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8219B1 -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 Google Patents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8219B1
KR101418219B1 KR1020130105386A KR20130105386A KR101418219B1 KR 101418219 B1 KR101418219 B1 KR 101418219B1 KR 1020130105386 A KR1020130105386 A KR 1020130105386A KR 20130105386 A KR20130105386 A KR 20130105386A KR 101418219 B1 KR101418219 B1 KR 10141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artition
partition wall
communication line
shiel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 영 정
최동익
강선익
Original Assignee
석 영 정
강선익
최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 영 정, 강선익, 최동익 filed Critical 석 영 정
Priority to KR102013010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7/00Screening
    • G12B17/02Screening from electric or magnetic fields, e.g. radio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차폐기구는 벽체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통신선을 전자기파로부터 차폐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차폐기구로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차폐프레임; 및 차폐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복수의 관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통신선 보호용 차폐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차폐프레임 및 격벽부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은 차폐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통하여 통신선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격벽부는 복수의 관 각각에 대하여 관의 단면에서 가능한 가장 큰 너비가 차폐프레임의 길이의 소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내부 공간을 분할한다. 이러한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는 집중화된 관통구를 통해 대용량의 광선로를 통과시키면서도 건축 구조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통신선의 설치 및 교체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유연성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EMP SHIELDING DEVICE FOR CABLES}
본 발명은 EMP 차폐를 위한 차폐기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폐실에 진입하는 통신선에 대해 EMP 차폐 및 TEMPEST 방지를 제공하는 차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자파장해 분야에서는 EMI, EMS, EMC, EMP, TEMPEST가 주요 과제로 대두되어 있다.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는 전자장비로부터 부수적으로 발생된 전자파가 그 자체의 기기 또는 타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파간섭 현상을 의미하며, EMS(Electro Magnetic Susceptibility)는 전자파 민감도를 의미하여 일정한 정도의 전자파장해(EMI)가 일어나더라도 전자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내성, 즉 전자파 장해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내성에 대한 척도로 이용된다.
EMC(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는 이 둘을 포괄하는 용어로서의 전자파 양립성이다. 즉 타에 간섭을 주는 EMI가 없을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타로부터 EMI 간섭이 있더라도 낮은 EMS로 기기의 작동을 정상화시키는 기능을 종합한 개념이 EMC라고 할 수 있다.
EMP(Electro Magnetic Pulse)는 주로 낙뢰 또는 고공에서의 핵폭발 등에 의한 강한 전자파로서 컴퓨터 등 적국의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키는 전자폭탄에서 발생된다. 이에 대하여 TEMPEST는 의도하지 않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전기적, 기계적, 또는 음향 에너지, 이른바 정보누설 방사(compromising emanations)에 대한 조사 및 연구와 관련하여 사용된 암호명이며, 현재는 전기, 전자, 정보처리 장치 및 정보통신 기기로부터 방출되는 미약한 전자파 노이즈를 첨예한 지향성 안테나 등으로 수신하여 정보를 해독하는 스파이 행위 또는 도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회피기술을 총칭한다.
국내에서 EMP는 항파장, TEMPEST는 항전자라는 용어 표현으로 서로는 실외에서 실내 및 실내에서 실외로의 상반된 역할을 한다라고 정의하지만, 전자파방호 기술 측면에서는 이 둘을 가역성의 관계로 본다. 즉 실외로부터 유입되는 EMP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방호 기능을 가진 필터라면 이를 역으로 사용할 경우 실내에서의 불요 전자파가 실외로 방출되는 것도 완전히 차단되는 TEMPEST 기능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EMP용으로 개발된 기술이라 하더라도 TEMPEST에 활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바로 이러한 가역성의 원리로서 본 발명이 EMP 방호용으로 쓰일 뿐만 아니라 TEMPEST용으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착안된 것이다.
위에서 본 바의 EMI, EMS, EMC는 민수용에서 주로 고려되지만 EMP와 TEMPEST는 군에서 민감하게 고려되는 사항이다. 그중에서도 EMP는 핵폭발에 의한 전자기펄스 형태로서 주파수범위 100KHz~1GHz에 거쳐 특히 강력한 전자파 위해신호를 발생하기 때문에 고공 500m~1,500m의 높이에서 테라와트(TW) 급 출력으로 폭발하는 HEMP(High 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의 경우 적어도 반경 10마일 이내의 넓은 범위에 있는 통신시설이나 전자장비 등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EMP는 핵폭발 시 발생되는 감마선의 작용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특정한 주파수 범위를 목표로 안테나 출력을 순간집중 방출하는 전자폭탄으로도 구현되므로 대립 관계에 있는 국가나 테러리스트의 범죄 행위를 대비한 방호시설의 구축은 전자장비의 보호 내지 통신망 구성기술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군, 행정관청 등 중요기관에서는 EMP로부터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중요시설이 수용된 건물 전체를 금속성 재료로 봉합(금속성 재료로서 용접하여 전파 및 자파적으로 완전히 밀폐하는 구조를 말하며, 이하 이를 차폐라고 칭한다)하고 사람이 드나드는 동선은 "ㄱ"자 통로를 구성한 후 사람이 드나들 때만 개방하는 기계식 도어를 출입구에 설치하여 상시 밀폐상태로 유지한다. 그러나 전력선, 통신선, 제어선 등의 경우는 이와 같이 시간적으로 구분하는 개방조작을 할 수 없으므로, 실외와 상시 연결되는 개방상태로 둘 수밖에 없다.
이러한 진입점(Point Of Entry; POE)은 EMP에 취약할 수 있으며, 따라서 EMP에 의한 유해주파수 성분을 차단하고 통신신호만을 실외(외부)와 연결하도록 하는 통신선용 차폐기구를 차폐실 벽에 설치하는 수단이 강구된다. 이러한 통신선 관통용 차폐기구로는 차폐용 필터와 차폐도관이 있다.
차폐용 필터는 표준화되지 않은 데이터 내지 음성신호용으로 유선선로가 직접 입력될 수밖에 없는 경우에 채택되는 관통기구이다. 구조적으로는 코일(L)과 커패시터(C)를 조합한 RLC 네트워크이고 용도로는 전화, 음향, 메카트로닉스 제어 등의 유선선로가 여기에 해당한다. 여기서 RLC라 함은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를 말한다.
또한 차폐도관은 통신선 등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채택한다. 그 용도는 원시 광선로이거나 표준화된 정규화 데이터를 광전 변환하여 광선로를 통해 관통시키고자 할 때 적용되는데, 앞서 언급했듯이 EMP와 TEMPEST는 예를 들면 10GHz 이하의 주파수 범위를 그 방호대상으로 하므로 마이크로파에 대한 차폐도관의 원리를 적용한 것이 광선로 통과용 관통기구이다.
다만, 차폐도관을 이용하여 광선로를 관통시키는 경우에도 금속성 재질이 더불어 관통된다면 이를 따라 EMP가 유입되므로 차폐실 격벽을 관통하는 차폐도관에는 금속성 도체가 관통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에 따라 금속성 인장강선을 구비한 광케이블은 각각의 광섬유 세심으로 분해하여 내부의 광섬유 가닥만을 차폐도관으로 관통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용어에서는 이를 광선로라 한다. 이에 대하여 플라스틱 소재 등 비금속성 인장강선을 사용한 실내용 광케이블인 경우는 포일 등으로 감싼 외피를 벗겨 내고 관통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차폐도관의 내경을 굵게 하면 차단주파수가 변경되는 문제가 있고 관통부분을 광케이블이 그대로 통과하면 유지보수가 극히 어렵게 되기 때문에, 일정 이상 용량의 광케이블에 대하여는 유사시 절단 시험이 가능토록 광분배기(FDF)와 광커넥터 또는 피그테일 접속으로 변경하는 방법 등을 통해 개개의 광선로로 관통시키는 구조가 요구된다.
무선공학 이론에 따르면 차폐도관의 차단파장(λc)은 차폐도관의 가장 긴 내경(a)의 2배 즉 λc=2a 이다. 이 이론에 의하면 대용량의 광케이블을 그대로 관통시키기 위하여 차폐도관의 내경(a)을 증가시키면 차폐도관의 차단파장(λc)은 올라가고 이에 따라 차단주파수(fc)는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차단주파수가 내려가면 경우에 따라서는 방호용 주파수 범위가 희망하는 수준(예를 들면 300MHz 이하, 1GHz 이하 또는 10GHz 이하 등)에 이르지 못할 수도 있는 것이어서 내경(a), 즉 차폐도관의 굵기를 확장하는 데는 제한이 따른다.
나아가 미국 국방성의 EMP방호시설기준에 따르면 EMP 방호를 위한 차폐도관의 길이는 관통되는 광선로의 용량에 따라 결정되는 차폐도관 굵기의 5배 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선로의 관통 용량, 즉 광선로의 가닥수를 증가하기 위하여 차폐도관의 내경을 증가하면 방호용 차단주파수가 내려가는 것 외에도 차폐도관의 길이가 늘어나 건축구조에 부담을 주는 문제가 따른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광케이블의 관통 가닥수를 늘이기 위하여(즉 광선로의 통과 수량을 증가하기 위하여), 1cm 내경의 차폐도관을 3cm로 늘이면 차폐도관의 길이는 5cm에서 15cm로 늘어나고, 같은 원리로서 3cm 내경의 차폐도관을 5cm로 늘이면 15cm 길이이던 것이 25cm로 늘어나게 된다. 그에 따라 건축구조에서 전반적인 재배치로 차폐시설 전체의 용접과 절단이 필요한 복잡한 문제로 이어지는 것이다.
또한, 차폐도관의 내장공사가 완료되어 시설물을 운용하고 있는 건축물 내에서는 전자파 누설의 측정이 매우 어려워지고, 증설시공은 거의 불가능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전자파펄스 방호 시설에서 지나치게 시설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 내지는 전자파펄스 방호시설을 확산하는데 어려움이 있은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파이프 형태의 차폐도관에서는 통신선에 태그를 붙인 상태로 관통시킬 수 없어 부득이 차폐도관을 통해 통신선을 먼저 관통시킨 후 태그 부착작업을 나중에 하게 되는데, 통신선을 먼저 관통시킨 후 수십 내지 수백 가닥 통신선에서 각각의 경로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태그를 붙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므로, 결국 부정확한 시공이 일어나거나 장치를 세팅 내지 유지보수 하는 작업을 매우 어렵게 하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저렴한 방식의 구조와 시공성을 가지면서 광케이블 단위로 일목요연하게 선로를 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미국 국방성이 제시한 MIL 188_125_1에서 통신용 POE는 최소화하여야만 EMP로부터의 피해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고 한 것에 비추어 보면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가능한 한 차폐도관의 시설범위를 축소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무선공학에 관한 차단파장 이론과 미국 국방성의 EMP방호기준을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로서 바로 하니컴 환기관을 들 수 있다. 하니컴 환기관은 일정한 실내에서 요구되는 만큼의 면적을 가진 환기통을 해당 면적 내에 여러 개의 환기관으로 세분화 하여 결집시킴으로써 전체 환기관의 면적을 통하여 희망하는 통풍량을 얻도록 하면서도 그 환기관의 내부가 전자파적으로는 차폐도관 역할을 수행하여 환기관의 길이를 축소한다.
그러나 한 번 설치한 후 분리, 교체 또는 변경할 필요가 거의 없는 환기관과는 달리, 통신선을 위한 차폐도관은 통신선의 설치시에도 분리하고 변경을 가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통신선의 종류가 변경되거나 용량이 증대되는 등의 경우에도 차폐도관을 분리, 교체 또는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환기관을 위한 구조만으로는 통신선 보호용 차폐기구에 바로 적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차폐실 내로 진입하는 통신선을 EMP 등의 전자기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차폐기구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집중화된 관통구를 통해 대용량의 광선로를 통과시키면서도 건축 구조상 부담을 최소화하는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통신선의 설치 및 교체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유연성을 구비하는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은 통신선의 시공과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벽체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통신선을 전자기파로부터 차폐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차폐기구로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차폐프레임; 및 차폐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내부 공간을 복수의 관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격벽부를 포함하는 통신선 보호용 차폐기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차폐프레임 및 격벽부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은 차폐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통하여 통신선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격벽부는 복수의 관 각각에 대하여 관의 단면에서 가능한 가장 큰 너비가 차폐프레임의 길이의 소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내부 공간을 분할한다.
격벽부는 복수의 관 각각에 대하여 관의 단면에서 가능한 가장 큰 너비가 차폐프레임의 길이의 1/5 이하가 되도록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격벽부는 복수의 관 각각이 전방 및 후방 외의 일면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격벽부는 복수의 평면형 격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 부재 중 적어도 두 개의 격벽 부재는 서로 교차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교차하는 격벽 부재 각각은 슬릿이 형성된 평면형 부재일 수 있으며, 교차하는 격벽 부재들의 슬릿이 서로 대향하여 치합됨으로써 격벽 부재들이 교차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차폐프레임의 내면에는 평면형 격벽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홈 또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기구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하나 이상의 중간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커버는 차폐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격벽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커버의 내면에는 평면형 격벽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홈 또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커버는 양측에서 결합하여 격벽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격벽부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단면이 굴곡된 혹은 절곡된 파형 형상을 이루도록 수차례 굴곡 또는 절곡된 하나 이상의 격벽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격벽부는 복수의 격벽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격벽부는 복수의 격벽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복수의 격벽 부재를 서로 이격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 부재는 차폐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연장되는 다층판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프레임은 벽체와 평행한 면을 따라 형성되는, 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프레임 및 격벽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차폐프레임 또는 격벽부는 접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기구는 복수의 관 중 적어도 일부의 전방 또는 후방을 폐쇄하는 하나 이상의 캡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집중화된 관통구를 통해 대용량의 광선로를 통과시키면서도 건축 구조상 부담을 최소화하는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통신선의 설치 및 교체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유연성을 구비하는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통신선의 시공과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에서 통신선이 격벽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에서 가능한 관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는 실내 공간을 금속으로 감싼 차폐실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실은 지붕, 벽면 및 바닥이 금속으로 구성되며 기밀하게 서로 접합되어 해당 실내 공간을 전자기파에 대하여 차폐한다. 벽면에는 사람이 드나들 도어가 설치될 수 있고, 비교적 사람의 동선에 방해를 주지 않을 위치의 벽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폐기구가 벽체에 설치된 모습이 도 1의 (a)는 단면도로서, 도 1의 (b)는 사시도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는 차폐실의 벽체(10)를 관통하는 관통구에 형성되는데, EMP 등의 전자기파가 차폐되는 통로를 제공하여 통신선이 EMP 피해 및 전자기파 도청으로부터 보호되면서 차폐실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명세서에서 벽체라 함은 바닥과 천장 사이에 축조된 수직벽뿐만이 아니라 차폐실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경계를 이루는 천장, 바닥, 기타 구조체를 포괄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차폐기구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에 직교하는 선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그 외에도 일부 "ㄱ"자 부재를 보완하여 벽체에 평행하도록 병행 설치되는 구조로 시공될 수도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는 크게 차폐프레임(200)과 격벽부(300)를 포함한다.
차폐프레임(2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차폐기구가 선형으로 연장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차폐프레임(200)의 전방과 후방이 반드시 반대되는 방향일 필요는 없으며, 단지 벽체(10)에 의해 구분된 공간의 안팎을 연결하면 충분하다.
벽체(10)의 내측과 외측, 즉 차폐실 내부와 외부 간에 통신용 관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차폐프레임(200)은 차폐실의 벽체(10)에 전자파적으로 밀봉 고착될 수 있다. 차폐프레임(200)의 내부는 착탈 가능한 격벽부(300)를 수용함으로써 복수의 관(240)을 형성할 수 있다.
격벽부(300)는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이를 복수의 관(240)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의 (b)에는 격벽부(300)가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을 8개의 관(240)으로 분할한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차폐기구가 전자파 차폐를 위해 올바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관의 개방된 단면의 가장 큰 너비에 비해 차폐기구의 길이가 소정 비율 이상으로(예를 들어, 5배) 길어야 하므로, 개방된 단면의 치수들을 감소시킴으로써 차폐기구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의 (c)의 경우, 하나의 관(240)의 너비를 1cm로 가정할 때, 격벽부(300)가 제거된 차폐프레임(200)은 그 개방된 단면에서 대각선의 길이가 2√5cm에 해당하므로 길이에 5배의 비율을 적용하는 경우 차폐프레임(200)의 길이를 10√5cm(≒22.36cm)로 해야 하지만,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이 분할됨에 따라 차폐프레임(200)의 길이를 하나의 관(240)의 대각선 길이 √2cm의 5배인 5√2cm(≒7.07cm)로 3배 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차폐프레임(200)과 격벽부(300)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어 이를 통과하는 통신선을 전자기파에 대하여 차폐시킬 수 있다. 차폐프레임(200)과 격벽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관(240) 각각에 대하여 관의 단면에서 가능한 가장 큰 너비가 차폐프레임의 길이의 소정 비율 이하가 되게 하면, 예를 들어 미국 국방성의 EMP방호시설기준에 따라 1/5 이하가 되게 하면, 차폐프레임(200)과 격벽부(300)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관(240) 각각은 일종의 차폐도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적용되는 다양한 표준에 따라 상기 비율은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차폐프레임(200)에 격벽부(300)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2의 (b)는 차폐프레임(200)에 격벽부(300)를 삽입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격벽부(300)는 차폐프레임(200) 내에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차폐프레임(20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전자파적으로 보호되는 복수의 관(240)을 구성할 수 있다.
격벽부(300)가 차폐프레임(20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는 복수의 관(240)의 측면부가 구조적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관(240) 각각이 전방 및 후방 외의 일면으로 개방될 수 있다.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를 통해 복수의 관(240)이 격자(grid)와 같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격벽부(300)는 각 관(240)을 위한 골격을 이루며, 복수의 관(240)의 개방된 측면을 통해 복수의 관(240) 각각에 통신선(60)을 용이하게 안착 내지 제거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즉, 격벽부(300)가 차폐프레임(200)으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 격벽부(300)에 통신선(60)을 안착시킨 후, 차폐프레임(200) 내에 통신선(60)을 안착시킨 상태의 격벽부(300)가 삽입 수용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차폐기구는 차폐실 내부와 외부 간에 전자파펄스의 차폐를 이루면서 통신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차폐프레임(200)은 전자파 누설이 일어나지 않도록 용접 또는 볼트 너트 체결을 통해 차폐실 벽체(10)와 밀봉 고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봉 고착한 후에는 SE, PCI, CW, SELD 등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만,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격벽부(300)를 수용하지 않고 차폐프레임(200)만으로 SE, PCI, CW, SELD 등 테스트를 하고자 할 때에는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별도의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즉, 격벽부(300)의 대용으로 이에 상응하는 구조물을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여 각 관(240)의 너비 대 길이 비율이 유지되도록 하는 조치가 사용될 수 있다.
차폐프레임(200)의 재질로는 철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파만을 또는 자파만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 비철금속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파를 차폐하는 구성에서도 그 밖에 철의 성질을 가지는 합금 성분 내지는 코팅된 것, 나아가서는 스테인리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격벽부(300)는 차폐프레임(200)에 착탈될 수 있는 구조로 수용되는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300)가 장착 수용되었을 때는 차폐프레임(200)과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에서 통신선이 격벽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격벽부(300)에서 고정된 틀을 형성하는 골격은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로 된 격자(grid)형 구조물일 수 있고, 이러한 격자는 차폐프레임(200)과 결합하여 파이프 형태인 관(240)을 이루게 된다.
차폐프레임(200)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격벽부(300)는 상하가 개방된 형태를 가져 개방된 면을 통해 광선로(60)가 안착될 수 있다. 격벽부(300)에 장착되는 통신선(60)들은 격벽부(300)가 차폐프레임(200)의 내부에 수용됨에 따라 차폐프레임(20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착탈식 격벽부(300)로 인해 여러 개의 통신선(60) 꾸러미를 신속히 차폐실 내부로 관통시킬 수 있으면서도 각각의 관(240)은 전자파 침투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종전에는 기대할 수 없던 시공상 편의와 경제적 이익을 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격벽부(300) 상에 중간커버(250)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중간커버(250)를 장착한 격벽부(300)를 차폐프레임(200) 내에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4의 (c)는 격벽부(300)를 삽입한 상태의 차폐프레임(200)을 나타낸다.
격벽부(300)가 차폐프레임(200) 내에 수용되기 전에, 격벽부(300)를 중간커버(250) 내에 우선 삽입할 수 있다. 중간커버(250)는 제1 덮개(251)와 제2 덮개(252)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덮개(251, 252)는 격벽부(300)의 양측에서 결합하여 중간커버(2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벽체(10)에 고착된 차폐프레임(200)으로부터 중간커버(250)를 분리한 상태에서 통신선 다발을 포함한 격벽부(300) 관련 일체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구조에 비해 작업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EMP 차폐기구의 각 관(240)은 도 4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후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단면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에서 가능한 관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중간커버(250)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차폐프레임(200)에 다수의 중간커버(250)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중간커버(250)에 대응하여 복수의 격벽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중간커버(250)를 사용함에 따라 통신선(60)의 설치, 교체 또는 유지보수시 필요한 부분만을 탈거시킬 수 있어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두 개의 중간커버(250)가 사용되는 다양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더 많은 수의 중간커버(250)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 및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격벽부(300)가 구획하는 복수의 관(240) 중 일부에 통신선(60)을 배분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차폐프레임(200)의 내면에 슬롯(205)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c)는 (b)의 차폐프레임(200)의 플랜지(210)를 형성한 후 (a)의 격벽부(300)를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300)는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프레임(200)의 내면에는 하나 이상의 슬롯(205)이 형성될 수 있고, 격벽부(300)의 수평부재(321) 또는 수직부재(322)의 일부가 슬롯(205)에 삽입됨으로써 격벽부(300)가 차폐프레임(2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간커버(250)가 사용되는 경우, 슬롯(205)을 차폐프레임(200) 대신 중간커버(250)의 내면에 형성하고, 격벽부(300)의 수평부재(321) 또는 수직부재(322)의 일부를 중간커버(250)의 슬롯(205)에 삽입함으로써 격벽부(300)를 중간커버(25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6의 (c)를 참조하면, 차폐프레임(200)에는 플랜지(21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210)는 차폐프레임(200)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벽체(10)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차폐프레임(200)과 벽체(10) 사이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차폐프레임(200) 주위에 틈이 발생하여 EMP 차폐에 대한 취약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랜지(210) 부분에서는 체결수단(215)을 이용하여 차폐프레임(200)을 벽체(10)에 결합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EMP 차폐기구를 벽체(10)에 설치할 수 있다. 플랜지(210)를 결합하는 데 사용되는 체결수단(215)으로는 볼트, 리벳, 용접 등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플랜지(210)를 차폐프레임(200)의 개방된 전방(또는 후방)에 형성하면 차폐프레임(200)을 벽체(10)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으나, 차폐프레임(200)에 필요한 길이로 인해 플랜지(210)가 차폐프레임(200)의 중간 부분에 형성해야 할 수도 있다.
도 6의 (c)는 또한 모든 관(240)에 통신선(60)을 수용하지 않고 통신선이 수용되지 않는 관이 일부 포함하고 있을 때 가능한 마감 처리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지 않는 관(240)은 캡(500)으로 막아 놓을 수 있다. 이러한 캡(500)은 철판을 쐐기 형태로 만들어서 구비하거나 플라스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수의 관(240)을 폐쇄하는 경우, 하나의 캡(500)으로 사용되지 않는 관(240) 각각을 막을 수도 있고, 인접한 여러 개의 관(240)에 대응하는 면적의 캡(500) 하나로 여러 개의 관(240)을 동시에 막을 수도 있다. 사용하지 않는 관(240)을 캡(500)으로 폐쇄함에 따라 빈 공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캡(500)은 관(240)의 일단에, 즉 개방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여 관(240)을 폐쇄할 수도 있고, 관(240)의 중간에 위치하여 관(240)의 내부에서 관(240)을 막을 수도 있다. 물론, 하나의 캡(500)으로 다수의 관(240)을 폐쇄하는 경우, 관(240)들의 전방 또는 후방에 캡(500)을 배치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폐프레임(200) 내부에서 캡(500)이 다수의 관(240)을 폐쇄하도록 격벽부(300)가 분리된 형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캡(500)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각 관(240)에서 차폐도관의 전자파적인 방호 기능은 유지되지만 사용하는 편이 유리하며, 특히 캡(500)은 화생방 공격을 차단하도록 차폐도관을 밀폐하는 수단으로 확장 적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캡(500)은 이러한 작용을 하는 목적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화생방이란 화학개스 또는 생물학개스의 침투를 막기 위해 차폐도관의 전방과 후방을 밀폐하기 위한 수단을 말한다.
화생방을 감안할 때는 통신선이 관통하는 부분에도 틈을 밀폐하는 보조 기구,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지는 고무, 실리콘, 가스킷 등의 몰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신선(60)이 통과하는 관(240)에 캡(500)이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캡(500)에는 통신선(60)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통신선(500)이 홀을 통과할 수 있다. 즉, 통신선(60)을 격벽부(300)에 배치하기에 앞서 통신선(60) 상에 홀이 형성된 캡(500)을 외삽할 수 있으며, 이처럼 통신선(60)이 캡(500)의 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통신선(60)을 격벽부(300)에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선(60)에 외삽된 캡(500)이 관(240)을 폐쇄하도록 장착되면 관이 기밀하도록, 즉 기체가 실질적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관(240)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캡(500)은 어느 정도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캡(500)은 각추형, 절두각추형 또는 쐐기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240)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의 (c)와 같이 관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캡(500)은 관을 봉합하도록 원추형이나 원판 형상의 기구로도 구성될 수 있다.
차폐기구의 관(240)과 이에 대응하는 캡(500)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캡을 나사식으로 돌려서 잠그는 방식으로 막았다 열었다 할 수 있다. 즉, 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된 관(240)의 경우, 관(240)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캡(500)에는 이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캡(500)을 회전시켜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격벽부(300)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 부재(3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ㄷ"자형 격벽 부재(340) 그 자체가 하나의 관(240)의 격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 격벽 부재(340) 한 쌍을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향하여 결합시킬 수 있고, 이러한 쌍을 여러 개 구비하여 격벽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ㄷ"자형 격벽 부재(340) 쌍을 수평으로 배열하였고, 도 8은 "ㄷ"자형 격벽 부재(340) 쌍을 수직으로 배열하였다. 물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배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배열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ㄷ"자형 격벽 부재(340)를 한 쌍만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ㄷ"자형 격벽 부재(340) 단 하나만을 사용하여 두 개의 관(240)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300)는 복수의 평면형 격벽 부재(321, 322)를 포함할 수 있고,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는 서로 교차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9의 (a)와 (b)를 참조하면, 교차하는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 각각에는 슬릿(325)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는 각각의 슬릿(325)이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치합됨으로써 서로 교차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결합 부위를 보다 기밀하게 하기 위해 용접 또는 납땜을 가하거나 기타 접합 물질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평부재(321)에는 결합되는 수직부재(322)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슬릿(325)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수직부재(322)에도 결합되는 수평부재(321)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의 슬릿(32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 수직 등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부재(321)가 반드시 정확히 수평일 필요는 없고, 수직부재(322)가 반드시 정확히 수직일 필요는 없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가 직교하여 결합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교차하는 두 격벽 부재가 어떤 특정한 각도로 교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차폐프레임(200)과 격벽부(300)는 접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부(300)에 의해 구현되는 격자에 대한 접지작용을 위해 격벽부(300)를 구성하는 격벽 부재 중 전부 또는 일부에 접지선을 인출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접지점에 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지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부(390)에 접지선을 러그 접속하여 접지점에 연결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차폐프레임(200) 내에 수용됨에 있어서 접지점과의 접속 여부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지는 1점 공통접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격벽부(300)는 다수의 평면형 부재(321, 322)을 포함할 수 있지만, 또한 하나의 격벽 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관(240)을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하나의 격벽 부재를 파형(波形)으로 굴곡 또는 절곡하여 차폐프레임(200) 내부의 공간을 다수의 관(240)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분해 조립식 수평부재(321)와 수직부재(322)를 배제하고 그 대신 물결모양으로 굴곡시킨 파형 부재(360)로 격벽부(300)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파형 부재(360)의 위아래로 제1 커버(251) 및 제2 커버(252)가 씌워지면 도 12의 (b)와 같이 다수의 관(240)을 형성하게 되며, 이를 차폐프레임(200) 내에 삽입시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P 차폐기구를 완성할 수 있다. 중간커버(25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하나의 파형 부재(360)로 형성되는 격벽부(300)만을 차폐프레임(200)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파형 부재(360)의 상측절곡부(361)와 하측절곡부(362)가 중간커버(250) 또는 차폐프레임(20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파형 부재(360)의 높이를 중간커버(250) 또는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 한 후, 파형 부재(360)를 가압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파형 부재(360)가 물결모양으로 굴곡되는 대신 각이 지도록 절곡된 경우이다. 이 경우, 별도의 중간커버(250)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 자체가 각진 사각형 모양을 이루고 있으므로 분리상태에서의 작업성이 더 좋고, 차폐프레임(20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파형 부재(360)의 상측면(363)과 하측면(364)이 중간커버(250) 또는 차폐프레임(200)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파형 부재(360)의 높이를 중간커버(250) 또는 차폐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의 높이보다 약간 크게 한 후, 파형 부재(360)를 가압하여 삽입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EMP 차폐기구는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파형 부재(360)를 복수 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파형 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파형 부재(360) 두 개가 사용되었으나, 상이한 형상의 파형 부재 또는 기타 다른 격벽 부재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파형 부재(360)가 동일한 형상과 배향으로 배치되므로, 서로 포개져 중첩되지 않도록 이격 부재(370)를 사용하여 수직으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순한 동일 형상의 파형 부재(360)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복수의 관(240)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격벽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의 (a)는 도 12에 도시된 파형 부재(360) 한 쌍을 위아래로 대칭 결합하여 삼각형태 내지 마름모 형태의 관을 복수 개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파형 부재(360)가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파형 부재(360)를 완만히 굴곡시키는 대신 소정의 각도로 절곡하였다.
도 15의 (b)는 도 13에 도시된 파형 부재(360) 한 쌍을 위아래로 대칭 결합하여 적층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파형 부재(360)가 포개짐 없이 이미 안정적으로 적층되므로 이격 부재(370)를 생략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240)의 형상 및 크기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15의 (c)는 격벽부(300)가 튜브형 부재(38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관(240)을 원형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물론, 격벽부(300)를 위해 사용되는 격벽 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격벽 부재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차폐프레임(200)은 충분한 크기로 미리 제작 및 부착 시공할 수 있고, 차폐기구의 유지보수 및 통신선의 증설을 위해 차폐실 벽체(10)에 차폐기구를 재시공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할 수 있다. 차폐프레임(200)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시공한 다음, 초기 시공 당시에 도 16과 같이 사용되지 않는 관(240)에 캡(500)을 막아두면, 통신구의 증설이 필요할 때 나머지 점차적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구 증설을 위해 건축물의 내장재를 포함한 시설물에 부담을 주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격벽부(300)에 사용된 파형 부재(360) 사이에 이격 부재(370)로서 다층판을 개재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로써, 도 17의 (a)에서는 파형 부재(360)에 의해 형성되는 관(240) 중 일부가 마름모 형상으로 구성되는 대신 모든 관(240)이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고, 도 17의 (b)에서는 파형 부재(360)에 의해 형성되는 관(240) 모두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된다. 다층판(370)과 격벽 부재는 여러 층으로 적층하여 격자를 형성할 수 있고 그 조립 내지 분해를 통해 앞서와 같이 통신선을 착탈하는 기능은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생략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는 광분기함에서의 FDF, 광접속기, 광스플리터, 파장분배, 광분기, 덕트 내지 기타 성단용 기구로서 광섬유의 포설에 대한 곡률반경을 확보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선이라는 것은 전자장비용 내지는 메카트로닉스용 제어선을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정의된다.

Claims (21)

  1. 벽체의 관통구를 통과하는 통신선을 전자기파로부터 차폐시키기 위해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는 차폐기구로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차폐프레임; 및
    상기 차폐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복수의 관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된 격벽부를 포함하되,
    상기 격벽부는 상기 복수의 관 각각이 상기 전방 및 후방 외의 일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통신선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폐프레임 및 상기 격벽부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관은 상기 차폐프레임의 개방된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통하여 상기 통신선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격벽부의 상기 전방 및 후방 외의 개방되는 일면을 통해 상기 통신선이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격벽부는 상기 복수의 관 각각에 대하여 관의 단면에서 가능한 가장 큰 너비가 상기 차폐프레임의 길이의 소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복수의 관 각각에 대하여 관의 단면에서 가능한 가장 큰 너비가 상기 차폐프레임의 길이의 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복수의 평면형 격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부재 중 적어도 두 개의 격벽 부재는 서로 교차하여 결합되고, 상기 교차하는 격벽 부재 각각은 슬릿이 형성된 평면형 부재로서, 상기 교차하는 격벽 부재들의 슬릿이 서로 대향하여 치합됨으로써 상기 격벽 부재들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프레임의 내면에는 상기 평면형 격벽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홈 또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8. 제 4 항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하나 이상의 중간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커버는 상기 차폐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격벽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평면형 격벽 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홈 또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커버는 양측에서 결합하여 상기 격벽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단면이 굴곡된 혹은 절곡된 파형 형상을 이루도록 수차례 굴곡 또는 절곡된 하나 이상의 격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복수의 격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복수의 격벽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복수의 격벽 부재를 서로 이격시키는 하나 이상의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차폐프레임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 연장되는 다층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4. 삭제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하나 이상의 중간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간커버는 상기 차폐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격벽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커버는 양측에서 결합하여 상기 격벽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프레임은 상기 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벽체와 평행한 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프레임 및 상기 격벽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폐프레임 또는 상기 격벽부는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중 적어도 일부의 일단 또는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관을 폐쇄하는 하나 이상의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통신선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캡은 상기 통신선에 외삽되어 상기 관에 장착되고, 상기 캡의 장착에 의해 상기 관이 기밀하게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중 적어도 일부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 단면의 관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캡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기구.
KR1020130105386A 2013-09-03 2013-09-03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KR10141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86A KR101418219B1 (ko) 2013-09-03 2013-09-03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86A KR101418219B1 (ko) 2013-09-03 2013-09-03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8219B1 true KR101418219B1 (ko) 2014-07-10

Family

ID=51741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386A KR101418219B1 (ko) 2013-09-03 2013-09-03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82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486A (ko) * 2005-03-23 2006-09-27 김봉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셀형 소음기
JP4982171B2 (ja) * 2006-12-26 2012-07-2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磁気シールド体及び磁気シールドル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486A (ko) * 2005-03-23 2006-09-27 김봉호 발포알루미늄을 이용한 셀형 소음기
JP4982171B2 (ja) * 2006-12-26 2012-07-2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磁気シールド体及び磁気シールドルー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685B1 (ko) 케이블의 리이드-스루용 방사선 보호장치
EP1886390B1 (en) Shielded frame
KR100990828B1 (ko) Emp 방호 캐비닛
KR101036816B1 (ko) 이엠피 방호실
KR101506081B1 (ko) 전자기 펄스 방호용 캐비닛
KR20220116246A (ko)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파이프를 통과시키기 위한 트랜싯
KR102570302B1 (ko) 주거 보안 공간으로 파이프 라인 및 전기 배선 삽입을 위한 전송 장치
KR101418219B1 (ko) 통신선 보호용 emp 차폐기구
CN205355714U (zh) 用于轨道车辆的布线槽
KR101140256B1 (ko) 이엠피 방호시설용 본체
US6860641B1 (en) Faceplate electrostatic discharge attenuating waveguide
KR101107642B1 (ko) 이엠피 방호시설
KR101107643B1 (ko) 이엠피 방호시설 시공방법
US4180843A (en) Device for protecting electric systems, particularly telecommunication systems, against overvoltage pulses
US20220120977A1 (en) Transition for an optical fibre cable
KR101238519B1 (ko) 차단 주파수 가변 대응 전자기파 차폐용 환기구 구조물
KR20140046750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20150037799A (ko)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101046167B1 (ko) 이엠피 방호실용 본체
US11955789B2 (en) Supply unit for electromagnetically shielded and burglarproof rooms
KR101297895B1 (ko) 주파수 가변 emp 차단용 환기구
US12012752B2 (en) Shielded enclosures and related methods for protection from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s
TARIMER et al. CONSIDERATIONS ON EFFICIENCY FOR INTERNAL LIGHTNING PROTECTION
KR101092408B1 (ko) 전자기 펄스 차폐용 유리창
KR101000610B1 (ko) 기존 지하벙커의 emp 방호시설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