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380B1 - 위상 고정 루프 - Google Patents

위상 고정 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380B1
KR101421380B1 KR1020130063603A KR20130063603A KR101421380B1 KR 101421380 B1 KR101421380 B1 KR 101421380B1 KR 1020130063603 A KR1020130063603 A KR 1020130063603A KR 20130063603 A KR20130063603 A KR 20130063603A KR 101421380 B1 KR101421380 B1 KR 10142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parison result
switch
charge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식
김민욱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3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voltages obtained from two frequency to voltag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Abstract

본 발명의 의한 위상고정루프는, 기준신호와 출력신호를 분주한 피드백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비교결과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주파수검출기, 비교결과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제공하는 전하펌프, 전하펌프의 전류에 상응하는 충방전 전압을 생성하는 충방전 커패시터,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충방전 커패시터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거나 충방전 커패시터에 방전 전류를 제공하고, 제공받은 충전 전류 또는 제공하는 방전 전류에 상응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루프필터, 제어전압에 기초하여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전압제어발진기, 출력신호를 분주하여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피드백신호를 위상주파수검출기에 제공하는 분주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본 발명은 위상고정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신호 주기마다 전하가 전달되는 루프필터를 포함하는 위상 고정 루프에 관한 것이다.
위상고정루프(PLL: Phase Locked Loop)는 기준신호와 출력신호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비교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주파수를 보정함으로써 출력신호가 항상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하는 회로로서, 통신 시스템 등의 전자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기본 회로들 중 하나이다. 위상고정루프는 위상주파수검출기(PFD: Phase Frequency Detector), 전하펌프(CP: Charge Pump), 루프필터(LP: Loop Filter), 전압제어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및 분주기(DIV: Divider)로 구성된다.
루프필터는 위상고정루프에서의 대역폭과 위상고정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1차 RC루프필터와 2차 루프필터가 많이 사용한다. 1차 RC루프필터는 저주파 영역에 영점을 추가하여 위상고정루프를 안정화 시키는 구조이다. 하지만, 1차 RC루프필터를 사용할 경우, 매 주기마다 발생되는 루프필터 전압의 급격한 변화는 위상고정루프에서 출력신호의 잡음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1차 RC루프필터의 단점인 출력신호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2차 RC루프필터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a) 2차 RC루프필터를 도시한 회로도 (b) 2차 RC필터의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2차 루프필터는 저항(R1)과 두 개의 커패시터(C1, C2)로 구성된다. 저항(R1)과 제1 커패시터(C1)는 직렬로 연결되고, 제2 커패시터는 저항(R1) 및 제1 커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된다.
위상주파수검출기(미도시)에서 비교결과신호(up, down)가 발생하면, 전하펌프(미도시)는 비교결과신호(up, down)에 상응하는 전류(Icp)를 2차 루프필터(10)에 제공한다. 전하펌프의 전류(Icp)를 제공받은 2차 루프필터(10)는 RC지연에 따라 제2 커패시터(C2)를 먼저 충전시켜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t)동안 제어전압(Vcon)을 상승(또는 하강)시킨다. 이후, 2차 루프필터(10)는 비교결과신호(up, down)의 비활성화 구간(Tref-△t)동안 제2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류가 직렬로 연결된 저항(R) 및 제1 커패시터(C1)로 제공되면서 제어전압(Vcon)을 하강(또는 상승)시킨다.
상술한 2차 RC루프필터는 1차 RC루프필터 구조보다 출력신호의 스퍼의 크기도 줄이고, 잡음도 더욱더 제거할 수 있지만, 여전히 큰 기준주파수 스퍼(spur)를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기준주파수 스퍼(spur)는 위상고정루프에서 위상이 고정된 후에도 여러 가지 요인들에 의해 루프필터의 제어전압이 기준신호 주기에 따라 흔들리게 되고, 흔들리는 전압에 의해 변화된 불필요한 주파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출력신호의 잡음을 제거할 뿐 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기준 주파수 스퍼(spur)를 억제할 수 있는 위상고정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의한 위상고정루프는, 기준신호와 출력신호를 분주한 피드백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비교결과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주파수검출기, 상기 비교결과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제공하는 전하펌프, 상기 전하펌프의 전류에 상응하는 충방전 전압을 생성하는 충방전 커패시터,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거나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에 방전 전류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받은 충전 전류 또는 상기 제공하는 방전 전류에 상응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루프필터, 상기 제어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전압제어발진기, 상기 출력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신호를 상기 위상주파수검출기에 제공하는 분주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의 충방전 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필터의 제어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의 충방전 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필터의 제어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필터는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 및 비활성화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검출결과에 따라 출력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출력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출력신호의 주기에 상응하여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충전 전류를 제공받고,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에 상기 방전 전류를 제공하는 제어전압 생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전압 생성부는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의 출력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출력신호에 상응하여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고, 저항과 제1 커패시터는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저항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RC필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 구간의 시작시에 제공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단락되어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에서 상기 충전 전류가 상기 RC필터부로 제공되고,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 구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출력신호의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개방 및 단락에 상응하여 상기 충전 전류가 상기 RC필터부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 구간의 시작시에 제공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단락되어 상기 RC필터부에서 상기 방전 전류가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 제공되고,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 구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출력신호의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개방 및 단락에 상응하여 상기 방전 전류가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제1 비교결과신호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비교하여 제1 검출결과신호를 제공하는 제1 게이트, 상기 제1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치에 제공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비교하여 제2 검출결과신호를 제공하는 제2 게이트 및 상기 제2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개방 또는 단락되어 상기 출력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업신호 또는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제1 검출결과신호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활성화된 제1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턴 온 되어 상기 제1 스위치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업신호 또는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제2 검출결과신호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비활성화된 제2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개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가 업신호 및 다운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검출결과신호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비활성화된 제1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턴 오프 되어 상기 제1 스위치를 단락시키고, 상기 제2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가 업신호 및 다운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검출결과신호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비활성화된 제2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단락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다면, 출력신호의 잡음이 더욱더 제거되어 위상고정루프가 더욱더 안정하게 동작한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다면, 전압제어발진기로부터 제공되는 높은 출력신호의 주기마다 전하가 전달되는 루프필터를 구성함으로써 기준 주파수 스퍼(spur)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a) 2차 RC루프필터를 도시한 회로도 (b) 2차 RC필터의 출력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고정루프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고정루프의 충방전 커패시터와 루프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주파수검출기에서 발생되는 업신호(up)와 다운신호(down)에 의한 스위치들(sw1, sw2)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신호(up)가 발생할 때의 스위치(sw1) 동작에 따라 충방전 커패시터에서 생성되는 충방전 전압과 루프필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은 종래의 2차 RC루프필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신호(up)가 발생할 때의 루프필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전압을 비교한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고정루프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고정루프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고정루프는 위상주파수검출기(100), 전하펌프(200), 루프필터(300), 전압제어발진기(400) 및 분주기(500)를 포함한다.
위상주파수검출기(PFD: Phase Frequency Detector)(100)는 기준신호(Fref)와 후술할 분주기(500)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신호(Fdiv)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기준신호(Fref)와 피드백신호(Fdiv)의 위상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비교결과신호(up, down)를 발생시킨다. 즉, 위상주파수검출기(100)는 기준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신호(Fdiv)의 위상보다 진상(lead) 또는 지상(lag)에 따라 비교결과신호인 업신호(up) 또는 다운신호(down)를 발생시킨다. 일 예에서, 위상주파수검출기(100)는 기준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신호(Fdiv)의 위상보다 빠른 경우, 즉 진상(lead)인 경우 두 신호의 위상차에 상응하는 비교결과신호인 업신호(up)를 발생시킨다. 다른 예에서, 위상주파수검출기(100)는 기준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신호(Fdiv)의 위상보다 느린 경우, 즉 지상(lag)인 경우 두 신호의 위상차에 상응하는 비교결과신호인 다운신호(down)를 발생시킨다.
전하펌프(CP: Charge Pump)(200)는 상기 위상주파수검출기(100)로부터 발생되는 비교결과신호(up, down)를 제공받고, 비교결과신호(up, down)에 상응하는 전류(Icp)를 후술할 루프필터(300)에 제공한다.
충방전 커패시터(C3)는 전하펌프로부터 전류(Icp)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전류(Icp)에 상응하여 충방전 전압(Vcp)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충방전 커패시터(C3)는 전하펌프의 전류(Icp)를 제공받고, 제공받는 전하펌프의 전류(Icp)에 상응하여 충방전 전압(Vcp)을 생성한다. 또한,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충방전 커패시터(C3)는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루프필터(300)에 충전 전류를 제공하거나 루프필터(300)로부터 방전 전류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충방전 커패시터(C3)의 충방전 전압은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up)인 경우 업신호(up)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하강한다. 또한, 충방전 커패시터(C3)의 충방전 전압은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down)인 경우 다운신호(down)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한다.
상술한 비교결과신호는 업신호(up) 또는 다운신호(down)를 의미하고,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은 업신호(up) 또는 다운신호(down)가 발생되는 구간을 지칭하며,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은 업신호(up) 또는 다운신호(down)가 발생되지 않는 구간을 지칭한다.
루프필터(LP: Loop Filter)(300)는 충방전 커패시터(C3)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거나 충방전 커패시터(C3)에 방전 전류를 제공하고, 위상주파수검출기(100)로부터 비교결과신호(up, down)를 제공받으며, 전압제어발진기(400)로부터 출력신호(Fvco)를 제공받아 제어전압(Vcon)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루프필터(300)는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충방전 커패시터(C3)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거나 충방전 커패시터(C3)에 방전 전류를 제공하고, 제공받은 충전 전류 또는 제공하는 방전 전류에 상응하여 제어전압(Vcon)을 생성한다. 따라서,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루프필터(300)의 제어전압(Vcon)은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일 예예서,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루프필터(300)의 제어전압(Vcon)은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up)인 경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한다. 다른 예에서,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루프필터(300)의 제어전압(Vcon)은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up)인 경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한다.
또한, 루프필터(300)는 제어전압 생성부(32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전압 생성부(320)는 충방전 커패시터(C3)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거나 충방전 커패시터(C3)에 방전 전류를 제공하고, 제어부(310)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Fsw_con)와 제어부(310)의 출력신호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압제어발진기(400)의 출력신호(Fvco)를 제공받아 제어전압(Vcon)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전압 생성부(320)는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제어부(310)의 출력신호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출력신호를 제공받으며, 출력신호의 주기에 상응하여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up)인 경우 충방전 커패시터(C3)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고,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down)인 경우 충방전 커패시터(C3)에 방전 전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전압 생성부(320)는 제1 스위치(sw1) 및 RC필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sw1)는 충방전 커패시터(C3)의 출력에 연결되고, 제어부(310)의 스위칭 제어신호 또는 제어부(310)의 출력신호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출력신호에 상응하여 스위칭 된다. RC필터부(322)는 저항(R1),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저항(R1)과 제1 커패시터(C1)는 직렬로 연결되고, 제2 커패시터(C2)는 저항(R1) 및 제1 커패시터(C1)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어전압 생성부(320)는 제1 스위치(sw1)의 스위칭 동작에 상응하여 제어전압(Vcon)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위치(sw1)는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제공된 스위칭 제어신호(Fsw_con)를 제어부(310)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받은 스위칭 제어신호(Fsw_con)에 상응하여 개방된다. 또한, 제1 스위치(sw1)는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up)인 경우 업신호(up)의 비활성화 구간의 시작시에 제공된 스위칭 제어신호(Vcon)에 상응하여 단락되어 충방전 커패시터(C3)에서 충전 전류가 RC필터부(320)로 제공된다. 또한, 업신호(up)의 비활성 구간 동안 제1 스위치(sw1)는 출력신호(Fvco)의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고, 제1 스위치(sw1)의 개방 및 단락에 상응하여 충방전 커패시터(C3)에서 충전 전류가 RC필터부(320)로 제공된다. 따라서, RC필터부(320)는 충방전 커패시터(C3)에서 제공되는 충전 전류에 상응하여 제어전압(Vcon)이 상승한다.
또한, 제1 스위치(sw1)는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down)인 경우 다운신호(down)의 비활성화 구간의 시작시에 제공된 스위칭 제어신호(Vcon)에 상응하여 단락되어 RC필터부(320)에서 방전 전류가 충방전 커패시터(C3)로 제공된다, 또한, 다운신호(up)의 비활성 구간 동안 제1 스위치(sw1)는 출력신호(Fvco)의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고, 제1 스위치(sw1)의 개방 및 단락에 상응하여 RC필터부(320)에서 방전 전류가 충방전 커패시터(C3)로 제공된다. 따라서, RC필터부(320)는 충방전 커패시터(C3)에 제공되는 방전 전류에 상응하여 제어전압(Vcon)이 하강한다.
제어부(310)는 위상주파수검출기(100)로부터 비교결과신호(up, down)를 제공받고, 전압제어발진기(400)로부터 출력신호(Fvco)를 제공받아 제어전압 생성부(320)의 제1 스위치(sw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10)는 위상주파수검출기(100)부터 제공되는 비교결과신호(up, down)를 제공받아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 및 비활성화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Fsw_con)를 제어전압 생성부(320)에 제공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출력신호 경로를 제어하여 전압제어발진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신호(Fvco)를 제어전압 생성부(320)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제1 게이트(312), 트랜지스터(M), 제2 게이트(314) 및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312)는 비교결과신호(up, down)로 제1 비교결과신호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입력받고,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비교하여 제1 검출결과신호((F1)를 제공한다. 트랜지스터(M)는 제1 게이트(312)에서 제공되는 제1 검출결과신호(F1)를 제공받고, 제1 검출결과신호(F1)에 상응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어 스위칭 제어신호(Fsw_con)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위칭 제어신호(Fsw_con)를 제어전압 생성부(320)의 제1 스위치(sw1)에 제공한다. 제2 게이트(314)는 비교결과신호(up, down)로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입력받고,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비교하여 제2 검출결과신호(F2)를 제2 스위치(sw2)에 제공한다. 제2 스위치(sw2)는 제2 게이트(314)로부터 제공되는 제2 검출결과신호(F2)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제2 검출결과신호(F2)에 상응하여 개방 또는 단락되어 출력신호의 경로를 제공한다.
즉,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에서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는 개방되고,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는 단락되어 제1 스위치(sw1)는 제2 스위치(sw2)를 통하여 제공되는 출력신호(Fvco)의 주기에 상응하여 개방 또는 단락을 반복한다. 구체적으로, 제1 게이트(312)는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업신호(up) 또는 다운신호(down)인 경우 제1 게이트(312)의 출력인 제1 검출결과신호(F1)를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제1 검출결과신호(F1)에 상응하여 트랜지스터(M)는 턴 온 되어 제어전압 생성부(320)의 제1 스위치(sw1)를 개방 시킨다. 제2 게이트(314)는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업신호(up) 또는 다운신호(down)인 경우 제2 게이트(314)의 출력인 제2 검출결과신호(F2)를 비활성화 시키고, 비활성화된 제2 검출결과신호(F2)에 상응하여 제2 스위치(sw2)는 개방된다.
또한, 제1 게이트(312)는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가 업신호(up) 및 다운신호(down)가 아닌 경우 제1 게이트(312) 출력인 제1 검출결과신호(F1)를 비활성화 시키고, 비활성화된 제1 검출결과신호(F1)에 상응하여 트랜지스터(M)는 턴 오프 되어 제어전압 생성부(320)의 제1 스위치(sw1)를 단락 시킨다. 제2 게이트(314)는 입력되는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가 업신호(up) 및 다운신호(down)가 아닌 경우 제2 게이트(314)의 출력인 제2 검출결과신호(F2)를 활성화 시키고, 활성화된 제2 검출결과신호(F2)에 상응하여 제2 스위치(sw2)는 단락된다.
전압제어발진기(VCO: Voltage Contrilled Oscillator)(400)는 루프필터(300)로부터 제공된 제어전압(Vcon)에 기초하여 출력신호(Fvco)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전압제어발진기(400)는 루프필터(300)로부터 제어전압(Vcon)이 제공되면, 제공된 제어전압(Vcon)에 기초하여 출력신호(Fvco)의 위상을 빠르게 할 수도 있고, 출력신호(Fvco)의 위상을 지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압제어발진기(400)는 생성된 출력신호(Fvco)를 상기 루프필터(300)와 후술할 분주기에 제공한다.
분주기(DIV: Divider)는 전압제어발진기(400)로부터 제공된 출력신호(Fvco)를 미리 설정된 분주율로 분주하여 피드백신호(Fdiv)를 생성하고, 생성된 피드백신호(Fdiv)를 상기 위상주파수검출기(100)에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필터(300)의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아래에서는 상술한 위상주파수검출기(100), 전하펌프(200), 충방전 커패시터(C3),루프필터(300), 전압제어발진기(400) 및 분주기(500)에 관한 중복되는 부분은 설명의 간명성을 위하여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고정루프의 충방전 커패시터와 루프필터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주파수검출기에서 발생되는 업신호(up)와 다운신호(down)에 의한 스위치들(sw1, sw2)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신호(up)가 발생할 때의 스위치(sw1) 동작에 따라 충방전 커패시터에서 생성되는 충방전 전압과 루프필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전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루프필터(300)는 제1 게이트(312), 제2 게이트(314), 트랜지스터(M), 제1 스위치(sw1), 제2 스위치(sw2), 저항(R1), 제1 커패시터(C1) 및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312)는 OR게이트일 수 있고, 제2 게이트(314)는 NOR게이트일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M)는 NMOS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OR게이트와 NOR게이트는 위상주파수검출기(100)의 출력에 연결되어 비교결과신호인 업신호(up) 또는 다운신호(down)를 제공받는다.
위상주파수검출기(100)에서 업신호(up) 및 다운신호(down)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발생되면, OR게이트는 하이신호(high)를 출력하고, 출력된 하이신호(high)는 N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공된다. NMOS트랜지스터는 OR게이트로부터 제공된 하이신호(high)에 의해 턴 온 되어 제1 스위치(sw1)를 접지시킨다. 즉, 제1 스위치(sw1)는 개방된다. 또한, 위상주파수검출기(100)에서 업신호(up) 및 다운신호(down)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발생되면, NOR게이트는 로우신호(low)를 출력하고, 출력된 로우신호(low)는 제2 스위치(sw2)를 개방시킨다.
위상주파수검출기(100)에서 업신호(up) 및 다운신호(down)가 발생되지 않으면, OR게이트는 로우신호(low)를 출력하고, 출력된 로우신호(low)는 N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공된다. NMOS트랜지스터는 OR게이트로부터 제공된 로우신호(low)에 의해 턴 오프 되어 제1 스위치(sw1)를 단락시킨다. 또한, 위상주파수검출기(100)에서 업신호(up) 및 다운신호(down)가 발생되지 않으면, NOR게이트는 하이신호(high)를 출력하고, 출력된 하이신호(high)는 제2 스위치(sw2)를 단락시킨다.
즉,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 △t에서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는 개방되고,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제1 스위치(sw1)와 제2 스위치(sw2)는 단락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up)인 경우 업신호의 활성화 구간 △t에서 제1 스위치(sw1)는 개방되고, 충방전 커패시터(C3)는 전하펌프(200)의 전류를 제공받아 충전하여 전하펌프(200)의 전류에 상응하여 충방전 전압(Vcp)을 생성한다. 또한, 업신호(up)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제1 스위치(sw1)는 제2 스위치(sw2)를 통하여 제공되는 출력신호(Fvco)의 주기에 상응하여 개방 또는 단락을 반복하고, 제1 스위치(sw1)의 개방 및 단락에 상응하여 충방전 커패시터(C3)에서 충전 전류가 RC필터부(320)로 제공된다.
업신호(up)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충방전 커패시터(C3)의 충방전 전압(Vcp)은 하강하고, RC필터부(320)에서 생성되는 제어전압(Vcon)은 상승한다. 즉, 업신호(up)가 발생할 경우는, 업신호(up)의 비활성화 구간에서의 충방전 전압(Vcp) 파형과 제어전압(Vcon) 파형은 전압제어발진기(400)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신호(Fvco)의 높은 주파수로 인해 제1 스위치(sw1)가 개방 또는 단락이 반복되므로 도 5와 같은 모양을 나타낸다.
도 6은 종래의 2차 RC루프필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신호(up)가 발생할 때의 루프필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전압을 비교한 파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업신호(up)가 발생할 때 (a)는 종래의 2차 RC루프필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전압을 나타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필터에서 생성되는 제어전압을 나타낸다. 종래의 2차 RC루프필터는 기준주파수 주기(Tref)에 따라 동작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필터는 기준주파수 주기(Tref)가 아닌 전압제어발진기(400)에서 제공되는 출력신호 주기(Tvco)에 따라 동작되므로 종래의 2차 RC루프필터에서 발생되는 기준주파수 스퍼(spur)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루프필터 구조보다 출력신호의 잡음을 제거하여 위상고정루프가 더욱더 안정하게 동작한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전압제어발진기로부터 제공되는 높은 출력신호의 주기마다 전하가 전달되는 루프필터를 구성함으로써 기준 주파수 스퍼(spur)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제공된다.
100 : 위상주파수검출기 200 : 전하펌프
300 : 루프필터 310 : 제어부
312 : 제1 게이트 314 : 제2 게이트
320 : 제어전압 생성부 322 : RC필터부
400 : 전압제어발진기 500 : 분주기

Claims (12)

  1. 기준신호와 출력신호를 분주한 피드백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비교결과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상주파수검출기;
    상기 비교결과신호에 상응하는 전류를 제공하는 전하펌프;
    상기 전하펌프의 전류에 상응하는 충방전 전압을 생성하는 충방전 커패시터;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부터 충전 전류를 제공받거나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에 방전 전류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받은 충전 전류 또는 상기 제공하는 방전 전류에 상응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루프필터;
    상기 제어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신호를 제공하는 전압제어발진기; 및
    상기 출력신호를 분주하여 상기 피드백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피드백신호를 상기 위상주파수검출기에 제공하는 분주기를 포함하는 위상고정루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의 충방전 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하강하는 위상고정루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루프필터의 제어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하는 위상고정루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의 충방전 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상승하는 위상고정루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루프필터의 제어전압은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출력신호 주기에 상응하여 하강하는 위상고정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프필터는,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활성화 구간 및 비활성화 구간을 검출하고, 검출결과에 따라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며, 상기 검출결과에 따라 출력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비교결과신호의 비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출력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출력신호의 주기에 상응하여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충전 전류를 제공받고,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에 상기 방전 전류를 제공하는 제어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위상고정루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전압 생성부는,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의 출력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어부의 출력신호 경로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출력신호에 상응하여 스위칭 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고, 저항과 제1 커패시터는 직렬로 연결되며, 제2 커패시터는 상기 저항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RC필터부를 포함하는 위상고정루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업신호인 경우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 구간의 시작시에 제공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단락되어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에서 상기 충전 전류가 상기 RC필터부로 제공되고, 상기 업신호의 비활성 구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출력신호의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개방 및 단락에 상응하여 상기 충전 전류가 상기 RC필터부로 제공되는 위상고정루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 구간의 시작시에 제공된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단락되어 상기 RC필터부에서 상기 방전 전류가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 제공되고, 상기 다운신호의 비활성 구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출력신호의 주기에 따라 개방 및 단락을 반복하며, 상기 제1 스위치의 개방 및 단락에 상응하여 상기 방전 전류가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 제공되는 위상고정루프.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결과신호로 제1 비교결과신호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비교하여 제1 검출결과신호를 제공하는 제1 게이트;
    상기 제1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턴 온 또는 턴 오프 되어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제1 스위치에 제공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를 비교하여 제2 검출결과신호를 제공하는 제2 게이트; 및
    상기 제2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개방 또는 단락되어 상기 출력신호의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위상고정루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업신호 또는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제1 검출결과신호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활성화된 제1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턴 온 되어 상기 제1 스위치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2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가 업신호 또는 다운신호인 경우 상기 제2 검출결과신호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비활성화된 제2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개방되는 위상고정루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가 업신호 및 다운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1 검출결과신호를 비활성화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비활성화된 제1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턴 오프 되어 상기 제1 스위치를 단락시키고,
    상기 제2 게이트는 상기 제1 및 제2 비교결과신호가 업신호 및 다운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2 검출결과신호를 활성화 시키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비활성화된 제2 검출결과신호에 상응하여 단락되는 위상고정루프.
KR1020130063603A 2013-06-03 2013-06-03 위상 고정 루프 KR10142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03A KR101421380B1 (ko) 2013-06-03 2013-06-03 위상 고정 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603A KR101421380B1 (ko) 2013-06-03 2013-06-03 위상 고정 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380B1 true KR101421380B1 (ko) 2014-07-18

Family

ID=5174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603A KR101421380B1 (ko) 2013-06-03 2013-06-03 위상 고정 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3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72B1 (ko) * 2016-04-18 2017-03-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상 조정 장치
KR20210000894A (ko) * 2019-06-26 2021-01-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샘플-홀드 커패시터와 전압제어발진기 신호에 동작하는 피드포워드 루프필터를 가진 단방향 전하펌프를 가진 위상고정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118B1 (ko) 2000-06-08 200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동기를 갖는 위상동기루프
KR20090047155A (ko) * 2007-11-07 2009-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전압의 진폭을 랜덤하게 결정하는 루프 필터, 위상고정 루프 및 루프 필터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8118B1 (ko) 2000-06-08 2002-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고속 동기를 갖는 위상동기루프
KR20090047155A (ko) * 2007-11-07 2009-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전압의 진폭을 랜덤하게 결정하는 루프 필터, 위상고정 루프 및 루프 필터의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372B1 (ko) * 2016-04-18 2017-03-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상 조정 장치
KR20210000894A (ko) * 2019-06-26 2021-01-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샘플-홀드 커패시터와 전압제어발진기 신호에 동작하는 피드포워드 루프필터를 가진 단방향 전하펌프를 가진 위상고정루프
KR102279315B1 (ko) 2019-06-26 2021-07-1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샘플-홀드 커패시터와 전압제어발진기 신호에 동작하는 피드포워드 루프필터를 가진 단방향 전하펌프를 가진 위상고정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7707B2 (en) Frequency synthesizer
US9312867B2 (en) Phase lock loop device with correcting function of loop bandwidth and method thereof
US20070164829A1 (en) Sigma-delta fractional-N PLL with reduced frequency error
US8890626B2 (en) Divider-less phase locked loop (PLL)
US8564343B2 (en) Device of phase locked-loop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CN210899136U (zh) 一种锁相环电路、芯片、电路板以及电子设备
US8686768B2 (en) Phase locked loop
US9948312B2 (en) Phase lock loop with a digital charge pump
US7696834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and method capable of reducing phase noise and jitter with startup gain
US9374099B2 (en) Oscillating signal generator, phase-lock loop circuit using the oscillating signal gen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oscillating signal generator
US9490824B1 (en) Phase-locked loop with frequency bounding circuit
KR101421380B1 (ko) 위상 고정 루프
US8618851B2 (en) Phase-locked loop apparatus and tuning voltage providing circuit thereof
US8253499B2 (en) Charge pump and phase detection apparatus, phase-locked loop and delay-locked loop using the same
KR101421379B1 (ko) 위상 고정 루프
US20080036544A1 (en) Method for adjusting oscillator in phase-locked loop and related frequency synthesizer
US11411566B2 (en) Charge pump
KR101664796B1 (ko) 복수의 부궤환 루프를 구비한 위상고정루프 장치
CN111835344B (zh) 锁相环电路及终端
KR20080024892A (ko)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 클럭으로 동작하는 스위치드커패시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상 고정 루프 및 제어방법
KR20140090455A (ko) 위상 고정 루프 회로
KR101413917B1 (ko) 위상 고정 루프
US9831766B2 (en) Charge pump and associated phase-locked loop and clock and data recovery
JP2009077308A (ja) 位相ロックループ回路
US7449962B2 (en) Phase-controlled current source for phase-locked l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