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433B1 -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433B1
KR101418433B1 KR1020120010341A KR20120010341A KR101418433B1 KR 101418433 B1 KR101418433 B1 KR 101418433B1 KR 1020120010341 A KR1020120010341 A KR 1020120010341A KR 20120010341 A KR20120010341 A KR 20120010341A KR 101418433 B1 KR101418433 B1 KR 10141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buoyant body
boil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019A (ko
Inventor
강일석
Original Assignee
강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일석 filed Critical 강일석
Priority to KR102012001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433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가정용에서 사용되는 온수매트용 온수 순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매트를 순환하고 난 후 보일러로 되돌아 오는 순환 수의 힘에 의하여 수중에 구비된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보일러의 물통으로 유입되는 수위의 정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부력체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여 보일러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중회전날개가 구비된 온수순환 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a hot-water mat boiler}
본 발명은 일반 가정이나 오피스텔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온수매트용 온수 순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매트를 순환하고 난 후 보일러로 되돌아오는 순환수의 힘에 의하여 물통 내 수중에 구비된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보일러의 물통으로 유입되는 수위의 정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부력체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여 보일러의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수중회전날개가 구비된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난방 기능을 갖는 전기매트와 온수 보일러를 이용한 온수 매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매트는 전기 열선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자기파가 발생하고 이러한 전자기파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추정되어 점차 수요가 떨어지는 반면 상기 온수매트는 그와 같은 위험성이 적어 수요가 점차로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는 일반 가정용의 다른 소형 가전제품에 비하여 고장률이 현저히 많은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한 고장형태는 주로 소음발생이나 누수, 혹은 순환모터의 정지나 히터의 단전현상 등으로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감전이나 화재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한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보일러 제조과정에 원천적으로 문제가 있어서 보일러가 불량품인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로써,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제조되었음에도 사용자가 사용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채 함부로 사용하다가 그러한 고장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그 예로써, 보일러가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고 있음에도 매트 내부에 깔려 있는 온수순환호스가 꼬여 있기 때문에 매트 내부로 온수가 순환되지 못함으로써 매트가 온기를 내지 못하거나 온기가 식어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온수가 순환되지 않음을 인식하지 못한 채 보일러의 온도조절을 약하게 하여 매트가 따뜻해지지 않는 것으로만 알고서 보일러의 온도를 자꾸만 고온으로 조절하게 되고, 그 결과 보일러 내부에서 고온의 온수가 매트로 순환되지 못한 채 오로지 히터와 펌프 혹은 압축밸브와 같은 주요 부속품에만 고열을 계속해서 가하게 되는 악순환을 초래하게 되며, 따라서 이러한 현상은 얼마가지 않아서 펌프나 히터 혹은 압축밸브와 같은 주요 부속품이 고장을 일으키거나 보일러의 내구수명이 급격히 단축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되며 때로는 보일러의 화재 등 위험한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 가정용 온수매트에 구비된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고장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이는 전기장판의 전열선이 겹쳐져 있는 상태에서 전열선의 과열에 의해 고장이 빈번히 나는 경우와 유사하다.
온수매트용 보일러에서 상기와 같은 문제가 지속되는 이유는 온수매트를 사용함에 있어서 온수의 정상적인 순환여부를 확인시켜주는 기능이나 기술이 보일러나 매트에 적용되지 못한데 그 주된 원인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제10-1019575호의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가 출원 등록되어 있다.
종래의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상부 면이 개방된 물통과, 상기 물통을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물통의 상부 공간부를 덮어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밀봉시켜주는 물통덮개와, 상기 물통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물통 내부의 온수를 펌핑하여 온수매트의 온열관으로 공급해줄 수 있도록 된 모터펌프와, 상기 물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펌프의 펌핑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 회전날개와, 상기 물통과 상기 모터펌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보호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물통덮개에는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이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투시창을 통해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수순환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KR 10-1019575 (등록번호) 2011.02.25. KR 10-0876939 (등록번호) 2008.12.24. KR 10-2008-0109625 (공개번호) 2008.12.17.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투시창을 통해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온수가 매트 내부에서 정상적으로 순환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 보일러 내부에 구비된 물통은 그 내부에서 순환되는 순환수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투시창에 김이 서리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외부에서 투시창을 통해 회전날개가 회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에 많은 불편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통덮개에 있는 투시창을 투명으로 하되 물통 내부에는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부력체를 장착 설치하고, 상기 부력체의 하부 몸체에는 순환되는 물의 힘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날개를 구비하여 보일러의 내부로 유입 순환되는 물에 따라 상기 회전날개가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부력체가 물통 내 물의 수위에 따라 상승과 하강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온수매트 내부를 따라 물이 정상적으로 순환되고 있다는 것과 함께 물통 내 물의 수위를 외부에서 더욱 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보일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수 순환 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창 내측으로 발생되는 습기가 부력체의 회전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온순 순환 확인이 용이한 온수 매트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수 순환 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는 온수매트에 온수를 순환시켜주는 온수매트용 보일러에 있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상부면이 개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면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물통의 상부 개방부를 덮어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밀봉시켜주는 물통덮개와, 상기 물통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물통 내부의 물을 온수매트의 온열관으로 공급해줄 수 있도록 된 온수순환장치와, 상기 물통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수위에 따라 그 높낮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된 부력체와, 상기 물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체에 물 순환력을 미치게 할 수 있는 된 물 유도관과, 상기 물통과 상기 온수순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그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는 물통덮개의 투시창을 투명으로 하고 그 내부에 수위에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회전날개가 구비된 부력체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물통 내 물의 수위에 따라 부력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정도로써 물의 수위를 투시창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보일러와 매트 간에 순환되는 물의 순환력에 의해 부력체가 승강하는 것을 투시창을 통하여 외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시창의 양측에 요홈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부력체 승하강의 시인성이 높고, 부력체의 회전에 따라 투시창 내측의 습기가 제거되어, 온수순환 및 물의 높이 식별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날개의 회전과 물통 내 물의 수위가 양호하여 온수의 순환이 정상적임을 확인하였음에도 매트가 따뜻해지지 않을 때, 사용자는 보일러의 부속품 중에서 모터펌프가 고장이 아니라 히터나 다른 부속품이 고장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그에 따른 수리를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열이 나는데 매트가 따뜻해지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보일러의 온도를 고온으로 조절하기에 앞서서 먼저 회전날개가 정상적으로 회전하면서 부력체가 정상으로 작동하는지 아닌지를 쉽게 확인한 연후에 매트가 따듯해지지 않는 이유가 매트 내부의 호스가 꼬여서 혹은 온수의 순환을 방해하는 다른 불순물이 온수순환 통로를 막아 온수의 순환장애가 생겨서 그런 것인지 아닌지를 최종 확인하게 됨으로써 보일러의 고장률을 현저히 감소시켜 내구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체에 색깔을 부여하고 보일러의 외장 색깔에 대응되는 색깔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보일러의 미려함을 통해 그 효용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의 일부가 분리된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의 분리 사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의 평면상태도와 조립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의 요부인 부력체의 사시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의 부력체가 물통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상부면이 개방되는 물통(110)과,
상기 물통(110)의 하부면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바닥플레이트(120)와,
상기 물통(110)의 상부 개방부를 덮어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밀봉시켜주는 물통덮개(130)와,
상기 물통(11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물통(110) 내부의 물을 펌핑(흡입)하여 온수매트(M)의 온열관(140)으로 공급해줄 수 있도록 된 모터펌프(150)와,
상기 물통(110) 일측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펌프(150)의 펌핑력으로 순환되는 물의 순환력에 의해 수중회전날개(161)가 회전되도록 하고 수위에 따라 그 높낮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된 부력체(160)와,
상기 물통(110)과 상기 모터펌프(15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그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17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통덮개(130)에는 상기 수중회전날개(161)가 회전되는 상태와 상기 부력체(160)가 승하강되는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180)이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180)의 일측면에는 상기 물통(110) 내부로 물을 공급해줄 수 있도록 된 물주입구(13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110)에는 상기 모터펌프(150)의 흡입구(151)와 연통되어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된 물 공급구(111)와 온수매트로 공급되어 식혀진 물이 순환되어 다시 상기 물통(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물 유입구(1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110) 내부에는 물의 순환력이 상기 수중회전날개(161)에 전달되어 상기 수중회전날개(161)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물 유도관(110a)이 구비된다. 즉, 매트를 순환한 다음 보일러로 되돌아 온 물이 상기 물통(110) 내부의 상기 수중회전날개(161)에 물의 순환력을 미칠 수 있도록 상기 물통 내 유입구(112)에서부터 상기 수중회전날개(161) 근처까지 상기 물 유도관(110a)이 설치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170)에는 상기 투시창(180)이 삽설되는 홈(171)과 상기 물주입구(131)에 연통되어 외부에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연통구(172)가 설치되고, 상기 연통구(172)에는 상기 물주입구(131)를 여닫게 할 수 있는 물주입구 마개(190)가 구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물통덮개(130)에 고정되어 있으면서 상기 보호커버(170)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있는 상기 투시창(180)은 그 내부를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부력체(160)가 상기 물통(110) 내부에서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작동 상태는 물론 상기 부력체(160)가 물의 순환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습을 투명한 상기 투시창(180)을 통해서 보일러의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16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중회전날개(161)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하부몸체(162)와 상기 하부몸체(162)와 일정높이를 두고 구비된 상부몸체(163) 및 상기 하부몸체(162)와 상기 상부몸체(163)를 연결 고정시켜주는 원통형수위봉(164)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중회전날개(161)는 상기 하부몸체(162)의 원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상부몸체(163)는 상기 하부몸체(162)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통(110)의 일측 바닥에는 상기 원통형수위봉(164)과 일체가 된 상기 부력체(160)가 삽설되어 부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지지대(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투시창(180)은 양측으로는 아래쪽으로 오목한 오목홈(181)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윗쪽으로 볼록한 볼록홈(182)이 형성된 W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시창(180)은 그 내부로 상기 부력체(160)가 설치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볼록홈(182) 내부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부력체(160)의 상기 상부몸체(163)가 상하 승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부력체(16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물통(110) 내부에 물이 유입되어 차오르게 되거나 또는 빠져나감에 따라 상기 상부몸체(163)가 상기 투시창(180)에 형성된 상기 볼록홈(182) 내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모터펌프(150)에는 그 일단에 상기 흡입구(151)를 통해 흡입된 온수가 온수매트의 상기 온열관(140)으로 보내주는 온수 토출관(152)이 설치되어 있고, 또 상기 물통(110)의 일단에는 상기 온수관(140)을 통해 온수매트로 공급된 온수가 차가워지면서 순환되어 다시 상기 물통(11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관(153)이 상기 토출관(152)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펌프(150)의 흡입구(151)는 상기 물통(110)에 구비된 상기 물 공급구(111)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또 상기 유입관(153)은 상기 물통(110)에 구비된 상기 물 유입구(112)와 연통되도록 설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덮개(130)에는 그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물통(110)과 체결 고정하는 덮개체결구(132)가 다수 개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물통(110)에도 그 가장자리에 일정간격으로 상기 물통덮개(130)의 상기 덮개체결구(132)와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물통체결구(1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플레이트(120)에는 상기 보호커버(17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체결구(121)가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모터펌프(15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열판(12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160)는 그 설치 위치가 상기 모터펌프(150)의 흡입구측 이외에도 온수매트를 순환하고 상기 물통(110)으로 물이 순환되어 들어가는 상기 유입관(153)과 연통되는 상기 물 유입구(112) 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보일러의 설계조건에 따라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음이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투시창(180)도 그에 맞게 변경 설치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부력체(160)는 식별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하는 색깔을 부여하여 그 작동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온수순환매트는 온수가 순환되기 때문에 습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습기의 발생은 부력체(160)의 높이 등을 확인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부력체(160)가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부몸체(163)가 회전되기 때문에 투시창(180)의 볼록홈(182)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어, 시인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100)가 작동되는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물통(110)에 물을 최저수위(min)점 이상으로 채운 다음 히터발열부(미도시됨)를 통해 물을 가열시킨다.
이어 온도설정부에서 셋팅된 온도까지 물을 가열시킨 후 상기 모터펌프(150)를 구동시키면 상기 물통(110)의 물공급구(111)로 온수가 공급되면서 상기 모터펌프(150)의 흡입구(151)와 토출관(152)을 통해 온수매트에 내장된 상기 온열관(140)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물통(110) 내부에 설치된 상기 부력체(160)는 상기 물통(110) 내부로 물이 순환되어 유입되는 정도에 따라 점차로 상기 볼록홈(182) 내부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모터펌프(150)의 펌핑에 의해 온수매트에 내장된 상기 온열관(140)으로 유입되었던 물이 다시 보일러로 회수되고 그 회수된 물이 보일러 물통(110) 내부의 상기 물 유도관(110a)을 거쳐 상기 부력체(160)의 회전날개에 순환력을 전달하여 상기 부력체(16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상태는 투명재질로 되어 있는 상기 투시창(180)을 통해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100)에 구성되는 상기 모터펌프(150)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는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가열물통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이 열팽창되어 순환하는 방식(온수자동순환장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펌프(150)를 이용하는 구성과 온수자동순환장치를 이용하여 가열되는 물이 자동으로 매트로 공급 순환시키는 구성은 온수매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기 때문이 양자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것이다.
이는, 모터와 같은 동력방식나 열팽창을 이용한 무동력방식이나 공지된 모든 종류의 온수순환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투시창(180)에 형성된 상기 볼록홈(182)의 외부면에는 수위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비이커 등과 같이 동심원상으로 눈금을 표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온수의 흐름이 온수순환장치에 의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온수매트의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100)는 물부족으로 인한 상기 부력체(160)의 작동불량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온수매트 내부에 구비된 온열호스(관)이 꼬여 온수가 순환되지 않을 때 이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하여 이를 시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일러의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그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0:온수 순환 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110:물통
111:물공급구 112:물유입구 113:물통체결구 114:고정지지대
120:바닥플레이트
121:바닥체결구 122:방열판
130:물통덮개
131:물주입구 132:덮개체결구
140:온열관
150:모터펌프
151:흡입구 152:토출관 153:유입관
160:부력체
161:수중회전날개 162:하부몸체 163:상부몸체 164:원통형수위봉
170:보호커버
171:홈 172:연통구
180:투시창
181:오목홈 182:볼록홈
190:물통마개 M:온열매트

Claims (7)

  1. 삭제
  2. 온수매트에 온수를 순환시켜주는 온수매트용 보일러에 있어서,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상부면이 개방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의 하부면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바닥플레이트와,
    상기 물통의 상부 개방부를 덮어 물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밀봉시켜주는 물통덮개와,
    상기 물통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물통 내부의 물을 온수매트의 온열관으로 공급해줄 수 있도록 된 온수순환장치와,
    상기 물통 일측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수위에 따라 그 높낮이를 나타낼 수 있도록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된 부력체와,
    상기 물통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력체에 물 순환력을 제공하는 물 유도관과,
    상기 물통과 상기 온수순환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그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보호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물통덮개에는 물 순환력에 의해 상기 부력체에 구비된 수중회전날개가 회전되는 상태와 상기 부력체의 승하강되는 작동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시창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수중회전날개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와 일정높이를 두고 구비된 상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를 연결 고정시켜주는 원통형수위봉로 구성되고,
    상기 물통의 일측 바닥에는 상기 원통형수위봉이 삽설되어 상기 부력체가 부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지지대가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그 내부를 외부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은 양측으로는 아래쪽으로 오목한 오목홈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윗쪽으로 볼록한 볼록홈이 형성된 W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 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6. 삭제
  7. 삭제
KR1020120010341A 2012-02-01 2012-02-01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KR101418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341A KR101418433B1 (ko) 2012-02-01 2012-02-01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341A KR101418433B1 (ko) 2012-02-01 2012-02-01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19A KR20130089019A (ko) 2013-08-09
KR101418433B1 true KR101418433B1 (ko) 2014-07-09

Family

ID=4921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341A KR101418433B1 (ko) 2012-02-01 2012-02-01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12845A (zh) * 2019-03-15 2019-05-28 安吉明微智科技有限公司 一种附带烧水功能的烹饪炉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411Y1 (ko) * 1999-10-21 2000-05-15 백일수 온수보일러용 팽창탱크
KR20100090364A (ko) * 2009-02-06 2010-08-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용 부력캡이 설치된 액체화물 운반선 화물창
KR20110115062A (ko) * 2010-04-14 2011-10-20 강일석 물살투시창이 구비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KR20110009964U (ko) * 2010-04-14 2011-10-20 강일석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411Y1 (ko) * 1999-10-21 2000-05-15 백일수 온수보일러용 팽창탱크
KR20100090364A (ko) * 2009-02-06 2010-08-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용 부력캡이 설치된 액체화물 운반선 화물창
KR20110115062A (ko) * 2010-04-14 2011-10-20 강일석 물살투시창이 구비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KR20110009964U (ko) * 2010-04-14 2011-10-20 강일석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019A (ko) 201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967B1 (ko) 온수매트용 온수가열장치
KR100918522B1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CN102705887A (zh) 瞬时热水供给器
KR101418433B1 (ko) 온수순환확인용 부력체를 갖는 온수매트 보일러
KR101087063B1 (ko) 무압력식 온수기
CN105972004A (zh) 带管式加热器的液压换热装置
KR101229301B1 (ko) 물살투시창이 구비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KR101019575B1 (ko)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CN105496215A (zh) 电热加热水装置
KR101794923B1 (ko) 냉온수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20180007868A (ko) 온수매트용 온수보일러
RU2659686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с накопительной ёмкостью
KR20120119666A (ko) 순환식 위생 튀김기
KR101708425B1 (ko) 슬림 매트용 역류 방지캡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KR100348457B1 (ko) 난방장치나 물리치료기등에 사용되는 온수생산, 공급,
CN206168384U (zh) 一种可移动式化盐系统
KR20110009964U (ko)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보일러
JP4765702B2 (ja) 給湯暖房熱源機
JP5968743B2 (ja) 貯湯式給湯装置
KR101854782B1 (ko) 슬림 매트를 이용한 보일러 장치
KR20180004906A (ko) 수도계량기 장착형 동파방지장치
KR20170002105U (ko) 온수 매트용 온수 공급 장치
JP6136437B2 (ja) 太陽熱温水装置
ES2787011T3 (es) Sistema de intercambio térmico y estratificación térmica para el fluido contenido en un tanque y tanque de agua caliente que comprende dicho sistema
KR101617678B1 (ko) 온수보일러가 내장된 온수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