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691B1 -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구비한 제어 모듈 - Google Patents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구비한 제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691B1
KR101419691B1 KR1020137007259A KR20137007259A KR101419691B1 KR 101419691 B1 KR101419691 B1 KR 101419691B1 KR 1020137007259 A KR1020137007259 A KR 1020137007259A KR 20137007259 A KR20137007259 A KR 20137007259A KR 101419691 B1 KR101419691 B1 KR 10141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axle
coupling element
clutch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037A (ko
Inventor
푸-라이 위
친-티엔 후앙
Original Assignee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73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4Cord-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7Cellular screens, e.g. box or honeycomb-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제어 모듈은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소정 거리 만큼 작동 코드를 당기고, 그후 윈도우 차양이 후퇴할 때까지 작동 코드를 해제하고 그후 윈도우 차양을 다시 상승시키기 위하여 다른 소정 거리 만큼 작동 코드를 당길 수 있게 한다. 제동 기구는 제동 해제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 액슬을 로킹 또는 언로킹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는 코드 드럼을 액슬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액슬 주위에 장착되도록 적응된다. 코드 드럼은 클러치가 구동 액슬로부터 분리될 때 구동 액슬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작동 코드의 이동은 클러치가 분리되는 동안 윈도우 차양이 상승되게 하지 않는다. 클러치가 구동 액슬과 결합할 때, 코드 드럼 및 어댑터 슬리브는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구동 액슬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함께 회전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구비한 제어 모듈{A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윈도우 차양의 상승 또는 하강을 위한 윈도우 차양의 구동 액슬(drive axle)에 연결되도록 적응된 제어 모듈을 사용하는 윈도우 차양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유형의 윈도우 차양 및 윈도우 덮개들이 있다. 이러한 각 예들은 베네티안 블라인드(Venetian blinds), 로만 차양(Roman shades) 및 셀룰러 차양(cellular shades)을 포함한다. 윈도우 차양은 윈도우를 덮고 사생활을 증가시키고 윈도우를 통한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차단하면서 실내 또는 영역에 대한 햇빛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하강될 수 있다. 윈도우 차양들은 윈도우를 통한 완전하면서 선명한 시야를 제공하거나 또는 햇빛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승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윈도우 차양은 작동 코드를 조작함으로써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도록 아래 방향으로 작동 코드를 당기고 윈도우 차양을 하강시키도록 작동 코드를 해제할 수 있다.
전형적인 방식에서, 작동 코드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 내에서 구동 액슬에 부착되고 윈도우 차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작동 코드를 아래 방향으로 당기면 구동 액슬이 지지 코드를 회전시키고 권취하여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게 하고, 작동 코드를 해제하면 구동 액슬이 대향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따라서 윈도우 차양을 하강시킨다. 상승될 윈도우 차양의 양으로 인하여, 작동 코드의 이동은 상당히 길 수 있고, 윈도우 차양이 상승할 때에도 코드 자체 길이도 역시 길다.
긴 작동 코드의 일반적으로 원하지 않는 심미적 외형 이외에도, 작동 코드는 여러 사용자들 및 특히 어린 자녀들에게 큰 위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어린 자녀들은 작동 코드들이 자녀들의 목에 감겨질 때 질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작동 코드를 어린 자녀들의 범위 밖의 높은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특정 유형의 윈도우 및 윈도우 차양을 취급할 때 어려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차양이 근접위치에 있는 동안에는, 작동 코드가 높은 위치에 있다. 사용자가 작동 코드를 아래로 당겨서 윈도우 차양을 개방할 때, 작동 코드는 위험한 하부 위치에서 매달릴 수 있는 하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하부 위치는 어린 자녀에게 위험할 수 있다.
종종, 사용자가 이러한 성질의 긴 작동 코드를 조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 코드를 아래로 당기기 위하여 팔 운동을 사용할 수 있다. 임의의 지점에서, 그러나 사용자의 팔은 완전히 펴지고 사용자는 더 이상 코드를 아래로 당길 수 없다. 이는 사용자가 작동 코드를 높은 위치에서 해제하고 재-파지해야 하는 것과 윈도우 차양을 원하는 높이로 가져가기 위하여 작동 코드를 아래로 지속적으로 당겨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절차는 지루하고 의도하지 않게 불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짧은 길이의 작동 코드를 갖는 윈도우 차양을 작동시킬 수 있는,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신규한 제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제어 기구는 윈도우 차양의 개방의 바람직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로킹 위치를 향하여 편향된다. 제어 기구는 작동 코드 또는 제어 스틱(control stick)에서의 당김 동작(pulling action)에 의해서 언로킹 위치(unlocked position)로 전환될 수 있고, 윈도우 차양의 저부 레일을 하강시킬 수 있다.
윈도우 차양 조립체는 작동 코드를 당김으로써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윈도우 차양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 코드를 하향 방향으로 완만하게 당김으로써 윈도우 차양을 하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 코드를 하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당김으로써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킬 수 있다.
윈도우 차양은 작동 코드를 당김 및 해제(releasing) 프로세스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래칭 기법(ratcheting technique)과 유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작동 코드를 당길 수 있고, 그후 작동 코드는 후퇴할 수 있고, 그후 작동 코드를 다시 당겨서 계속해서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윈도우 차양이 적당한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윈도우 차양이 당기술에 공지된 다른 윈도우 차양 조립체들보다 훨씬 짧은 길이를 갖는 작동 코드로 구성될 수 있게 한다. 작동 코드는 윈도우 차양의 1/2 길이보다 작을 수 있고 일반적으로 차양을 완전히 상승시키는 작동 코드에서의 3번의 당김을 의미하는 윈도우 차양의 약 1/3 높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이 클러치는 사용자가 작동 코드를 하향 방향으로 당겨서 윈도우 덮개를 상승시킬 수 있게 하고 그후 작동 코드를 해제하여 작동 코드가 상향으로 후퇴할 수 있게 한다. 클러치가 구동 액슬로부터 분리될 때, 작동 코드의 후퇴는 윈도우 차양이 이동하게 하지 않는다. 대신에, 윈도우 차양은 고정 위치에 잔류할 것이다. 사용자는 그때 윈도우 차양을 계속해서 상승시키도록 작동 코드를 하향으로 계속해서 다시 당길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윈도우 차양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것이다.
작동 코드가 계속해서 하향 방향으로 당겨지는 동안, 제동 기구는 언로킹 위치로 이동하여 구동 액슬의 회전을 허용하고 클러치는 구동 액슬을 갖는 코드 드럼과 작동가능하게 결합한다.
작동 코드는 당겨지고 제동 기구는 제동 해제부에 의해서 언로킹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제동 해제부는 초기의 편향 로킹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제동 기구가 언로킹되고 구동 액슬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게 한다. 제동 해제부가 작동 코드의 하향 이동 또는 개별적으로 연결된 제어 스틱의 이동에 의해서 이동할 때, 제동 기구는 언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동 기구는 어댑터 슬리브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서 구동 액슬을 고정 위치에서 유지하고 윈도우 차양을 특정 높이에서 로킹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어댑터 슬리브를 초기 로킹 위치에서 견고하게 클램프하도록 구성된 토션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 작동 코드가 당겨지면, 제동 해제부는 스프링 요소의 부분을 이동시키고 그에 의해서 어댑터 슬리브 주위에서 스프링 요소의 파지를 느슨하게 하여 슬리브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작동 코드는 당겨지고 클러치는 구동 액슬을 갖는 코드 드럼 조립체와 맞물린다. 구동 액슬은 상승 코드를 통해서 윈도우 차양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특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윈도우 차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클러치가 맞물릴 때, 작동 코드는 코드 드럼을 회전시켜서 연결하고 구동 액슬을 회전시켜서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클러치가 분리될 때, 코드 드럼은 구동 액슬에 연결되지 않고 구동 액슬과 독립적으로 회전한다. 일 예에서, 클러치는 코드 드럼 조립체를 구동 액슬에 고정된 어댑터 슬리브와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클러치가 맞물릴 때, 코드 드럼 조립체, 어댑터 슬리브 및 구동 액슬은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도록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클러치는 제 1 커플링 요소 및 제 2 커플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커플링 요소 및 제 2 커플링 요소는 제 1 및 제 2 위치로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의 외면들은 폐루프 구성을 형성하는 가이드 트랙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의 외면들은 정지 영역을 구비하는 루프 구성을 형성하는 가이드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롤링 볼(rolling ball)과 같은 트랙 부재는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이 회전할 때 가이드 트랙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롤링 볼이 정지 영역에서 정박하는 동안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중에, 롤링 볼은 어댑터 슬리브의 반경방향 홈과 접촉하여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클러치가 코드 드럼과 맞물려서 코드 드럼을 어댑터 슬리브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 및 어댑터 슬리브는 그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여 구동 액슬을 구동하고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클러치는 구동축을 따른 구동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톱니들 및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를 구비한 커플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는 코드 드럼의 외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드 드럼이 제 1 방향으로 회전할 때, 가이드 트랙은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주위에서 이동하여 커플링 요소가 어댑터 슬리브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회전중에,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는 가이드 트랙의 단부 지점에 도달하고 커플링 요소의 복수의 톱니들은 어댑터 슬리브의 복수의 톱니들과 맞물릴 것이다. 커플링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은 코드 드럼 상의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가 코드 드럼 상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과 맞물릴 수 있게 허용하도록 변환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들 구성은 클러치가 코드 드럼과 맞물려서 어댑터 슬리브에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코드 드럼, 커플링 요소, 및 어댑터 슬리브는 그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여 구동 액슬을 구동하고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 모듈을 갖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제어 모듈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제 1 커플링 요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제 2 커플링 요소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제동 기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어댑터 슬리브(adapter sleeve)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어댑터 슬리브의 전방 입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제동 해제부(brake release)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해제 위치에 있는 제어 모듈의 제동 해제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코드 드럼 조립체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제 1 커플링 요소 및 코드 드럼 조립체의 전방 입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업 위치(locked up position) 및 해제 다운 위치(release down position)를 갖는 제동 해제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제 1 커플링 요소를 갖는 제 1 전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코드 드럼 조립체의 전방 입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들을 갖는 클러치의 제 1 커플링 요소 및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들을 갖는 클러치의 제 2 커플링 요소의 전방 입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정지 영역을 갖는 루프 구성(loop configuration)을 형성하도록 함께 회전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클러치의 제 1 커플링 요소 및 클러치의 제 2 커플링 요소의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정지 영역을 갖는 루프 구성을 형성하도록 함께 회전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제 1 커플링 요소 및 제 2 커플링 요소의 외면의 언폴드(unfolded)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제 1 커플링 요소와 반대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코드 드럼 조립체의 전방 입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들을 갖는 클러치의 제 1 커플링 요소 및 복수의 반경방향 리브들을 갖는 클러치의 제 2 커플링 요소의 전방 입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폐루프 구성(closed-loop configuration)을 형성하도록 함께 회전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제 1 커플링 요소 및 제 2 커플링 요소의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폐루프 구성이 형성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제 1 커플링 요소 및 제 2 커플링 요소의 외면의 언폴드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어 스틱을 구비한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사시도.
도 23a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저부 레일이 상승 위치에 있는 도 22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3b는 로킹 업 위치에서 해제 다운 위치로 제동 해제부를 이동시키는 제어 스틱을 도시하는, 도 22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3c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저부 레일이 하부 위치에 있는, 도 22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3d는 저부 레일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작동 코드를 도시하는, 도 22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구비한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사시도.
도 25a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저부 레일이 상승 위치에 있는, 도 24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5b는 로킹 업 위치에서 해제 다운 위치로 제동 해제부를 작동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제어 스틱을 도시하는, 도 24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5c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저부 레일이 하강 위치에 있는, 도 24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5d는 저부 레일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작동 코드를 당기는 제어 스틱을 도시하는, 도 24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을 구비한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차양 조립체의 제어 모듈의 전개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측면도.
도 29a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커플링 요소의 측면도.
도 29b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도 29a에 도시된 클러치의 커플링 요소의 상면도.
도 29c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도 29a에 도시된 클러치의 커플링 요소의 전방 입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제동 기구의 측면도.
도 31a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어댑터 슬리브의 측면도.
도 31b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도 31a의 제어 모듈의 어댑터 슬리브의 상면도.
도 31c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도 31a의 제어 모듈의 어댑터 슬리브의 전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제동 해제부의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의 제동 해제부의 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클러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외면을 갖는 제어 모듈의 코드 드럼 조립체의 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 업 위치 및 언로킹 업 위치를 갖는 제어 모듈의 제동 해제부의 사시도.
도 36a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부분(stud portion)이 가이드 트랙의 중간 부분에 놓여지는 클러치의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코드 드럼의 언폴드 측면도.
도 36b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톱니(cog)를 갖는 어댑터 슬리브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톱니들 및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를 구비한 클러치의 커플링 요소의 측면도.
도 37a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의 단부 부분으로 이동하는, 제 1 전방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을 구비한 코드 드럼의 언폴드 측면도.
도 37b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커플링 요소의 복수의 톱니들이 어댑터 슬리브의 복수의 톱니들과 맞물리도록, 어댑터 슬리브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클러치의 커플링 요소의 측면도.
도 38a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의 단부 부분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의 중간 부분으로 이동하는 제 2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는 코드 드럼의 언폴드 도면.
도 38b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커플링 요소의 복수의 톱니들이 어댑터 슬리브의 복수의 톱니들과 분리되게 이동하도록, 어댑터 슬리브로부터 축방향으로 멀리 이동하는 클러치의 커플링 요소의 측면도.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의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이다. 공보물은 원리의 예시 및 본 발명의 형태로서 계획된 것이므로, 본 발명을 예시된 실시예들로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윈도우 차양 조립체(10)가 도시된다. 윈도우 차양 조립체(10)는 헤드 레일(12), 윈도우 차양(14), 저부 레일(16), 구동 액슬(18), 작동 코드(20), 제어 모듈(22) 및 헤드 레일(12)과 저부 레일(16) 사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코드(도시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차양(14)은 저부 레일(16)을 헤드 레일(12)을 향하여 상승시킴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키는 것은 헤드 레일(12)과 저부 레일(16) 사이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코드를 권취하도록 작동 코드(20)를 조작하여 실행될 수 있다. 저부 레일(16)의 하강 및 윈도우 차양(14)의 폐쇄는 서스펜션 코드를 풀기 위하여 작동 코드(20)를 조작하여 실행되고 그에 의해서 저부 레일(16)을 하강시킬 수 있다. 윈도우 차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서스펜션 코드를 사용하는 것은 참고로 본원에 합체된 유(Yu)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7,275,580호 및 유 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공보 제2008/00179017호에 기재되어 있다.
윈도우 차양(14)은 당기술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윈도우 차양(14)은 벌집 재료(honeycomb material), 베네티안 블라인드(Venetian blinds) 또는 당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차양과 같은 옷감 재료일 수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윈도우 차양(14)은 서로 수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레일들 또는 슬랫(slat)들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레일(12)은 당기술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임의의 유형의 차양일 수 있다. 헤드 레일(12)은 윈도우 차양 조립체(10)의 상단 부분에 위치하고 구동 액슬(18) 및 제어 모듈(22)을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부 레일(16)은 일반적으로 당기술에 공지된 임의의 유형이고 윈도우 차양 조립체(10)의 저부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저부 레일(16)은 윈도우 차양(14)을 상향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코드(20) 및 서스펜션 코드(도시생략)에 의해서 상승할 수 있다.
구동 액슬(18)은 구동축을 형성할 수 있고 구동 액슬(18)의 회전이 저부 레일(16)을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게 하도록 저부 레일(16)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구동 액슬(18)의 회전은 서스펜션 코드가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키게 하고 그에 따라서 윈도우 차양(14)을 상승시키게 한다. 구동 액슬(18)은 제어 모듈(22)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 코드(20)의 이동에 반응하여 윈도우 차양(14)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5에 있어서, 윈도우 차양 조립체(10)는 사용자가 작동 코드(20)를 당김으로써 윈도우 차양(14)을 상승 및 하강시키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 코드(20)를 하향 방향으로 완만하게 당김으로써 윈도우 차양(14)을 하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그때 작동 코드(20)를 해제할 수 있고, 작동 코드는 상향 방향으로 변위될 것이다. 그러나, 작동 코드(20)의 상향 변위는 윈도우 차양(14)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유발하지 않는다. 대신에, 윈도우 차양(14)은 고정되고 및 로킹된 높이에서 잔류할 것이다. 사용자는 작동 코드(20)를 하향 방향으로 계속해서 당겨서 윈도우 차양(14)을 계속해서 상승시킬 수 있다.
일 예에서, 윈도우 차양 조립체(10)는 작동 코드(20)를 당기고 그후 작동 코드(20)를 해제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사용자가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비교적 짧은 작동 코드(20)를 가질 수 있다. 작동 코드(20)는 윈도우 차양의 1/2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작동 코드가 윈도우 차양의 1/3 높이일 때, 윈도우 차양은 코드의 3번 당김시에 상승된다. 이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작동 코드(20)를 당겨서 윈도우 차양(14)을 임의의 양으로 상승시키고, 그후 작동 코드(20)가 후퇴할 수 있게 하고, 그후 작동 코드(20)를 다시 당겨서 계속해서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킬 수 있게 하는 래칭 기법과 유사하다. 이 프로세스는 윈도우 차양(14)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작동 코드가 당기술에 기존에 공지된 것 보다 훨씬 짧게 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모듈(22)의 일 예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제어 모듈(22)은 제동 기구(機構)(24), 제동 해제부(26), 코드 드럼(28) 및 클러치(30)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22)은 양호하게는 또한 코드 드럼(28)을 구동하기 위한 스프링 모터와 같은 모터 기구(32)를 포함한다. 그러나 모터 기구(32)는 또한 제어 모듈(22)의 외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2)은 또한 하우징(34), 지지 패널(36), 및 제어 모듈(22)의 상이한 요소들을 둘러싸도록 구성된 덮개 패널(38)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30)는 코드 드럼(28)의 운동들을 구동 액슬(18)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30)가 분리 상태에 있을 때, 구동 액슬(18) 및 코드 드럼(28) 사이의 상대 운동이 허용된다. 예로서, 저부 레일(16) 및 윈도우 차양(14)의 하중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 액슬(18)은 윈도우 차양(14) 및 저부 레일(1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정지 상태로 유지되는 코드 드럼(28)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또는 구동 액슬(18)이 정지 위치에서 로킹되는 동안 코드 드럼(28)은 작동 코드(10)를 권취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30)가 결합상태에 있을 때, 코드 드럼(28)의 회전은 윈도우 차양(14) 및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클러치(30)를 통해서 구동 액슬(18)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30)는 제동 기구(24) 및 코드 드럼(28) 사이에 위치하고, 제 1 커플링 요소(40) 및 제 2 커플링 요소(42), 스프링 요소(44), 장착 고정구(46,48), 및 롤링 볼과 같은 롤링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예에서, 클러치(30)는 또한 어댑터 슬리브(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장착 고정구(46,48)는 구동 액슬(18)의 축을 따라 덮개 패널(38)로부터 연장되는 고정 로드(49) 상의 이격된 위치들에 부착될 수 있다. 제 1 커플링 요소(40)는 장착 고정구(48)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주위에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제 2 커플링 요소(42)는 다른 장착 고정구(46)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주위에 피봇식으로 조립되어서, 제 1 커플링 요소(40) 및 제 2 커플링 요소(42)는 클러치(30)를 결합 상태 및 분리 상태중 하나로 선회시키기 위한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 액슬(18)의 축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제 1 커플링 요소(4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제 2 커플링 요소(42)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커플링 요소(40)는 양호하게는 제 1 커플링 요소(40)의 2개의 단부 부분들 사이로 연장되는 원통형 외면(66)을 포함한다. 외면(66)은 클러치(30)의 가이드 트랙(64)과, 적어도 하나의 노치(6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커플링 요소(40) 주위로 연장되는 리세스 영역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2개의 노치(65)는 서로로부터 대략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코드 드럼(28)의 근위에 있는 제 1 커플링 요소(40)의 제 1 단부 부분은 코드 드럼(28)이 어느 한 방향으로 제 1 커플링 요소(40)의 회전 운동을 구동하기 위하여 맞물릴 수 있는 2개의 대향 반경방향 플랜지(52)를 포함한다. 제 2 커플링 요소(42)의 근위에 있는 제 1 커플링 요소(40)의 제 2 단부 부분은 노치(65) 근위의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맞대임부(54)를 가진다(도 14). 2개의 반경방향 맞대임부(54)는 양호하게는 대략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들에서 제 1 커플링 요소(40)의 외면 상에 형성되고, 각 대응 노치(65)에 대해 근위에 있다. 제 1 커플링 요소(40)는 또한 반경방향 맞대임부(54)로부터 각도있게 이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56)을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2개의 홈(56)은 대략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들에서 제 1 커플링 요소(40)의 외면 상에 형성되고, 각 홈(56)은 하나의 대응 반경방향 맞대임부(54)의 근위에 있다.
도 5에 있어서, 제 2 커플링 요소(4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제 1 커플링 요소(40)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커플링 요소(42)는 양호하게는 외면(68)을 각각 구비한 2개의 대략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반경방향 리브들(58), 및 제 2 커플링 요소(42)의 중심을 향하여 반경방향을 따라 각 반경방향 리브(58)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60)를 구비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는 서로 조립되고,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의 원주를 따라 이동하는 폐-루프 가이드 트랙(64)은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의 외면들(66,68) 사이에 형성된다. 반경방향 리브(58)는 그때 각각 제 1 커플링 요소(40)의 하나의 대응 노치(65)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고, 연장부(60)는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 사이의 상대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대응 홈(56)을 통해서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반경방향 리브(58)는 그에 의해서 노치(65) 내에서 슬라이드되어서 (도 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랙(64)에서 정지 영역(61)을 형성하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있어서, 어댑터 슬리브(76)는 양호하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구동 액슬(18) 상에 부착되어서 어댑터 슬리브(76) 및 구동 액슬(18)이 모두 일치되게 회전한다. 어댑터 슬리브(76)는 중심 구멍(77) 및 중심 구멍(77)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구동 액슬(18)의 축과 선형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반경방향 홈(78)을 포함한다. 일단 클러치(30)가 조립되면,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는 어댑터 슬리브(76)의 중심 구멍(77)을 통해서 배치되어서, 가이드 트랙(64)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댑터 슬리브(76)의 반경방향 홈(78)의 길이와 중첩되고, 롤링 부재(50)는 가이드 트랙(64) 및 반경방향 홈(78) 안으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클러치(30)가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 사이의 상대 위치는 구동 액슬(18) 및 어댑터 슬리브(76)가 코드 드럼(28)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므로, 롤링 부재(50)가 반경방향 홈(78) 및 가이드 트랙(64)을 따라서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의 원주 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클러치(30)가 결합 상태에 있을 때, 제 2 커플링 요소(42)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65)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서 가이드 트랙(64)에서 리세스형 정지 영역(61)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커플링 요소(40)에 대한 제 2 위치로 각도있게 변위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트랙(64) 및 반경방향 홈(78)을 따른 롤링 부재(50)의 이동은 정지 영역(61)에서 차단되어서, 코드 드럼(28)으로부터의 회전 이동은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를 통해서 어댑터 슬리브(76) 및 구동 액슬(18)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클러치(30)는 코드 드럼(28)으로부터 구동 액슬(18)로 직접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코드 드럼(28)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제 2 커플링 요소(42)의 측부에 대향하는 제 1 커플링 요소(40)의 일 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정지 로드(49) 주위에서 피봇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코드 드럼(28)은 작동 코드(20)와 연결되고 코드 드럼(28) 주위에서 작동 코드(20)를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코드 드럼(28)은 또한 클러치(30)의 회전 이동을 구동하기 위하여 제 1 커플링 요소(40)의 반경방향 플랜지(52)와 결합할 수 있는 제 1 커플링 요소(40)에 인접한 하나의 단부 부분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플랜지(62)를 포함한다.
도 2,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코드 드럼(28)은 작동 코드(20)를 그 위에 권취하는 방향으로 코드 드럼(28)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모터 기구(32)와 결합된다. 모터 기구(32)는 코드 드럼(28)의 내부 캐비티를 통해서 조립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고, 토션 스프링은 정지 로드(49)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코드 드럼(28)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구비한다. 대안으로, 모터 기구(32)는 제어 모듈(22)로부터 분리된 모터 디바이스일 수 있지만 코드 드럼(28)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코드 드럼(28)의 역회전을 구동한다.
도 2, 도 3, 도 6,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제동 기구(24)는 구동 액슬(18) 주위에 장착되고 구동 액슬(18)을 제위치에서 조이고 로킹하도록 작동할 수 있고 또는 그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동 액슬(18)을 느슨하게 하고 언로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동 기구(24)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요소(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70)는 일반적인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어댑터 슬리브(76) 주위에 장착된다. 스프링 요소(70)는 제 1 프롱(prong;72) 및 제 2 프롱(74)을 가진다. 제 1 프롱은 스프링 요소(7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34)에 고정되고, 제 2 프롱(74)은 스프링 요소(7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가능한 제동 해제부(26)에 고정된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제동 해제부(26)는 제동 기구(24)를 로킹 및 언로킹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동 해제부(26)는 일반적인 원통형 칼라 부분(collar portion; 82), 편심 위치에서 칼라 부분(82)에 연결되고 스프링 요소(70)의 제 2 프롱(74)에 견고하게 결합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release actuator crank; 8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 부분(82)은 구동 액슬(18)의 구동축에 동축방향으로 장착되지만, 구동 액슬(18)의 운동과는 독립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칼라 부분(82)은 제 1 커플링 요소(40)의 일 부분 주위에 피봇식으로 조립되고,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는 구동 액슬(18)의 구동축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동 해제부(26)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는 비교적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제동 기구(24)의 스프링 요소(70)는 구동 액슬(18)을 제위치에서 조이고 로킹할 수 있다. 제동 해제부(26)가 해제 위치로 아래로 당겨질 때,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는 비교적 낮은 위치로 변위되고, 또한 스프링 요소(70)를 느슨하게 해서 구동 액슬(18)을 언로킹하는 방향으로 제 2 프롱(74)을 당기고, 그에 의해서 구동 액슬(18)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보어(84)는 또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의 단부 부분에 제공되고 제동 해제부(26)를 작동시키기 위한 릴리스 기구(release mechanism)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코드(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보어(84)를 가동식으로 통과할 수 있고 작동 코드(20) 상에 고정식으로 부착된 정지 플러그(86)는 보어(84)와 결합할 수 있다. 정지 플러그(86)가 보어(84)와 결합하는 동안, 사용자는 제동 해제부(26)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서 구동 액슬(18)을 언로킹하고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작동 코드(20)를 완만하게 당길 수 있다.
작동 코드(20)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지 않는 동안, 윈도우 차양(14)은 고정 위치에서 로킹된다. 이 위치에서, 제동 기구(24)의 스프링 요소(70)는 어댑터 슬리브(76)를 조이고, 이는 구동 액슬(18)의 회전을 차단한다. 대안으로, 어댑터 슬리브(76)는 제거될 수 있고 스프링 요소(70)는 회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동 액슬(18) 주위에 직접 조여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저부 레일(16)을 하강시키기를 원할 때, 작동 코드(20)가 완만하게 아래로 당겨져서 제동 해제부(26)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스프링 요소(70)가 느슨해지게 할 수 있다. 제동 해제부(26)는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를 아래 위치로 편향시킴으로써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는 작동 코드(20)를 아래로 약간 당김으로써 아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작동 코드의 이동은 정지 플러그(86) 및 보어(84) 사이의 결합부를 통해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로 전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는 또한 제어 스틱(87)을 아래로 당김으로써 아래로 이동할 수 있고, 제어 스틱은 작동 코드(20)로부터 분리되고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와 연결된다. 정지 플러그(86)가 보어(84)와 결합하고 제동 해제부(26)가 해제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언로킹 구동 액슬(18)은 저부 레일(16) 및 그 위에 적층된 윈도우 차양(14)의 하중에 의해서 구동되는, 저부 레일(16)에 부착된 서스펜션 코드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액슬(18) 및 어댑터 슬리브(76)가 저부 레일(1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동안, 롤링 부재(50)는 반경방향 홈(78) 및 클러치(30)의 가이드 트랙(64)을 따라 구른다. 특히 저부 레일(16)이 하강하는 동안, 스프링 요소(44)는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를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저항력을 작용시켜서, 클러치(30)가 가이드 트랙(64)에서 정지 영역(61)없이 분리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분리 상태에서, 제 2 커플링 요소(42)의 반경방향 리브(58)는 제 1 커플링 요소(40)의 노칭(65) 내의 반경방향 맞대임부(54)로부터 이격된다.
일단 아래로 이동하는 저부 레일(16)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스프링 요소(70)가 그 초기 위치를 회복하고 어댑터 슬리브(76) 주위에서 조여지므로 제동 해제부(26)는 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구동 액슬(18) 및 어댑터 슬리브(76)를 제위치에서 로킹하고 저부 레일(16)이 원하는 높이에서 로킹될 수 있게 한다.
도 14 내지 도 17에 있어서, 사용자가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키는 것을 원할 때, 작동 코드(20)는 아래로 당겨져서, 제동 해제부(26)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여 구동 액슬(18) 및 어댑터 슬리브(76)를 언로킹하게 할 수 있다. 일단 제동 해제부(26)가 해제 위치에 있으면, 작동 코드(20)의 추가로 아래로 당기는 힘은 정지 플러그(86)가 보어(84)로부터 퇴각되게 하고 작동 코드(20)가 코드 드럼(28)으로부터 풀려서 보어(84)를 통해서 활주하게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드럼(28)은 작동 코드(20)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코드 드럼(28)의 반경방향 플랜지(62)가 제 1 커플링 요소(40)의 반경방향 플랜지(52)에 대해서 밀쳐지게 한다. 제 1 커플링 요소(40)의 반경방향 맞대임부(54)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플링 요소(42)의 반경방향 리브(58)에 대해서 밀쳐질 때까지, 제 1 커플링 요소(40)는 그에 의해서 제 2 커플링 요소(42)에 대해서 이동하도록 각도가 형성되게 추진된다. 이 제 2 위치에서, 가이드 트랙(64)의 구성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정지 영역(61)을 형성하도록 변경된다.
작동 코드(20)가 추가로 아래로 당겨질 때, 롤링 부재(50)가 정지 영역(61)에 위치할 때까지 코드 드럼(28) 및 클러치(30)는 함께 회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최근접 정지 영역(61)에 도달하기 위하여 롤링 부재(50)의 코스를 제한하도록 가이드 트랙(64) 내에 2개의 정지 영역(61)이 형성될 수 있다. 롤링 부재(50)가 정지 영역(61)에 도달하면, 클러치(30)는 결합 상태로 선회된다. 정지 영역(61)에서 그리고 어댑터 슬리브(76)의 반경방향 홈(78) 내에서의 롤링 볼(50)의 맞대임으로 인하여, 동일 방향으로의 작동 코드(20)에서의 추가로 당김 작용은 코드 드럼(28)의 추가 회전을 유발할 수 있고, 이 코드 드럼의 회전은 반경방향 플랜지들(62,52) 사이의 접촉을 통해서 코드 드럼(28)으로부터 클러치(30)로 전달될 수 있고, 어댑터 슬리브(76)의 반경방향 홈(78) 및 클러치(30)의 정지 영역(61) 사이의 롤링 부재(50)의 결합을 통해서 클러치(30)로부터 구동 액슬(18)로 전달될 수 있다. 저부 레일(16)은 그때 작동 코드(20)를 아래로 당김으로써 구동되는 코드 드럼(28)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부 레일(16)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 또는 작동 코드(20)가 완전히 전개된 후와 같은 임의의 특정 시간에 작동 코드(20)를 해제할 수 있다. 반응시에, 스프링 요소(70)에 의해서 편향된 제동 해제부(26)의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가 그 초기 로킹 위치로 상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스프링 요소(70)는 그 조여진 구성으로 복귀하여 어댑터 슬리브(76) 주위를 단단히 고정한다. 스프링 요소(70)의 밀착 구성은 어댑터 슬리브(76) 및 구동 액슬(18)의 회전을 안전하게 로킹하여 차단한다. 그 결과, 어댑터 슬리브(76) 및 구동 액슬(18)은 고정되고 윈도우 차양(14)은 원하는 높이에서 제위치에 로킹된다. 한편, 모터 스프링(32)은 코드 드럼(28)의 역회전을 구동하고 그에 의해서 작동 코드(20)가 후퇴하여 코드 드럼(28) 주위에서 권취되게 한다.
도 18에 있어서, 코드 드럼(28)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코드 드럼(28)의 반경방향 플랜지(62)는 제 2 커플링 요소(42)에 대해서 일치되게 회전하도록 제 1 커플링 요소(40)를 구동하기 위해 제 1 커플링 요소(40)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반경방향 플랜지(52)와 접촉하여 누른다.
도 19 내지 도 21에 있어서, 코드 드럼(28) 및 제 1 커플링 요소(40)의 회전은 도 21에 도시된 정지 영역(61) 없이 폐-루프 가이드 트랙(64)의 구성을 회복하기 위해 다른 맞대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제 1 커플링 요소(40)의 반경방향 맞대임부(54)가 제 2 커플링 요소(42)의 반경방향 리브(58)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한다. 연장부(6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6)의 단부 에지(56A)에 대해 맞대일 때, 정지 영역(61) 없는 폐-루프 가이드 트랙(64)의 구성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가 일치되게 회전하므로 모터 기구(32)가 작동 코드(20)를 권취하기 위하여 코드 드럼(28)의 역회전을 추가로 구동할 때, 클러치(30)가 분리 상태로 이동하게 한다. 정지 영역(61)은 가이드 트랙(64)으로부터 제거되므로,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의 결합 회전으로 인하여, 어댑터 슬리브(76) 내의 홈(78) 및 가이드 트랙(64)을 따른 롤링 부재(50)의 코스가 얻어진다. 스프링 요소(70)에 의해서 로킹된, 어댑터 슬리브(76) 및 구동 액슬(18)은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40,42) 및 코드 드럼(28)이 작동 코드(20)를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할 때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저부 레일(16) 및 윈도우 차양(14)은 작동 코드(20)가 코드 드럼(28) 주위로 권취될 때 제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다. 권취동작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완료하면[정지 플러그(86)가 보어(84)와 결합할 때까지 작동 코드(20)가 코드 드럼(28) 주위에서 권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윈도우 차양(14)을 추가로 리프트하기 위하여 작동 코드(20)를 아래 방향으로 다시 당길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윈도우 차양(14)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가지 반복될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도 22 내지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스틱(87)은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에 추가로 연결될 수 있고 초기 로킹 위치에서 해제 위치로 제동 해제부(26)를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스틱(87)은 작동 코드(20)가 중공 내부를 통과하고 제어 스틱(87)의 원위 단부(89)를 지나서 소정 거리를 연장하도록 일반적인 중공 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도 23a 내지 도 23c에 있어서, 사용자가 저부 레일(16)을 하강시키기를 원할 때, 제어 스틱(87)은 제동 해제부(26)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래로 당겨질 수 있다. 제어 스택이 아래로 당겨지는 동안, 제어 스틱(87)의 원위 에지(89) 및 작동 코드(20)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약간 감소할 수 있다. 제어 스틱(87)은 도 9 및 도 10의 도면부호 "80"과 유사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에 연결되므로, 작동 코드(20)는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특별히 사용되고 도 10 및 도 11의 도면부호 "86"과 유사한 정지 플러그를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겨질 때, 작동 코드(20)는 아래로 활주하여 제어 스틱(87) 외부로 추가로 연장되고, 제동 해제부(26)가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 상에 하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작동 코드(20)가 풀릴 때, 코드 드럼(28)은 저부 레일(16)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승하게 하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작동 코드(20)가 당겨지는 동안, 제어 스틱(87)의 원위 에지(89) 및 작동 코드(20)의 단부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다른 대안 실시예에서, 도 24 및 도 25a 내지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스틱(87)은 정지 플러그(86)에 근위에 있는 작동 코드(20)의 하부 단부(91)에 연결된다. 도 25a 내지 도 2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플러그(86)가 보어(84)와 결합하는 동안, 사용자는 제동 해제부(26)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어 스틱(87)을 완만하게 아래로 당김으로써 저부 레일(16)을 하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스틱(87)을 연속적으로 아래로 당김으로써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스틱(87)은 작동 코드(20)를 당겨서 정지 플러그(86)가 보어(84)로부터 퇴거하게 하고 코드 드럼(28)이 저부 레일(1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회전하게 한다. 단지 작동 코드(20)만을 갖는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본 실시예의 제어 스틱(87)은 일반적으로 강성이어서 일부 사용자들이 파지하기에 더욱 용이하고 따라서 저부 레일(16)을 하강 및 상승시키기에 더욱 용이하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는 도 26 내지 도 38에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25의 이전 실시예와 유사한, 윈도우 차양 조립체(100)는 사용자가 작동 코드(120)를 당김으로써 윈도우 차양(114)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작동 코드(120)를 아래 방향으로 완만하게 당김으로써 윈도우 차양(114)을 하강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 코드(120)를 아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당김으로써 윈도우 차양(114)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한, 본 실시예의 윈도우 차양 조립체(100)는 헤드 레일(112), 윈도우 차양(114), 저부 레일(116), 구동 액슬(118), 작동 코드(120), 제어 모듈(122) 및 서스펜션 코드(도시생략)를 포함한다.
기술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모듈(122)의 일 예는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된다. 제어 모듈(122)은 제동 기구(124), 제동 해제부(126), 코드 드럼(128) 및 클러치(130)를 포함한다. 제어 모듈(122)은 또한 코드 드럼(128)을 구동하기 위하여 스프링 모터와 같은 모터 기구(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모터 기구(132)는 또한 제어 모듈(122)의 외부에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122)은 또한 하우징(134), 지지 패널(136), 및 제어 모듈(122)의 상이한 요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덮개 패널(138)을 포함할 수 있다.
클러치(130)는 코드 드럼(128)의 운동들을 구동 액슬(118)과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130)가 분리 상태에 있을 때, 구동 액슬(118) 및 코드 드럼(128) 사이의 상대 운동들이 허용된다. 예로서, 저부 레일(116) 및 윈도우 차양(114)의 하중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동 액슬(118)은 코드 드럼(128)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하여 윈도우 차양(114) 및 저부 레일(11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코드 드럼(128)은 구동 액슬(118)이 정지 위치에서 로킹되는 동안 작동 코드(120)을 권취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130)가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코드 드럼(128)의 회전은 윈도우 차양(114) 및 저부 레일(11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클러치(130)를 통해서 구동 액슬(118)에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클러치(130)는 제동 기구(124) 및 제동 해제부(126)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코드 드럼(128)을 구동 액슬(118)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러치(130)는 커플링 요소(140) 및 분할 링(split ring;171)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러치는 또한 어댑터 슬리브(17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c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140)는 코드 드럼(128)의 원주 주위에 장착하기에 적합하고 대략 원통형 형상인 칼라 부분(151) 및 어댑터 슬리브(176)와 대면하는 대향 단부 부분을 구비한다. 커플링 요소(140)는 구동 액슬(118)의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피봇식으로 구성되고 결합 상태 또는 분리 상태중 어느 한 상태로 클러치(130)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구동 액슬(118)의 축을 따른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커플링 요소(14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어댑터 슬리브(176) 및 코드 드럼(128)과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커플링 요소(140)는 커플링 요소(140)의 2개의 단부 부분들 사이로 연장하는 외면을 포함한다.
커플링 요소(140)의 칼라 부분(151)은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스터드(152)를 포함하는 내면을 구비하고, 코드 드럼(128)은 커플링 요소의 회전 운동을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스터드와 결합할 수 있다. 반경방향 스터드(152)는 커플링 요소(140)의 칼라 부분(151)을 통해서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코드 드럼(128)의 외면 상에 제공된 연계된 가이드 트랙(156) 안으로 돌출되어 삽입된다. 도 36a, 도 37a 및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스터드(152)는 코드 드럼(128)이 회전할 때 반경방향 스터드(152)가 가이드 트랙(15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트랙(156)과 가동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156)은 코드 드럼(128)의 회전이 반경방향 스터드(152) 및 가이드 트랙(156)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구동 액슬(118)과 평행한 커플링 요소(140)의 병진 이동으로 변환될 수 있도록 성형될 수 있다. 예로서, 도 34에 더욱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트랙(156)은 구동축(118)의 축 상에 중심설정된 아크-형상의 제 1 섹션(156a), 및 제 1 섹션(156a)의 단부와 연결되고 커플링 요소(140)를 향하여 선회되는 제 2 섹션(156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트랙(156)은 커플링 요소(140) 상에 반경방향 스터드(152)의 양에 대응하는 양으로 제공된다.
어댑터 슬리브(176) 근위에 있는 커플링 요소(140)의 제 2 단부 부분은 어댑터 슬리브(176)와 대면하는 외면에 배치된 복수의 톱니들(154)을 구비한다. 복수의 톱니들(154)은 클러치(130)를 어댑터 슬리브(176)에 결합하기 위하여 어댑터 슬리브(176)의 한 대면 측부 상에 제공된 복수의 톱니들(178)과 접촉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6b 및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요소(140)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이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과 결합하거나 또는 복수의 톱니들로부터 분리되도록 반경방향 스터드(152) 및 가이드 트랙(156) 사이의 상호작용 및 코드 드럼(128)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된다. 클러치(130)는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이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과 결합할 때 결합 상태로 선회되고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이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과 분리될 때 분리 상태로 선회된다.
도 31a 내지 도 31c에 있어서, 어댑터 슬리브(176)는 양호하게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구동 액슬(118) 주위에 부착되어서, 어댑터 슬리브(176) 및 구동 액슬(118)은 모두 일치되게 회전한다. 어댑터 슬리브(176)는 중심 구멍(177) 및 어댑터 슬리브(176)의 일 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들(178)을 포함한다.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은 작동중에 커플링 요소(140)의 대응 복수의 톱니들(154)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단 클러치(130)가 결합 상태로 회전하면, 커플링 요소(140)는 어댑터 슬리브(176)의 중심 구멍(177)을 통해서 위치되어서,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은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과 정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톱니들(154,178)은 커플링 요소(14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톱니들이 서로 결합할 수 있고, 커플링 요소(1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삼각형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클러치(130)가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은 구동 액슬(118) 및 코드 드럼(128)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로부터 분리된다. 예로서, 구동 액슬(118) 및 어댑터 슬리브(176)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코드 드럼(128)으로부터 독립적인 저부 레일(11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거나 또는 코드 드럼(128)은 제위치에 로킹된 구동 액슬(118)로부터 독립적인 작동 코드(120)를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할 수 있다. 클러치(130)를 분리 상태로부터 결합 상태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코드 드럼(128)은 작동 코드(120)를 당김으로써 회전할 수 있고, 이는 커플링 요소(140)가 회전하고 그때 가이드 트랙(156)의 제 2 섹션(156b) 안으로 이동하는 반경방향 스터드(152)로 인하여 어댑터 슬리브(176)를 향하는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은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을 향하여 이동하여 결합하고, 그에 의해서 클러치(130)를 결합 상태로 선회시킨다. 결과적으로, 코드 드럼(128)의 회전 운동은 커플링 요소(140)를 통해서 어댑터 슬리브(176) 및 구동 액슬(118)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어댑터 슬리브는 제거될 수 있고 클러치(130)는 코드 드럼(128)으로부터 구동 액슬(118)로 직접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도 34에 있어서, 코드 드럼(128)은 일반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고 커플링 요소(140)의 측부에 대향하는 커플링 요소(140)의 일 측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정지 로드(149) 주위에서 피봇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코드 드럼(128)은 작동 코드(120)에 연결되고 코드 드럼(128) 주위에서 작동 코드(120)를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작동 코드(120)는 또한 구동 액슬(118)과의 연결을 위하여 클러치(13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코드 드럼(128)은 양호하게는 클러치(130)의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을 구동하기 위하여 커플링 요소(140)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152)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트랙(156)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코드 드럼(128)은 커플링 요소(140)의 적어도 3개의 스터드들과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3개의 가이드 트랙들을 구비할 것이다. 가이드 트랙(156) 및 스터드(152)은 전환될 수 있고 코드 드럼(128)은 커플링 요소의 가이드 트랙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27 및 도 28에 있어서, 코드 드럼(128)은 모터 기구(132)와 결합하고, 상기 모터 기구는 작동 코드(120)를 그 위에 권취하는 방향으로 코드 드럼(128)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모터 기구(132)는 코드 드럼(128)의 내부 캐비티를 통해서 조립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고, 토션 스프링은 정지 로드(149)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코드 드럼(128)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진다. 대안으로, 모터 기구(132)는 제어 모듈(122)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코드 드럼(128)의 역회전을 구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모터 기구(132)는 제어 모듈(122)로부터 분리되지만 코드 드럼(128)의 역회전을 구동하기 위하여 코드 드럼(12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모터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27, 도 28 및 도 30에 있어서, 제동 기구(124)는 구동 액슬(118) 주위에 장착되고 구동 액슬(118)을 제위치에서 조이고 로킹하거나 또는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구동 액슬(118)을 느슨하게 하고 언로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동 기구(124)는 토션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요소(17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요소(17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이고 원주에 따라서 조이거나 또는 느슨하게 하는 것을 허용하는 스프링과 같은 특성으로 구성된다. 스프링 요소(170)는 구동 액슬에 장착되고 제 1 프롱(172) 및 제 2 프롱(174)을 포함한다. 제 1 프롱(172)은 스프링 요소(17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134)에 고정되며, 제 2 프롱(174)은 스프링 요소(170)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가능한 제동 해제부(126)에 고정된다.
도 32 및 도 33에 있어서, 제동 해제부(126)는 제동 기구(124)를 로킹 및 언로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동 해제부(126)는 일반적인 원통형 칼라 부분(182), 스프링 요소(170)의 제 2 프롱(174)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편심 위치에서 칼라 부분(182)에 연결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칼라 부분(182)은 구동 액슬(118)의 구동축에 동축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지만, 구동 액슬(118)의 운동과는 독립적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칼라 부분(182)은 커플링 요소(140)의 일 부분 주위에 예시적으로 조립되고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는 구동 액슬(118)의 구동축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동 해제부(126)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 요소(170)에 의해서 편향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는 비교적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제동 기구(124)의 스프링 요소(170)는 구동 액슬(118)을 제위치에 조이고 로킹할 수 있다. 제동 해제부(126)가 해제 위치로 아래로 당겨질 때,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는 비교적 낮은 위치로 변위되고, 또한 스프링 요소(170)를 느슨하게 하고 구동 액슬(118)을 언로킹하는 방향으로 제 2 프롱(174)을 당기고, 그에 의해서 구동 액슬(118)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보어(184)는 또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의 단부 부분에 제공되고 제동 해제부(126)를 작동시키기 위한 릴리스 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코드(1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보어(184)를 이동가능하게 통과할 수 있고 작동 코드(120) 상에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정지 플러그(186)는 보어(184)와 결합할 수 있다. 정지 플러그(186)가 보어(184)와 결합하는 동안, 사용자는 제동 해제부(126)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켜서 구동 액슬(118)을 언로킹하기 위하여 작동 코드(120)를 완만하게 당길 수 있다.
작동 코드(1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지 않는 동안, 윈도우 차양(114)은 고정 위치에서 로킹된다. 본 위치에서, 제동 기구의 스프링 요소(170)는 어댑터 슬리브(176) 상에 조여지고, 이는 구동 액슬(118)의 회전을 차단한다. 대안으로, 어댑터 슬리브(176)는 제거될 수 있고 스프링 요소(170)는 구동 액슬(118) 주위에 직접 조여져서 그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저부 레일(116)을 하강시키기를 원할 때, 작동 코드(120)는 제동 해제부(126)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아래로 완만하게 당겨질 수 있고 스프링 요소(170)가 느슨해지게 할 수 있다. 제동 해제부(126)는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를 아래 위치로 편향시킴으로써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는 작동 코드(120)를 아래로 약간 당김으로써 아래 위치로 운동할 수 있고, 그 운동은 정지 플러그(186) 및 보어(184) 사이의 결합을 통해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로 전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는 또한 작동 코드(120)로부터 분리되고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와는 연결되는 제어 스틱(87)을 아래로 당김으로써 아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정지 플러그(186)가 보어(184)와 결합 상태로 잔류하고 제동 해제부(126)가 해제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언로킹된 구동 액슬(118)은 저부 레일(116)에 부착되고 저부 레일(116) 및 그 위에 적층된 윈도우 차양(114)의 하중에 의해서 구동되는 서스펜션 코드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액슬(118) 및 어댑터 슬리브(176)가 저부 레일(116)을 하강시키기 위하여 회전하는 동안, 분할 링(171)은 분할 링(171)이 커플링 요소(140) 주위에서 조여질 때 커플링 요소(140)에 대한 어느 정도의 회전 저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플링 요소(140)는 회전하는 어댑터 슬리브(176)로부터 결합해제 상태로 잔류하고 클러치(130)는 분리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단 아래로 이동하는 저부 레일(116)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하면, 스프링 요소(170)에 의해서 편향되는 제동 해제부(126)는 로킹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스프링 요소(170)는 그 초기 상태를 회복하고 어댑터 슬리브(176) 주위에서 조여질 수 있고, 그에 의해서 구동 액슬(118) 및 어댑터 슬리브(176)를 제위치에서 로킹하고 저부 레일(116)이 원하는 높이에서 로킹될 수 있게 한다.
도 36a 내지 도 38b에 있어서, 사용자가 저부 레일(116)을 상승시키기를 원할 때, 작동 코드(120)는 아래로 당겨져서 제동 해제부(126)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구동 액슬(118) 및 어댑터 슬리브(176)를 언로킹하게 할 수 있다. 일단 제동 해제부(126)가 해제 위치에 있으면, 작동 코드(120)를 추가로 아래로 당기는 것은 정지 플러그(186)가 보어(184)로부터 퇴거하게 실행하고 작동 코드(120)가 코드 드럼(128)으로부터 풀리게 하고 보어(184)를 통해서 활주하게 한다. 도 36a 내지 도 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드럼(128)이 작동 코드(120)를 푸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커플링 요소(140)의 반경방향 스터드(152)는 가이드 트랙(156)의 제 1 섹션(156a)의 제 1 맞대임 위치로부터 제 2 섹션(156b)의 제 2 맞대임 위치로 변위되어서, 커플링 요소(140)가 어댑터 슬리브(176)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일단 반경방향 스터드(152)가 가이드 트랙(156)의 제 2 섹션(156b)의 제 2 맞대임 위치에 도달하면,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은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과 결합하여 클러치(130)를 결합 상태로 선회시킨다. 결과적으로, 코드 드럼(128)의 추가 회전은 가이드 트랙(156)에 있는 반경방향 스터드(152)의 맞대임 위치를 경유하여 코드 드럼(128)으로부터 클러치(130)로 전달될 수 있고,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 및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 사이의 결합부를 경유하여 클러치(130)로부터 구동 액슬(118)로 전달될 수 있다. 저부 레일(116)은 작동 코드(120)를 아래로 당김으로써 구동되는 코드 드럼(128)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부 레일(116)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 또는 작동 코드(120)가 완전히 전개된 후와 같은 임의의 특정 시간에 작동 코드(120)를 해제할 수 있다. 반응시에, 제동 해제부(126)의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180)가 그 초기 로킹 위치로 상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스프링 요소(170)는 그 조임 구성으로 복귀하고 어댑터 슬리브(176) 주위를 단단하게 유지한다. 스프링 요소(170)의 조임 구성은 어댑터 슬리브(176) 및 구동 액슬(118)의 회전을 안전하게 로킹하고 차단한다. 그 결과로, 어댑터 슬리브(176) 및 구동 액슬(118)은 모두 고정되고 윈도우 차양(114)은 원하는 높이에서 제위치에 로킹된다. 한편, 모터 스프링(132)은 코드 드럼(128)의 역회전을 구동하고, 그에 의해서 작동 코드(120)가 후퇴하고 코드 드럼(128) 주위에서 권취되게 한다. 도 37a 및 도 37b에 있어서, 코드 드럼(128)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반경방향 스터드(152)는 가이드 트랙(156)의 제 2 섹션(156b)에 있는 제 2 맞대임 위치로부터 제 1 섹션(156a)에 있는 제 1 맞대임 위치로 변위되어서, 커플링 요소(140)의 복수의 톱니들(154)이 어댑터 슬리브(176)의 복수의 톱니들(178)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클러치(130)는 분리 상태로 선회될 수 있다. 클러치(130)가 분리 상태에 있는 동안, 모터 기구(132)는 스프링 요소(170)에 의해서 로킹된 어댑터 슬리브(176)와 독립적인 작동 코드(120)를 권취하기 위한 커플링 요소(140)를 가지고 코드 드럼(128)의 역회전을 추가로 구동한다. 커플링 요소(140) 및 코드 드럼(128)은 정지 플러그(186)가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의 보어(184)와 접촉하고 결합할 때까지, 작동 코드(120)가 연속적으로 권취되므로 어댑터 슬리브(176)와는 독립적으로 함께 계속해서 회전한다. 스프링 요소(170)에 의해서 로킹되는, 어댑터 슬리브(176) 및 구동 액슬(118)은 커플링 요소(140) 및 코드 드럼(128)이 작동 코드(120)를 권취하기 위하여 회전할 때 고정 상태로 유지된다. 어댑터 슬리브(176)는 커플링 요소(140) 및 코드 드럼(128)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구동 액슬(118)은 이동하지 않고 저부 레일(116) 및 윈도우 차양(114)은 작동 코드(120)가 코드 드럼(128) 주위에서 권취될 때 제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다. 일단 권취 동작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는 윈도우 차양(114)을 추가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작동 코드(120)를 다시 아래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 프로세스는 윈도우 차양(114)이 원하는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한, 도 26 내지 도 38에 대한 추가 실시예들은 도 22 내지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레일(116)을 추가로 하강시키는데 사용되는 제어 스틱(87)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스틱(87)은 제동 해제부(126)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액추에이터 크랭크(80)에 연결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중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코드(20)는 제어 스틱(87)의 중공 내부를 통과하고 저부 레일(116)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당겨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유사한, 도 26 내지 도 38에 대한 추가 실시예들은 도 22 내지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부 레일(116)을 하강 및 상승 동작을 모두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어 스틱(8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a 내지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스틱(87)은 정지 플러그(86) 근위에 있는 작동 코드(20)의 하부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 스틱(87)을 완만하게 당김으로써 저부 레일(116)을 하강시킬 수 있고 제어 스틱(87)을 연속적으로 당김으로써 저부 레일(116)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이고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결합 구조의 다른 배열들도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및 변형들도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 내에 있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주의 관점에서 당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2)

  1. 액슬 상에 모터 기구(機構)(motor mechanism)를 구비하는 윈도우 차양의 액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제어 모듈로서,
    상기 액슬과 함께 장착되고 로킹 상태 및 언로킹 상태를 갖는 제동 기구(機構)(brake mechanism);
    상기 제동 기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동 기구의 로킹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동 기구의 언로킹 상태에 대응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제동 해제부;
    상기 액슬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모터 기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코드 드럼; 및
    상기 액슬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클러치로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코드 드럼 및 상기 액슬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코드 드럼 및 상기 액슬이 상기 윈도우 차양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가능한 결합 상태와, 상기 코드 드럼 및 상기 액슬이 서로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작동가능한 분리 상태를 갖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가이드 트랙을 구비하고 제 2 커플링 요소와 동축으로 조립되는 제 1 커플링 요소로서, 상기 제 1 커플링 요소는 상기 코드 드럼과 작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이 상기 클러치의 분리 상태에 대응하는 제 1 구성 및 상기 클러치의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제 2 구성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 1 커플링 요소; 및
    상기 액슬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트랙을 따라 이동가능한 트랙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트랙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이 상기 제 1 구성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트랙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트랙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이 상기 제 2 구성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커플링 요소들과 결합하여, 상기 커플링 요소들의 회전 이동이 상기 액슬 및 상기 코드 드럼에 전달될 수 있는 제어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드럼 주위에서 감싸지는 작동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코드는 상기 코드의 부분적인 풀림 동작이 상기 제동 기구를 언로킹하도록 상기 제동 해제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제 2 커플링 요소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리브와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 1 커플링 요소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맞대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어 모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기구는 스프링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요소는 상기 액슬 주위에 한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 요소로부터 상기 제동 해제부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 부분에 의해서 상기 제동 해제부에 고정되는 제어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요소는 상기 액슬의 회전을 로킹하도록 상기 액슬 주위에서 조여지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스틱의 하향 이동이 상기 제동 기구를 언로킹하도록 제어 스틱이 상기 제동 해제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드럼 주위에서 감싸지고 상기 제어 스틱의 중공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봉되는 작동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랙은 상기 액슬 주위로 이어지는 제어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액슬의 축 주위에서 조립되고 상기 코드 드럼 주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칼라 부분을 구비하는 커플링 요소로서, 상기 커플링 요소는 제 1 복수의 톱니들(cogs) 및 상기 코드 드럼과 이동가능하게 상호작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터드를 구비하는 내면을 갖는, 커플링 요소; 및
    상기 액슬에 부착되고 제 2 복수의 톱니들을 갖는 어댑터 슬리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요소는 상기 제 1 복수의 톱니들을 상기 제 2 복수의 톱니들을 향하여 또는 상기 제 2 복수의 톱니들로부터 멀어지게 변위시키도록 상기 액슬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 1 복수의 톱니들은 상기 클러치가 상기 결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복수의 톱니들과 결합하고, 상기 제 1 복수의 톱니들은 상기 클러치가 상기 분리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2 복수의 톱니들로부터 분리되는 제어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슬리브는 상기 트랙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반경방향 슬롯을 구비하는 제어 모듈.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상기 어댑터 슬리브와 결합하고 상기 어댑터 슬리브로부터 분리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모듈.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해제부는 상기 제동 해제부를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릴리스 기구(release mechanism)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보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어 모듈.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코드는 상기 윈도우 차양의 길이의 1/2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제어 모듈.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해제부는 상기 코드 드럼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모듈.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드럼으로부터 상기 작동 코드의 부분적인 풀림 동작은 상기 제동 해제부가 상기 제동 기구를 상기 언로킹 상태로 선회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제어 모듈.
  18. 윈도우 차양 조립체로서,
    헤드 레일에 배치된 제 1 항, 제 2 항, 제 5 항,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모듈;
    상기 헤드 레일 아래에 연결된 윈도우 차양;
    상기 윈도우 차양의 저부 부분에 위치된 저부 레일로서, 상기 저부 레일은 작동 코드의 조작에 의해 상기 윈도우 차양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저부 레일; 및
    상기 윈도우 차양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윈도우 차양에 연결되고 구동축을 따라 상기 헤드 레일 내에 배치된 회전가능한 구동 액슬을 포함하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회전가능한 구동 액슬의 일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 액슬을 위한 외부 측벽들 및 개방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기구들은 외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1 플랜지 부분 및 외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동 해제부에 고정되는 제 2 플랜지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윈도우 차양 조립체.
  21. 삭제
  22. 삭제
KR1020137007259A 2010-08-25 2010-08-25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구비한 제어 모듈 KR101419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0/002337 WO2012026912A1 (en) 2010-08-25 2010-08-25 A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37A KR20130073037A (ko) 2013-07-02
KR101419691B1 true KR101419691B1 (ko) 2014-07-17

Family

ID=4572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259A KR101419691B1 (ko) 2010-08-25 2010-08-25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구비한 제어 모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609273A4 (ko)
JP (1) JP2013536340A (ko)
KR (1) KR101419691B1 (ko)
AU (1) AU2010359594A1 (ko)
CA (1) CA2809005A1 (ko)
MX (1) MX2013002102A (ko)
RU (1) RU2013112922A (ko)
WO (1) WO20120269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5802A (zh) * 2015-08-04 2015-10-14 常熟中勤建材有限公司 双层中空玻璃内置百叶窗的百叶帘帘片翻转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4774B2 (en) * 2013-07-05 2016-03-15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NL1040592C2 (en) * 2014-01-08 2015-07-09 Hunter Douglas Ind Bv Operating mechanism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opening.
KR101940388B1 (ko) * 2014-06-09 2019-01-18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가리개 및 이의 구동 시스템
KR101950588B1 (ko) * 2016-06-17 2019-02-20 데 요 컴퍼니 리미티드 창문 차양
TWI647378B (zh) * 2016-07-06 2019-01-11 德侑股份有限公司 窗簾
US10900280B2 (en) 2017-09-20 2021-01-26 Hunter Douglas Inc. Architectural structure covering having a speed regulating assembly
TWI739711B (zh) * 2021-01-28 2021-09-11 型態同步科技股份有限公司 升降控制模組及捲簾升降裝置
WO2024035654A1 (en) * 2022-08-09 2024-02-15 Teh Yor Co., Ltd.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974A (ja) * 1993-06-30 1995-03-28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ーの自動閉鎖装置
JPH0824492B2 (ja) * 1993-06-21 1996-03-13 千年春 野口 自動開閉シートブラインド装置及び小型温室装置
JP2005237410A (ja) 2004-02-24 2005-09-08 Kunio Nasuno カーテンの電動開閉装置
KR100764674B1 (ko) 2006-03-22 2007-10-08 (주) 제일인더스트리 전동커튼의 구동부 커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2211A (en) * 1999-08-10 2000-11-07 Judkins; Ren Shade operator with release brake
US8739853B2 (en) * 2001-03-22 2014-06-03 Ren Judkins Cordless blind and operator device
US7493933B2 (en) * 2006-08-15 2009-02-24 Li Xinian Retractable window shad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492B2 (ja) * 1993-06-21 1996-03-13 千年春 野口 自動開閉シートブラインド装置及び小型温室装置
JPH0782974A (ja) * 1993-06-30 1995-03-28 Sanwa Shutter Corp シャッターの自動閉鎖装置
JP2005237410A (ja) 2004-02-24 2005-09-08 Kunio Nasuno カーテンの電動開閉装置
KR100764674B1 (ko) 2006-03-22 2007-10-08 (주) 제일인더스트리 전동커튼의 구동부 커버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5802A (zh) * 2015-08-04 2015-10-14 常熟中勤建材有限公司 双层中空玻璃内置百叶窗的百叶帘帘片翻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59594A1 (en) 2013-03-14
KR20130073037A (ko) 2013-07-02
EP2609273A4 (en) 2015-01-28
EP2609273A1 (en) 2013-07-03
JP2013536340A (ja) 2013-09-19
WO2012026912A1 (en) 2012-03-01
CA2809005A1 (en) 2012-03-01
RU2013112922A (ru) 2014-09-27
MX2013002102A (es)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691B1 (ko) 윈도우 차양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클러치를 구비한 제어 모듈
US8356653B2 (en)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EP2817468B1 (en) Window shade and its control module
EP3017135B1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06028B1 (ko) 창문 가리개 및 이의 구동 시스템
EP3152381B1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TWI531717B (zh) 窗簾、其控制模組及操作方法
KR101935124B1 (ko) 차양 및 차양용 작동 시스템
KR20220145403A (ko) 차양 및 차양용 작동 시스템
US20240052696A1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US20240052695A1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US20230086941A1 (en) Window shade and actuating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