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876B1 -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876B1
KR101420876B1 KR1020070117483A KR20070117483A KR101420876B1 KR 101420876 B1 KR101420876 B1 KR 101420876B1 KR 1020070117483 A KR1020070117483 A KR 1020070117483A KR 20070117483 A KR20070117483 A KR 20070117483A KR 101420876 B1 KR101420876 B1 KR 101420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nnector
terminal
base
inclin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834A (ko
Inventor
박형수
변창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876B1/ko
Priority to US12/260,634 priority patent/US7929291B2/en
Priority to EP08168847A priority patent/EP2060962A3/en
Priority to CN2008101763141A priority patent/CN101436872B/zh
Publication of KR20090050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때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및 일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베이스나 경사 지지대에 대하여 커넥터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거치대에 연결된 케이블과 멀티 소켓을 추가로 설치하여 충전, 외부 스피커나 이어폰 연결, 외장 하드 디스크나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 거치대, 커넥터, 회동, 탈착, 멀티 소켓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자수첩, 휴대용 게임기, 디엠비(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폰, 게임 폰, 채팅 폰, 카메라 폰, MP3 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PCS), 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 Hand Held Phone(HHP)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충전하거나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위해 제공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이동통신 기능이 아니더라도, 스케줄 관리 등의 기능으로 특화된 전자수첩, 게임이나 멀티미디어 재생기 기능으로 특화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 특정 기능만을 탑재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회로 장치의 집적도가 향상되고, 고속, 대용량 정보 전송이 가능한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기기에 전자수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뿐만 아니라 소액 결제와 같은 금융 기능 등이 탑재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단말기는 힌지 장치에 의해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한 쌍의 하우징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폴더형 단말기와 함께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스윙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고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를 이용한 상업용 서비스, 예를 들면, 게임, 동영상 재생, 음악 파일 재생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어 사용자에게는 다양한 목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업자에게는 새로운 수익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이 제공되고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만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많은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으로 제작되는데, 이는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을 감상하는데 요구되는 충분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는데 장애가 되고 있다. 또한, 방송 시청이나 동영상 감상뿐만 아니라, 음악 감상에 있어서도 고음질의 음향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소형화된 단말기 내에서는 고용량, 고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스피커 장치를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 자체가 소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설치되는 저장 매체의 용량이 제한되어 대용량의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즉, 고용량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형 저장 매체를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하는 경우 그 가격이 상승하게 되며, 하드 디스크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용량이 큰 저장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말기의 무게와 크기가 증가되어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결국, 휴대용 단말기는 그 자체로서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기능이 탑재되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나 스피커 장치와 같은 출력 장치의 제한과 저장 용량의 제한으로 인하여 그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를 외부 스피커 장치,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다양한 매체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장착과 분리가 용이한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과 동시에 외부 스피커 장치,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때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및 일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경사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단면에 대면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대면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 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는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는 멀티 소켓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 소켓은 직류 전원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경사 지지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에 체결되는 스크류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치대는 상기 경사 지지대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제2 개구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되면서 그 일부분을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경 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경사 지지대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 리브; 상기 지지 리브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지홈; 상기 제2 개구의 양측 내벽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지지홈; 및 상기 커넥터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지지 돌기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지지홈이 상기 지지 돌기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대면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를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베이스나 경사 지지대에 대하여 커넥터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단말기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치대에 연결된 케이블과 멀티 소켓을 이용하여, 충전, 외부 스피커나 이어폰 연결, 외장 하드 디스크나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다양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이용하여 외부 스피커, 모니터나 TV와 연결함으로써 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으며, 외장 하드 디스크와 같은 외부 저장 매체를 연결함으로써 단말기 자체의 한정된 저장 용량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저장 매체 자체로는 재생 기능이 제한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재생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자체로서 가정용 오디오나 비디오 플레이어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200)에 장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한 형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그 일면의 일부분이 개폐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11)와 키패드(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에는 스피커 장치(106)가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개폐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후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피커 장치(106)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에서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하단면에는 인터페이스 커넥터(203)(119)가 설치되어, 충전기, 데이터 케이블 등과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1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 분리되는 동작은 도 5 등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거치대(20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커넥터(203)가 베이스(201)나 경사 지지대(20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pivotably)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베이스(201)는 상기 거치대(200)의 주요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그 상면이 곡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1)의 일면, 구체적으로는 상부면에 상기 경사 지지대(202)가 장착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대면한 상태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경사 지지대(202)는 상기 단말기(100)의 하단면과 후면에 각각 대면하는 제1 지지부(223)와 제2 지지부(22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지지부(223)는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되며, 상기 제2 지지부(221)는 상기 제1 지지부(223)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되면, 그의 하단면은 상기 제1 지지부(223)에 대면한 상태로 밀착되고, 후면은 상기 제2 지지부(221)에 대면한 상태로 밀착된다.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베이스(201),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넥터(203)를 설치함에 있어서, 그의 일부분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의 인터페이스 커넥터(203)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203)의 일부분에 접속된다.
상기 커넥터(203)는 회전 몸체(231)와 접속 부재(2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회전 몸체(231)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203)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233)이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03)는 상기 접속 부재(233)에 결속된다. 상기 회전 몸체(231)를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은 도 6과 도 7을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200) 상에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서, 상기 커넥터(203)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접속 부재(233)가 연장된 방향과 위치에 따라 그 장착, 분리되는 방향이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2 지지부(221)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되며,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화살표 A(도 5에 도시됨)으로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기 인터페이스 커넥터(203)가 상기 접속 부재(233)와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당겨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넥터(203)가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화살표 D 방향 또는 화살표 D'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당겨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는 상기 단말기(100)를 분리하는 방향이 화살표 D, D' 방향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커넥터(203)가 회동하는 범위 내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어떠한 방향으로도 상기 단말기(100)를 당겨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200)는 케이블(251)과 멀티 소켓(206)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를 외부 스피커 장치나 디스플레이 장치,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등 다양한 외부 기기에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251)은 상기 커넥터(20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단부에 상기 멀티 소켓(20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멀티 소켓(206)은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되는 단말기(100)의 충전을 위한 직류 전원 소켓, 음향이나 영상 출력을 위한 소켓, 외장형 하드 디스크 등의 매체를 접속시키기 위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칭함) 소켓 등 다양한 소켓들(26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되는 단말기(100)가 USB 호스트(host) 기능을 가진다면,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외장형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251)은 다수의 도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도선의 일단은 상기 소켓들(261)에, 타단은 상기 거치대(200) 내에서 회로 기판(253; 도 6에 도시됨), 가요성 인쇄회로(239; 도 5, 도 6에 도시됨) 등을 통해 상기 커넥터(203)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253)은 상기 커넥터(203)의 핀(pin)들에 각각 할당된 기능에 맞게 상기 소켓들(261)과 연결시키는 분배기의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거치대(200)의 구성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거치대(200)는 상기 베이스(201), 경사 지지대(202) 및 커넥터(203) 외에도, 상기 커넥터(203)로의 신호 전달 및 분배를 위한 회로 장치들과 이들을 보호하는 하우징 부재들을 구비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3)로의 신호 전달 및 분배를 위하여, 상기 거치대(200)는 회로 기판(253)과 가요성 인쇄회로(239)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 기판(253)과 가요성 인쇄회로(239)는 제1, 제2 하우징 부재(204, 205)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 위치된다.
우선, 상기 경사 지지대(202)는 상기 베이스(201)의 상면에 장착됨을 앞서 언급한 바 있으며,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장착된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의 제1 지지부(223)는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되며, 상기 제2 지지부(221)는 상기 베이스(20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223)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는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 장착되며,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베이스(201)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202),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지지부(223)에 체결된다. 이로써,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 베이스(201) 및 경사 지지대(202)를 스크류로 체결,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들 각각에는 스크류 홀들(219, 245)과 체결 돌기들(22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커넥터(203)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는 제1 개구(225)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는 제2 개구(24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되면, 상기 제1, 제2 개구(225, 241)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제2 개구(241)에 수용되면서 상기 제1 개구(225)를 통해 상기 접속 부재(233)를 상기 경사 지지대(202) 상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는 상기 베이스(201)의 상면에,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의 하부면에 각각 장착되면서, 상기 제1, 제2 개구(225, 241)가 서로 연결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베이스(201)에 관통홀(211)이 형성되어야 함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201)에 형성되는 스크류 홀들(219)은 상기 관통홀(211) 주변에 배치된다. 다만, 상기 스크류의 나사 머리 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 지지되고, 나사 몸통 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체결되면, 상기 스크류가 상기 베이스(201)에 직접 체결되지 않더라도 상기 베이스(201)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경사 지지대(202)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201)에는 상기 스크류 홀들(219)을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베이스(201)에 상기 스크류 홀들(219)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상기 관통홀(211)의 가장자리 일부분을 연장하여 상기 스크류들이 지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해야 함 에 유의한다.
상기 커넥터(203)는 그 양측단에 형성된 지지 돌기(232)를 통해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 돌기(232)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돌출된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는 제1 지지홈(229)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는 제2 지지홈(2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3)는 상기 제1, 제2 개구(225, 241) 상에 위치된 상태이며,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이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면서 상기 지지 돌기(232)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이로써, 상기 지지 돌기(232)는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 몸체(231), 궁극적으로는 상기 커넥터(203)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개구(225)의 양측에 위치되는 지지 리브(227)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리브(227)들의 일부분에 반원 형상의 상기 제1 지지홈(229)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지지홈(243)은 상기 제2 개구(241)의 양측 내벽에 각각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지홈(243)의 양측 내벽은 각각 단차진 형상이다. 상기 경사 지지대(202)와 제1 하우징 부재(204)가 상기 베이스(201)에 장착되면, 상기 지지 리브(227)는 상기 제1 개구(225) 내에 위치되면서 상기 제2 개구(241)의 양측 내벽에 밀착된다. 이로써,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이 상기 지지 돌기(232)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 태로 결합되며, 상기 지지 리브(227)들은 상기 제2 개구(241) 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2 개구(241)의 단차와 상기 지지 리브(227)들의 두께가 서로 같다면, 상기 지지 리브(227)들에 의해 상기 제2 개구(241)의 양측 내벽은 상기 제1, 제2 지지홈(229, 243)에 의해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평면 형상을 이루게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커넥터(203)의 불필요한 유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203)는 탄성 부재(20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209)는 그의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203)의 외주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커넥터(203)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탄성 부재(209)의 탄성력은 상기 접속 부재(233)를 상기 제2 지지부(221)에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203)를 회동시키게 되며,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1 개구(225)의 내벽에 간섭되어 상기 커넥터(203)를 정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209)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기 커넥터(203)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2 지지부(221)에 거의 평행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3)가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접속 부재(233)의 위치가 반드시 상기 제2 지지부(221)에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제조업자가 최적의 사용환경을 설정하고, 그 설정된 환경에 따라 상기 접속 부재(233)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탄성 부재(209)는 코일부(291)와 제1, 제2 자유단(291, 293)을 구비한다. 상기 코일부(291)는 상기 지지 돌기(232)의 외주면에 권선되며 상기 커넥터(203)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자유단(291)은 상기 코일부(29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202)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자유단(293)은 상기 코일부(29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203)의 외주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코일부(291)는 상기 회전 몸체(231)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코일부(291)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2 자유단(293)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상기 회전 몸체(231)의 외주면에 지지하게 결합시킨 구성이다.
이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209)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233)는 상기 제2 지지부(221)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거치대(200)에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를 상기 거치대(20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203)가 회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단말기(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를 감싸면서 상기 베이스(201)의 하부면에 장착된다.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의 내측에는 상기 회로 기판(2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로 기판(253)은 상기 케이블(251)을 구성하는 다수의 도선들 각각을 상기 커넥터(203)의 각 핀에 연결하는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로 기판(253)의 회로 패턴은 상기 멀티 소켓(206)의 직류 전원 소켓을 상기 커넥터(203)의 충전용 핀들과 연결시키고, 음향/영상 출력 소켓을 상기 커넥터(203)의 출력 핀들과 연결시키며, USB 소켓을 상기 커넥터(203)의 USB 핀들과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로 기판(253)에는 상기 케이블(251)의 도선들이 연결되는 접속 단자(255)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커넥터(203)로부터 연장되는 가요성 인쇄회로(239)가 접속되는 또 다른 접속 단자(257)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201)에 밀착되면,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 등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제2 하우징(102) 부재의 모서리 부근에는 각각 체결홀들(247, 259)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05)는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는 상기 경사 지지대(202)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 부재(204)와 경사 지지대(202) 사이에 상기 베이스(201)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치대(200)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만으로도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100) 자체는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기로 사용되면서,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별도의 스피커 장치와, 모니터 또는 TV에 연결되어 영상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 자체에 탑재된 저장 매체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상기 거치대(200)를 통해 USB 접속 방식의 외장형 하드 디스크나 디브이디-롬(DVD-ROM)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거치대(200)의 멀티 소켓(206)은 직류 전원 소켓, USB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을 포함한다고만 언급하고 있으나, 제품의 활용 방안에 따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접속하여 모뎀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의 소켓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멀티 소켓(206)이라 칭하더라도, 직류 전원 소켓, USB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거나, 선택된 두 개의 소켓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당업자가 제품의 사양과 사용환경, 제작 비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상기 멀티 소켓(206)에 탑재되는 소켓의 종류와 수를 결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거치대에 장착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거치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그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거치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거치대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거치대의 경사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 부재;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가 거치된 때 상기 단말기를 지지하는 경사 지지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와 베이스를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경사 지지대에 체결되는 스크류; 및
    일부분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단말기가 거치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단면에 대면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대면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제1 지지부 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전 몸체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하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되는 멀티 소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멀티 소켓은 직류 전원 소켓, 음향/영상 출력 소켓,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소켓 중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 말기의 거치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의 상면이 곡면 형상이고, 상기 경사 지지대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제2 하우징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대에 형성되는 제1 개구; 및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제2 개구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 개구에 수용되면서 그 일부분을 상기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대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지지 리브;
    상기 지지 리브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지지홈;
    상기 제2 개구의 양측 내벽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지지홈; 및
    상기 커넥터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지지 돌기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경사 지지대와 제1 하우징 부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때, 상기 제1, 제2 지지홈이 상기 지지 돌기를 감싸는 상태로 서로 대면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커넥터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돌기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는 제1 자유단; 및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경사 지지대 상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 몸체; 및
    상기 회전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돌기는 상기 회전 몸체의 양 측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상기 경사 지지대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의 일부분은 상기 접속 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의 하단면에 대면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의 후면에 대면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 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 몸체에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를 상기 제2 지지부에 근접하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 몸체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 돌기의 외주면에 권선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에 지지되는 제1 자유단; 및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지지되는 제2 자유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20070117483A 2007-11-16 2007-11-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1420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83A KR101420876B1 (ko) 2007-11-16 2007-11-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US12/260,634 US7929291B2 (en) 2007-11-16 2008-10-29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EP08168847A EP2060962A3 (en) 2007-11-16 2008-11-11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CN2008101763141A CN101436872B (zh) 2007-11-16 2008-11-14 便携式终端的支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483A KR101420876B1 (ko) 2007-11-16 2007-11-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834A KR20090050834A (ko) 2009-05-20
KR101420876B1 true KR101420876B1 (ko) 2014-07-17

Family

ID=4032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483A KR101420876B1 (ko) 2007-11-16 2007-11-1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9291B2 (ko)
EP (1) EP2060962A3 (ko)
KR (1) KR101420876B1 (ko)
CN (1) CN101436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3802B1 (en) * 2011-11-03 2013-11-26 John E. Strauser Tri-holder/organizer system
US9423844B2 (en) 2007-02-20 2016-08-23 Dok Solution Llc Cradles having hinged back walls
US9425651B2 (en) 2007-02-20 2016-08-23 Dok Solution Llc Staggered charging system
US9685803B2 (en) 2007-02-20 2017-06-20 Dok Solution Llc Adap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 cradle
MX2009008770A (es) * 2008-05-02 2009-12-07 Norman R Byrne Estacion de acoplamiento.
CN101742843B (zh) * 2008-11-12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源装置
JP5443934B2 (ja) * 2009-10-06 2014-03-19 ヤマハ株式会社 接続機器
KR101701922B1 (ko) * 2009-11-17 2017-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도킹장치
CN102076200B (zh) * 2009-11-24 2014-1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1041103B1 (ko) * 2009-12-04 2011-06-13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휴대단말기용 스탠드 힌지모듈
US8737064B2 (en) * 2010-01-12 2014-05-27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tand
WO2012083564A1 (zh) * 2010-12-24 2012-06-28 天津九安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人体生理参数测量装置
JP5724495B2 (ja) * 2011-03-17 2015-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US8780547B2 (en) * 2010-12-27 2014-07-15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USD680515S1 (en) * 2011-01-04 2013-04-23 Gingo Biloba, S.A. Audio/video recorder/player equipment
US20120188687A1 (en) * 2011-01-20 2012-07-26 Ever Win International Corporation Dock with USB Port
CN102683970B (zh) * 2011-03-08 2016-01-2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底座及带有底座的电子设备
CN103430119A (zh) * 2011-03-18 2013-12-0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连接便携式设备的系统、包括所述系统的装置
US8599563B2 (en) * 2011-03-28 2013-12-03 Cyber Power Systems, Inc. Control panel having a pivotable connector
CN102856755B (zh) * 2011-06-28 2016-04-20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底座
EP2541368B1 (en) * 2011-06-30 2016-09-14 BlackBerry Limited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541367B1 (en) * 2011-06-30 2018-08-15 BlackBerry Limited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202011107782U1 (de) * 2011-11-11 2012-01-24 Marcus Kuchler Modulare lineare Halte- un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Apple Geräte mit "Dock - Anschluss"
KR20130094402A (ko) * 2012-02-16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스크 탑 유형 유니버셜 도크
US9032130B2 (en) 2012-09-12 2015-05-12 Blackberry Limited Dock for data transfer to and from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708972B1 (en) * 2012-09-12 2015-05-06 BlackBerry Limited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637567B2 (ja) 2012-09-26 2014-12-10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クレードル装置
GB2508331B (en) * 2012-10-03 2019-12-18 B & W Group Ltd Docking station
US9836086B2 (en) 2013-08-02 2017-12-05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with ejector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WO2015017827A1 (en) * 2013-08-02 2015-02-05 Belkin International, Inc. Adjustable docking stand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CN104423424A (zh) * 2013-08-20 2015-03-18 系统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移动装置多媒体底座
US20150092329A1 (en) * 2013-09-28 2015-04-02 Sai P. Balasundaram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an embedded display unit
KR101506161B1 (ko) * 2014-04-18 2015-03-26 주식회사 에어로시스템 가로보기 전환형 거치대
US9429995B2 (en) 2014-05-15 2016-08-30 Norman R. Byrne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30076B1 (ko) * 2014-09-01 2021-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05669A (ko) * 2015-02-27 201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
KR200482198Y1 (ko) * 2015-04-24 2016-12-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거치 모듈
WO2016183664A1 (en) * 2015-05-15 2016-11-24 Spyder Digital Research Inc. Removable casing for an electronic device
CN210838302U (zh) * 2016-10-07 2020-06-23 菲力尔系统公司 电子模块
JP6511178B1 (ja) * 2018-03-02 2019-05-15 任天堂株式会社 通電装置
KR102052930B1 (ko) * 2018-03-13 2019-12-11 하인크코리아(주)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서리
JP7247000B2 (ja) * 2019-04-05 2023-03-28 任天堂株式会社 通電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789A1 (en) * 2000-08-18 2002-02-21 Darfon Electronic Corp. Holding apparatus for information input devices
US20040066611A1 (en) * 2002-10-04 2004-04-08 Michael Wu Computer keyboard with backup battery
US20040151527A1 (en) * 2003-02-03 2004-08-05 Chatree Sitalasai Foldable keyboar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424A (en) * 1997-03-03 1998-11-24 Lextron Systems, Inc. USB to multiple connect and support bays for peripheral devices
US6614649B1 (en) * 2000-09-14 2003-09-02 Sen-Cheng Wang Keyboard structur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O2002054185A2 (en) * 2001-01-04 2002-07-11 Cirque Corporation Connector and support system for a touchpad keyboard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s
US6457996B1 (en) * 2001-06-22 2002-10-01 Jess-Link Products Co., Ltd. Connector to PDA external keyboard
US6632037B2 (en) * 2001-08-21 2003-10-14 Silitek Corporation Keyboard assembly with positioning function
US20030095380A1 (en) * 2001-11-16 2003-05-22 Compal Electronics, Inc. Expansion station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US6674636B2 (en) * 2002-01-22 2004-01-06 Jyh-Tsung Lin Keyboard device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TW549737U (en) * 2002-10-08 2003-08-21 Lite On Technology Corp Modularized and common-used PDA connector
TWM245470U (en) * 2002-10-09 2004-10-01 Hann Hwa Ind Co Ltd Storing rack with infrared transmission function
TWM268757U (en) * 2004-12-07 2005-06-21 High Tech Comp Corp Recoverable connector structure and cradle having the connector structure
US20080285213A1 (en) * 2005-12-07 2008-11-20 Min-Liang Tan Keyboard With Media Device Docking St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0789A1 (en) * 2000-08-18 2002-02-21 Darfon Electronic Corp. Holding apparatus for information input devices
US20040066611A1 (en) * 2002-10-04 2004-04-08 Michael Wu Computer keyboard with backup battery
US20040151527A1 (en) * 2003-02-03 2004-08-05 Chatree Sitalasai Foldable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36872A (zh) 2009-05-20
US7929291B2 (en) 2011-04-19
KR20090050834A (ko) 2009-05-20
EP2060962A3 (en) 2011-08-17
US20090129010A1 (en) 2009-05-21
CN101436872B (zh) 2012-09-05
EP2060962A2 (en)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8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EP2677391B1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US7369882B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080125171A1 (en) Portable terminal with protrusion type mic module
US20070174645A1 (en) Multimedia video and audio player
US20110128511A1 (en) Folding-type portable device
US20080240487A1 (en) Media playback apparatus having user-selectable shapes
EP1594293A2 (en) Sliding/swing-type portable apparatus having self-retaining function
US7320607B2 (en) Main board for portable terminal
JP2006121455A (ja) ヘッドホン、ヘッドセット、ヘッドホン又はヘッドセットを使用する録再システム
KR100601620B1 (ko) 엠.피.쓰리.(mp3) 플레이어겸용 휴대형 이동통신 무선단말기
CN217010947U (zh) 摄像头音响
TWM293492U (en) Assembled audio player
JP2001290559A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KR20032772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연결 단자 기구
KR1003609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착탈 장치
KR10178887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0372530Y1 (ko) 이어폰 장치
GB2435958A (en) Multimedia video and audio player
CN2936775Y (zh) 笔式无线多媒体播放器
CN113747030A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KR20140004643U (ko) 음성 출력 장치
KR20070089406A (ko) 분리 가능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가지는 이동 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