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595B1 - 데시칸트 에어컨 - Google Patents

데시칸트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595B1
KR101420595B1 KR1020120002811A KR20120002811A KR101420595B1 KR 101420595 B1 KR101420595 B1 KR 101420595B1 KR 1020120002811 A KR1020120002811 A KR 1020120002811A KR 20120002811 A KR20120002811 A KR 20120002811A KR 101420595 B1 KR101420595 B1 KR 10142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generation
zone
dehumidification ro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1797A (ko
Inventor
주 식 김
Original Assignee
주 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식 김 filed Critical 주 식 김
Priority to KR1020120002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5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은, 공기의 처리공기유입부, 재생공기유입부, 처리공기급기부 및 재생공기배기부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처리공기유입부와 재생공기유입부에는 설치되는 필터; 격벽에 의해 처리구역과 재생구역이 구분되며, 제습제가 혼합 또는 함침 또는 코팅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처리공기영역 및 재생공기영역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니컴 형상의 원통형 구조의 제습 로터;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하기 위한 급기팬과 배기팬;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온하는 가온히터; 및 상기 재생공기영역과 처리공기영역의 교차영역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습 로터 및 가온 히터, 제습 로터와 일체화된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와 상기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에 의해 제1 및 제2 가습기의 기능을 구비하여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에 의한 에너지 절감 및 물의 증발 잠열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하여 온도를 낮춤으로써 종래기술의 데시칸트 에어컨 또는 일반적인 전기 에어컨의 실외기와 같은 별도의 냉각기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데시칸트 에어컨{DESICCANT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데시칸트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름철의 냉방기능 또는 제습기능시에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하고 겨울철에는 난방 및 가습기능, 그리고 중간기에는 환기기능을 가지는 에너지절감형의 사계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시칸트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에너지 위기에서 에너지의 누설을 막기 위해 건물의 밀폐성이 요구되고 있고 이로써 환기의 중요성과 쾌적성의 문제가 주목되고 있다.
또한, 소득증대에 따라 전기 에어컨이나 전기 난방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있어서 전력부하의 증가에 의한 에너지 위기를 완화하고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이 필요한 때이다.
기존의 전기 에어컨의 경우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해 프레온가스의 사용이 제한되고 도쿄의정서의 발효로 인해 화석에너지의 사용이 제한됨으로 인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새로운 냉난방기의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에 의한 에너지 절감 및 물의 증발 잠열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여 온도를 낮춤으로써 전기 에어콘의 실외기와 같은 별도의 냉각기가 필요치 않은 데시칸트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 제습, 난방, 가습 및 환기의 기능으로 사계절 운전이 가능한 데시칸트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원으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역난방의 온수를 이용하거나 태양열이나 각종 폐열의 온수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데시칸트 에어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은, 공기의 처리공기유입부, 재생공기유입부, 처리공기급기부 및 재생공기배기부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처리공기유입부와 재생공기유입부에는 설치되는 필터; 격벽에 의해 처리구역과 재생구역이 구분되며, 제습제가 혼합 또는 함침 또는 코팅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처리공기영역 및 재생공기영역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니컴 형상의 원통형 구조의 제습 로터; 상기 제습 로터의 처리구역과 재생구역을 구분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하기 위한 급기팬과 배기팬;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온하는 가온히터; 및 상기 재생공기영역과 처리공기영역의 교차영역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 로터의 처리공기영역에서 제습되어 가열 건조된 처리공기는 상기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로 유동되어 나가며 상기 재생공기영역에서 유입되는 유입재생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어 급기가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재생공기는 승온되어 유동하여 상기 가온 히터에서 재차 가열되어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공기를 1/2 ~ 1/10을 추기시켜 제 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로 추기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처리공기의 일부를 추기시켜 상기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의 재생공기영역으로 유입되는 추기공기를 가습하는 제2 가습기 및 상기 제 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공기를 가습하는 제1 가습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제습로터에서의 처리구역의 범위는 4/8~5/8이며 재생구역의 범위는 4/8~3/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제습 로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은 1M/Sec ~ 5M/Sec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처리공기영역에서 급기 측에 난방히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온 히터 또는 난방히터에는 배관이 연결되어 인입되는 온수의 온도 범위를 50℃ ~ 12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온 히터 또는 난방히터에 인입되는 온수는 지역난방의 온수 또는 보일러 온수 또는 터빈 폐열 온수 또는 엔진 폐열 온수 또는 연료전지 폐열 온수 또는 공정의 폐열 온수 또는 태양열 온수 또는 기타 폐열의 온수 중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처리공기영역과 재생공기영역은 분리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하우징은 금속 재질이거나 또는 프라스틱의 재질로서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사각케이스의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거나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격벽, 분리격벽에는 열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난연성의 보온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제습 로터는 회전속도의 범위가 6RPH ~ 40RPH의 범위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시칸트 에어컨에 따르면, 제습 로터 및 가온 히터, 제습 로터와 일체화된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와 상기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에 의해 제1 및 제2 가습기의 기능을 구비하여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에 의한 에너지 절감 및 물의 증발 잠열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하여 온도를 낮춤으로써 종래기술의 데시칸트 에어컨 또는 일반적인 전기 에어컨의 실외기와 같은 별도의 냉각기가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은 냉방, 제습, 난방, 가습, 환기의 기능으로 사계절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이 되므로 전기 에어컨에서의 냉동기와 같은 압축기(Compressor)와 고압의 냉매배관이 필요 없으므로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할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즉,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없어 건물의 미관 및 관리에 편하다.
또한, 재생공기는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에서 처리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이 회수되어 승온되므로 가온 히터의 용량이 줄어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며 가온 히터의 열원으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역난방의 온수를 이용하거나 태양열이나 각종 폐열의 온수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시칸트 에어컨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시칸트 에어컨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시칸트 에어컨은, 하우징(30), 상기 하우징(30) 내에 설치되는 제습 로터(1)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30)에는 처리공기유입부(31a) 및 재생공기유입부(31b)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처리공기유입부(31a) 및 재생공기유입부(31b)에는 먼지 등을 포함하는 불순물을 여과하는 필터(9)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에는 실내 급기 측으로의 처리공기급기부(32a) 및 실외 배기 측으로의 재생공기배기부(32b)가 각각 분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 로터(1)에는 격벽(2)이 설치되어 처리구역(2a)과 재생구역(2b)이 구분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습 로터(1)는 제습제가 혼합 또는 함침 또는 코팅되고, 상기 하우징(30) 내부의 처리공기영역(1a) 및 재생공기영역(1b)에서 회전(c)가능하게 설치된 하니컴 형상의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과 연결되어 상기 재생공기영역(1b) 및 처리공기영역(1a)으로 구분하는 분리격벽(6)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재생공기영역(1b)에서 재생공기(b)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11)과, 상기 처리공기영역(1a)에서 처리된 처리공기(a)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7)이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재생공기영역(1b)에서 유동하는 재생공기(b)를 고온으로 가열하는 가온히터(15)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재생공기영역(1b)과 처리공기영역(1a)의 교차영역에 설치되며, 요철부가 일체로 형성된 열교환판을 다수 적층하여 형성된 유동통로층이 처리공기(a)와 재생공기(b)가 혼합되지 않고 비접촉 방식으로 각각의 유동통로로 유동하면서 온도차에 의해 열교환하고 구동부가 없는 일체화된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 21)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처리공기(a)의 일부를 추기시켜 상기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1)의 재생공기영역(1b)으로 유입되는 추기공기(k)를 가습하는 제2 가습기(41) 및 상기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 21)를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공기(33a)를 가습하는 제1 가습기(40)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처리공기영역(1a)에서 실내 급기측의 제1 가습기(40) 후단에 난방 히터(14)를 추가 구비하여 가온 히터(15)의 배관과 연결을 해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은 각 기능을 제어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하우징(30)은 금속 재질이거나 또는 프라스틱의 재질로서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사각케이스의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거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각 기능이 내장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 로터(1) 및 가온 히터(15), 제습 로터(1)와 일체화된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21)와 상기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1)에 의해 제1 및 제2 가습기(40,41)의 기능을 구비하여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에 의한 에너지 절감 및 물의 증발 잠열에 의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하여 온도를 낮춤으로써 종래기술의 데시칸트 에어컨 또는 일반적인 전기 에어컨의 실외기와 같은 별도의 냉각기가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은 냉방, 제습, 난방, 가습, 환기의 기능으로 사계절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이 되므로 전기 에어컨에서의 냉동기와 같은 압축기(Compressor)와 고압의 냉매배관이 필요 없으므로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할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즉,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없어 건물의 미관 및 관리에 편하다.
또한, 재생공기는 제 1 및 제 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21)에서 처리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이 회수되어 승온되므로 가온 히터(15)의 용량이 줄어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며 가온 히터(15)의 열원으로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역난방의 온수를 이용하거나 태양열이나 각종 폐열의 온수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데시칸트 에어컨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의 냉방운전의 경우, 실내 급기 측으로의 처리공기(a)는 처리공기유입부(31a)로 유입되어 필터(9)에 의해 제진된 후 저속으로 회전하는 제습 로터(1)의 처리구역(2a)에서 처리공기(a)가 가지고 있는 수분이 제습되면서 건조되어짐과 동시에 온도가 상승되어 유동 된다.
이후, 상기 급기팬(7)에 의해 처리공기(a)는 일체화된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 21)로 유동되어 나가며, 재생공기유입부(31b)에서 유입되는 유입재생공기(m)와의 열교환에 의해 1차 냉각되어 유동되어 나간다.
이렇게 1차 냉각된 일단의 건조 처리공기(a)를 처리공기급기부(32a)를 통해 실내로 급기할 수도 있고, 또한 더 낯은 온도로 급기가 필요할 시에는 냉각 건조된 처리공기(a)의 일단(바람직하게는 처리공기의 1/2 ~ 1/10, 더 바람직하게는 1/4 ~ 1/6 의 범위)을 추기시킨 후, 추기공기(k)를 재생공기영역(1b)의 제2 가습기(41)로 가습을 하고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1)의 재생공기영역(1b)으로 통과시키면 건조한 추기공기(k)에 의해 물이 빠르게 증발하면서 주변의 열을 빼앗으므로 추기공기(k)는 습도는 약간 상승되면서 온도가 승온되어 나오며, 1차 냉각 건조된 처리공기(a)는 재차 2차 냉각되어 처리공기급기부(32a)에서 실내로 급기 된다.
이때, 상기 추기공기(k)는 1차 냉각 건조된 처리공기에서 추기 및 가습되어지는 공기로서 외기의 온도 및 습도보다는 낯은 상태가 될 것이다.
또한, 더욱 낯은 온도가 필요할 시에는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1)의 제1 가습기(40)에서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공기(33a)에 가습을 하여 급기할 수도 있다. 건조된 처리공기(a)에 가습을 하면 수분이 빠르게 증발 되면서 습도는 약간 상승되며 급기공기(33a)의 온도는 더욱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실외 배기 측으로의 재생 배기공기(33b)는 재생공기유입부(31b)에서 일단이 유입되어 필터(9)에 의해 제진된 후 제1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에서 가열 건조된 처리공기(a)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승온되어 나온 유입재생공기(m)와, 또한 일단은 처리공기영역(1a)에서 추기되어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1)에서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 추기 공기(k)가 혼합된 것으로서, 재생공기(b)는 재생공기영역(1b)의 일체화된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 21)에서 처리공기(a)와의 연속적인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유동되면서 혼합되어 가온히터(15)를 통과하게 된다.
즉, 재생공기(b)가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 21)에서 처리공기(a)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승온되어 나옴으로 인해 가온 히터(15)의 용량이 감소되어 에너지를 절감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온 히터(15)를 통과하는 재생공기(b)는 고온으로 재차 가열되어 저속으로 회전하는 제습 로터(1)의 재생구역(2b)으로 유입되어 처리구역(2a)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저속으로 회전되어 온 제습로터(1)를 고온으로 가열시켜 제습로터(1)의 수분을 강제 탈습시켜 유동되어 나오며, 이러한 고온, 고습의 재생공기(b)는 배기팬(11)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습로터(1)는 재생구역(2b)에서 고온의 재생공기(b)에 의한 제습로터(1)의 탈습 건조 과정으로 인해 원래의 건조한 상태로 건조되며 회전에 의해 처리구역(2a)으로 회전되어 오면서 원래의 제습 능력이 회복되어 처리구역(2a)에서 다시 제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저속으로 회전하는 제습로터(1)의 회전속도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6RPH ~ 40RPH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15RPH ~ 25RPH 의 범위로 한다.
또한, 처리공기(a)와 재생공기(b)는 대향류로 제습로터(1)를 각각 유동하며 제습 로터(1)는 회전에 의해 연속적으로 위상이 변화하여 처리공기(a)의 제습 및 재생공기(b)의 탈습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며, 상기 제습 로터(1)에서의 처리구역(2a)과 재생구역(2b)이 격벽(2)으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2)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처리구역(2a)의 영역은 4/8 ~ 5/8, 재생구역(2b)의 영역은 4/8 ~ 3/8의 범위로 하여 격벽(2)이 형성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습 로터(1)로 유입되는 처리공기(a)의 풍량 및 재생공기(b)의 풍량도 상기의 비율로 유입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되, 상기의 제습 로터(1)를 통과하는 처리공기(a)의 풍속은 바람직하게는 1M/Sec ~ 5M/Sec, 더 바람직하게는 2M/Sec ~ 3M/Sec의 범위로 한다.
한편, 재생공기영역(1b)의 가온 히터(15)는 전기히터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배관이 연결되어 지역난방의 온수나 보일러, 터빈, 엔진, 연료 전지등에서 나오는 각종 폐열의 온수나, 태양열의 온수를 사용하면 버려지는 에너지의 재활용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 할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의 가온 히터(15)에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50℃ ~ 120℃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60℃ ~ 80℃의 범위의 저온수가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은 대기압 상태에서 처리공기(a)와 재생공기(b)가 유동하므로 하우징(30), 제습 로터(1)의 격벽(2), 공기 유동로 상의 분리 격벽(6)들은 내압 구조 없이 처리공기(a)와 재생공기(b)의 누설이 없도록 일반적인 기밀성만 유지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하우징(30), 제습 로터(1)의 격벽(2), 분리격벽(6) 등에는 열의 누출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난연성의 보온재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의 제습운전의 경우, 상기 냉방운전에서 제1 가습기(40) 및 제2 가습기(41)에서 유동하는 처리공기(a) 및 추기공기(k)에 가습을 하지 않는 것으로 운전하면 된다.
즉, 상기 제습 로터(1)에 의해 제습 후 가열 건조된 처리공기(a)가 제1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에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재생공기(b)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이 되어 급기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제습운전은 급기되는 처리공기(a)의 온도가,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입재생공기(m)의 온도보다 약간 높지만, 습도를 낯게 유지하여 급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제습운전시에 급기되는 처리공기(a)의 온도는 높지만 습도가 낮으므로 장마철등의 곰팡이 방지나 빨래 등의 건조를 필요로 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된다.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의 환기운전의 경우, 취기 및 탁한 공기 등으로 인한 재실자의 건강이나 쾌적성 등을 위해 실, 내외의 공기교환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지 유입되는 처리공기(a)가 외부에서 유입 되도록 유입부를 유도하여 주는 것으로 할 수도 있고 유입되는 유입재생공기(m)는 실내에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 되도록 유입부를 유도하여 주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중간기 등에는 가온 히터(15)에 열원의 투입 없이 단지 환기 운전만 해도 급기의 온도를 유지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냉방시나 난방시의 환기 운전은 제1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에서 실내에서 유입되는 유입재생공기(m)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처리공기(a)와의 열교환에 의해 에너지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의 난방운전의 경우, 처리공기영역(1a)에서 급기측의 제1 가습기 후단(40)에 난방히터(14)를 추가 구비하여 가온히터(15)의 배관과 연결을 해줄 수 있도록 한다. 환기가 필요 없는 단지 난방운전만 할 시에는 재생공기영역(1b)의 재생 배기팬(11)은 정지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의 가습운전의 경우, 처리공기영역(1a)의 제1 가습기(40)에서 급기되는 처리공기(a)에 가습을 하는 운전이다. 실내가 건조하거나 가습의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실내가 온도는 높지만 건조하여 가습만으로도 실내를 냉방할 수 있을 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데시칸트 에어컨은 상기의 운전방법들과 또는 이러한 운전의 조합들에 의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운전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데시칸트 에어컨은 처리공기(a)와 재생공기(b)가 제습 로터(1)와의 직접 접촉에 의해 열 및 물질 전달이 일어나므로 잠열 제거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고, 80℃이하의 저온수의 열원으로도 냉방이 제공되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20, 21)에서 열교환에 의해 에너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 : 처리공기 b : 재생공기
c : 회전 k : 추기공기
m : 유입재생공기
1 : 제습로터
1a : 처리공기영역 1b : 재생공기영역
2 : 격벽
2a : 처리구역 2b : 재생구역
3 : 모터 5 : 벨트
6 : 분리격벽
7 : 급기팬 11 : 배기팬
13 : 재생히터 14 : 난방히터
15 : 가온히터
20, 21 :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
30 : 하우징
31a : 처리공기유입부 31b : 재생공기유입부
32a : 처리공기급기부 32b : 재생공기배기부
33a : 급기공기 33b : 배기공기
40, 41 : 제1 및 제2 가습기

Claims (13)

  1. 공기의 처리공기유입부, 재생공기유입부, 처리공기급기부 및 재생공기배기부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처리공기유입부와 재생공기유입부에는 설치되는 필터;
    격벽에 의해 처리구역과 재생구역이 구분되며, 제습제가 혼합 또는 함침 또는 코팅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처리공기영역 및 재생공기영역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하니컴 형상의 원통형 구조의 제습 로터;
    상기 제습 로터의 처리구역과 재생구역을 구분하는 격벽;
    상기 하우징 내부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을 하기 위한 급기팬과 배기팬;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온하는 가온히터; 및
    상기 재생공기영역과 처리공기영역의 교차영역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공기를 1/2 ~ 1/10을 추기시켜 제 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로 추기공기를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습 로터의 처리공기영역에서 제습되어 가열 건조된 처리공기는 상기 제1 및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로 유동되어 나가며 상기 재생공기영역에서 유입되는 유입재생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어 급기가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재생공기는 승온되어 유동하여 상기 가온 히터에서 재차 가열되어 유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기의 일부를 추기시켜 상기 제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의 재생공기영역으로 유입되는 추기공기를 가습하는 제2 가습기 및 상기 제 2 직교 유동형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공기를 가습하는 제1 가습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의 제습로터에서의 처리구역의 범위는 4/8~5/8이며 재생구역의 범위는 4/8~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의 제습 로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은 1M/Sec ~ 5M/Sec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의 처리공기영역에서 급기 측에 난방히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8.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가온 히터 또는 난방히터에는 배관이 연결되어 인입되는 온수의 온도 범위를 50℃ ~ 12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9.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가온 히터 또는 난방히터에 인입되는 온수는 지역난방의 온수 또는 보일러 온수 또는 터빈 폐열 온수 또는 엔진 폐열 온수 또는 연료전지 폐열 온수 또는 공정의 폐열 온수 또는 태양열 온수 또는 기타 폐열의 온수 중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10.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처리공기영역과 재생공기영역은 분리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11.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의 하우징은 금속 재질이거나 또는 프라스틱의 재질로서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사각케이스의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거나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12.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격벽, 분리 격벽에는 열의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난연성의 보온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1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의 제습 로터는 회전속도의 범위가 6RPH ~ 40RPH의 범위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시칸트 에어컨.
KR1020120002811A 2012-01-10 2012-01-10 데시칸트 에어컨 KR101420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11A KR101420595B1 (ko) 2012-01-10 2012-01-10 데시칸트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11A KR101420595B1 (ko) 2012-01-10 2012-01-10 데시칸트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797A KR20130081797A (ko) 2013-07-18
KR101420595B1 true KR101420595B1 (ko) 2014-07-23

Family

ID=4899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811A KR101420595B1 (ko) 2012-01-10 2012-01-10 데시칸트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2068A (zh) * 2015-11-27 2016-02-24 福建工程学院 一种高效节能的太阳能空气除湿机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6706B (zh) * 2016-01-29 2018-08-21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逆作法施工过程中地下室的排回风及除湿系统
KR102538132B1 (ko) * 2021-03-16 2023-05-31 주식회사 휴마스터 제습 시스템
KR102559533B1 (ko) * 2021-05-31 2023-07-26 주식회사 휴마스터 항온 항습기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400A (ja) 1999-06-02 2000-12-15 Tokyo Gas Co Ltd 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2147794A (ja) 2000-09-04 2002-05-22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2002364879A (ja) 2001-06-08 2002-12-18 Earth Clean Tohoku:Kk 間接型熱交換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4177010A (ja) * 2002-11-27 2004-06-24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400A (ja) 1999-06-02 2000-12-15 Tokyo Gas Co Ltd 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2147794A (ja) 2000-09-04 2002-05-22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JP2002364879A (ja) 2001-06-08 2002-12-18 Earth Clean Tohoku:Kk 間接型熱交換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4177010A (ja) * 2002-11-27 2004-06-24 Seibu Giken Co Ltd 除湿空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2068A (zh) * 2015-11-27 2016-02-24 福建工程学院 一种高效节能的太阳能空气除湿机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797A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422B1 (ko) 태양열 제습 냉방 시스템
KR100504489B1 (ko) 공기조화장치
EP1188024B1 (en) A method for heat and humidity exchange between two air streams and apparatus therefor
JP5417213B2 (ja) 間接蒸発冷却型外調機システム
KR101229676B1 (ko) 하이브리드 냉방 장치
KR20110092773A (ko) 하이브리드 냉방 시스템
JP5576327B2 (ja) 空調システム
CN108136320A (zh) 空气调节系统
CN207815569U (zh) 一种光伏驱动的二次除湿水冷空调系统
KR101420595B1 (ko) 데시칸트 에어컨
JP6018938B2 (ja) 外気処理用空調システム
US10274210B2 (en) Heat pump humidifier and dehumidifier system and method
JP2006317076A (ja) 除湿空調装置
JP2007255780A (ja) 太陽熱利用の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2004177074A (ja) 空気調和装置
JP2005241065A (ja) 除湿空調装置
JP3821031B2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KR20160088846A (ko) 제습냉방 시스템
WO2013021817A1 (ja) 外気処理装置
EP3133352B1 (en) Dehumidifying and cooling apparatus
JP6348987B2 (ja) ハイブリッド型ヒートポンプ装置
KR950003071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1420598B1 (ko) 하이브리드 에어콘
US11608997B1 (en) Dual-wheel HVAC system and method having improved dew point control
JP2007139338A (ja) 換気装置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