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93B1 -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 Google Patents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493B1
KR101420493B1 KR1020120057239A KR20120057239A KR101420493B1 KR 101420493 B1 KR101420493 B1 KR 101420493B1 KR 1020120057239 A KR1020120057239 A KR 1020120057239A KR 20120057239 A KR20120057239 A KR 20120057239A KR 101420493 B1 KR101420493 B1 KR 10142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re connection
row
male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024A (ko
Inventor
표현학
표재범
Original Assignee
표재범
표현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재범, 표현학 filed Critical 표재범
Priority to KR102012005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49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2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in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1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for coupling balanced lines or devices with unbalanced lines 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9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of the junction type

Landscapes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러를 이용하여 코일의 권선이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실린더 또는 파이프의 길이나 장착 위치 등에 상관없이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커플러를 권선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단면 외형에 따라 복수개를 배치한 다음 권선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상물이 원형이 아닌 복잡한 단면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쉽고 빠르게 원하는 형태로 코일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플러에 와이어를 끼워서 쉽고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권선과정이 쉬울 뿐만 아니라 복수층의 권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쉽고 빠르게 권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는, 일면에 각각 m×n의 행렬 형태로 와이어 접속구가 관통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숫부재(100); 및 상기 숫부재와 탈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 접속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와이어 접속구가 형성된 절연재질의 암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WINDING COUPLER AND THE WIN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을 필요로 하는 금속 재질의 원료관이나 실린더 또는 파이프 그리고 대형 트랜스 등에 필요한 권선을 터닝 방식이 아닌 조립식 형태로 권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기나 압출기의 실린더 등을 예열하거나 연속적으로 배관된 금속재의 파이프 가열을 위하여 밴드 히터가 많이 이용된다. 밴드 히터는 보빈에 필요한 만큼 코일을 권선하는 터닝방식이 많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밴드 히터는 얻고자 하는 열량이나 전자기력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만큼의 권선하여 제작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터닝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한번 권선을 감으면 그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린더(또는 파이프등)가 긴 경우라든가 분리할 수 없는 경우에는 권선코일을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2) 또한 이처럼 미리 제작된 권선코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실린더 구간을 임의로 절단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는 권선코일을 장착하는데 많은 시간과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3) 권선장치에 많은 시설투자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즉, 실질적으로 권선작업을 하기 위한 권선기와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 그리고 이러한 장비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 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4) 종래의 터닝 방식은 보빈 등을 회전시키면서 권선해야 하기 때문에 그 형상이 마치 링과 같은 형태로 밖에는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실용 제0427186호(등록일 : 2006.09.15) 한국등록특허 제0734948호(등록일 : 2007.06.27) 한국등록특허 제0764543호(등록일 : 2007.10.0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커플러를 이용하여 코일의 권선이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실린더 또는 파이프의 길이나 장착 위치 등에 상관없이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커플러를 권선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단면 외형에 따라 복수개를 배치한 다음 권선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대상물이 원형이 아닌 복잡한 단면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쉽고 빠르게 원하는 형태로 코일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플러에 와이어를 끼워서 쉽고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권선과정이 쉬울 뿐만 아니라 복수층의 권선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쉽고 빠르게 권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는, 일면에 각각 m×n의 행렬 형태로 와이어 접속구가 관통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숫부재(100); 및 상기 숫부재와 탈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 접속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와이어 접속구가 형성된 절연재질의 암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숫부재와 암부재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요홈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접속구에는 각각 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단자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자부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와이어가 수용되며, 일단에는 플랜지부가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접속구는 각각 행과 열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권선하는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숫부재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1단계; 서로 인접한 숫부재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와 다른 숫부재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를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한 와이어로 연결하는 제2단계(여기서, m·n·x·x'·y 그리고 y'는 자연수이고, 1≤x와 x'≤m, 1≤y와 y'≤n); 적어도 2개의 암부재를 상기 각 숫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제3단계; 서로 인접한 암부재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과 다른 숫부재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를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한 와이어로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4단계(여기서, m·n·x·x'·y 그리고 y'는 자연수이고, 1≤x와 x'≤m), 1≤y≤n, 2≤y'≤n); 상기 숫부재와 상기 암부재에 행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권선층이 복수층일 때에, 인접한 권선층 사이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시켜 주는 제5단계; 및 상기 와이어가 코일 형태로 권선되도록 각 숫부재와 암부재를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조립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 권선층 사이에는 절연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권선 결속 커플러는 권선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외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1) 연속권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권선용 와이어가 장착된 적어도 2개의 커플러를 장착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주변에 배치하고, 이 커플러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연속권선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권선을 쉽고 빠르게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이러한 권선방법은 원료라인이나 하수관과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중간에 쉽게 분리하여 권선코일을 끼워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도 쉽게 이러한 원료라인이나 하수관 등에 바로 권선이 가능하다.
(3) 권선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단면 형상에 따라 커플러의 위치를 적절하게 배치한 다음 하나의 권선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대상물의 단면 형상에 상관없이 원하는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4) 또한, 작업대상물의 단면 형상이 큰 경우에는 복수의 권선 결속 커플러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여 여러개로 분할된 형태로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권선기나 보빈 회전장치 그리고 코일 공급 장치 및 이들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 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시설투자를 많이 하지 않아도 된다.
(6) 권선을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반드시 원형이 아니더라도 그 단면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하여 권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부재와 숫부재에 와이어 결속구의 형성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부재와 숫부재의 단면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결속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의 권선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의 권선방법의 다른예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권선 결속 커플러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C)는, 서로 탈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숫부재(100)와 암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숫부재(100)와 암부재(200)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와이어 접속구(110,210)가 m×n의 행렬 형태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와이어 접속구(110,210)에는 각각 와이어(W,W')가 끼워져서 전기적으로 통전되게 연결된다.
여기서, 와이어(W,W')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거나 전자기장을 형성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는 외부에 피복이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W,W')의 표면에 절연층을 도막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숫부재(100)와 암부재(2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숫부재(100)와 암부재(200)는 통상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판상부재이며, 특히 전기적으로 통전되지 않도록 절연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재질로는, 예시적으로, 수지계나 세라믹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숫부재(100)와 암부재(200)에는 윗면에 각각 행렬 형태로 복수의 와이어 접속구(110,210)가 관통형성된다. 이때, 이들 와이어 접속구(110,210)는, 도 2와 같이, m×n의 행렬 형태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와이어 접속구(110,210)에는 와이어(W,W')를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m과 n은 자연수로서, 제조하고자 하는 권선수의 층수와 각 층수에 따른 권선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서, 10×100인 경우, 1행(제1층)에 각각 100회의 권수가 감기며, 이렇게 감긴 층수가 10행(제10층)까지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층수는 최대 10층까지 형성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필요한 만큼의 층수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층수의 형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권선방법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숫부재(100)와 암부재(200)는 서로 탈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3과 같이, 요철결합을 이용한다. 이에, 상기 숫부재(100)에는 요홈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암부재(200)에는 이 요홈부(111)가 압입설치되도록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홈부(111)와 돌출부(211)는 마치 행렬과 같이 복수개를 형성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열(또는 행)의 형태로 형성하여 결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와이어 접속구(110,210)마다 하나씩 요홈부(111)와 돌출부(211)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 와이어 접속구(110,210)에는 각각 와이어(W,W')가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통전되어야 하는데, 이때 통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와 같이, 단자부(120,2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단자부(120,220)는 각각 와이어(W,W')를 고정시켜 주는 기능과 함께 서로 접촉이 쉽게 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단자부(120,220)는, 도 4와 같이 두께가 얇은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하여 와이어(W,W')가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게 하고, 특히 일단에는 플랜지부(121)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단자부(120,220)는 각각 와이어 접속구(110,210)에 끼움설치 또는 숫부재(100) 및 암부재(200)를 성형시 일체로 사출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부(120,220)는 플랜지부(121)가 서로 마주보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들 플랜지부(121)에 의하여 쉽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권선 결속 커플러(C)는 요철 결합방식으로 탈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 작업대상물이 대형이 경우와 같이 요철결합으로 탈장착이 어렵거나 강한 장착력 등을 요구하는 경우 체결방식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권선 결속 커플러(C')는 도 5와 같이 와이어 접속구(110,210)의 행과 열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와이어(W,W')의 결속시 이들 와이어(W,W')사이가 보다 촘촘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권선 결속 커플러(C)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권선이 이루어지게 된다.
( 권선방법 )
본 발명에 따른 권선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권선결속 커플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과 함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를 이용하여 권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6단계에 걸쳐 수행된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권선방법에서는 파이프와 같이 원형인 대상물(P)에 대하여 한쌍의 권선 결속 커플러(C1,C2)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들 권선 결속 커플러(C1,C2)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서, 구성에 대하여 별도의 설명을 하지 않았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소문자를 붙여서 사용한다.
제1단계는 숫부재(100a,100b)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여기서는, 2개의 권선 결속 커플러(C1,C2)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상물(P)을 감쌀 수 있는 간격, 즉 대상물(P)의 외경 정도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숫부재(100a,100b)를 나란하게 배치한다.
제2단계는 숫부재(100a,100b) 사이에 와이어(W)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와이어(W)는 양단이 각각 와이어 접속구(110a,110b)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때, 이들 와이어(W)는 다음과 같이 장착된다.
우선, 각 숫부재(100a,100b)의 제1행에서 각각의 열과 열 사이를 각각 와이어(W)로 연결한다. 즉, 숫부재(100a,100b) 사이에서 서로 인접한 1행 사이에서 서로 대응하는 열, 즉 1열과 1열, 그리고 2열과 2열.....n열과 n열을 각각 와이어(W)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모든 열을 연결하여 제1행(제1층)을 구성한다. 여기서, n은 자연수로서 한 행에 형성된 가장 마지막 위치에 있는 와이어 접속구(110)를 의미한다.
이어 동일한 방법으로 제2행부터 필요한 행까지 반복하여 숫부재(100a,100b)에 와이어(W)을 연결한다. 이때, 와이어(W)는 행을 거듭할수록 그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는, 예를 들어서, 제2행의 와이어(W)가 제1행의 와이어(W)를 감싸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그만큼 원주상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때의 연결은 1행에 구성되는 열의 숫자와 그 행인 층수에 따라서 권선수가 결정되기 때문에 형성하고자 하는 권선수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층(행)으로 권선하는 경우 그 층과 층 사이에는 도 7과 같이, 절연재(30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제1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재(300)를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제3단계는 암부재(200a,200b)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암부재(200a,200b)는 상술한 숫부재(100a,100b)와 동일한 간격만큼 이격되게 하여 배치한다.
제4단계는 암부재(200a,200b) 사이에 와이어(W')를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와이어(W') 상술한 제2단계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연결되는 위치에서 그 차이가 있다.
즉, 제1행(제1층)의 경우, 암부재(200a)의 제1열과 다른 암부재(200b)의 제2열 사이를 와이어(W')로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술한 제2단계에서 서로 대응하는 열에 연결된 와이어(W)를 이웃한 열로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 외에 행의 형성이나 그 횟수 그리고 절연재(300)의 이용에 있어서는 제2단계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5단계는 권선층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단계이다. 이는 권선층이 2행이상 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즉, 상기 숫부재(100a,100b)에는 각각 1행의 경우 각 열마다 와이어(W)가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암부재(200a,200b) 그중 어느 하나의 암부재(200a)의 마지막 열에 와이어가 연결되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제2단계 및 제4단계를 수행함에 따라 각 행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이 가능한 상태가 되나, 복수의 층으로 제작하는 경우 행과 행 사이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된다.
이에, 제5단계에서는 이처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행과 행 사이에 전기적으로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와이어 연결이 안된 마지막 열과 그 다음 행의 마지막 열을 다시 와이어로 연결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제6단계는 숫부재(100a,100b)와 암부재(200a,200b)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결합은 대상물(P)을 중앙에 두고 그 위에 숫부재(100a,100b)를 두고 그 아래에 암부재(200a,200b)를 둔 다음 요철 결합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수행된다.
이에, 숫부재(100a,100b) 사이에서는 서로 대응하는 행이 연결되고, 암부재(200a,200b) 사이에서는 이웃한 행과 연결되어서 코일 형태로 권선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권선 결속 커플러의 배치방법)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이루어진 권선 결속 커플러를 통상적으로 원형 단면인 경우와 같이 2개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서 파이프의 직경이 대형인 경우 도 8과 같이 복수(8개)의 권선 결속 커플러(C)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권선 결속 커플러는, 예를 들어서 기름탱크와 같이 원형단면이 아닌 경우 그 기름탱크의 원형단면을 따라서 미리 정해진 간격에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권선하는 방법도 가능하게 된다.
물론, 대상물의단면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라도 그에 맞게 권선 결속 커플러를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쉽게 권선이 가능하게 된다.
100 : 숫부재
110, 210 : 와이어 접속구
111 : 요홈부
120, 220 : 단자부
121 : 플랜지부
200 : 암부재
211 : 돌출부

Claims (8)

  1. 일면에 각각 m×n의 행렬 형태로 와이어 접속구(110)가 관통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숫부재(100); 및
    상기 숫부재(100)와 탈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면에는 상기 와이어 접속구(11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와이어 접속구(210)가 형성된 절연재질의 암부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부재(100)와 암부재(200)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 요홈부(111)와 돌출부(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접속구(110,210)에는 각각 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단자부(120,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120,220)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와이어(W,W')가 수용되며, 일단에는 플랜지부(121)가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
  5.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접속구(110,210)는 각각 행과 열이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권선 결속 커플러(C)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권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숫부재(100a,100b)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는 제1단계;
    서로 인접한 숫부재(100a)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110)와 다른 숫부재(100b)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110')를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한 와이어(W)로 연결하는 제2단계(여기서, m·n·x·x'·y 그리고 y'는 자연수이고, 1≤x와 x'≤m, 1≤y와 y'≤n);
    적어도 2개의 암부재(200a,200b)를 상기 각 숫부재(100a,100b)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제3단계;
    서로 인접한 암부재(200b)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210)와 다른 숫부재(200a)의 x'행에 있는 각 y'열의 와이어 접속구(210')를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한 와이어(W')로 엇갈리게 연결하는 제4단계(여기서, m·n·x·x'·y 그리고 y'는 자연수이고, 1≤x와 x'≤m), 1≤y≤n, 2≤y'≤n);
    상기 숫부재(100a,100b)와 상기 암부재(200a,200b)에 행마다 하나씩 형성되는 권선층이 복수층일 때에, 인접한 권선층 사이에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시켜 주는 제5단계; 및
    각 숫부재(100a,100b)와 암부재(200a,200b)를 전기적으로 통전가능하도록 연결하여 조립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를 이용한 권선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와이어(W,W')에 의해 형성된 권선층 사이에는 절연재(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를 이용한 권선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 결속 커플러(C)는 권선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외형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 결속 커플러를 이용한 권선방법.
KR1020120057239A 2012-05-30 2012-05-30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KR10142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239A KR101420493B1 (ko) 2012-05-30 2012-05-30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239A KR101420493B1 (ko) 2012-05-30 2012-05-30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024A KR20130134024A (ko) 2013-12-10
KR101420493B1 true KR101420493B1 (ko) 2014-07-16

Family

ID=4998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239A KR101420493B1 (ko) 2012-05-30 2012-05-30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08758B (zh) * 2023-09-13 2023-11-28 苏州英磁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软磁材料磁性能测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605B2 (ja) * 1988-02-19 1994-06-15 株式会社日本システム研究所 分割コイル型同軸カプラ
KR20010013287A (ko) * 1997-06-02 2001-02-26 베르너 하르바우어 유도 소자
KR20130032102A (ko) * 2011-09-22 2013-04-01 주식회사 썬엘이디 조립식 코일을 구비한 트로이덜형 인덕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605B2 (ja) * 1988-02-19 1994-06-15 株式会社日本システム研究所 分割コイル型同軸カプラ
KR20010013287A (ko) * 1997-06-02 2001-02-26 베르너 하르바우어 유도 소자
KR20130032102A (ko) * 2011-09-22 2013-04-01 주식회사 썬엘이디 조립식 코일을 구비한 트로이덜형 인덕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024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599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9997972B2 (en) Bus b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us bar unit
US8203415B2 (en) Bobbin structure and transformer having the same
US7579729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US9831736B2 (en) Bus bar unit
US20170025907A1 (en) Stator for electric rotary machine
CN105027393A (zh) 汇流条单元
US7091815B2 (en) Electrical device, transformer, an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al device
KR101803879B1 (ko) 회전전기기계의 스테이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20493B1 (ko) 권선 결속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권선방법
US9184514B2 (en) Wiring structure improvement of insulation piercing connector
JP2009077534A (ja) 回転電機の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63487B2 (en) Household appliance electric motor terminal direct socket connection structure
US8334743B2 (en) Lead-out tube
JP5533472B2 (ja) 分岐回路の形成方法およびコネクタ
JP2007028759A (ja) モータの集中配電部材、集中配電部材の製造方法、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の製造方法
CN111327138A (zh) 线圈体
JP6353790B2 (ja) トランスボビンアッシー及びトランスの製造方法
CN107546900A (zh) 被分段的定子和用于互联所述定子的方法
JP2006333684A (ja) モータの集中配電部材
CN101854088A (zh) 电机芯部件
CN102751078A (zh) 变压器结构及其组装方法
KR101036886B1 (ko) 변압기 조립 방법
US20210350965A1 (en) Inductive device
JP4884321B2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