계측기로부터 측정된 방사선 핵종을 분석하는 다중 파고분석기, 및 상기 적외선 거리 측정기로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방사선 계측기가 상기 검사 대상물의 표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검사 대상물의 방사선을 검출하도록 상기 3차원 이동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상기 다중 파고분석기의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중앙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3차원 이동가능한 검출기를 구비하는 방사선 측정 장치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대기중의 방사선량 측정은 방사선센서가 장착된 장치를 이용하였으나, 방사선의 에너지를 구분 없이 측정하기 때문에 자연방사성핵종과 인공방사성핵종의 구분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미소한 방사능 오염을 감지하기가 어렵고, 이러한 종래의 환경방사선 감시개념은 평상시의 변동범위를 정해 두고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그 원인규명을 위해서 별도로 대기부유진 시료를 직접 채취하여 실험실에서 분석해야 하는 불편한 점과, 방사선량의 측정시간 및 지점과 기상측정 시간 및 지점과의 시간적, 공간적 차이가 있어 방사능 오염정도를 평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간 소모적인 불편한 점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이 선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28580(20000526)호(등록번호;제1003680100000 (20021231)호) 발명의 명칭; 원격제어 환경방사선 감시기 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서,
방사능 비상사태 발생 시 신속한 비상대응을 위해, 방사능 오염지역 또는 향후 오염이 예상되는 지역에 편리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는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하우징(100-1)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하부에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연결된 하부하우징(100-2)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캡(1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0-1)은 내측 상부에 안치된 센서모듈(1)과 상기 센서모듈(1)의 하부에 위치한 고압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내측 상부에 안치된 신호처리모듈(3)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의 하부에 설치된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 및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장치(10,10-1)로 구성된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능 오염지역 이나 향후 오염예상 지역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소형화함과 동시에 별도의 전원이 연결 없이 측정자료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전용의 통신선로가 필요가 없어, 가동시간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신호 파형을 안정화 시키도록 하며, 방습효과를 가져와 기기의 오작동을 최소화 하며, 방사선장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고, 방사선 시설로 부터 방사선 관리구역을 설정하기 위한 거리를 설정하는 데 있어서 대단히 유리하며, 방사선원으로부터 원하는 거리에서의 방사선량(율)을 손쉽게 알 수 있음은 물론 원자력법에서 정하는 정확한 거리에서 방사선량(율)을 측정할 수 있어, 원자력법에서 정하는 거리를 빠른 시간 내에 방사능의 오염을 알 수 있으므로 측정시간을 단축시켜 방사선피폭에 대한 대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벽체 설치예
도4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바닥 설치예
도5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바닥 연결장치
도6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바닥 연결장치
도7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제어개념도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사능 비상사태 발생 시 신속한 비상대응을 위해, 방사능 오염지역 또는 향후 오염이 예상되는 지역에 편리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는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하우징(100-1)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하부에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연결된 하부하우징(100-2)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캡(1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0-1)은 내측 상부에 안치된 센서모듈(1)과 상기 센서모듈(1)의 하부에 위치한 고압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내측 상부에 안치된 신호처리모듈(3)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의 하부에 설치된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 및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장치(10,10-1)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외장을 구성하는 하우징 및 설치 액세서리는 Aluminium 재질로 제작하되 3T 이상의 두께를 채택하여 부식 가능성을 제거하는 한편, 충격에도 쉽게 변형이 가지 않도록 하였으며,
센서 모듈, 계측제어 모듈, 고압 모듈 및 디지털신호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상하부하우징(전자부)와 그리고 태양전지판을 포함한 독립 전력지원부로 구성된다. 전원 공급이 가능한 경우, 상하부하우징으로 구성된 상하부하우징(전자부)만으로 시스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독립 전력지원부를 하단에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방수 방진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상하부하우징(전자부)은 센서모듈(1)과 고압모듈(2), 신호처리모듈(3), 그리고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로 구성되고,
연결장치(10,10-1)는 상기 상하부하우징(전자부)을 지지하는 연결장치 역할을 하며, 두가지 형태의 연결장치(10,10-1)와,
상기 연결장치(10-1)의 일측에 부착된 독립전원지원부(20)로 구성되며, 독립전원지원부(20)는 태양전지판모듈(21) 및 배터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센서모듈은 방사능 비상 상황 시의 계측을 위하여, 고선량 계측이 용이한 GM Tube를 선정하였다. 다만, 일반 환경 중의 평상시 환경방사선에 대한 신뢰성 높은 계측이 가능하도록 각기 다른 사양을 가진 2개의 GM Tube를 이용하여 Dual GM tube를 하나의 전자부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센서모듈의 검출범위는 1μSv/h ~ 10 Sv/h 까지의 범위를 기초로 제작하였다.
본 발명의 센서모듈은 향후 Proportional counter, Plastic Scintillator 또는 NaI(Tl) 등 다양한 센서를 대체 탑재할 수 있는 공간적 여유를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센서모듈
구분 용도 사양 비고
1μSv/h ~3mSv/h 저선량 GM tube
저선량용 160 cps/MR/hr Sensitivity @Co-60
GM tube 270 mm × 20 mm
0.1 mSv/h ~ 10 Sv/h 고선량 Compensated GM tube
고선량용 0.26 cps/MR/hr Sensitivity @Co-60
21 mm × 13 mm
본 발명의 고압모듈(2)은 DC 전원을 500V 내외의 고압으로 변환하는 고압 모듈을 탑재하여, 향후 Proportional counter, Plastic Scintillator 또는 NaI(Tl) 등 다양한 센서를 함께 장착해 활용할 수 있도록 가변성을 확보하였다.
고압모듈
구분 부품상세 사양

High Voltage
Transformer Perrite core
Comparator LM311
Inverter 74HC14
Voltage reference TL431
Diode reference 1N5227 3.6V/0.5W
본 발명의 신호처리모듈(3)은 평상시 환경방사선의 측정을 위해 100 nSv/h 범위에서도 안정적인 선량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성한다. 또한 GM tube의 불감시간 (dead time) 교정 방법이 고려되며, 알려진 교정 방법인 Time-to-First-Count 방법을 이용한다. 향후, Proportional counter, Plastic Scintillator 또는 NaI(Tl) 등 다양한 센서가 장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신호처리부를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의 특정주기는 1초, 수집 주기는 5초를 기본으로 하여 5분간 누적한 데이터를 내부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저장 용량은 1개월 이상으로 한다. 시스템 Firmware 는 현장에서 직접 갱신 가능하도록 한다.
신호처리모듈
구분 부품상세 사양 비고
Digital 신호처리 모듈 Processor AT Mega 2560 ATMEL 저전력 Processor
Memory IS62C256
AT24C1024
선량율 데이터 자체저장
Interface 2 UART PC, CDMA 통신 연결
RS232 MAX232 RS232 drivers/receivers/MAXIM
OP-AMP LM358 Battery Monitoring
LED LED_1 전원 구동
LED_2 배터리 구동
LED_3 상단 배터리 잔량표시
LED_4 CDMA 통신상황
LED_5 GM counter 동작
본 발명의 통신 및 간이전력모듈(4)은 통신 방식은 2개의 UART를 이용하고, 원격통신을 위해 Network 접속과 GPS 지원이 가능한 CDMA 모뎀 및 안테나를 내장한다. 전자부 내부에 위치하는 간이전력 모듈은 전자부 구조만으로 24시간 이상의 휴대용 탐지 센서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전력을 지원한다. 전원공급이 가능한 경우, AC 전원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통신 및 간이전력모듈
구분 부품상세 사양 비고

통신 및 간이전력모듈
CDMA RCU 890 TCP/IP
보안접속 등 네트워크기능 지원
Battery 5V, 9600 mAh 상용 배터리
Charger DC 8.4V/1000mA
본 발명의 연결장치(10,10-1)는 두가지로 구분되며,
먼저 벽면에 설치되는 연결장치(10)는 벽체연결부(11), 연결장치축(12), 고정체(13), 연결선(14)로 구성되며,
바닥에 설치되는 연결장치(10-1)는 접이식사발이(15), 사발이지지판(16), 본체삽입부(17)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연결장치의 태양전지판모듈(21) 및 배터리(미도시)로 구성된 독립전력지원부(20)에서 태양전지판 모듈(21)은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태양전지판을 이용하며, 본체에 결합되어 일체를 구성할 수 있다. 현장 설치 시 태양 지향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태양전지판이 불필요한 경우, 이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태양전지판모듈
구분 부품상세 사양 비고
태양전지판 모듈 태양전지판 SCM 20W/단결정 제조사 : Solar Center
배터리(22)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배터리를 이용하고, Li-polymer 또는 무보수 밀폐형의 납축전지를 이용한다.
배터리
구분 부품상세 사양 비고
전력 모듈 Solar Controller SS-6L-12V 제조사 : Solar Center
Battery Atlas Battery
KB12V/7Ah
제조사 : Atlas Battery
본 발명의 지지부의 설치방법은 바닥설치방법과 벽면설치방법이 있다.
먼저 바닥설치방법은 방사능비상사태 발생 시 현장에 간이설치를 목적으로 하여, 상하부하우징(전자부)과 독립전원지원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것을 예상하였다. 접이식 삼각대를 활용하여 최대반경 1 m 범위 내에서 전개가 가능하도록 하며, 쉽게 접히거나 전개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평상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며, 바람등의 영향에도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벽면설치방법은 전원 공급이 가능한 건물의 콘크리트 벽면을 활용하여 전자부만 별도로 설치할 수 있다. 벽면과의 연결 장치(connector)에는 AC 전원용 어댑터를 장착하여 전원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벽체 설치예, 도4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바닥 설치예, 도5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벽체 연결장치, 도6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바닥 연결장치, 도7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제어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며, 센서모듈(1), 고압모듈(2), 신호처리모듈(3),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 연결장치(10,10-1), 벽체연결부(11), 연결장치축(12), 고정체(13), 연결선(14), 접이식사발이(15), 사발이지지판(16), 본체삽입부(17), 본체안치부(17-1), 접이식사발이연결장치(18), 독립전원지원부(20), 태양전지판모듈(21), 배터리(22), 상,하부하우징(100-1.100-2), 상부캡(101), 하우징연결부(105)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의 구조는 도1내지 도5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00-1)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하부에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연결된 하부하우징(100-2)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캡(1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0-1)은 내측 상부에 안치된 센서모듈(1)과 상기 센서모듈(1)의 하부에 위치한 고압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내측 상부에 안치된 신호처리모듈(3)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의 하부에 설치된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로 구성된 구조이며,
도3은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장치(10)를 더 추가한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벽체에 부착되어 지지부를 지지하는 벽체연결부(11)와, 상기 벽체연결부(11)에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연결장치축(12)과, 상기 연결장치축(1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체(13)와, 상기 고정체(13)와 지지축(12)에 연결된 연결선(14)로 구성되며,
상기 도4 및 도5는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설치된 다른 연결장치(10-1)더 추가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4개의 다리로 구성된 접이식사발이(15)와, 상기 접이식 사발이(15)의 하부끝에 설치된 4개의 사발이지지판(16)과, 상기 접이식사발이(15)의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부가 안치되는 고리형상의 본체삽입부(17)와, 접이식사발이(15)의 중간부에 설치된 접이식사발이연결장치(18)과, 상기 4개의 접이식사발이연결장치(18)의 끝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본체안치부(17-1)로 구성되며,
도4 및 도5는 독립전원지원부(20)는 연결장치(10-1)의 접이식사발이(15)의 일측에 추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모듈(21)과, 상기 태양전지판모듈(21)의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 및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두 개로 구분되며 중간에 설치된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상하부하우징(100-1,100-2)을 결합(하우징의 상부의 수나사와 하우징하부의 암나사를 나사식으로 결합은 당분야에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서술하지 않기로 하였다.)시켜 조립시킨 후,
조립된 상부하우징(100-1)에는 센서모듈(1)과 센서모듈(1)의 하부에 고압모듈(2)를 내장시키고,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을 삽입하고 상기 통신 및 간이전력모듈(4)을 삽입시킨 다음,
설치는 바닥설치는 연결장치(10-1)의 4개의 다리로 구성된 접이식삼발이(15)를 펼쳐 접이식 사발이(15)의 하부 끝에 설치된 4개의 사발이지지판(16)을 바닥에 밀착시켜 안전하게 한 다음, 상부에 설치된 본체삽입부(17)를 삽입시키고, 본체안치부(17-1)에 본 발명의 장치인 센서부가 내장된 하우징을 안치시켜, 설치하고,
연결장치(10-1)의 4개의 접이식사발이(15)중 하나의 외부 일측에
태양전지판모듈(21)과, 상기 태양전지판모듈(21)의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로 구성된 독립전원지원부(20)를 고정시켜 설치하였다.
벽면설치방법은 벽체연결부(11)를 벽체에 부착시키되, 부착방법은 벽체연결부(11)에 콘크리트못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벽체에 부착시키고, 벽체연결부(11)에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연결장치축(12)의 끝단부에 설치된 고정체(13)의 상부에 본 발명의 장치인 하우징에 내장된 센서부를 위치시킨 다음, 고정와이어(14)를 고정체(13)와 지지축(12)에 연결시켜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 벽면에 부착된 AC 전원용 어댑터를 장착하여 전원 연결을 용이하게 하여 설치하였다.
사용 및 작동방법은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제어개념도와 같이 사용 및 작동하는 것으로서,
연결장치는 상하부하우징(100-1,100-2)을 지지하며, 독립전원지원부(20)는 상하부하우징(100-1,100-2)에 전원을 공급하며,
센서모듈(1)에 의해 주변의 방사선을 검출하고, 고압모듈(2)에서 센서모듈과 신호처리모듈(3)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고압으로 변환 시키고, 신호처리모듈(3)은 센서모듈(1)에서 측정된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신호를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로 송신하여,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중앙관제탑으로 송신하는 사용 및 작동방법인 것이다.
센서모듈(1), 고압모듈(2), 신호처리모듈(3),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 연결장치(10,10-1), 벽체연결부(11), 연결장치축(12), 고정체(13), 연결선(14), 접이식사발이(15), 사발이지지판(16), 본체삽입부(17), 본체안치부(17-1), 접이식사발이연결장치(18), 독립전원지원부(20), 태양전지판모듈(21), 상,하부하우징(100-1.100-2), 상부캡(101), 하우징연결부(105)

Claims (4)

  1.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0-1)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하부에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연결된 하부하우징(100-2)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캡(1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0-1)은 내측 상부에 안치된 센서모듈(1)과 상기 센서모듈(1)의 하부에 위치한 고압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내측 상부에 안치된 신호처리모듈(3)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의 하부에 설치된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2.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0-1)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하부에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연결된 하부하우징(100-2)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캡(1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0-1)은 내측 상부에 안치된 센서모듈(1)과 상기 센서모듈(1)의 하부에 위치한 고압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내측 상부에 안치된 신호처리모듈(3)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의 하부에 설치된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과,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장치(10)를 더 추가하여 구성하며,
    상기 연결장치(10)은 벽체에 부착되어 지지부를 지지하는 벽체연결부(11)와, 상기 벽체연결부(11)에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연결장치축(12)과, 상기 연결장치축(12)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센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체(13)와, 상기 고정체(13)와 지지축(12)에 연결된 연결선(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3.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에 있어서,
    상부하우징(100-1)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하부에 하우징연결부(105)에 의해 연결된 하부하우징(100-2)과,
    상기 상부하우징(100-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캡(10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하우징(100-1)은 내측 상부에 안치된 센서모듈(1)과 상기 센서모듈(1)의 하부에 위치한 고압모듈(2)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내측 상부에 안치된 신호처리모듈(3)과, 상기 신호처리모듈(3)의 하부에 설치된 통신 및 간이전력 모듈(4)과,
    상기 하부하우징(100-2)의 하부에 설치된 연결장치(10-1)를 더 추가하여 구성하며,
    상기 연결장치(10-1)는 하부에 4개의 다리로 구성된 접이식사발이(15)와, 상기 접이식 사발이(15)의 하부끝에 설치된 4개의 사발이지지판(16)과, 상기 접이식사발이(15)의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부가 안치되는 고리형상의 본체삽입부(17)와, 접이식사발이(15)의 중간부에 설치된 접이식사발이연결장치(18)과, 상기 4개의 접이식사발이연결장치(18)의 끝단부에 설치된 고리형상의 본체안치부(1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20)는 4개의 접이식사발이(15)의 일측에 독립전원지원부(20)가 추가 설치되며,
    상기 독립지원부(20)은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모듈(21)과, 상기 태양전지판모듈(21)의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KR1020110092721A 2011-09-15 2011-09-15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KR20130029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21A KR20130029467A (ko) 2011-09-15 2011-09-15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21A KR20130029467A (ko) 2011-09-15 2011-09-15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467A true KR20130029467A (ko) 2013-03-25

Family

ID=4817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21A KR20130029467A (ko) 2011-09-15 2011-09-15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94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336A (ko) * 2018-07-20 2018-08-08 박영웅 라돈과 토론을 방출하는 물질에 오염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21904B1 (ko) * 2020-08-18 2021-03-03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사이언스로라를 이용한 환경방사선 자료 전송 시스템
KR20210045042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놀로지 방사선 감시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336A (ko) * 2018-07-20 2018-08-08 박영웅 라돈과 토론을 방출하는 물질에 오염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10045042A (ko) * 2019-10-16 2021-04-26 주식회사 에스에프테크놀로지 방사선 감시 시스템
KR102221904B1 (ko) * 2020-08-18 2021-03-03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사이언스로라를 이용한 환경방사선 자료 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09933B (zh) 辐射探测装置和方法
US20180284302A1 (en) Aerial cdznte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CN101019041B (zh) 放射线方向检测器和放射线监测方法及装置
CN103197338A (zh) 水下辐射监测方法及系统
CN205450295U (zh) 机载核辐射环境检测及采样装置
TW201407634A (zh) 輻射監測器遊校系統及方法
KR101924944B1 (ko) 실시간 측정이 가능한 해양 방사선 자동 감시 시스템
KR20130029467A (ko) 이동설치형 환경방사선 계측기
KR101395103B1 (ko) 원자력발전소 사용후연료 저장조의 보조 감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CN106168674B (zh) 一种用于闪烁体探测器的性能校验装置
JP4679862B2 (ja) 放射線モニタ
KR101702977B1 (ko) 다기능 휴대형 방사선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측정시스템
JP5089568B2 (ja) 放射性ガスモニタ
CN209928027U (zh) 一种辐射探测装置
CN204705719U (zh) 一种便携式放射性污染测量仪
KR100368010B1 (ko) 원격제어 환경방사선 감시기 시스템
CN109974810A (zh) 一种多阵面辐射料位计及其测量方法
RU114369U1 (ru)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скрытых веществ (варианты)
CN114839662A (zh) 一种宽量程伽马剂量仪
US10310107B1 (en) Calibration and measurement method and system for piping radioactivity contamination
CN220568943U (zh) 腐蚀产物就地伽玛谱测量装置
CN114993413B (zh) 一种基于光电感应的抗干扰能力强的智能传感器
CN217277946U (zh) 一种防辐射远程观测测量装置及系统
RU2457469C1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дентификации скрытых веществ (варианты)
KR20140010267A (ko)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식 적설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