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065B1 - 주방용기 코팅방법 - Google Patents

주방용기 코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065B1
KR101422065B1 KR1020120008648A KR20120008648A KR101422065B1 KR 101422065 B1 KR101422065 B1 KR 101422065B1 KR 1020120008648 A KR1020120008648 A KR 1020120008648A KR 20120008648 A KR20120008648 A KR 20120008648A KR 101422065 B1 KR101422065 B1 KR 10142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ating
pattern
jig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648A (ko
Inventor
김양영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드림셰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셰프 filed Critical (주)드림셰프
Priority to KR102012000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2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정교하고도 뚜렷한 입체패턴이 구현된 주방용기를 양산할 수 있는 주방용기 코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기 코팅방법{METHOD FOR COATING KITCHEN CONTAINER}
본 발명은 주방용기 코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명하고도 뚜렷한 입체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주방용기 코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굽거나 익히기 위한 후라이팬이나 궁중팬, 냄비 또는 전골냄비 등을 일컫고, 이러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로서 마련된 후 거친 면을 절삭 또는 연삭 처리하고, 이어서 음식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의 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등과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팅 처리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게 된다.
코팅 처리는 통상적으로 베이스코팅, 미드코팅 또는 탑코팅 등으로 행해질 수 있고, 이때 불소수지 코팅, 세라믹 코팅, 테프론 코팅, 티타늄 코팅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본원 출원인은 베이스코팅, 미드코팅 또는 탑코팅 등과 같은 주방용기의 코팅 과정에서 용기의 표면에 삼차원의 입체패턴을 부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제 1 선 특허문헌(10-2008-0096943; 주방용기 코팅방법) 도 1은 제 1 선 특허문헌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제 1 선 특허문헌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용기의 표면에 베이스코팅층이라 할 수 있는 티타늄 코팅층을 부여하고(S10), 티타늄 코팅층 위에 프라이머 코팅층을 부여하고(S20), 미드코팅층이라 할 수 있는 프라이머 코팅층 위에 테프론 코팅층을 부여하고(S30), 테프론 코팅층 위에 마블 코팅층을 부여한 후(S40), 마블 코팅층 위에 탑코팅층이라 할 수 있는 불소수지 코팅층을 부여하는 과정(S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주방용기는 미리 샌드 블라스트를 행하여 표면을 거칠게 처리할 수 있다. 티타늄 코팅층은 주기율표 4A족에 속하는 티탄족 원소 즉, 티타늄을 코팅한 것으로, 이 티타늄은 마그네슘이나 알루미늄 다음으로 가벼우며 전연성(展延性)이 높고,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며, 비강도(比强度;강도/비중)는 보통강철의 약 2배, 알루미늄의 약 6배나 되고, 내열성 및 내식성이 뛰어나 산(酸)이나 부식에 강하고, 특히 코팅 과정에서 산화피막이 형성되어 고강도를 발휘함으로써 외부의 접촉에 의한 긁힘이나 벗겨지는 현상을 철저히 방지하게 된다. 티타늄 코팅층은 티타늄 60∼95wt% 다이아몬드 파우더 5∼40wt%를 포함할 수 있다. 탄소원자 결합으로 된 다이아몬드 파우더를 티타늄과 함께 주방용기의 표면에 전기방전, 플라즈마방전 또는 진공증착으로 더불어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강하고 견고한 코팅층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프라이머 코팅층은 내마모 광학성을 향상시키고, 테프론 코팅층은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기계적인 특성을 우수하게 하고, 마블 코팅층은 대리석 무늬의 점박이 형태로 코팅하여 자연석에 가까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선 특허문헌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주방용기의 표면에 직접 티타늄 코팅층(또는 티타늄 및 다이아몬드 파우더 혼합 코팅층)을 부여하여 티타늄 및 다이아몬드의 고강도 성질로서 긁힘이나 벗겨지는 현상이 전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명을 보장하고 품질을 향상시키며 음식물의 눌러 붙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코팅층은 알루미늄 재질의 주방용기 표면의 강도를 강화시키면서 알루미늄 특유의 색상을 커버링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미드코팅층은 제 1 선 특허문헌의 마블무늬나 점박이 무늬와 같은 다양한 패턴이나 색상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탑코팅은 베이스코팅층 또는 미드코팅층을 보호하면서 광택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2 선 특허문헌(10-2010-0082785; 주방용기 코팅방법) 도 2 내지 도 4는 제 2 선 특허문헌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제 2 선 특허문헌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통상적인 베이스코팅, 미드코팅 또는 탑코팅 등을 일컫고, 코팅 이외에 절삭이나 연삭, 아노다이징 또는 전사 및 인쇄 등과 같은 공정은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속에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제 2 선 특허문헌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M)이 마련된 지그(J) 위에 용기(V)를 세팅시키고(S1), 이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준 후(S2),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S3)으로 진행된다. 지그(J)에 자석(M)을 마련하고, 이 지그(J) 위에 용기(V)를 세팅시킨 상태에서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줄 경우, 용기(V) 표면의 코팅체 속에 함유된 자성입자가 지그(J) 위에 마련된 자석(M)의 자기력에 이끌려 자석(M)이 없는 부분보다 훨씬 더 밀도있게 자성입자가 집중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코팅체가 자연경화되면서 소성로(S)를 경유하여 소성됨으로써 용기(V)의 표면에는 자성체의 밀도가 높은 곳과 그렇지 않는 곳의 차이에 의한 삼차원의 입체무늬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자석(M)이 마련된 지그(J) 위에 용기(V)를 세팅시킨 상태에서 코팅체를 뿌려줄 경우 코팅체가 용기(V)의 표면에 닿는 순간 자석(M)의 자기력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자성입자가 밀도있게 집중될 수 있는 반면, 상기 S2 스텝 이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V)의 이면에 다른 자석(M)을 접촉시킬 경우(S2+1) 이미 코팅체의 자연경화 진행 중의 다른 자석(M)에 의한 자기력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로서 자성입자가 집중되어 조금 더 옅은 삼차원의 입체무늬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S2+1 스텝에서 다른 자석(M)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V)의 이면에 접촉시키면서 자리 이동시켜 자성입자가 다른 자석(M)의 이동경로를 따라 집중되어 삼차원의 입체무늬가 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제 2 선 특허문헌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8은 제 2 선 특허문헌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에 의해 제작된 샘플을 촬영한 사진이다. 제 2 선 특허문헌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주고(S10), 이 용기(V)의 이면에 자석(M)을 접촉시킨 후(S20),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30)으로 진행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지그(J)에 자석(M)을 마련하지 않는 대신, 제 2 실시예에서는 코팅체를 뿌려준 상태에서 자석(M)을 접촉시켜 자성입자를 상대적으로 옅은 밀도로서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소성에 의한 부드러운 삼차원의 입체무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S20 스텝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M)을 용기(V)의 이면에 접촉시키면서 자리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선 특허문헌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용기(V)의 표면에 코팅체를 뿌려준 후 소성로(S)를 경유하여 소성함에 있어서, 코팅체는 자성입자를 함유하고, 용기(V)의 이면에 자석(M)을 접촉시켜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가 집중되도록 한 상태에서 소성로(S)를 경유하여 소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V)의 이면에 자석(M)이 접촉되는 부분, 즉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가 집중될 수 있게 되어 소성 후의 모습이 도 8과 같이 입체적인 무늬를 실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석(M)은 서로 다른 자기력을 가지도록 하여 자성입자의 밀도의 차이를 자기력의 차이로서 구현토록 하여 선명도가 각각 다른 삼차원의 입체무늬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코팅체는 통상의 불소수지 코팅액, 세라믹 코팅액, 테프론 코팅액, 티타늄 코팅액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불소수지 코팅분말, 세라믹 코팅분말, 테프론 코팅분말, 티타늄 코팅분말 중 어느 하나로서 분체도장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자성입자는 철(Fe), 코발트(Co),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된 것 등을 적용할 수 있고, 나아가 코팅체 속에 색상안료를 포함시켜 자성입자의 집중에 따른 색상안료의 밀도의 차이를 구현하여 보다 삼차원적인 색상을 지닌 입체무늬를 용기(V)의 표면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선 특허문헌 중, 제 1 선 특허문헌을 통해 주방용기를 코팅함에 있어서 베이스코팅층, 미드코팅층 및 탑코팅층에 대한 기술을 이해할 수 있고, 제 2 선 특허문헌을 통해 자석의 자기력으로 자성입자의 밀도 있는 집중을 유도해 삼차원의 입체무늬를 구현하는 기술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제 2 선 특허문헌은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주고 용기(V)의 이면에 자석(M)을 접촉시켜 삼차원의 입체무늬를 구현코자 하지만 자석(M)의 자기력이 용기(V) 자체의 두께를 경유하여 코팅체의 자성입자에 미치므로 인하여 자기력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정교한 삼차원의 입체무늬를 완성시킬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또한, 제 2 선 특허문헌은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주고 용기(V)의 이면에 자석(M)을 접촉시켜 삼차원의 입체무늬를 구현한 후 자연경화 상태로 소성로(S)를 경유함으로 인하여 자석(M)의 자기력에 의한 삼차원의 입체무늬를 구현하고자 하였지만 소성로(S)를 거치기 전까지, 즉 자연경화되는 과정에서 그 입체무늬가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오히려 주변의 묽은 코팅체로 퍼져나가 정교하지 못한 입체무늬를 완성시킬 수밖에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준 상태에서 그 코팅체 위에 자석패턴을 직접 근접시켜 용기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정교하교도 선명한 삼차원의 입체패턴을 완성시킬 수 있는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자석패턴이 마련된 지그 및 용기를 마련하는 스텝과,
상기 용기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주는 스텝과,
상기 자석패턴에 상기 코팅체가 근접되도록 상기 지그를 향하여 상기 용기를 직접 접근시켜 상기 용기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시키는 스텝과,
상기 용기를 소성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자석패턴이 마련된 지그 및 용기를 마련하는 스텝과,
상기 용기의 표면에 베이스코팅층을 부여하는 스텝과,
상기 용기의 베이스코팅층 위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주는 스텝과,
상기 자석패턴에 상기 코팅체가 근접되도록 상기 지그를 향하여 상기 용기를 직접 접근시켜 상기 용기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시키는 스텝과,
상기 용기를 소성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자석패턴이 마련된 지그 및 용기를 마련하는 스텝과,
상기 용기의 표면에 베이스코팅층을 부여하는 스텝과,
상기 베이스코팅층 위에 미드코팅층을 부여하는 스텝과,
상기 용기의 미드코팅층 위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주는 스텝과,
상기 자석패턴에 상기 코팅체가 근접되도록 상기 지그를 향하여 상기 용기를 직접 접근시켜 상기 용기의 표면에 입체패턴을 형성시키는 스텝과,
상기 용기를 소성시키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그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를 뿌려준 상태에서 용기를 자석패턴에 직접 근접되도록 하여 입체패턴이 도드라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도 선명한 삼차원의 입체패턴을 완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선 특허문헌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 내지 도 4는 제 2 선 특허문헌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5 내지 도 7은 제 2 선 특허문헌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8은 제 2 선 특허문헌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에 의해 제작된 샘플을 촬영한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은 통상적인 베이스코팅, 미드코팅 또는 탑코팅 등을 활용할 수 있고, 코팅 과정에서 코팅액의 경화(50∼80℃의 온도로 경화) 내지는 소성(200∼350℃의 온도로 소성)을 함께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기타 절삭이나 연삭, 아노다이징 또는 전사 등과 같은 공정은 함께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패턴(MP)이 마련된 지그(21) 및 용기(V)를 마련하고(S1),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주고(S2), 자석패턴(MP)에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지그(21)를 향하여 용기(V)를 직접 접근시켜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을 형성시키고(S3),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S4)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준 상태에서 용기(V)를 자석패턴(MP)에 직접 근접시켜 용기(V)의 표면에 도드라지게 입체패턴(IP)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도 선명한 삼차원의 입체패턴(IP)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S3 스텝 이후 입체패턴(IP)과 더불어 코팅체(C) 위에 탑코팅층(T)을 부여하는 스텝(S3+1)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패턴(MP)이 마련된 지그(21) 및 용기(V)를 마련하고(S10), 용기(V)의 표면에 베이스코팅층(B)을 부여하고(S20), 용기(V)의 베이스코팅층(B) 위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주고(S30), 자석패턴(MP)에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지그(21)를 향하여 용기(V)를 직접 접근시켜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을 형성시키고(S40),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S5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준 상태에서 코팅체(C)가 자석패턴(MP)에 접근 가능하게 용기(V)를 자석패턴(MP)에 직접 근접시켜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이 도드라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도 선명한 삼차원의 입체패턴(IP)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S40 스텝 이후 입체패턴(IP)과 더불어 코팅체(C) 위에 탑코팅층(T)을 부여하는 스텝(S40+1)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 코팅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패턴(MP)이 마련된 지그(21) 및 용기(V)를 마련하고(S100), 용기(V)의 표면에 베이스코팅층(B)을 부여하고(S200), 베이스코팅층(B) 위에 미드코팅층(M)을 부여하고(S300), 용기(V)의 미드코팅층(M) 위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주고(S400), 자석패턴(MP)에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지그(21)를 향하여 용기(V)를 직접 접근시켜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을 형성시키고(S500),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S60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준 상태에서 코팅체(C)가 자석패턴(MP)에 접근 가능하게 용기(V)를 자석패턴(MP)에 직접 근접시켜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이 도드라지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교하고도 선명한 삼차원의 입체패턴(IP)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S500 스텝 이후 입체패턴(IP)과 더불어 상기 코팅체(C) 위에 탑코팅층(T)을 부여하는 스텝(S500+1)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용기(V)는 자석패턴(MP)에 상기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승강 받침대(50)를 통해 지그(21)를 향하여 용기(V)를 직접 접근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승강 받침대(50)는 컨베이어벨트(60)에 고정되어 용기(V)의 코팅 과정에서 입체패턴(IP)의 구현을 가능케 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승강 받침대(50)는 용기(V)를 받쳐주는 받침대(51)와, 지그(21)를 향하여 용기(V)가 승강되도록 받침대(51)를 승강시키는 승강축(52)을 포함하고, 자석패턴(MP)은 영구자석, 전자석 또는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코팅체(C)는 불소수지 코팅액, 세라믹 코팅액, 테프론 코팅액 또는 티타늄 코팅액 속에 철(Fe), 코발트(Co), 니켈(Ni)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된 자성입자를 함유시켜 완성될 수 있고, 나아가 코팅체(C) 속에 색상안료를 포함시켜 자성입자의 집중에 따른 색상안료의 밀도의 차이를 구현하여 보다 삼차원적인 색상을 지닌 입체패턴(IP)을 용기(V)의 표면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자석패턴(MP)에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지그(21)를 향하여 용기(V)를 직접 접근시켜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을 형성시키는 것을 핵심 기술로 하며, 베이스코팅층(B), 미드코팅층(M) 및 탑코팅층(T)의 유무 나아가 그 일련의 코팅 스텝 사이의 다른 코팅층의 부여 및 생략 등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라이팬이나 궁중팬, 냄비 또는 전골냄비와 같은 주방용기를 코팅하는 산업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V : 용기 C : 코팅체
MP : 자석패턴 IP : 입체패턴
B : 베이스코팅층 T : 탑코팅층
M : 미드코팅층 21 : 지그
50 : 승강 받침대 51 : 받침대
52 : 승강축 60 : 컨베이어벨트

Claims (10)

  1. 자석패턴(MP)이 마련된 지그(21) 및 용기(V)를 마련하는 스텝(S1)과,
    상기 용기(V)의 표면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주는 스텝(S2)과,
    상기 자석패턴(MP)에 상기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상기 지그(21)를 향하여 상기 용기(V)를 직접 접근시켜 상기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을 형성시키는 스텝(S3)과,
    상기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S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3 스텝 이후 상기 입체패턴(IP)과 더불어 상기 코팅체(C) 위에 탑코팅층(T)을 부여하는 스텝(S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3. 자석패턴(MP)이 마련된 지그(21) 및 용기(V)를 마련하는 스텝(S10)과,
    상기 용기(V)의 표면에 베이스코팅층(B)을 부여하는 스텝(S20)과,
    상기 용기(V)의 베이스코팅층(B) 위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주는 스텝(S30)과,
    상기 자석패턴(MP)에 상기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상기 지그(21)를 향하여 상기 용기(V)를 직접 접근시켜 상기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을 형성시키는 스텝(S40)과,
    상기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S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S40 스텝 이후 상기 입체패턴(IP)과 더불어 상기 코팅체(C) 위에 탑코팅층(T)을 부여하는 스텝(S40+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5. 자석패턴(MP)이 마련된 지그(21) 및 용기(V)를 마련하는 스텝(S100)과,
    상기 용기(V)의 표면에 베이스코팅층(B)을 부여하는 스텝(S200)과,
    상기 베이스코팅층(B) 위에 미드코팅층(M)을 부여하는 스텝(S300)과,
    상기 용기(V)의 미드코팅층(M) 위에 자성입자를 함유한 코팅체(C)를 뿌려주는 스텝(S400)과,
    상기 자석패턴(MP)에 상기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상기 지그(21)를 향하여 상기 용기(V)를 직접 접근시켜 상기 용기(V)의 표면에 입체패턴(IP)을 형성시키는 스텝(S500)과,
    상기 용기(V)를 소성시키는 스텝(S6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500 스텝 이후 상기 입체패턴(IP)과 더불어 상기 코팅체(C) 위에 탑코팅층(T)을 부여하는 스텝(S500+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V)는 상기 자석패턴(MP)에 상기 코팅체(C)가 근접되도록 승강 받침대(50)를 통해 상기 지그(21)를 향하여 상기 용기(V)를 직접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받침대(50)는 컨베이어벨트(60)에 고정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받침대(50)는
    상기 용기(V)를 받쳐주는 받침대(51)와,
    상기 지그(21)를 향하여 상기 용기(V)가 승강되도록 상기 받침대(51)를 승강시키는 승강축(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패턴(MP)은 영구자석, 전자석 또는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코팅방법.
KR1020120008648A 2012-01-28 2012-01-28 주방용기 코팅방법 KR101422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48A KR101422065B1 (ko) 2012-01-28 2012-01-28 주방용기 코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48A KR101422065B1 (ko) 2012-01-28 2012-01-28 주방용기 코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648A KR20130087648A (ko) 2013-08-07
KR101422065B1 true KR101422065B1 (ko) 2014-07-23

Family

ID=4921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648A KR101422065B1 (ko) 2012-01-28 2012-01-28 주방용기 코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0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03802B (zh) * 2017-10-10 2019-1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148A (ko) * 2006-04-05 2007-10-10 이노악 코포레이션 모양 형성 장치 및 모양 형성 방법
KR20100037714A (ko) * 2008-10-02 2010-04-12 (주)드림셰프 주방용기 코팅방법
KR101010051B1 (ko) 2010-08-26 2011-01-21 주식회사 세신산업 주방용기 코팅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0148A (ko) * 2006-04-05 2007-10-10 이노악 코포레이션 모양 형성 장치 및 모양 형성 방법
KR20100037714A (ko) * 2008-10-02 2010-04-12 (주)드림셰프 주방용기 코팅방법
KR101010051B1 (ko) 2010-08-26 2011-01-21 주식회사 세신산업 주방용기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648A (ko)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051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CN102421340B (zh) 一种烹饪器皿
TWI586469B (zh) 雷射包覆表面處理的方法及電子裝置外殼
JP5789000B2 (ja) 三次元パターンを有する焦げ付き防止コーティングを備える加熱調理具
JP2008518723A (ja) 誘導加熱可能な調理器具及び給仕器具、誘導加熱可能な製品の製造方法、及び誘導加熱可能な製品を作製するための被覆方法
CN108977748B (zh) 不粘涂层及其制备方法以及锅具和煮食设备
CN103764303A (zh) 包含具有载体粘附性能改良的不粘涂层的用品
JP2012200346A (ja) 調理釜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した加熱調理器用調理釜
KR101422065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KR20130126441A (ko) 고기 구이판
KR101139310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KR101417618B1 (ko) 문양이 형성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149400B1 (ko) 주방용기 코팅장치
KR101751320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113133B1 (ko) 주방용기 코팅 방법
KR20180001840U (ko) 인덕션렌지용 부침개 조리기
KR101328510B1 (ko) 고기 구이판의 제조방법
KR20160115104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H07111946A (ja) フッ素樹脂塗膜を有する加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0475B1 (ko) 가열조리기구용 법랑 및 넌스틱 코팅 방법 및 가열조리기구
KR20130115755A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KR101161818B1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US20150297026A1 (en) Cooking Device Presenting a Cooking Surface Including a Non-Oxide or at Least Partially Non-Oxide Ceramic Non-Stick Coating, and Culinary Article or Electric Househol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Such a Cooking Device
WO2014091166A2 (fr) Revetement en email comportant des particules anisotropes et article culinaire muni d'un tel revetement
KR20100037714A (ko) 주방용기 코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